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50-70년대의 한국 공예: 형질의 해체와 조형화

        최공호 미술사학연구회 2020 美術史學報 Vol.- No.55

        Misfortune of craft originates from breaking up trait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t was literally denial of existence to deprive a master craftsman of his own duty who had led history of culture with hands. Craft traits put civilization and culture together and; use, formative work, creation and production are all incorporated within it. Times have changed but the role of craft does not. Nevertheless, craft has reached on the periphery of art as function of hands has been replaced by machinery. A master craftsman was seemingly raised to an artist but it was rather a nominal, deceptive artist’s mind below the surface. The reason for existence of craft lies in definite purposefulness, power of living culture. Craft traits began to break up in earnest along with modeling from the 1950s to the 70s. It was college craft education that led such a stream. Colleges did not suggest craft’s tasks of the times and they are attributed to choose to be peripheral to art. To abandon the reason of existence, i.e., companion of daily life, was scathing failure. Works were far from craftsmanship and occupations headed toward the antipole from values of hands that embraced everyday life. Hands are recently called yet again. It is because people have realized that we have no future as long as industrialization persists whichworks with consumption desire and mass production. Worldwide academia is giving attention to hands as one of clues to solve urgent problems of mankind and that solution comes down to craft in the end. If craft is linked with alternative civilization, it is directly connected to human survival issues beyond art. It is important to bring hands of master craftsman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It doesn’t matter whether they think the coordinate of craft is either inside or outside art. Hopefully the rigid perspectives of art history which have not granted proper status to craft so far will change. 공예의 불행은 산업화 과정이 형질을 해체한 데서 비롯한다. 손으로 문물의 역사를 주도해온 장인에게서 고유한 소임을 빼앗은 것은 존재의 부정에 다를 바 없었다. 공예의 형질은 문명과 문화를 아우르고, 쓰임과 조형, 창작과 생산을 한 몸에 내재한다. 시대가 바뀌어도 공예의 역할은 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손의 기능을 기계가 대체하면서 공예는 미술의 주변에 안착했다. 일견 장인이 예술가의 반열에 올랐다고 볼 수도 있겠으나 내막은 실속 없는 허위의 예술가 의식에 가까웠다. 공예의 존재이유는 생활문화의 동력이라는 분명한 합목적성에 있다. 1950-70년대는 공예 형질의 해체가 본격화되고 조형화가 진행된 시기이다. 이 흐름을 주도한 것이 바로 대학의 공예교육이다. 대학은 공예의 시대적 과제를 제시하는 역할 대신 미술의 주변화를 선택한 한계가 지적된다. 이로써 일상의 반려라는 존재의 이유를 유기한 것은 뼈아픈 패착이었다. 작품은 공예다움과 거리가 멀고, 직업은 일상을 보듬는 손의 가치와 서로 대척점을 향했다. 근래에 손을 다시 소환하고 있다. 소비욕망과 대량생산으로 작동되는 산업화가 지속되는 한 우리에게 미래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세계 지성계가 인류의 당면과제를 풀어낼 단서의 하나로 손을 주목하고 있으며, 그 해결책은 결국 공예로 귀결되는 셈이다. 공예가 대안문명과 결부된다면, 미술을 넘어 인류 생존의 문제와 직결된다. 공예가의 손을 본디 자리로 되돌리는 일이 중요하다. 각자가 생각하는 공예의 좌표가 미술 안이든 밖이든 상관없다. 그동안 공예의 지위를 정당하게 부여하지 않은 미술사의 경직된 시각이 바뀌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사진 한 컷에 담긴 근대 공예사의 원풍경

        최공호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7 No.-

        This is the very first time to approach the history of craft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in Korea. If the product of a material can becontributed to the lives of the people and the concluding result can be explicated within the category of culture, perhaps it is only natural that thehistory of craft and the material culture share overlapping grounds. If one attempts to study an object adopting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it is imperative, initially, to see the object as the product of usage. Rather than confining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form of an object to the particularity of the artist's periphery,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in determining the form ofan object and the life experience as a whole. The principal goal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grounds on which the form is determined, the kind ofrelationship that has been established between the object itself and the living-subject. Furthermore, it retraces and reconstructs the entire scenario. Fromthis standpoint, the paper focuses on the factors other than the artist, exploring the ways in which they intervene to determine the form of a particular object. Primary attention is given to the understanding of its structure. That is, having the practical usage of the living-subject as the basis, it structuralizes the factors that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form of an object during the course of production and examines its mechanism. Forthis purpose, I have applied the image found in a photograph from early twentieth-century Korea to the actual contemporary living environment and have verifi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lected photograph can be an invaluable text as it contains the object of the time and exhibits the condition of the lives of the subject. Based on the setting of the actual use of an object,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reenact as closely as possible to the original environment by arranging several determining factors. Having the apprehens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igures and objects in the picture, this endeavor, beyond formal studies of an object, thus, allows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 and object, object and object, and object and environment. Thus, in order to project the possible height of the female, the owner of the small table (soban) in the picture, thelength of the sleeves was measured first and then the actual measurement was compared to the average height and the weight of the small table and thereceptacles made around the 1900s. Given the established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the result is applied to the reconstructed model, for instance, of the actual kitchen and the detached living room (sarangbang) of a gentry family and to the passageway between the two. The reconstructed model is designed to restore a precise contemporary condition. The actual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hanok) is especially recreated to demonstrate the activity of the subject along the passageway in simulation. Through this examination,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actors that involve around the object such as the environment of usage, the convention of demand, and the condition of labor as well as the intervening elements determining the form of an object was achieved. This study of material culture has substantiated the possibility for an attempt toprovide a concrete answer to a fundamental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a form,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formalistic method and offering a newperspective to studies in the history of craft. In the future research, while one retains the boundary of one's own field of study, a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the related branches of studies is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식기의 형태결정과 휴먼스케일

        최공호 동악미술사학회 2014 東岳美術史學 Vol.0 No.16

        미술사는 형태를 분석하여 문맥을 읽어내는 학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공예사에서는 형태가 차지하는 비 중이 막중할 수밖에 없다.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명제를 기억한다면, 기물의 형태는 시각 이미지를 통해 포착 되는 것 외에도 그 대상의 존재의미와 맞닿은 무게를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물의 형태를 연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이 참으로 많다고 느낀다. 기형이 어떤 특징을 지녔고, 형식의 계 통이 어떠한지를 궁금해하기에 앞서 특정한 기형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를 통해서 비로소 기형에 내포된 문화적 맥락을 입체적으로 밝힐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의 공예사 연구는 조각사나 회화사의 형식 분석틀과 크게 다르지 않았었다. 공예사 연구의 연조가 결코 짧지 않은 오늘날에도 이런 경향이 여전하다면 재고할 여지가 충분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식기와 소반을 중심으로 하여 기형과 연관된 내외부적 요소들이 무엇이며, 기형의 결정에 어 떤 요소가 작용하는지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 전통사회에서 기물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제작 주체인 장인의 역할이 의외로 크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기물의 형태가 결정되기까지는 사용주체의 생활관습을 정점으로 신체조 건과 주거환경, 기물끼리 거미줄처럼 촘촘히 연결되어 있었다. 장인을 축으로 하여 쓸모와 생활양식, 주거와 역사 문화, 자연환경이 외포를 이루어 연동되는 구조이다. 장인은 사 회적 기본 형태를 능숙한 솜씨로 구현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렇게 본다면 하나의 기물 형태는 사용자의 삶 전체와 치밀하게 교직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가 기물의 형태를 문명의 기억이자 사회적 형태라고 말하는 것도 여기에 근거한다. One might easily conclude that one essential part of studying art history consists in the reading of contexts by analyzing forms. Forthose studying the history of handicraft, form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suggested by the famous phrase, “Form follows function,”the form of an object carries, in addition to the one perceived through visual images, the meaning of its veryexistence. There are numerous factors to consider when studying the form of an object, in particular, why a specific form is selected rather than what characteristics it has and which environment they belong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context contained in the fom will be possible only after such factors are explained. Unfortunately, however, studies of the history of Korean handicraft have not differed greatly from those of the history of sculpture orpainting. The history of research on Korean handicraft is fairly long now, but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so far. In this study, I focus on Korean traditional tableware and tray tables (soban) to fi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related with theirforms, including the factors that have played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forms. I have found that the makers of kitchen items in thepast had little influence upon the form of their artifacts. The dominant factors were rather the user’s everyday habits, physical conditions, and living environment. The form of these objects was materializ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artisan’s imagination and the users’ lifestyle,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ir communi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The artisans served as a medium effectively linking theirown aesthetic sensibilities with the practical demands of society. That is why I conclude that the form of an object is tightly intertwined with the maker’s entire life as an artist and hence it is both the memory of human civilization and a social for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화재 감정 제도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최공호,고우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2 No.-

        문화재는 공공적 가치와 사유재산이라는 양면성을 띄고 있다. 공공적 가치보호를 위해 문 화재보호법으로 일정부분 규제하고 있으나 사적공간에서 비공개 거래가 관행화 되어 정확 한 실태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특히,문화재 매매 유통 관련 감정업무가 시장원리에 따라 사설기관인 협회,법인,대형 경매회사에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끊임없는 신뢰도 및 투명성 시비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문화재 감정 단체는 국가기관인 문화재위원회,문화재감정관실,민간단체 인(사)한국고미술협회, (사)한국화랑협회,(사)한국미술품감정협회 등이 대표적이다. 현 재 국내에는 법령의 규정 등 특정한 사유를 제외하고 국가기관에서 개인소장 문화재를 감 정하는 경우는 없으며,이에 대한 감정은 관련 법인체인(사)한국고미술협회와 (사)한국동 산문화재진흥원,한국화랑협회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또한, 문화재 감정 인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양성하는 제도는 전무한 상태이다. 국내의 유일한 문화재 감정 인력 교육 기관으로는 명지대학교와 경기대학교의 석사과정뿐이며, 법인 성격의 민간단체에서 사적 으로 운영하는 감정교육 강좌만이 운영되고 있다. 프랑스 역시 공인감정제도나 감정사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안에 따라서 사법감정사(법원지명감정사)나 세관감정사, 경매심의위원회 등 국가차원의 감정사와 함 께 독립감정사 및 대표적 감정연합회와 관련 재단, 회사들을 사회적 입지를 보다 공고히 하며 신뢰를 구축해 감정공인제도의 부재를 보완한다.또한,감정 업계 관계자를 교수로 초빙한 몇몇 국립 및 사립학교 들을 통해 양질의 커리큘럼 및 실무기호를 제공하여 풍부하 고 통찰력 있는 안목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감정사들의 재교육을 통 하여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감정사연합단체들과 경매회사주도하에 특별과정으로 교 육이 운영되고 있어 다양한 기관을 중심으로 감정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화재 감정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및 통해 우리나라 감정제 도 현황을 파악하고, 국ㆍ내외 감정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감정사와 기관 설립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국가 관리 감정사제도의 도입이다.우리나라도 문화재청 산하에 법인형태의 ‘문 화재전문감정원(가칭)’을 구성하여 법적,제도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전문적 감정사를 양성하고 감정사 자격증 제도를 도입하여 문화재에 대한 지식 과 식견을 갖춘 자를 선별하고 국가에서 자격증을 발행해야 한다. 셋째,전문화된 감정사 양성을 위한 문화재 감정 교육기관을 설립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문화재 매매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거래당사자들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면 문화재 매매유통 시장의 활성화는 더욱 촉진될 것이다. Cultural properties are of double-sidedness as public value and as private property. They are regulated by law in some degree to protect public value but they are secretly transacted in private space so it is hard to exactly grasp the reality.Especially appraisal business related to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is autonomically practiced by associations, corporations and big auction companies based on market principles, which causes constant issues of credibility and transparency. Representative Korean organizations for appraising cultural property include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and Cultural Properties Provisional Articles in public sector and Korea Traditional Art Association corporat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and Korean Art Appraisal Co., Ltd. etc. in private sector. There is no case where national organizations appraise privately owned cultural properties except for particular reasons such as when defined in rules or regulations and this kind of appraisal is mainly done in relevant corporate bodies, for example,Korea Traditional Art Association corporate, Korea Movable Cultural Properties Promotion corporat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etc. Appraisal personnel training centers in Korea are only master's course in Myongji University and Kyonggi University and appraisal classes operated in a corporate sort of private organizations. There is no public appraisal or appraiser system in France, either. Depending on cases, however, they supplement absence of public appraisal system with independent appraisers and representative appraisal associations and relevant foundations and companies along with national-level appraisers such as judicial appraiser (appraiser designated by court), customs appraiser, appraisal deliberation committee through strengthening their social standing and building up trust with them. In addition, they foster human resource equipped with rich and insightful perspective by providing high quality curriculum and real work opportunities through national and private schools where appraisal personnel are invited as professors. Above this, there are appraiser federations that promote constant learning through reeducation on appraisers and special courses operated in auction companies, which shows appraisal personnel are trained in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analysis results from a survey to cultural property appraisal experts, here ar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appraisal system and some suggestions made for establishment of appraisers and organizations through identifying problems in domestic and foreign appraisal systems. First, the state-controlled apprais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Korea should als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through composing '(tentatively named) Professional Cultural Properties Appraisal Service' as 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affiliated corporate body. Second, professional appraisers should be fostered to select those who are with knowledge and discernment in cultural properties and a system based on appraiser license issued by government should be adopted. Thir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ultural property appraisal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specialized appraisers. When order in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is established and buyers and sellers can transact properties at ease through these efforts, vitalization in cultural property distribution markets will be more promoted.

      • KCI등재

        무장사아미타여래조상비의 구부 이수 형식

        최공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1 No.-

        경주시 암곡동의 무장사비는 년에 , 801 아미타불을 만들어 모신 후 그 시말을 새긴 통일신 라의 대표적 비석이다. 높은 조형적 완성도는 물론, 용두화 진행 초기의 거북을 쌍으로 조 각한 구부 형식의 특이성이 학계의 주목을 끌어왔다. 이 논문은 무장사비의 원형을 다양한 방법으로 추론하여 복원해보려는 취지로 작성 되었다. 알려진 것처럼 무장사비는 야외에 노출된 채 오랜 풍상을 겪었을 뿐더러 인위적인 파괴도 가해져 훼손이 심한 편이다. 비신의 파편 일부는 국립박물관에 보관돼 있고, 구부 의 머리가 양 쪽 모두 망실되었으며, 이수 또한 절반 가까이 파괴된 채 현장에 놓여있다. 그 럼에도 이 석비는 통일신라 전기에 제작된 태종무열왕릉비를 제외하면 이수가 남아 있는 드문 예여서 당시 이수의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작품이다. 보물로 지정될 당시 에도 양쪽 거북의 머리가 모두 파손된 상태여서 완전한 형태는 알 수 없었다. 다행히 2008 년 무장사비 비신복원을 위한 조사 과정에서 발견한 파편이 소실된 왼쪽 두상으로 확인되 어 복원에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더욱이 발견된 구부 형식은 거북에서 용머리로 변모해 가 는 과정을 시사하는 유물로서 학술적 가치 또한 각별하다고 할 수 있다. 가치가 이러함에 도 기존의 무장사비 연구는 비문에 대한 관심에 비해 구부이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 홀했었다. 복원을 앞둔 무장사비의 과제는 쌍구부의 독특한 형식을 어떻게 상정하는 것이 타당 하냐는 문제였다. 통일신라 초기 구부와 이수가 온전히 남아있는 작품이 드문 현실에서, 추가 발견된 두상은 온전한 복원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구부에 부조된 십이지상에 대해서도 관련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본래의 형식을 추론해 보았다. 특히 미술사적 가치가 큰 구부이수의 형식은 인접 지역의 관련 유물과 비교 분석하여, 최근 수습한 파편을 근거로 복원하였고, 윤곽만 겨우 남은 십이지상과 이수의 용무늬에 대 해서도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복원을 시도하였다. The Amitabha Buddha statue at Mujangsa, Amgok-dong, Gyeongju-si is a representative stele on whic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Amitabha are carved after it was made and kept at Mujangsa in 801. It is not only equipped with high formative completeness but also with a unique form of tortoise carving strut carved with a pair of tortoises in the early stage of Yongduhwa (*which refers to a phenomenon of turtle-headed shape's changing into that of dragon head) so it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academia. This thesis is made with an aim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Mujangsa stele by inference through various ways. As it is already known, Mujangsa stele has long gone through wind and frost while being exposed outside and man-made destruction has also been applied on it. The stele stands on the site while some pieces of the stele body are being kept in the National Museum, heads of tortoise carving strut are both damaged, and the dragon carving is also half destroyed. Despite these facts, this stele is a rare example of having the dragon carving left except for Royal Tomb of King Taejong Mooyul which was made in early days of United Silla so it is a precious work through which the process of change in dragon carving of the time can be examined. It is now a treasure but both heads of tortoise were all damaged when it was designated as one so its complete form is not known. Fortunately, pieces found during the investigation for restoration of the Mujangsa stele body were identified as the lost left head, which has been a big help for restoration. In addition, the form of discovered tortoise carving strut is a relic suggesting the transfiguration process from turtle head to dragon head so it is also of especial academic value. Even with such value, existing studies on Mujangsa stele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its epitaph than tortoise carving strut or dragon carving. The problem of Mujangsa stele which has its restoration ahead is how the unique form of double tortoise carving strut should be assumed properly. In reality where there rarely are works with complete tortoise carving strut and dragon carving made in early days of United Silla, the head additionally found helps to take another step forward to the complete restor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s comparative analyses on the form of tortoise carving strut and dragon carving with adjoining and relevant relics and it attempts to restore core elements in formative restoration the closest to the original like the form of head and slope and twelve signs of the Zodiac whose contours are partially remained based particularly on the head of recently settled tortoise carving str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