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Wolf Singer의 뇌 이론 탐색과 뇌기능 중심 (특수)교육의 가능성 모색

        채희태 ( Hee-tae Cha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최근 뇌영상 촬영기술의 괄목할 발달과 함께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뇌의 섬세한 구조와 기능에 대한 시각적 관찰이 가능해지면서 인간의 학습과정과 사고과정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이 빠른 속도로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뇌과학의 연구 성과들을 고찰함으로써 뇌과학의 교육학적 접목가능성을 모색하였는데 특히 독일의 막스 프랑크 연구소 소장 WolfSinger교수의 뇌 이론 탐색을 통하여 ‘뇌기능 중심의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뇌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경세포간의 회로결합과 그 의미, 또 신경회로결합과 환경경험과의 상관관계, 뇌 발달이 민감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와 학습의 문제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룸으로써,기존의 사회문화적 요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전통적 의미의 교육적 논의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함과 아울러 아동중심적 교육이념에 뇌기능 중심 교육이 매우 근접해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Recentl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brain imaging technology, it is becoming possible to observe the fin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brain visually, which was impossible in the past, and as a result a lot of new information is beingproduced on the processes of man``s learning and thinking. The present study lookedfor the applicability of brain science to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results of new brain science researches, and particular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brain function-centered education`` through the brain theory of Professor Wolf Singer, the director of Max-Planck-Institute for Brain Research in Germany. It dealt with subjects such as circuit coupling between neurons in the brain and its mea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upling of neurons and environmental experiences, time when brain development is active and problems in learning during the time with the object of providing new viewpoints to educational discussions of traditional sense, which could not be free from existing social and cultural demands, and proving that the idea of child-centered education is approaching to brain function-center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적 장애 이해와 그 특수교육학적 적용: 학습-장애 문제를 중심으로

        채희태 ( Hee Tae Ch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3

        구성주의에 있어서 모든 지식은 인식하는 주체로부터 구성되는 것이다. 객관적 지식이나 진실은 없다. 그런 의미에서 장애는 하나의 지식으로서 관찰자들의 합의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학습역시 단순한 지식의 획득, 재생산 과정이 아니라 능동적인 구성적 과정이며, 인지적, 사회적, 문화적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첫 째, 장애의 구성과정을 인지심리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둘 째, 구성주의 패러다임의 특수교육학적 적용 문제를 설계하였다. 특히 학습에 어려움(학습-장애)을 겪는 아동들을 위한 사회-심리적 중재가능성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In constructivism, all knowledge is constructed by the subject who perceives. There is no objective Knowledge or Truth. In this sense, disability is constructed as knowledge by the agreement of observers. Learning is also an active constructive process rather than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reproducing knowledge, and it is a cognitive, social and cultural process. Based on such a constructivistic 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first, examin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dis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psychology and, second, designed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vistic paradigm in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 suffering from difficulties in learning (learning disorder) from a constructivistic viewpoint.

      • KCI등재

        감정노동에 관한 제도적 규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채희태 ( Chae Hee Tae ),방강수 ( Bang Kang Soo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3

        서비스 산업의 증가로 인해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감정노동’이란 자신의 감정과는 무관하게 친절을 베풀어야 하는 업무방식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 빠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감정’이 ‘노동’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의 부족과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다른 근로자들과 다르게 특별히 보호해야 할 필요성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최근에 들어서야 논의가 되기 시작하였다.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 보호의 근거는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러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호의 방법으로는 ①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 ② 사용자의 지시권과 근로자의 작업거절권, ③ 정신적 상담을 통한 관리, ④ 휴식시간과 시설의 확보, ⑤ 근로감시와 근로자 인격권, ⑥ 동료나 고객에 의한 직장 내 괴롭힘 방지가 있다. 2016년 3월 22일에 개정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별표3]에서 업무상 질병에 대한 구체적인 인정 기준에는 “업무와 관련하여 고객 등으로부터 폭력 또는 폭언 등 정신적 충격을 유발할 수 있는 사건 또는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한 적응장애 또는 우울병 에피소드”가 추가되었으며, 제19대 국회에서 제정된 금융관련법에는 처음으로 고객응대직원의 보호를 위한 과태료 규정이 신설하였다. 하지만 현행 법령의 개정만으로는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특별법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Emotional workers ar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Emotional Work” indicate that the workers are exposed to extreme circumstances due to methods of task performance without one’s emotions. Although “Emotion” is a very important part of “Work”, there was a lack of the social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to protect emotional workers, so that the problems about the emotional work have not been until recently discussed. The foundation of protection for emotional workers is based on a right to work under the Art. 32 of Constitutional Law and is also confirmed in local governments regulations. Methods of the protection are ① Employers’ duty of care for safety ② Employers’ right to direction and Employees’ right to refuse ③ Management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④ Securement of a break time and installation of facilities ⑤ Inspection of working place and Personal right of employee ⑥ Prevention of workplace harassment between employees or by customers. “The case of violence or verbal abuse by customers which could lead to employees’ psychological trauma in workplace, or Adjustment Disorder and depressive Episode occurred by the related stress” was added to Standards for recogni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in recently revised “En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ttached Table3]. Furthermore, recently regulation of administrative fines for protection of customer service employees in Financial Laws was for a first time established by 19th National Assembly. However, only revised Laws are not enough to protect emotional workers. Therefore, a special Law for full protection of emotional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독일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방안 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탐색

        채희태 ( Hee Tae Ch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전통적으로 장애아 분리교육 국가인 독일은 지난 몇 년간 특수학교를 특수교육지원센터로 전환하면서 독특하게 장애아 통합교육 실현에 접근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독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특수교육체계의 재구조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방안을 분석함으로써 2001년에 설치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182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여러 가지 보완점을 모색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대표적 유형인 지역특수교육지원센터와 지역의 범위를 넘어선 초지역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형태를 분석하면서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재구조화를 제안하였다. Germany, which has traditionally executed separated education for the disabled, is approaching the realization of inclusive education of the disabled in a unique way by switching special schools to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for the last several year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current restructur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ystem in Germany and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and to obtain implications of the process for Korea, which has been running 182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since their beginning in 2001 and is looking for solutions for a number of problems in operating the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operation of local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which are the typical pattern of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in Germany, and super-local ones beyond the limit of localities, and proposed a plant to restructure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Korea.

      •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 연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채희태(Hee Tae Chae)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를 통해 한국사회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거버넌스를 진단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 거버넌스는 민과 관의 갈등과 더불어 민과 민, 관과 관 사이에서 빚어지는 주체 간 갈등과, 정책추진의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중앙과 지구 간 갈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 갈등은 교육 거버넌스 외 여타의 보편적인 거버넌스 상황에서도 일반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갈등으로 주로 민과 관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민과 민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은 수직적 명령 체계로 이루어진 관과 달리, 집단인 동시에 다양한 개인의 수평적 합인 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그 원인이었다. 이로 인해 민·민 갈등은 주로 가치와 신념의 차이, 실천방식의 차이, 그리고 이해관계의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셋째, 관·관 갈등은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분리되어 있는 한국사회의 제도적 특수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울에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자치구청과 교육지원청 사이의 권한 비대칭과 관할 범위 차이 등이 갈등의 원인이었다. 넷째,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정책 중앙인 서울시·서울시교육청과 서울형혁신교육지구에 참여하고 있는 지구간에 발생하는 중앙-지구 간 갈등도 확인되었는데, 이는 하향식 정책추진이 관성화된 중앙과 지역의 특수성이 정책에 반영되기를 바라는 지구단위 거버넌스의 상향식 요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Governance’ through a case of conflict on educational governance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tasks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This article argue that conflicts in this governance arise from not onl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but also between centre and district. Because the conflicts come from actors such as citizen vs. citizen or public vs. public on the subject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general conflict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also occurred in universal governance situation other than Educational Governanc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identit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Second, a conflict among the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society sector which is a horizontal combination of various individuals, unlike the ‘public’ that consisted of vertical command system. As a result, a conflict among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mainly caused by difference in value and belief, difference in method of practice, and clash of interests. Third, a conflict aomng the actors of public sector was caused by institutional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which separate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gener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in the Education Governanc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of Seoul, a conflict aomng local governments as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Office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caused by asymmetric authority and difference in the scope of jurisdiction. Finally, a conflict occurred amo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the policy centr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and other actors in the District, in other words a conflict between centre and district, was also confirmed.

      • KCI등재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역량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탐색

        김성완(Kim, Sung-Wan),채희태(Chae, Hee-Tae)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이 연구는 국내 N대학교에서 학습부진을 겪고 있는 학생의 학습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실시해온 프로그램(‘학업성공 어울모임’)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실시되어 온 학습부진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학생 및 교수 만족도 및 학생 평점평균 (GPA), 데이터운영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양적 자료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와 향후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참여 학생 2인, 교수1인, 프로그램 운영자 1인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부진 개선을 위한 학습역량증진 프로그램에 대해 학생과 교수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가능한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이 프로그램 효과성의 전이효과와 비용-이익 분석, 상호작용과 동기와 같은 학습자 내적 특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구체적인 교육적, 경제적 성과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Meeting of Instructor & Learners for Successful Learners Achievement) for improving underachievers competency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A variety of related materials such as operational guides, data of satisfaction surveys, and GP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012 to 2014 and interviews with two learners, instructor, and operational officer were performed to validate the results and to recognize th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GPA). Through the interviews based on Stufflebeam s CIPP model,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for learners as well as instructors.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program. For the future study, other deep researches such as transfer effect, cost-benefit analysis and learners inter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nteraction and motivation can be recommended in order to present educational and economic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 KCI등재

        통합교육이 학습장애 학생들의 자존감 (Self-Esteem)에 미치는 영향

        박용수 ( Yong Soo Park ),채희태 ( Hee-tae Cha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완전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학습장애 학생들이 느끼는 자존감 (Self-Esteem)과 부분적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학습장애 학생들의 자존감 (Self-Esteem)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두 그룹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와 Pier-Harris Self-ConceptScale이 사용되었다. 미국 오클라호마주 초등학교에 다니는 8세에서 12세까지의 30여명의 학습장애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데이터는 "t-test" 와 "two-way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일반학교의 완전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학습장애 학생들이 느끼는 자존감 (Self-Esteem)과 부분적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육받고 있는 학습장애 학생들의 자존감 (Self-Esteem)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receive all their instruction in regular education would receive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scores than students who receive education service from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e instruments employed were the Coopersmith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Pier-Harris Self-Concept Scale in order to determin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rticipants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learning disability were 30 students ages 8-12. The participant were from public schools in the northern region of Oklahoma.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two-way 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full inclusion group and partial inclusion group in terms of students`` self-esteem.

      • KCI등재

        특수교육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재학생 및 현장교사 요구 분석

        김형일 ( Hyung Il Kim ),김희규 ( Hee Gyu Kim ),채희태 ( Hee Tae Cha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이념과 특성화를 구현하면서 실무능력을 갖춘 특수교육 전문 인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미국 내 특수교육과 설치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현재 충남소재 N 대학교의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과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요구를 조사하여 특수교육전공 교육과정을 개선하는데 그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개선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예비특수교육교사 양성의 질을 높이고 교육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현장실무중심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demands of 120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70 field teachers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e the curriculums for educating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 opinions of field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The improved curriculum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candidat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actical efficiency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 및 분석

        김성완(Kim Sung-wan),김병건(Kim Byung-keon),정동훈(Jeong Dong-hoon),채희태(Chae Hee-tae),박종화(Park Jong-hwa)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웹 사이트 및 웹 서비스의 접근성 준수 실태를 분석한 후,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의 웹 사이트 및 웹 서비스 구축과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 및 종합하고 장애인 온라인 정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평생교육 관련 20개 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웹서비스의 접근성 수준을 자동평가 한 후, 이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3인의 수동평가를 실시하여 웹 접근성 실효수준을 파악하였다. K-WAH를 활용한 자동평가 결과,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율은 인식의 용이성이 가장 높았고, 운용의 용이성 및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순으로 나타났다. OpenWax를 활용한 자동평가 결과, 오류 없이 검사항목 모두를 준수한 사이트는 20개 기관 중 3개에 불과하였다. 그 다음으로 WAVE를 이용한 자동평가 결과, 6곳에서만 오류 항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평가 항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수동평가를 실시한 결과, 웹 접근성 준수율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장애인 평생교육 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의 시사점으로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보편적 설계를 고려한 콘텐츠 개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One Web 원칙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web accessibility of websites and web services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propose strategic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web sites and web services for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and synthesize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accessibility guidelin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b contents,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accessibility of online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after automatically evaluating the accessibility level of homepages or web services of 20 institu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effective level of web accessibility was identified by conducting manual evaluation by three experts based on this result.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evaluation using K-WAH,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of the web site was the highest in recognition, followed by ease of operation, ease of understanding, and robustness. As a result of the automatic evaluation using OpenWax, only 3 out of 20 organizations complied with all inspection items without errors. Next, as a result of automatic evaluation using WA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error items in only 6 places. As a result of conducting manual evaluation for an in-depth analysis of the automatic evaluation items, it was found that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was generally poor. As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sites for the disabled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program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content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universal design, and One Web principles for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김형일 ( Hyung Il Kim ),황복선 ( Bok Sun Hwang ),박혜준 ( Hye Jun Park ),박현주 ( Hyun Ju Park ),채희태 ( Hee Tae Ch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 현장에 적용이 용이한 실제적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개별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관련서비스 영역의 공통적 이해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내 현장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협력적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모형과 교육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실태조사이다. 충남지역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241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1) 교사들의 재교육 경험 및 요구, (2) 관련서비스 영역별 교육경험 및 희망 교육영역, (3) 재직학교 및 담당 학급의 관련서비스 지원 실태, (4) 지역 내 협력적 재교육 프로그램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정보 등의 연구문제에 따라 문항별로 빈도 및 백분율 또는 선호도 순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 및 제언은 교사들의 재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언어 및 청능 훈련 등의 관련서비스 영역 및 통합적 차원의 다양한 학생의 요구에 맞는 실제적 서비스 전달과 이를 위한 활용방법 등을 재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 포함할 것과 출석위주의 수업형태에서 벗어나 현장 중심의 실습위주나 원격교육 또는 혼합된 형태의 교육 모형의 필요성으로 요약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reg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model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inclus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he suggested forms and contents for this teacher training model a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by 241 teachers in Chungnam region. In order to collect diverse ideas of in-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highly collaborative inclusion programs, the surveys were given to both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as helpful to understand the limited support for inclus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the teachers` urgent need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ffective inclusion and related servic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reg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 related services, practical service delivery model and teaching strategies for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diverse learning environments. In addition, the regional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re suggested to include field-based practices and various forms and class sizes, such as on-line class, small group projects and discussions, symposium, and actual practices for teachers who need meaningful information and practical knowledge to teach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diverse school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