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현대 소설 읽기와 사회비판적 글쓰기를 연계한 수업 사례 : 「도시와 유령」,「비 오는 날」,「오발탄」을 중심으로

        채예람,조아라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설 읽기-글쓰기 연계’ 수업 모형의 실제 적용 사례와 효과성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사회비판적 소설은 이효석의 1928년작 「도시와 유령」, 손창섭의 1953년작 「비 오는 날」, 이범선의 1959년작 「오발탄」이며 텍스트를 활용한 수업 모형은 4단계 과정으로 도식화하였다. 1단계는 사회비판적 소설 읽기 단계이다. 작품 선정 이유와 의의를 공유하고 읽기-쓰기 학습 계획을 위해 소설을 읽는다. 2단계에서는 작품별 주제와 소재에 대해 분석 강의를 제공한다. 「도시와 유령」에서 도시의 외관과 대비되는 소외된 존재를, 「비 오는 날」에서는 개인을 압도하는 주변 환경을, 「오발탄」에서는 국민과 국가의 관계에 주목한다. 3단계에서는 브레인스토밍과 토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화제를 모색한다. 화제 모색은 사회비판 소설의 핵심과 현대 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심에 둔다. 4단계에서는 모색된 화제 범주를 바탕으로 개별 주제를 확정 후 사회비판적 글쓰기를 진행한다.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 또한 읽기 자료의 흥미성과 원고 주제의 적절성, 자료와 원고 주제의 밀접성을 충족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소설 텍스트가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촉발하는 데에 유효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과 읽기와 쓰기가 상보적 관계라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 KCI등재

        김동리의 「무녀도」 개작 연구

        채예람(Chae, Ye-Ram)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김동리(1913∼1995)의 작품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오랫동안 거론되는 작품은 「무녀도」(1936)이다. 「무녀도」가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사유의 장에 떠오른다는 것은 그 서사가 다양한 해석을 허락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무녀도」가 다양하게 전유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개작’에 있음을 밝히며 출발한다. 김동리 작품 해석에서 개작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 글의 목표는 「무녀도」의 거듭된 개작에서 드러나는 작가 김동리의 의도와 개작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균열을 포착하려는 데에 있다. 「무녀도」의 개작은 ‘무’의 세계, 즉 조선의 고유한 얼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이루어졌다. 김동리는 ‘무’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기독교를 서사 전면에 끌어들였는데, 오히려 이 전략이 「무녀도」를 종교 간의 대립으로 파악하게끔 만들었다. 즉, 「무녀도」는 개작을 거듭할수록 주제가 선명해지기보다는 어떤 판본을 읽느냐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한 개작은 조선의 고유한 것으로서 ‘무’의 실제를 드러내는 방식이기보다는 기독교적인 것의 대타항으로써의 ‘무’가 강조되도록 만들었다. 김동리는 「무녀도」를 몇 번이고 고쳐 쓰는 작업을 보여주며 끊임없이 작품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작가적 순수성을 획득한다. 하지만 동시에 작품의 고쳐쓰기 전략이었던 근대/정치적 기제인 기독교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김동리는 본인의 ‘순수문학’ 자장 밖으로 위치 지어졌다. 「무녀도」는 김동리가 일생동안 주장한 ‘순수문학’의 기획이 ‘정치과잉의 논리’라는 모순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드러내는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Munyeodo(1936) is one of Kim Dong-ri(1913∼1995)’s work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the longest years in his creative world. It is still discussed at the venue of ideas in various ways because its narrative is in a form that allows for diver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began by demonstrating that the fundamental cause of diverse appropriations for the novel was “adaptation,” which is an important matter in the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 intentions revealed in the repeated adaptations of the novel and its cracks observed in the adaptation process. Its adaptations were intended to emphasize the world of “Korean Shamanism” or the unique soul of Joseon. Kim brought Christianity to the front line of its narrative to put an emphasis on “Korean Shamanism.” This strategy caused readers to understand the novel as a confrontation between different religions. The topic of the novel did not become clear according to repeating adaptations. Instead, it got to have the possibilities of being read differently depending on different editions. Adaptation was not a way of revealing the truth of “Korean Shamanism” as something unique to Joseon, but an antithesis to something Christian to emphasize “Korean Shamanism.” As a writer, Kim obtained the purity of seeking after the completeness of his works constantly through rewri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failed to grow out of the Christian domain that was a modern/political mechanism as his rewriting strategy, thus being placed outside the magnetic field of his pure literature. Munyeodo is one of his most important works to show that his planning for “pure literature,” which he maintained throughout his life, had the contradiction of “political excess” connoted in it.

      • KCI등재

        『토지』와 ‘신체화된 마음’ - 텍스트-로컬리티로서 1부-

        채예람 ( Chae Ye-ra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0

        이 글은 『토지』 1부에서 ‘알 수 없는’ 상태로만 표현되는 몸을 ‘몸’ 담론으로 분석하고, 그것이 『토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토지』 1부에는 등장인물이 인지하지 못하는 몸의 변화가 있고,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충동으로 채워지는 몸의 현장이 등장한다. 다시 말해 ‘알 수 없는’ 몸이라 표현할 수밖에 없는, 특정한 감정·정서를 부여하기 어려운 몸의 현장이 있다는 것이다. 『토지』의 ‘알 수 없는’ 상태의 몸에 언어를 부여하는 과정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 것은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이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제2세대 인지과학 흐름이다. 이 글에서 참조하는 구체적인 관점은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성과로 그는 대사 작용, 기본 반사, 면역계 등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생존을 촉진하는 항상성 체계에 주목한다. 그리고 항상성 조절 체계에 정서를 포함시킨다. 그에 따르면 정서를 포함한 몸의 조절 체계로부터 시작된 느낌은 마음과 자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으로 이어진다. 이 글에서는 다마지오의 신체화된 마음이라는 관점을 참조하여 『토지』에 등장하는 몸과 마음을 분석했다. 특히 등장인물이 스스로 몸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없는’ 상태라고 표현한 경우에 한정하여 1부의 ‘치수’와 ‘수동’을 조명했다. 도무지 ‘알 수 없는’ 마음 가운데 긴장하고 길항하는 치수의 몸과 주종 관계로부터 형성되는 종(從)의 정체성에 균열이 난 수동의 몸의 향방은 다마지오가 ‘항상성’이라 부르는 건강 또는 안녕이라 부르는 존재적 풍요로움의 상태에 대한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토지』속 ‘알 수 없는’ 몸들을 ‘알 수 있는’ 몸으로 해석하는 작업의 목표는 『토지』 독해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부여하기 위함이며, 작가가 남겨둔 섬세한 묘사와 통찰에 비로소 이해의 언어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문학 텍스트 분석에 과학적 관점을 더하여 몸을 통찰하는 일은 텍스트의 안과 밖 모두에서 유효한 이야기일 수 있다. 몸을 주목하는 일은 성격이나 감정처럼 한 인물의 특성으로 국한되지 않는 인간의 문제를 논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 글은 『토지』의 생명력을 이어나가기 위한 또 하나의 시도로서, 그간의 연구 성과들에서 포착되지 않았던 것을 조망하고 『토지』를 독해하기 위한 또 하나의 매개로써 ‘몸’을 제안한다. This text aims to analyze the body that is expressed only as ‘unknown’ in the novel Toji Part 1 and to clarify its meaning in the novel in terms of the discourse on the body. In Part 1 of Toji there are scenes where the body undergoes changes that the characters are not aware of and where the body is filled with uncontrollable impulses. In other words, there are scenes where the body is difficult to assign specific emotions or feelings and can only be described as an ‘unknown’ body. The second-generation cognitive science trend, represented by the term “embodied mind,” provides important clues to the process of assigning language to the ‘unknown’ body in Toji In this text, a specific perspective referred to by Antonio Damasio's achievements is examined, and he pays attention to the homeostatic system that maintains life activities such as metabolism, basic reflexes, and the immune system, including emotions in the regulatory system. According to this, feelings that originate from the body's regulatory system, including emotions, lead to mechanisms that shape the self. In this text, the perspective of Damasio’s embodied mind is used to analyze the body and mind that appear in Toji In particular, the dimensions and passivity of Part 1 were highlighted in cases where the characters themselves described their bodily changes as ‘unknown.’ The direction of the passive body with cracks in the identity of the follower fo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e and the passive body, which cannot be understood in the ‘unknown’ mind,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efforts for the state of existential richness called health or peace, which Damasio calls “homeostasis.” The goal of interpreting the ‘unknown’ bodies in Toji as ‘known’ bodies is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Toji and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to give language to the subtle descriptions and insights that the author has left behind. Finally, incorporating a scientific perspective into the analysis of literary texts to gain insight into the body can be a valid stor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text. Focusing on the body can be a human issue that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 individual, such as personality or emotion. This text proposes the body as another medium for understanding Toji and as another attempt to continue the vitality of Toji.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박물관 전시공간 분석

        예람,정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며 전시공간이 늘어나는 요즘, 전시공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공간의 정량적 분석에 있으며, 나아가 직관적인 학예사의 전시계획과 공간이 갖는 정량적인 수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시계획에서의 기준점이나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한슨과 힐리어의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전시공간의 공간구조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는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사적 전개가 필요한 국내 전시공간인 <국립민속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대상으로 공간구문론 분석을 시도한다.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평면분석과 함께 공간구문론을 적용한 정량적인 공간 분석을 한 후 실제 전시공간과 비교하여 전시 내러티브의 흐름과 공간구조가 일치하는지, 전시 콘텐츠의 배치가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전시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도출하려 시도한다. (결과) 국립민속박물관을 공간구문론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개의 전시실 모두 전시 후반부의 한 단위공간에서 연결도가 가장 높고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통점이 있었다. 각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하였을 때 1전시실은 배치의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었으며, 2전시실은 동선의 유도가 필요한 구역이 있었다. 3전시실은 전시물의 배치와 동선이 적절하여 관람에 어려움이 없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시대의 흐름에 따른 전시계획으로 인해 전시공간 전반적으로 연결도가 낮았으며, 국립민속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전시 중반부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 현황과 비교분석을 한 결과 1,2,3전시실의 경우 전시실의 주제와 통합도가 높은 공간이 일치하여 관람객 입장에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받아들이기 수월하였다. 반면 4전시실의 경우 다른 전시실보다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통합도가 높은 공간에서 5개 이상의 산만한 콘텐츠가 배치되어 시정이 필요해 보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정량적 계수를 참고하여 박물관 전시공간의 현황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분석 관점을 모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자가 혼란스럽지 않게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전시구조와 전시내용의 짜임에 연결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전시공간은 초기의 계획과 설치도 중요하지만, 사후검증이 더해져서 연구자들의 제안점을 부분수정으로라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면 상설전시가 일반적인 박물관의 전시능력을 높여 더욱 더 향상된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increased demand for culture and the bourgeoning number of exhibitio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museum' exhibition spaces.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alyze the space syntax of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Further, its ultimate goal is to present evaluation or reference points for future exhibition plans by comparing curators’ intuitive exhibition plans with quantitative measures of space. (Method) As a research method,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s at the Folk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Hanson and Hillier’s space syntax theory. Some of the values that can be obtained using space syntax theory are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patial syntax of the National Folk Museum, all three exhibition rooms had the highest connection and the highest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This was also true of one unit space at the end of the exhibition. When compared with the original state of each exhibition room, the first exhibition room needed to change its layout, and the second exhibition room had areas requiring circulation guidance. The third exhibition room had no issues,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space’s circulation were correc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exhibition space’s overall level of connection was low. This is due to the exhibition’s planning, along with contemporary trends at the time of completion. The integration value of the exhibition’s middle section was high, just like the National Folk Museum. According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room stat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exhibition spaces complemented the exhibition room, and had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This made it easier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eff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xhibition room, over five contents were scattered in an otherwise highly integrated space. This was true even though it was smaller than other exhibition rooms, a fact which seemed to require corre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appl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tical perspectiv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s. I accomplished this by referring to quantitative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n analysis of space syntax. While early planning and installation of exhibition space is important, I think long-term exhibitions can provide even better displays by enhancing the capacity of a typical historical museum. This is especially true if post-verification is added, and partial modifications can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