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 연계성 변천 연구

        채윤정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 교육과정의 연계성의 변천을 국가 수준에서 고시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로 분석하여 알아보고,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문헌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육목표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육내용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교수 · 학습방법 연계성의 변천은 어떠한가? 4.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의 평가의 연계성 변천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목표 면에서 1차 ~ 5차까지의 유치원과 2차 ~ 6차까지의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6차 유치원과 7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 2007년 개정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다. 둘째, 교육 내용의 면에서는 생물, 물리, 지구과학 분야로 나누어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1차 ~ 2차 유치원과 2차 ~ 3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나타냈고, 3차 ~ 4차 유치원과 4차 ~ 5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연계를 나타냈다. 5차 ~ 6차 유치원과 6차 ~ 7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비연계를 나타냈으며, 2007년 개정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는 부분적 연계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수ㆍ학습 방법 면을 살펴보면 교수ㆍ학습 방법이 처음 나온 시기가 5차 유치원과 6차 초등학교 1학년이기 때문에 이 시기부터 비교하였다. 5차 ~ 2007년 개정 유치원과 6차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평가 면을 살펴보면 교수ㆍ학습과 마찬가지로 5차 유치원과 6차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다. 5차 ~ 2007년 개정 유치원과 6차 ~ 2007년 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tinuity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he pedagogical methods; and evaluation. This study includes a survey of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a view to finding possible ways in which the continuity of the curriculum may be enhanced. To this end, this study has formula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has the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2. How has the content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3. How has the pedagogical method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4. How has the evalua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chan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continuity in terms of objective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from the Second Curriculum to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However, the Six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even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as well as the Reformed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from the year of 2007 maintain some continuity. Second, the curricula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in terms of content, under the categories of biology, physics, and earth science. While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Second and Third Curricula for first graders did not show any continuity from one another, the Third and Four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Fourth and Fif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showed continuity. While the Fifth and Sixth Curricula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a for first graders did not have continuity, the 2007 Reformed Curricula for both preschoolers and first graders retained continuity at least in some parts. Third, because pedagogical methods were officially addressed only beginning with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only the curricula from this period on were compared. The curricula for preschoolers, from the Fif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and the curricula for first graders, from the Six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maintained continuity in terms of pedagogical methods. Fourth, as in the case of pedagogical methods, evaluation was officially addressed only beginning with the Fifth Curriculum for preschoolers and the Sixth Curriculum for first graders, and hence, only the curricula from this period on were compared. The curricula for preschoolers, from the Fif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and the curricula for first graders, from the Sixth to the 2007 Reformed version, maintained continuity in terms of evaluation.

      • 초등학교 동아리활동을 통한 짧은 판굿 지도 방안

        채윤정 경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조상들의 삶에 녹아있던 공동체적 놀이이자 악(樂)·가(歌)·무(舞) 일체의 종합 예술인 농악을 짧은 판굿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에게 그 가치와 종합 예술적 특징을 경험하게 하는 수업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시간을 활용한 20차시 농악 수업을 계획하였다. 서울·경기권의 중요 무형문화제 제11-2호인 평택 농악의 판굿을 제재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짧은 판굿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농악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있는 풍물과 사물놀이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행 농악 지도의 미흡한 점으로 지도 시수의 부족, 사물놀이로만 편중된 교육 활동, 가락의 지역적 편중 등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평택 농악의 판굿의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이를 짧은 판굿으로 재구성하였다. 평택농악 판굿의 원형을 요소별로 분석하여 살펴보고 초등학교 동아리활동에 알맞게 치배, 가락, 진풀이, 춤사위의 요소로 나누어 난이도를 조정하였다. 셋째, 짧은 판굿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적절한 절차 및 단계를 구안하였다. 온 몸으로 음악을 느끼며 호흡하는 것을 지도 중점으로 두었으며 크게 ‘친해지기-온몸으로 호흡하기-구음·장단 익혀 연주하기-새롭게 표현하기-짧은 판굿 공연하기’의 다섯 단계를 거치며 추가적으로 ‘체험하기’ 단계도 함께 제시하여 소리와 연희가 곁들여진 농악의 종합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의 동아리 활동을 통한 짧은 판굿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짧은 판굿 지도 단계를 기준으로 각 단계별 학습 제재, 학습 주제, 주요 활동 내용을 차시별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20차시 분량의 동아리 활동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학생들이 동아리 활동을 통해 효과적으로 농악의 원형을 체험하고 우리 조상의 공동체적 음악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흥미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농악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유연 전자 소자용 고전도성 구리 투명 전극 개발

        채윤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tovoltaic device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iquid-crystal display (LCD) panels, touch panels, and electrochromic windows. Although ITO as outstanding transparent electrode is widely applied, it shows brittleness, poor flexibility and relatively expensive cost.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novel routes to developing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 while maintaining low sheet resistance Rs < 1 Ω sq-1 and high transmittance T > 80 % at 550nm. In this study, Transparent and flexible substrate can be formed by Polydimethylsiloxane (PDMS) polymer based on transparent, elastic character. Microgrid network like mesh transparent electrode substrates were fabricated by photolithography method to pattern microgrid with line width from 5 to 10 ㎛. To realize effectively electrical properties for transparent electrode, we demonstrate electroless copper plating by using small amount of silver. Plated copper electrodes express low sheet resistance (< 1 Ω sq-1) while remaining Cu0 state and also structural advantage of mesh can optimize dimension for transmittance ( > 80 % at 550nm). This strategy allowed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highly conducting metal electrode, which will provide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for future wearable applications.

      •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 간의 삶의 질과 우울의 비교 연구

        채윤정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degree of depression between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and patients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and especially between men and women to receive treatment of dialysis due to chronic kidney disease, which is one of the leading chronic disease. Methods: Total patients to be enrolled in this study consist of 50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50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who visit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 to be consisted with 100 sentence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hich is the tool of depression were used. The methods of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5.0 were used to analyze several data for this study.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 of hemodialysis and group of peritoneal dialysis. However, in the group of men receiving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of men receiving hemodialysis was higher than 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i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relations, environmental areas, and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of 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was higher than men receiving hemodialysis in independent area only. In women patients,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in peritoneal dialysis group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group in the areas of physical, psychological, independent, social relations, environment, and the score of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was higher in spiritual area only. In comparison with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in respect with degree of depression, the score of peritoneal dialysis was higher. Patients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can be seen more depressed. However,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However, the score of degree of depression in the 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was higher than the score in the men receiving hemodialysis and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means that 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is much more depressed than men receiving hemodialysis. In comparison with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especially in women, the score of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group of hemodialysis. This means that women receiving hemodialysis are much more depressed than wo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Conclus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nd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in chronic kidney disease, especially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But, the men receiving hemodialysis and the wom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were less depressed and had also better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each modality and gender is needed for more effective treatment and improvement of overall aspects in patients receiving dialysi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Keywords : hemodialysis, peritoneal dialysis, quality of life, depression 연구목적 이 연구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의 하나인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혈액투석과 복막 투석을 받는 환자에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삶의 질과 우울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특히 남자 투석환자와 여자 투석환자간의 삶의 질 그리고 우울 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전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하는 혈액투석 환자 50명, 복막투석 환 자 50명으로 모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Korean version of WHOQOL) 100문항, 우울도구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21문항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5.0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 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시도되었다. 결과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삶의 질은 차이가 없었다. 다만, 혈액투석 남자와 복막투석 남자의 삶의 질에서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관계 영 역, 환경 영역, 영적 영역에서 혈액투석이 삶의 질의 평가가 높았으며 독립 정도 영역만 복막투석에서 평가 점수가 높았다. 혈액투석 여자와 복막투석 여자의 삶 의 질에서는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독립 정도 영역, 사회적 관계 영역, 환 경 영역에서 복막투석이 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영적 영역만이 혈액투석에서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점수가 높았다.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우울 비교에서는 복막투석 환자가 더 높은 점 수가 나왔다. 이것은 복막투석 환자가 더 우울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혈액투석 남자와 복막투석 남자간의 우울 비교에 서 복막투석 남자에서 의미 있는 높은 점수가 나왔다. 이것은 복막투석하는 남 자가 혈액투석하는 남자보다 훨씬 더 우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액투석군 여자와 복막투석군 여자간의 우울 비교에서 혈액투석 여자에서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이것은 혈액투석하는 여자가 더 우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삶의 질과 우울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다 만 혈액투석을 하는 남자 환자들이 삶의 질이 높고 덜 우울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고, 복막투석을 하는 여자 환자들이 삶의 질이 높고 덜 우울해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각 투석 치료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여 삶의 질과 우울 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투석 환자 전체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일반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채윤정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at offering help with making a detailed and practical education plan for career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 by verifying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perceived by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relationship is found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ird, how is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factor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general high school in Gimpo City, Gyeonggi-do.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inally the dates from 474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o begin with, the relatedness between main variables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ree-stag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check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each variable. For the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results and discussion have been made. First, compared with 10th graders, 12th graders display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results from the examin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verifi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trongly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hich was also strongly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etermination factor alone turned out to par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12th grad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particular students who are going to graduate soon tend to have high interest in their career and prepare for it more. Therefore, 12th graders should be given not only education focused on university entrance exams but also information on career and occupation or career education which increases self-efficacy. Second, the thre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his suggests that when planning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a detail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ies and beliefs on career and to develop a mature career attitude according to career development stage. Third,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y sub-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f a program which can raise the level of the determination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 positive mediating variable) is developed and used in the career education field, it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us confirming that planning various and detailed activities is required in career education.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일반고에서의 진로교육에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육계획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일반고 학생의 학년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각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일반고에 재학중인 남녀학생으로 임의 선정하였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474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각 변인간의 영향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도 3학년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에 강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사이에도 정적인 상관이 유의하였다. 셋째,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중에서 결정성 요인만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졸업을 앞둔 경우에 특히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준비도 더 많이 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3이라 하더라도 수능에 치중한 교육뿐 아니라 진로와 직업에 관한 정보제공이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진로교육도 소홀이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세 변인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계획할 때 진로에 대한 자기의 능력과 신념을 향상시키고 진로발달단계에 따라 성숙된 진로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세부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해야함을 시사한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사이에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별로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긍정적인 매개변인인 진로태도성숙의 결정성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로교육현장에서 활용한다면 진로준비행동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진로태도성숙이 가지는 매개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진로교육에 있어 다양하고 세부적인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 요구됨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과제의 복잡성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채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구어 상호작용 과제 수행을 통해 한국어 어휘를 학습할 때 과제의 복잡성의 차이가 과제 수행 중에 발생하는 언어지식 에피소드(LRE)의 수와 어휘 습득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구어 상호작용을 통한 어휘 습득 연구와 과제 복잡성이 제2언어 산출 및 습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 상호작용을 통한 어휘 습득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점과 과제가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1은 과제 복잡성의 차이가 과제 수행 중에 발생하는 LRE의 수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과제 복잡성의 차이가 과제 수행 중 발생하는 LRE의 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가설을 채택하였다. 연구문제 2는 과제 복잡성의 차이가 한국어 어휘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한국어 어휘 습득을 생산적 어휘 습득과 수용적 어휘 습득으로 나누고, 선행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과제 복잡성이 생산적 및 수용적 어휘 습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채택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 및 절차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연구에 사용할 과제와 목표 어휘를 선정하고, 예비실험과 수정을 거쳐 본 과제와 연습용 과제 및 어휘 시험을 개발하였다. 중급인 연구 참여자 20명을 복잡한 과제 수행 집단과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의 참여자가 두 명씩 짝을 지어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과제 수행이 끝난 직후에 즉시 사후시험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1주일 후에 지연 사후시험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의 과제 수행 내용을 녹음, 전사하여 LRE의 발생을 분석하고 어휘 시험 점수를 통해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제 복잡성의 차이에 따라 과제 수행 중에 발생하는 LRE의 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 LRE의 수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LRE의 해결 비율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술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에서 LRE가 더 많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 목표 어휘에 대한 LRE가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에서 2배 이상 많이 생산되었다. 그리고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이 복잡한 과제 수행 집단보다 바르게 해결된 LRE의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단순한 과제 수행이 한국어 어휘의 생산적 학습에 더 효과적이지만, 학습한 어휘의 유지에는 과제 복잡성의 차이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 생산 즉시 사후시험 결과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의 점수가 복잡한 과제 수행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지연 사후시험에서는 두 집단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술통계 결과 지연 사후시험에서도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의 점수가 더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과제 복잡성은 한국어 어휘의 수용적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시 사후시험 및 지연 사후시험 결과 두 집단의 점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술통계 결과 즉시 및 지연 사후시험에서 단순한 과제 수행 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본 연구가 한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 구어 상호작용을 통한 어휘 습득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다양한 시각에서 한국어 어휘 습득 연구 및 교수가 이루어지는 데에 일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말하기 과제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과제가 한국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 과제의 복잡성이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과 한국어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사용될 과제 선정 및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the occurrence of Language-Related Episodes(LREs) and vocabulary acquisition in task-based learner-learner interaction. Chapter Ⅰ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ere have been a line of previous researches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task-based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the effects of task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However, no sufficient researches which use Korean as a target language have been done. Chapter Ⅱ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es. The first part of the chapter look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es which examine (a) the effects of learner interaction on the vocabulary acquisition, (b)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learner production, and (c)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econdly, two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a) how task complexity affects the occurrence of LREs when participants perform the tasks, and (b) how task complexity affects product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cquisition. Research hypotheses followed from the research questions: task complexity affects neither on the occurrence of LREs nor the product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cquisition. Chapter Ⅲ describes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s of three phases: (a) to develop the tasks and tests for the experiment, (b) to conduct the experiment, and (c)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om the task performances and tests. First, the tasks and tests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Vocabulary Knowledge Scales(VKS) are used. Target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words which was supposed to be used to complete the task. Vocabulary knowledge scales(VKS) were developed for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 A pilot test has been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Second, 20 intermediate-level of participants have performed the task and taken VK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simple task group and complex task group―randomly and performed the tasks in pairs. The simple group were given ordered pictures; non-ordered pictures are given for the complex group. Those task performances are recorded for data analysis. Participants have taken the posttest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treatment task and the delayed posttest one week after.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in Chapter Ⅳ. First, task complexity has no effects on the occurrence of LREs. The number of LREs occurred in each group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olution of LREs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either. However, descriptive statistics indicates that LREs were produced more by the participants in the simple group than by those in the complex group. The simple group produced LREs of non-target vocabularies twice as much as the second group did. Second, task complexity affects the productive acquisition of Korean vocabulary. The simple task group outperformed the complex task group on the immediate posttest. However, in the delayed post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the simple group's sco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lex group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It means that task complexity has no effects on the recall of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Finally, no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receptive vocabulary acquisition ar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on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 Again, descriptive statistics shows that the simple group did better on the two posttests.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and states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is the first one which has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oral vocabulary acquisition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t has not only contributed to conducting researches for Korean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learner-learner interaction but also proposed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asks on acquisition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t is more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at tasks are frequently used in classrooms and textbook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asks could contribute to selecting and developing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 관한 활동이론적 분석 : A 혁신학교의 자유학년제를 중심으로

        채윤정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혁신학교 현장에서 자유학년제 활동을 통하여 분산적 지도성이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주체와 객체 등 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적 실천을 포괄적으로 분석하는 Engeström의 활동이론 체계를 분산적 지도성 실행 전반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틀로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혁신학교인 금빛 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교장과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분석하고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서 상황 및 인공물의 역할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금빛 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를 위해 자유학년제와 관련한 문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교장과 교사들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 자료의 코딩 처리 분석 결과,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의 특징은 교육과정 운영의 조정자로서,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의 특징은 자유학년제 운영의 주체자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부각되었으며,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 있어 상황 및 인공물의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 있어 교장은 교사들의 업무경감을 위해 교사 업무를 조정했다. 또 일과시간 내 업무 완료를 위해 학교 운영체제를 개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에 대한 효율적인 업무분장으로 실질적인 권한과 책임을 분배함으로써 교사의 지도성 실행을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의 조정자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자유학년제의 주제선택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또 ‘배움중심수업’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며 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업을 개선하였다. 한 편, 공동체 활동을 통해 전문성을 신장하는 등 교사는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통해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장과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 활동체제에서 공간의 배치가 소통과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물리적 공간에 따라 교사들의 태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이들이 상황 및 인공물이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와 관련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가지는 의미는 첫째, 교장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는 교장과 교사 간의 상호 신뢰가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학교의 자율적 운영은 교장의 철학과 역량에 따라 결정된다. 셋째, 교장의 지도성 실행은 자유학년제 운영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전체의 교육과정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가지는 의미는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자로서 지도성을 실행하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수업의 개선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교사 공동체를 통해 집단적 지도성을 발휘했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 교장과 교사의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서 상황 및 인공물이 상호작용을 통한 매개 역할에서 가지는 의미는 첫째, 인공물이 지도성 실행을 제어한다는 사실이다. 인공물이 지도성 실행을 가능하게도 하고 제한하기도 함을 확인함으로써 인공물이 지도성 실행의 구성요소로 분산적 지도성 실행의 활동체제에서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 실행에서 상황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공물이 변화를 확인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셋째, 인공물 간에도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는 상황 및 인공물이 인간의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분산적 지도성이 혁신학교의 맥락에서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것도 교육적 시사점을 갖는다.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혁신학교의 운영원리를 따르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혁신학교 관련 변인과 분산적 지도성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산적 지도성 실행을 활동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분산적 지도성 실행이 크고 작은 다양한 활동체제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입체적인 구조임을 구명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분산적 지도성 연구가 학부모, 학생, 지역사회 등 대상을 넓혀 확대되고 활동이론의 확장학습이론을 통해 학교 혁신의 과정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분산적 지도성 실행과 관련하여 사례연구 등 다양한 경험적 연구가 확대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분산적 지도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이론적 근거가 확립되어 국내의 분산적 지도성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how distributed leadership is implemented through Free Year program activities in the field of innovative schools. To this end, Engeström's activity theory system, which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interactive practices of community members such as subjects and objects, was used as an analysis frame to check the overall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For the study, the Free Year program of Geumbit Middle School, an innovative school,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to analyze the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of the principal and teachers, and the role of situations and artifacts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execution was explored. For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at Geumbit Middle School,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Free Year program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 and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ding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the characteristic of the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was as a coordinator of curriculum op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teacher's distributed leadership execution was prominently highlighted as the subject of the Free Year program operation. The mediating role of the interaction of situations and artifacts in implementation was specifically identified. To explain this in detail, in th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leadership, the principal adjusted the teacher's work to reduce the teachers' work. In addition, the principal reorganized the school's operating system to complete work within working hour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cted as a curriculum coordinator to enable teachers to practice leadership by distributing practical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efficient division of duties. The teachers jointly developed Theme Selection Activity for the free grade system. In additi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applied for ‘Learning-Oriented Class’, and classes were improv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it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played a major role in operating the curriculum through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s, such as enhancing professionalism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In the practice of distributed leadership of the principal and principal, the arrangement of the space enable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teachers' attitudes ch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space,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through the interaction of situations and artifa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is that first, mutual trust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 must be the basis for the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Second, autonomous operation of schools is determined by the principal's philosophy and competence. Third, the principal's leadership practice aims not only at the oper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but also at the change of the entire school curriculum. The meaning of the teacher's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is that the teacher implements the leadership as a curriculum developer and leads the improvement of the cla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tu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d collective leadership through the teacher community. The meaning of the mediating role through the interaction of situations and artifacts in the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of principals and teachers is first, that the artifact controls the leadership execution. By confirming that artifacts both enable and limit leadership execution, it was revealed that artifacts act as a component of leadership execution and act as a mediation in the activity system of distributed leadership execution.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e artifact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and the passage of time in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artifacts were also influencing each other through interac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confirmed how situations and artifacts affect human activity. It is also meaningful to confirm that distributed leadership is being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innovative schools. By confirming that the practice of distributed leadership follow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innovative school, it was suggested tha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innovative school and the influence of distributed leadership would be possible in the future. Fin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practice was analyzed from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to reveal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various activity systems large and small are intricately intertw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research on distributed leadership will be expanded and expanded to include parent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research that reveals the process of school innovation through activity theory will be possible. It is hoped that empirical studies such as various case studies related to the practice of distributed leadership will be expanded in the school field, and through this, awareness of distributed leadership will be spread and the theoretical basis will be established, thereby further vitalizing the study of distributed leadership in Korea. Key words: distributed leadership, activity theory, innovative school, Free Year program,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lass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