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崔致遠의 시를 통해 본 9세기 黃海航路

        최낙민(Choi, Nack-M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2

        海雲崔致遠(857∼?)은 9세기 바닷길을 통한 羅唐간의 문화교류를 대표하는 인물일 뿐만 아니라 한국 漢文學의 비조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때문에 최치원에 대한 연구는 문학, 철학, 역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어 많은 성과물을 내고 있다. 하지만 그의 행적을 해양실크로드와 연관시켜 진행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최치원은 『桂苑筆耕集』卷20에 수록한 七言絶句15수와 七言律詩15수가 884년 10월 양주를 떠나 다음해 3월 신라의 왕도 경주에 도착하기까지 귀국길에 창작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본문에서는 최치원 선생의 『桂苑筆耕集』 뿐만 아니라 『孤雲集』?등에 수록된 작품 중, 귀국시기에 지어진 시를 분석하여 그가 이용한 황해항로를 살펴보고 시에 드러난 최치원의 심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황해항로의 西端揚州에서 중국 동해안에 이르는 大運河길을 통해 귀국을 즈음한 최치원의 복잡한 심경과 함께 강남지역의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항해에 필요한 순풍을 기다리기 위해 한겨울을 바닷가에서 보냈던 최치원의 시를 통해 항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종교와 삶을 유추하였다. 마지막 장에서는 황해항로에 대해 고찰하고 慶州의 모습을 통해 바닷길을 통한 문화교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경제적인 측면이 강조된 남양해양실크로드와 달리 신라와 당을 연결하는 황해해로의 특징은 문화교류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oi Chi Won(857∼?), also known by his pen names as Haeun and Goun, is not only a person who represents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dynasties, the Silla-Tang (羅唐) through the Sea Route in the ninth century, but also one of the most revered figures as the progenitor of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studies on Choi Chi Won are being carried out and have achieved a number of products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There is, however, only few works conducted on his deeds in connection with the Maritime Silk Road. Fortunately, Choi Chi Won expressed that the poems in his twenty-volume work, 『桂苑筆耕集』Gyewon Pilgyeonjip : Plowing the Gassia Grove with a Writing Brush were composed during the return voyage from the time he left Yangzh?u (?州) in October of the year 884 to the time he arrived at Gyeongju, the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in March of the next year. Those poems are fifteen verses written in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七言絶句) and the other fifteen poems which includes eight-line verse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each (七言律詩). This thesis explores the Yellow Sea Route that Choi Chi Won made a voyage on and how his mind was expressed in his poems by analyzing his poetry written during the homecoming. The analysis includes 『孤雲集』 The collection of Goun’s poetical work as well as 『桂苑筆耕集』Gyewon Pilgyeonjip, in the body. At first, it aims to read Choi’s complicated emotions around the time when he returned back home through the Grand Canal on the Yellow Sea Route from the western end of Yangzh?u linking to the eastern coast of China. It also endeavors to dissect social aspects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Yangtze River. Furthermore, religions and the lives of the people engaged in navigation will be analogized through Choi’s poetry which was composed on the seaside as he waited for a tailwind to continue his voyage. In the last chapter, the modality of the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Maritime Silk Road is explored by contemplating the Yellow Sea Route and Gyeongju. From this work, it is assured that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Yellow Sea Route, connecting the Silla and Tang Dynasties, is the cultural exchang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outh Sea-Maritime Silk Road in which economic aspects are emphasized.

      • KCI등재

        “東方의 巴黎”, 근대 해항도시 上海의 도시이미지

        최낙민(Choi Nack Min) 부산경남사학회 2010 역사와 경계 Vol.75 No.-

        Having various urban images as such 'Paris of the East', 'London of the East', 'New York of the West', etc. Shanghai had yet become one of the six big cities of the world with its population amounting to over three million. This article aims to search for the reason for why Chinese prefered to call it 'Paris of the East'. The rapid development of Shanghai as the typcal big city of modern China was connected profoundly to its particular urban spaces of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and the French Concession. Among others, the image of 'Paris of the East' had been made up by its intellectuals-citizens who pursued for the French culture and distinctive space trait of the French Concession. We examined how the French Concession had been constructed and Shanghai's urban images had been made up focusing on "Xujiahui parish" defined mainly by edge-Yangjinbang-, path-Abenue Joffre-, and landmark-St. Igantius Cathedral. And we interrogated into the activities and documents of contemporary Chinese intellectuals and literary artists which had displayed at the cafes and public parks of Avenue Joffre, a physical space that made its modern urban images up.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these intellectuals and literary artists were anxious to make China a cultural power of world like France and re-create Shanghai as a model of modern city like Paris. Absolutely, their such ideas lacked the accurate appreciations of reality. However, alongside of 'old-Shanghai Nostalgia' phenomena which tried to recover the abundance and culture of 1920ㆍ1930s' Shanghai, the image of 'Shanghai, Paris of the East' come to life again today.

      • KCI등재

        吳漁山의 三巴集에 나타난 天學詩 硏究

        최낙민(NackMin Choi)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4 No.-

        天學詩란 명말 청초 중국 고전시가의 형식을 빌려 천주교의 교리와 전례 등에 관련한 내용을 담아낸 시를 이르는 말로, 청나라 초기 중국인 예수회 신부 吳漁山이 처음 사용하였다.오어산은 ‘淸初六大家’의 한 사람으로 화가로서 명성이 높았으며, 지천명의 나이로 ‘聖名之城’이라 불린 마카오의 성 바오로학원에서 예수회 수도자로서의 삶을 시작했던 특이한 인물이다. 三巴集은 성 바오로학원에서 생활하던 오어산이 해항도시 마카오의 자연•인문환경을노래한 澳中雜詠과 새롭게 학습한 기독교의 교리와 전례, 그리고 그가 속했던 예수회의 규율과 성인들을 송찬한 시를 모은 聖學詩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에서는 澳中雜詠에 나타난 천학시와 함께 聖學詩에 수록된 천학시를 교리시, 전례시, 송찬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중국고전문학에서 천학시가 갖는 의의와 함께 해양을 통한 동서양 인문학의 교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Wu Yushan (1632-1718) is one of “Six Masters of the early Qing period”representing the landscape painting circle during the Qing Dynasty. He was one ofintellectuals with fame who constructed his own world even in poetry and musicas well. The mission project in China by the Society of Jesus is closely related tothe relationships of Wu Yushan in 1680 with the ‘contact zone’ Macau wherecultures are exchanged between Europe and Asia.At the age of 50, Wu's life experienced had a dramatic turn. Wu Yushan indeedchose for himself a path of self-denial and total dedication to the new faith andto the new ministry. Wu Yushan received a Catholic name called Simon Xaveriusas he entered the Society of Jesus formally in 1682 and wrote many poems otherthan 80 poems of “Saint Study Poem(聖學詩)” containing his understanding ondoctrines for 3 years in Macau, while praising ancient sagas in the Society ofJesus. He composed many poems reflecting his own preaching career and religiousfeelings, which are collected in an anthology, Sanbaji. The poems that he keptwriting as a priest illustrates exceptional qualities of his tireless dedication, his faith,his joys and the moments of frustration.

      • KCI등재

        1920년대 開城商人의 동아시아 해역 견문기

        최낙민(Choi, Nack-M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1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4

        일본의 근대적인 해운업의 발전과 함께 동아시아 해역에는 증기선 정기항로가 출현하였고, 외국으로의 출국도 용이해져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본총독부와 미쓰이물산(三井物産)의 초청을 받아 1923년 일본과 중국, 1928년 대만과 홍콩 등지의 홍삼수출시장을 시찰하게 된 개성상인 孔聖學과 孫鳳祥은 일본국적의 증기선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해역에 건설된 해항도시들을 견문하고 『中遊日記』와 『香臺紀覽』을 남겼다. 먼저 제2장에서는 1923년 개성상인 공성학이 상해와 중국북부를 여행하고 남긴 『中遊日記』속의 증기선과 해항도시에 관련된 일기와 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공성학과 개성상인들은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증대하고, 시간적 거리가 줄어들고 있는 동아시아 해역을 경험했고, 양자강과 부속 하천을 여행하면서 열강의 해운회사들에 의해 내륙 깊숙이까지 확장된 동아시아 해역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황해를 넘어 발해까지 확장된 일본과 열강의 세력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해항도시 상해를 방문한 개성상인들은 개항 이후 상해가 이룩한 경제적, 물질적 번영이 일본의 동경을 넘어서는 것임을 목격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도시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서구 열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항도 시 상해의 소비문화와 향락문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해항도시 청도와 지부, 대련을 통해 동아시아 해역에서 벌어지는 일본과 미국을 포함한 서구열강의 경쟁을 확인하게 되었다. 제3장에서는 1928년 개성상인들이 선상에서 경험한 서양의 기계문명과 생활문화, 그리고 홍콩과 하문 등 해항도시에서 느낀 소회를 살펴보았다. 개성상인들은 선상에서의 예절과 서구인들의 일상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증기선의 구조와 항해법에 대해서도 견문하였으며, 선상규칙을 준수하고 예의범절을 잃지 않는 서양인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서 서양인들을 야만적인 침략자라 여겼던 인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개성상인들은 해항도시 하문의 아름다운 섬 고랑서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었고, 개항이후 급속한 성장을 이룩한 해항도시 홍콩의 발전에 경탄하였다. 개성전기회사라는 민족회사를 운영하던 개성상인들은 특히 홍콩의 야경에 대해 끊임없는 찬사를 보내며, 어떻게 하면 이런 번영을 이룰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일본의 증기선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해역을 여행한 개성상인 공성학은 새로운 시대의 조류를 파악하고 낡고 좁았던 자신의 세계를 깨고 근대적인 인물로 거듭날 수 있기를 희망하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Japan"s modern shipping industry, regular steamboat routes appeared in East Asian Seas, and as it became easier for ordinary people to leave the country, the number of people going abroad surged. Guong Sung-hak and Son Bong-sang the Kaesong Merchants", invi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nd Mitsui Trading Co., visited the red ginseng markets of in Shanghai, northern China in 1923, Taiwan and Hong Kong in 1928, and visited the Seaport cities built in East Asian waters. After returning home, they published two books, China sightseeing diary中遊日記 and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香臺紀覽, recording their inspection activities in the red ginseng market. In Chapter 2, Son Bong-sang and Gong Sung-hak who a Kaesong merchant, looked at the diary and poems related to steamboats and Seaport cities among the China sightseeing diary he left while traveling in Shanghai and northern China in 1923. Kaesong Merchants experienced that an increase in the movement of man and supplies in East Asian Seas and a decreased in time. Through the Yangzi River trip, They recognized that East Asian Seas were deep expended to inland by Western powers" shipping companies. And confirmed the power of Japan and Western powers" that extended beyond the Yellow Sea to Bohai Sea. In addition, the Kaesong merchants who visited the Seaport city of Shanghai witnessed Shanghai"s economic and material prosperity after its opening. Also confirmed that the city"s real ruler was a Western power. They also experienced a culture of consumption and pleasure in Shanghai, Seaport city. And through the Seaport cities of Qingdao, Zhifu, and Dalian, Kaesong Merchants" confirmed that competition in East Asian waters among the Western powers, including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Chapter 3, looked at the Western living culture and mechanical civilization experienced by Kaesong merchants in 1928 on steamboats, and how they felt in Seaport cities such as Hong Kong and Xiamen. Kaesong merchants became interested in manners on board, Western culture, and knowledge of the structure and navigation of steamboats, as well as direct contact with Westerners who obey ship rules and keep their manners,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Westerners as savage invaders. Kaesong merchants were fascinated by the beauty of Gulangyu, a beautiful island in the Seaport city of Xiamen. And marveled at the rapid growth of Hong Kong, a Seaport city that has achieved rapid growth since its opening. The merchants of Kaesong, who used to run a national firm called the Kaesong Electric Company, have been constantly praising Hong Kong"s night view and pondering how to achieve such prosperity.

      • KCI등재
      • KCI등재

        明의 海禁政策과 泉州人의 해상활동

        최낙민(Choi Nack-Min)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8 No.-

        명대는 중국고대 해상교통이 번성에서 쇠락으로 전변하는 시기였다. 이러한 변화는 ‘海禁’과 ‘朝貢’을 기초로 하는 명의 해외교통정책 속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다. 왜 명조가 이와 같은 대외정책을 선택하고 지속시킬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해서는 정론이 없다. 하지만, 명의 해외교통정책은 해금정책이 부분적으로 해제된 隆慶元年(1567)을 경계로 市舶司를 중심으로 한 朝貢貿易, 貢舶貿易 時期(1368~1566)와 民間 海商을 중심으로 한 商舶貿易, 密貿易 위주의 後期(1567~1644)로 나누어진다. 중앙조정의 해양정책에 따라 천주인의 해상활동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문에서는 해금정책이 실시된 이후 國家와 海港都市, 中央朝廷과 地方權門의 拮抗關係 속에서 해항도시 천주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았던 천주인의 해상활동이 해양정책에 따라 어떤 모습으로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태생적으로 해양성을 가진 천주인은 중앙조정의 해금정책에도 불과하고 기꺼이 법을 어기고 바다로 나가 海賊이 되고 海寇가 되었다. 천주인들은 땅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혈연과 지연, 언어를 공유하는 동향들을 조직하여 바다위에 泉州幇과 천주네트워크를 건설하였다. In Ming dynasty, Chinese maritime exchanges turned from prosperity to decline. This change had been reflexed on its foreign policies on the basis of the 'ban on maritime trade (海禁)' and the 'tribute(朝貢).' The reason that it choose and continued those policies remains problematic. Nonetheless, its policies of external exchanges has been divided into the period of tribute trade and public ship trade(1368-1566) which Shibosi(市舶司) initiated the oversea trade and the period of merchant ship trade and smuggling(1567-1644) which the private merchants led the trade with the border of Longqing(隆慶) First year when the ban policy had been lifted partly. Corresponding to these maritime policies of central authorities, the activities of Quanzhou people had exposed various appearances. This article interrogates how the Quanzhou was influenced by the antagonism between the central authorities and the local powerful after the ban policies had been enforced, and how Quanzhou people's maritime activities had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aritime policies. In spite of the ban policy of central authorities, Quanzhou people who had inherently the maritime qualities spontaneously violated laws and acted as the pirates in the sea. They constructed Ouanzhou-bang (Quanzou-network) by means of the organization of the persons from the same province sharing the blood ties, the regionalism, and the language in the sea, as they had done so on the land.

      • KCI등재

        일제 강점기 安東을 통한 조선인의 이주와 기억

        최낙민(Choi, Nack-M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6

        압록강과 두만강으로 상징되는 한반도의 변경이란 국경의 끝과 시작이라는 물리적 차원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 시사적 의의가 있다. 변경의 지대에는 제어의 끈이라든가 통제의 끈들이 내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곳이다. 그러하기에 제도로부터 핍박받는 민중들이 그러한 속박으로부터의 일탈 욕망을 강렬하게 느끼는 곳이다. 밀무역이라든가 월경의 풍경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곳, 쫓겨 가는 이주민들의 모습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변경의 그러한 속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이런 의미에서 국경도시[沿境]로서, 압록강을 끼고 [沿江] 바다와 연결된[沿海] 변경의 해항도시 안동은 일제 강점기란 시대의 고민과 고통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매개체라 할 것이다. 본문에서는 1930년대 만주국이 건설되기 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안동을 경유하여 이동한 조선인들이 남긴 기록들을 통해 변경도시이자 국경도시, 철도의 중심 도시, 특히 그동안 연구자들이 크게 주의하지 않았던 해항도시 안동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국의 광복을 위해 죽음을 무릅쓰고 압록강을 건넜던 민족 지사들을 통해 변경의 국경도시 안동이 갖는 시대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안동주재일본영사관부영사의 부인으로 안동에서 6년간 생활했던 여류화가 羅蕙錫이 남긴 글과 그림을 중심으로 안동의 조선인과 함께 중국인거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일제 강점기 변경의 해항도시 단동은 삶의 긴장이 있고, 삶에 대한 치열한 탐색이 이루어지는 처절한 공간이었다. 그러는 한편으로 식민지 현실에 대한 암울한 인식이 있고, 조국 독립에 대한 해방의 의지가 꿈틀대는 곳이었다. 오늘날에도 단동과 도문에는 식민지 시기 변경을 건넜던 많은 동포들과 그 후예들이 생활하고 있다. 우리는 이들을 조선족이라고 부른다. 그들에게 있어 변경의 국경도시 단동은 더 이상 분단과 단절의 공간이 아니라 생활의 공간이며 이음과 상생의 삶의 공간이다. Represented by the Aprok and Duman Rivers, the frontier of Korean Peninsula holds its suggestive significance in that it does not end in the physical dimension of ending the border and beginning it at the same time. The reins of control or regulation are relatively weak in the frontier region than the inland region, which is why the people under the persecution of system have strong desire for departure from such reins in the frontier region. The attributes of frontier make it easy to come across smuggling, farming in others" land, and migrants being chased. In that sense, Andong, which is a border city[沿境] lying along the Aprok River[沿江] and connected to the sea[沿海], is a frontier seaport city and good medium to figure out the worries and suffering of people during the Japanese rule.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Andong as a frontier city, border city, center of railways and, in particular, seaport city, which aspect had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researchers, with the records of Joseon people that traveled via the city with a focus on the period up to the foundation of Manchukuo in the 1930s. It also investigated the periodic meanings of the city as a frontier border city through Korean patriots that crossed the Aprok River by risking their lives for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In addition, it examined the aspects of streets in the Chinese community as well as Joseon community in the city based on the writings and paintings of Na Hye-seok, who was a lady painter and lived in the city for six years as the wife of vice-consul at the Japanese consulate in Andong. During the Japanese rule, Andong, a frontier seaport city, was a desperate place filled with the tension of life and marked by fierce explorations into life. At the same time, there were dismal perceptions of colonial reality and budding determination for the liberation and independence of homeland in the city. Even today there are many countrymen that crossed the frontier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their descendents in Andong and Tumen. They are collectively called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s far as they are concerned, Andong, a frontier border city, is no longer a place of division and severance but a place of living and life for connection and coexistence.

      • KCI등재
      • KCI등재

        1920年代 開城商人들의 紅蔘販路 視察記 考察 : 『中遊日記』와 『香臺紀覽』을 中心으로

        최낙민(Choi, Nack-Min)(崔洛民)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한반도의 인삼은 중국의 비단과 차, 일본의 은과 함께 동아시아 상품교역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요한 상품이었고, 지금도 그 상품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인삼이 해외수출상품으로 확립된 것은 개성상인들의 노력에 힘입은바가 크고,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개성상인 孫鳳祥과 孔聖學은 紅蔘과 白蔘 등 인삼제품을 해외시장에 수출한 주역이었다. 전통학문에 대한 깊은 소양을 갖춘 儒商 손봉상과 공성학은 중국, 대만과 홍콩 등지의 헌삼판매처를 시찰한 자신들의 활동을 『中遊日記』와 『香臺紀覽』에 남겼다. 그러나 개성상인들이 남긴 우리나라 최초의 해외시장 시찰기라 할 두 책을 텍스트로 한 홍삼판로 시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라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본고는 일제강점기, 개성상인들의 중국 및 세계 인삼시장에 대한 인식과 함께 고려인삼의 해외시장 개척에 대한 그들의 의지와 노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Ginseng on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silk and tea from China and silver from Japan, was an important product that formed the East Asian Trade Network, and is still increasing its value. Ginseng was established as an overseas export product thanks to the efforts of Kaesong merchants. While Japanese colonial era, Bong-sang Son and Sung-hak Gong, who Kaesong merchants were to played a major role in exporting ginseng products to overseas markets. In 1923 and 1928, they visited red ginseng markets in China, Hong Kong, and Taiwan at the invitation of the Mitsui Company. After returning home, they published two books, China sightseeing diary中遊日記 and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香臺紀覽, recording their inspection activities in the red ginseng market. In Chapter 2 of this paper, confirmed the perception of the global ginseng market by Kaesong merchants by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red ginseng market research records, especially the Shanghai meeting data contained in the China seeing diary. Chapter 3 looked at the passion for the development of red ginseng markets in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including Taiwan and Xiamen, based on the record of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Chapter 4 confirmed the willingness and efforts of Kaesong merchants to develop their own overseas white ginseng sales market, which is not restricted by Mitsui Trading Co., a red ginseng monopol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Ok Kwan-bin and Lee Yoo-sun, whom they met in Shanghai.

      • KCI등재

        汪兆鏞의 『澳門雜詩』를 통해 본 해항도시 마카오의 근대

        최낙민(Choi, Nack-Mi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8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9

        辛亥革命이후, 청의 遺老이기를 자처한 汪兆鏞은 ‘共和革命’의 성지가 된 고향 廣州의 소요를 피해 전후 12차례 마카오로 피난하였고, 단속적으로 13년여를 마카오에서 생활하였다. 왕조용은 民國時期 마카오와 내지를 오가며 활동한 “兩棲作家” 중의 대표적인 인물로, 한때는 마카오를 ‘辛亥動亂’을 피해 온 사람들이 모여 사는 武陵桃源과도 같은 공간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그러나 현지 생활을 통해 마카오가 이미 중국의 주권이 미치지 않는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었다는 사실을 통감하게 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의 식민지 마카오에서 생활하게 된 청 왕조의 舊臣 왕조용은 시로서 마카오가 겪어야 했던 수난의 역사와 이 땅을 지키지 못한 청 조정의 무능함을 기록하고, 유럽과 포르투갈의 도시와도 같은 도시 근대화의 과정을 걷고 있는 해항도시 마카오의 변화를 적고, 포르투갈 식민자의 통치 하에서도 중화민족의 문화와 전통을 지키며 살아가는 현지 중국인들의 모습을 담았다. 1918년 除夕에는 마카오에서 지은 이러한 시들을 모아 『澳門雜詩』를 上梓하였다. 본문에서는 『澳門雜詩』에 수록된 『雜詠』 五言古詩26수, 『澳門寓公詠』 七言絶句8수, 竹枝詞40수 등을 통해 해항도시 마카오의 특별한 역사, 포르투갈 마카오식민정부의 주도하에 진행되는 도시 근대화 사업과 항만건설, 그리고 그들의 지배 하에서 살아가는 현지 중국인의 삶에 대한 왕조용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After the Xinhai Revolution, Wang Zhaoyong fled to Macao 12 times before and after to avoid unrest in his home state Guangzhou, and lived in Macao on a restricted basis for 13 years. Wang Zhaoyong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Amphibious writers” who evacuated between Macao and mainland China during The period of the Republic of China. At one time, he recognized Macao as a paradise where people gathered to avoid “Xinhai Revolution.” However, it became clear to him that through his life in Macao, Macao became a Portuguese colony that did not reach China"s sovereignty. Wang Zhaoyong, a before bureaucrat who lived in a Portuguese colony in Macao, as poem recorded the tragic history of Macao"s. Wang Zhaoyong also has shown of the changes in Macao, a seaport city that is undergo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cities like Europe and Portugal, and the local Chinese who live in keeping with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Chinese people even under the rule of Portuguese colonialists. At the end of 1918, he collected poems related to Macao and published a poem entitled Aomen Miscellaneous Poems. In the text, through the “City of Macao”, I will research the special history of Macao, urban modernization projects led by the Macaoian colonial government in Portugal, port construction and the lives of local Chines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