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최경진(Kyoung Jin Choi) 중앙법학회 2009 中央法學 Vol.11 No.1

        The Republic of Korea Assembly is recently discussing the enactment of new basic law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well as revision to "Law of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Network Use Promotion and Data Protection etc." which provides several articles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nder this circumstanc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would be very helpful and useful for legislation proces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deals with Data Protection Act 1998 in the U.K., especially focusing on the definition and extent of personal information, and exceptions to the provisions. Data Protection Act 1998 covers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 Act provides general principles on data protection, Information Commissioner, Information Tribunal, trans-border flows of personal information. Especially, the Act covers manual filing systems as well as automatically processed data. And it provides wide-range exceptions to the provisions. These distinctions will be able to be reflected in our legislation process.

      • KCI등재

        빅데이터 · 사물인터넷 시대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발전적 전환을 위한 연구

        崔景津(Choi, Kyoung-Jin) 중앙법학회 2015 中央法學 Vol.17 No.4

        A threshol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n Korea trace back to Act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aintained by Public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 the internet,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was enacted. As online and offline have been converged since th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as newly enacted as a law to eliminate blind spot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t was already over four years after its legislation and there has been big change in our society that every people recognizes personal information as one of most important value in our society. Such change of understanding becomes very basic foundation for jumping to developed country.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critical issue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 in this paper, such as lack of harmony amo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excessive regulation clauses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issue of obstructing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service like big data or internet of things. Meanwhile, big data or internet of things are emerging as a cutting-edge global competition power. So many developed countries are trying to promote such advanced industry. In this poin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armonize the use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rom such perspective, this paper deals with improvement dir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 in Korea. Our possible reform plan is as following: spec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purpo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 spec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efinition, emphasizing autonomy and responsibility, harmonization amo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limitation of excessive civil and penal liability, switch from formal regulation to substantial regulation in regulatory framework, guarantee of legitimate and non-infringing use of personal information, establishment of effective regulatory framework for cross-border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etc. Now is the time to improve ou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 to promote protection of personal right and guarantee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 KCI등재

        개인정보등록제도에 관한 연구

        최경진(Choi Kyoung jin) 한국정보법학회 2010 정보법학 Vol.14 No.2

        최근 우리나라는 정보통신망에서의 개인정보보호나 공공부문에서의 개인정보보호와 같이 개별 영역이나 분야별 법률이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꾀하기 위한 일반법으로서 개인정보보호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논의 중인 개인 정보보호법안들을 살펴보면 개인정보감독기구, 분쟁해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종권리ㆍ의무 등을 규정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개인정보등록제도의 도입이 하나의 쟁점이 되고 있다. 개인정보등록제도란 실제 개인정보 그 자체를 등록시키는 것은 아니고 개인정보의 처리와 관련되는 일정 범위 내의 정보들을 법정 절차에 따라 신고나 등록 등을 하게 함으로써 개인정보처리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개인정보처리와 관련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그런데 개인정보등록제도의 구체적인 범위와 내용에 있어서는 국회에 계류 중인 3개의 법안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입법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등록제도의 도입이 필요한가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욱이 외국에 관련 법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제도의 소개나 검토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반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반성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이미 개인정보등록제도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는 EU,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법제 현황을 살펴본 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회에 계류된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제정 방향에 대하여 제언을 시도하였다. 즉, 유럽 각국에서 개인정보등록제도를 운용하고 있지만, 엄격한 허가제가 아닌 신고에 바탕을 둔 등록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특히 중요 정보의 유통이나 개인정보의 역외 유출로부터 개인정보주체를 보호하기 위한 통제 수단으로써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현재 계류 중인 개인정보보호법안은 공공부문에서만 도입을 규정하고 있는데, 개인정보의 수집 단계보다 유통 단계에 대한 규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 수단으로서 개인정보등록제도는 유용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민간 분야에서도 개인정보등록제도에 의하여 보호가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has been debating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ill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s well as promoting its use. The bill provides new various measure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However, there was not preceding related studies, such as foreign law research, examination of whether new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would be good, etc.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introduces foreign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especially in EU, U.K., France, Germany and Japan, and deduces its suggestion. And it deals with new three bill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ries to compare it with foreign laws. In case of EU and its member countries, personal data controller should notify each country’s supervisory authority of some information required by law. On the other hands, Japanese law requires a public institution to give a prior notice to the Minister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to maintain personal data file. The duty of notification in Europe is the measure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as well as for reasonal regulation against personal data processing. New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in Korean bills is expected to work similarly with european system. But, Korean system needs to be reinforced in the aspect of transborder data flow, and to be expanded into personal data processing in the private sector but only for the limited purpose. Just, it must consider harmonization between protection and use of personal data.

      • KCI등재

        법정손해배상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최경진(Kyoung Jin Choi) 중앙법학회 2011 中央法學 Vol.13 No.3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hereinafter "KORUS FTA") has been signed and will be expected to come in force in the near future. It will be able to change both countries` society and economy in the various area. Specially, it introduces new "pre-established damages" provision, which is very similar to "statutory damages" provisions in the U.S. legal system. KORUS FTA requests Korea to legislate law that enables copyright and trademark holder to be awarded pre-established damages. A question arises here as whether the pre-established or statutory damages provision conflicts with our civil damages system.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looks into the followings: (1) details on KORUS FTA`s pre-established damages provision, (2) related provisions in the draft of implementation law of KORUS FTA, (3) statutory damages laws and cases in the U.S., (4)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merican statutory damages and Korean civil damages, and (5) reasonable introductory plan of statutory damages in Korea. In consequence, statutory damages system is compatible with Korean civil damages system as far as it does not include punitive damages or treble damages. But some questions still remain as how much the maximum or minimum limit of damages is reasonable and consistent with Korean civil damages system. The more specific limit of statutory damages must be decided after positive and economic review.

      • KCI등재

        미래 ICT 법제체계 개편방향

        최경진(Choi, Kyoung-Jin)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1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한 ICT를 진흥하기 위한 법령이 지난 30여년 동안 제⋅개정되어 왔고, 법령의 내용이나 체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과거 우리의 ICT법제 체계의 변화를 뒤돌아보고, 현재 우리의 상황과 미래 ICT의 예측을 토대로 ICT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ICT법제의 발전 흐름을 살펴보고, 미래 정보 사회의 구현 및 ICT 경제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바람직한 ICT 법체계 개편 방향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과거 ICT법제의 변화 중에서 특히 지난 5년여 동안을 돌아보면 여러 법제 개편의 노력이 있기는 했지만, 실제 입법이 이루어지고 법률이 운용되는 과정에서 각 법률 사이의 융⋅복합 및 조화는 잊혔고, 신산업의 창출, 융⋅복합의 활성화, 기존 ICT의 고도화,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이라는 중요한 이상(理想)은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중요한 목표들은 현재까지도 과제로 남겨져 있다. 또한 현행 ICT법령은 법제의 중복 또는 법체계 사이의 정합성이 미흡한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법령상 거버넌스 측면에서 ICT 진행정책의 추진체계가 분산되어 있다는 문제도 지적할 수 있다. 나아가 융⋅복합 산업 등 새로운 산업의 출현에 따른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법령상의 곤란함도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ICT 법제체계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체계적 정합성 제고, 글로벌 관점에서의 접근, 탈규제 측면의 미래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ICT 법제의 구현, 새로운 ICT 거버넌스와의 조화 및 효과 극대화, ICT의 기본정신(개방, 중립, 참여, 공유, 자율)을 존중하는 법제의 구현 등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우리의 ICT법제는 미래 ICT 환경에 적합한 규제체계로의 법제체계 전환, 즉 ICT 혁신 및 재도약기로의 전환을 꾀하여야 한다. 미래 ICT의 비전(미래 혁신 및 고도화 기반으로서의 ICT, 복지 로서의 ICT, 안전으로서의 ICT)을 담는 법제체계의 구현도 중요한 방향의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ICT 혁신 및 재도약을 위한 플랫폼(Platform) 형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중복 제거 및 조정기능을 강화하면서도 개별 영역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제이어야 만들어 나아가야 한다. 이 글에서 법령 및 조문 차원의 세부 적인 개선방안이나 제⋅개정안까지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전체 체계적 관점에서 “신 ICT법제체계”를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사명에 맞게 ICT법제를 살아있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content or system of ICT laws which contributed to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during last 30 years. This paper retrospects the previous Korean ICT legal framework and examines its future based on prediction of future ICT technology and environment. For the study, it deals with history of ICT laws and tries to introduce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ICT legal framework. Looking back on last five years, there were many efforts to amend ICT laws. But the attempt did not succeed and it resulted in still remaining of several problems; harmonization or convergence of related laws, creation of new industry, advancement of ICT, transfer to vertical regulatory system, etc. Another problem is overlapping of regulation among ICT-related laws, breakup of ICT policy propellant, unflexibleness on market change. To resolve the above problems, w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systematic coordination, gloable aspect, deregulation, sustainable ICT legal framework, harmonization with new ICT governance, respect of ICT’s basic spirits(openness, neutrality, participation, share, autonomy. This paper cannot provide detail reform plan, but suggests “New ICT Legal Framework” from whole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

        전자거래기본법 개정방안 연구

        최경진(Choi Kyoung Jin) 한국정보법학회 2011 정보법학 Vol.15 No.1

        전자거래기본법이 제정되던 당시에는 전자적 수단에 의한 행위나 거래가 법적으로 유효한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없거나 부족했었기 때문에 전자적 거래행위의 유효성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로서 전자문서의 유효성을 비롯한 전자문서 관련 규정을 두는 것이 중요하였지만, 전자문서의 이용이 보편화된 현 상황에서는 전자문서의 단순한 법적 승인에 머무르지 않고 전자문서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촉진 및 전자문서의 유통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도의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법제는 전자거래의 사법적 규율에 관하여 실체적 효력에 대하여는 기존의 법률에 의하고, 전자문서의 기술적 특성을 반영한 기술적 규정들을 일부 전자거래기본법에 둠으로써 사법적 규율을 꾀하였다. 그런데, 전자거래기본법에 명확히 실체적 효과를 부여한 규정을 둔 것도 아니고, 종래의 민사실체법이 전자문서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나 입장을 밝힌 것도 아니어서 사법적 규율에 있어서 불명확성이나 모호함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입법적 논의가 필요하다. 국제적 측면으로 시각을 돌려보면, 전자거래는 인터넷의 특성상 국내에 머무르지 않고 국제적인 거래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특히 기업간 거래의 상당부분을 전자문서에 의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UNCITRAL 전자계약협약이 채택되어, 우리나라도 이에 서명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규범 통일의 경향을 반영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우리의 국내거래에서도 국제규범을 고려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제규범과의 조화를 꾀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우리나라가 국제시장에서의 선도적 경쟁력을 갖춘 분야인 전자문서 관련 시장의 촉진 및 지속적 경쟁력 강화와 정부를 비롯한 공공부문에서의 전자문서 유통 촉진을 위한 법제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법제 개선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자거래기본법의 개선방안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전자문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전자문서를 법률 명칭에서도 전면에 등장하도록 하여, 전자문서에 관한 기본법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전자거래에 대한 규율을 강화하는 측면에서는 전자문서와 전자적 의사표시를 구별하여, 전자적 의사표시에 관한 실체적 효력을 부여하는 규정을 민법에 두면서, 이를 구체화하는 법률로서 전자거래기본법에 보다 상세한 기술적 규정을 두도록 입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사법적 규율을 강화하고 법적 불명확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체적 효력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는 전자적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규율하여야 한다. 아울러 국제적 규범과의 조화를 위하여 우리나라가 서명한 UNCITRAL 전자계약협약의 내용 중 국내거래에도 도입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타당한 규정을 중심으로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자문서의 유통촉진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및 공공부문과의 전자문서의 유통촉진을 위한 체계를 정립하기 위한 근거규정을 두어야 한다. 다만, 공공부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공공부문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형태로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At the first time when Basic Law on Electronic Commerce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not enough to understand legal significance of electronic document. So, the law had to provide the legal recognition of electronic documents. Now, environment surrounding electronic document and commerce has changed much more than we had expected at the first legislation. The recent trend is that trafficking of electronic documents and related service are very important in business. And it must be noted that there is an estrangement between substantive law like Civil Law and Basic Law on Electronic Commerce in the point of application of law to electronic declaration of intention. Furthermore, electronic commerce is worldwide based on internet, so United Nations tried to make uniform law and finalized so-called “UN Electronic Communications Convention” which Korea also sign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law to promote international electronic commerce. Additionally, legal reform plan must consider promotion of electronic document market and expansion of Gov 2.0.

      • KCI등재

        소프트웨어개발계약과 권리의 귀속

        최경진(Choi Kyoung ji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성균관법학 Vol.19 No.2

          At the first time, one of Supreme Court cases made me study about the issue discussed here-onto. It relates to the attribution of copyright in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especially in the existence of special agreement. Despite the special agreement. a copyright is held to be owned by creator herself at the very time of creation of the work. And the special agreement could be construed as an assignment of all copyright except personal rights. But it makes the time of assignment earlier, for example at the time of development completion. Here this paper takes a look at some related issues as followings; ① what is legal nature of the contract in case where a client makes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with a developer. ② whether Civil Act can apply to the contract. ③ what means the special agreement providing acquisition of all rights by client. ④ how can the special agreement be constructed in void of the agreement. ⑤ whether the Article 5 of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can apply to such a development contract between parties in special relationship. This paper tries to harmonically deal with the above issues in the aspect of civil law and intellectual property law related to software.<BR>  In conclusion. a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can be considered as a contract for work in many cases but its legal nature can vary according to real facts. The Civil Act applies to a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as a contract for work but tangible-related provisions will be excluded. A special agreement will be void under two imperative provisions of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That is, Article 2 and Article 7. However. it can be constructed as another meaning, such as the assignment of rights or the time of copyright acquisition. From my broader perspective on the Article 5 of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the provision can be applied to a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Finally. this paper provides a systematic construction and reasoning of software development contract.

      • KCI등재

        사이버공간에서의 소통과 관련한 법학연구동향

        최경진(Kyoung Jin Choi)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1

        사이버공간에서의 소통(이하 ‘사이버컴’이라 힌디) 분야는 그 어떤 분야보다도 역동적이고, 매우 다양한 법영역이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회고해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작업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사이버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법학 연구 과제를 살펴본다는 것을 목표로 하여, 종래의 연구 동향과 함께 향후 과제를 조망하였다. 즉, 2.에서는 사이버컴과 관련된 법학 연구동향을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용어례 및 연구범위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3. 에서는 사이버컴 간련법의 흐름을 시계열별 및 분야별로 살펴보고, 현재 검토되고 있는 법령정비동향을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 에서는 사이 버컴 관련 법학연구동향을 시계열별 및 분야별로 회고해보고, 5. 에서는 논의되고 있는 법령정비동향 및 법령정비연구동향과 기존의 법학연구동향에 대한 회고를 바탕으로 미력하지만 향후의 연구동항에 대한 전망과 과제의 제시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사이버컴 관련 법학 연구 동향의 검토와 향후 과제의 조망이라는 작업은 처음 시도되는 것이지만, 향후 이 글이 작은 발단이 되어 연구간 연계를 통하여 끊임없는 과거의 검토와 재발견, 미래의 조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rea of cyber communication is really dynamic and related with various law areas, so retrospect of legal study in the area may be impossible. But this paper tries to look back upon the past legal study of cyber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looking out the future tasks. Firstly, the related various terms was examined. And both laws and legal study trend related with cyber communication were looked into for the following research. Finally, this was concluded with the present and future problems to develop legal research and study in the cyber communication area. I hope this paper will be the threshold of study connection with the future.

      • KCI등재

        면역글로불린 치료 후 호전된 전신경화증 위장관 침범 1예

        최경진 ( Kyoung Jin Choi ),황정화 ( Jeong Hwa Hwang ),김현숙 ( Hyun-sook Kim ),이준성 ( Joon Seong Lee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2

        전신경화증 환자는 위장관 침범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효과적인 치료법은 부족하다. 저자 등은 식도 내압 검사, 24시간 산도 검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광범위 전신경화증 환자의 위장관 침범을 확인하였고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치료하였다. 이는 국내에서는 드문 증례이므로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Systemic sclerosis is an intractable clinical subset characterized by diffuse fibrosis, vasculopathy, and immune abnormalities. Diffuse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has a variety of symptoms depending on the internal organs involved, such as the lungs, heart, kidneys, and gastrointestinal system.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s frequent and one of the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re is no sustained, effective therapy for treating the active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of systemic sclerosis. Although immunoglobulin is commonly used in the treatment of other autoimmune diseases, its effects in the 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systemic sclerosis are unclear. Here, we report a patient with a severe cough caused by uncontrolled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in diffuse cutaneous systemic sclerosis treated with immunoglobulin. (Korean J Med 2017;92:213-218)

      • KCI등재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소고

        최경진(Choi, Kyoung-Ji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1

        해외로 개인정보가 이전되면서 우리 국민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되었으며, 정보주권이 제한되고 특정 국가로 국민의 개인정보가 집중되어 남용될 수도 있다는 위험성도 제기되었다. 반면 글로벌 시장에서 개인정보의 문제는 국내에서의 개인정보 문제와 다를 것이 없으며, 이제 국내외 국경의 의미는 적어도 인터넷 세상에서는 무의미해졌으며, 자칫 새로운 규제나 강화된 규제가 생겨나는 경우에 새로운 서비스와 산업의 출현이 가로막힐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된다. 이러한 서로 충돌하는 이익을 적절히 조화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개인정보의 적정한 보호를 위한 검토가 요구되는 시점에 왔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로서 UN, OECD, EU, 영국, 미국의 법제와 국내 법제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법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법제 개선방안으로서 개인정보 국외이전의 규율의 불가피성을 인정하면서도, 글로벌 유통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억제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규율대상으로서의 개인정보 범위의 명확화, 규율대상 행위의 명확화, 분리의 원칙 확립, 국외이전 내역 통지 제도의 도입, 공동규제체계의 정립, 당사자 합의에 기초한 규율의 촉진, 거버넌스의 일원화, 한국주도의 국제공조체제 확립, 자율규제 유도 등이 추진되어야 한다. As our national’s personal information flows into foreign countries, some problems arise like difficulty of its protection, limitation of data sovereignty, abuse of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ntrary, reinforc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might result in new barrier to international trade. Now is the time to contemplate how we harmonize two compelling interests –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guarantee of free information flows. From this problematic perspective, this paper deals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foreign laws about transborder flow of personal information, examination of domestic laws and Korean FTAs, and suggestions on reasonable legal reform. Specially, its suggestions include recognition of inevitable regulation on transborder information flows, clear defi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an object of application, establishment of Separation Principle, introduction of cooperative co-regulation scheme, promotion of self-regulation, unification of governanc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cheme lead by Korea,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