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기능적 보안 · 대체의사소통 훈련이 중도장애학생의 물건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채수정(Soo Jung Chae),박은혜(Eun Hy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4 No.-

        신체적, 지적으로 심한 장애를 지닌 중도장애 학생들 중에는 제한적인 구어 사용 기술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보안·대체의사소통(AAC) 훈련이 그 환경에 알맞은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보안•대체의사소통 도구 유형(음성출력 의사소통도구와 의사소통판)의 차이가 의사소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4명의 중도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했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와 평행처치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훈련, 일반화, 유지 기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기능적 보안·대체의사소통 훈련을 통해 물건사기 활동에 적절한 의사소통 행동을 습득하였으며 그 행동은 계속 유지되었다. 또한 보안·대체의사소통 도구 유형의 차이에 따라 의사소통 행동이 유의하여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장애 학생의 교육에 관련 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유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ites often experience great difficulty in meeting their communicative needs. Recently, researchers have develop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as effective means for those with communication problems. In this study,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addressed: the effect of functional AAC training on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tial effect of two AAC device(communication board and voice oupput communication aid). Subjects were 4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ttended in special elementary school. Simple grocery shopping was used for functional AAC training context. Parallel design was used and generalization maintenance effect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1) all 4 subjects acquired the proper communicative behavior through functional AAC training, (2) acquired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generalized at other two stores, (3) acquired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maintained 3 weeks after training, (4)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mmunicative behaviors between the subjects using communication board and VOCA.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박송희 명창의 삶과 예술 활동

        채수정 ( Chae Soo-j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의 예능보유자였던 박송희 (1927-2017)명창의 삶과 예술활동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박송희명창은 우리나라 판소리 근현대사를 잇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며, 예술활동 또한 판소리와 여성국극, 창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그중 논문에서는 권번에서 시작된 박송희 명창의 판소리 입문과 학습에 관한 내용과, 단체를 통한 예술활동과 개인 판소리 공연과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 박송희 명창은 13세에 광주 권번에서 판소리, 검무, 승무, 가야금 풍류, 양금, 가곡 등을 수학하였다. 5년이 지난 후 광주 권번을 졸업하고, 19세 즈음 김연수가 이끄는 ‘협률사’에 입단하여 활동 하였다. 그 후 30세 즈음 김소희가 이끄는 ‘여성국악동호회’를 거쳐, ‘햇님국극단’, ‘새한국극단’에서 여성국극 배우로 활동하였다. 박송희 명창은 그 중심에서 다양한 작품에 주연으로 등장하여, 여성국극이 시대를 대표하는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한 것이다. 이어 ‘국립창극단’ 입단과 함께 박송희 명창의 활약이 돋보이게 되었는데, 이는 오랜 세월 여성국극에서 쌓은 경험 노하우가 창극단에서도 발휘되어 다양한 배역들을 능숙하게 소화하고 공연 흥행상 큰 성공에 이르도록 공헌한 것이다. 이후 판소리 공연 및 전수교육 등 70세에 이르러서는 노익장을 보이며, 전통 판소리를 올곧게 이어 가는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박송희 명창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예능보유자로써 ‘박송희 제자발표회’ 및 다양한 판소리 공연, 음반 취입, 방송활동 등을 전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박송희 명창의 이상과 같은 활동 등은 박록주 명창의 뒤를 이어 동편제 거장으로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deals with one of the pansori master’s life and activities. Bak Songhui(1927~2017), who was the holder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5 for pansori Heungboga. She had played a significant role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pansori genre including Yeoseong Gukkeuk(Korean classical opera by women) and Changgeuk(Korean traditional opera in pansori style) as well as original pansori itself. In the article, the early stage of her learnings and the way she got involved to pansori from Gwonbeon period are offered, and the activities by group, solo recitals, and educational activity lists are also provided. Bak Songhui began to learn pansori, Geommu(dance), Seungmu(dance), Gayageum, Yanggeum, and Gagok genres at her age of 13 in Gwangju. She fulfilled 5 years of study in Gwangju Gwonbeon, and entered to a Hyeomnyulsa―travelling theater company, led by Gim Yeonsu at her age around 19. Later, Bak used to be an actress in Yeoseong Gugak Donghohoe(Female Korean music fans’ club) led by Gim sohui as well as in Haennim Gukkeukdan, and Saehan Gukkeukdan at around her age of 30. She took the main actress’ role in several performances. And thanks to her effort, the Yeoseong Gukkeuk can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 in history. As she entered to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her brilliant talents worked well by leading the company’s big hit with her talents of taking many different characters, devotions, and know-hows from her experience. After her 70s, she kept the pansori go on its right way to pass down. She unfolded pansori performances as well as her own students’ public presentations, recordings, TV and radio broadcasting activities as the holder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activities that Bak Songhui showed us can become another chance to make her a great master of pansori, especially in Dongpyeonje style.

      • KCI등재

        박봉술제 <춘향가> 『이별가』연구

        채수정 ( Soo Jung Chae )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동편제의 소리 거장 박봉술의 춘향가 중 이별가 중 ‘춘향 어모 일어나며’ 대목의 사설적. 음악적 특징을 연구 한 것이다. 박봉술 명창의 춘향가는 현재 전승이 끊겨 있었으나, 그의 음원이 음반으로 제작되고, 전남대에 남겨진 소리 전인삼 교수에 의해 복원 연주되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현존 가장 긴 형태의 중머리 112장단으로 구성된 박봉술의 춘향가를 통해 그의 소리 뿐 아니라 동편제 소리가 지닌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곡을 분석해 보면 박봉술 이별가의 사설짜임은 3음보 4음보의 음보적 규칙을 지킨 사설 뿐 아니라 음보적 특징이 없는 사설까지 다양하게 연결해 부른다. 음악적으로 악조는 한곡 안에 평조와 계면조를 번갈아 부르고 있다. 가사의 의미에 맞게 춘향이 부르는 소리는 계면조, 이도령이 부르는 소리는 평조(경드름)로 구분해 부르고 있다. 발성은 우겨내는 통성 발성으로 힘 있게 소리한다. 장단의 붙임새는 대마디 대장단을 주로 사용한다. 2박형과 2·3박형 붙임새를 통해 박진감과 긴장감을 자아낸다. 또한 2박형 내에서도 박마다의 소박을 다양하게 연결해, 반복되는 2박형이 줄 수 있는 지루함을 떠나 매 장단이 새로운 느낌을 연출하고 있다. 박봉술은 주로 붙임새 위주로 소리 변화를 추구하며, 시김새를 많이 구사하지는 않고 있다. 즉 붙임새를 소리의 기저에 두고 장식적으로 시김새를 사용하나, 시김새의 구성과 완성도가 높아 단조로운 느낌을 주는 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말을 자연스럽게 붙여가는 대마디 대장단 붙임새를 강조하고 있으며, 우겨내는 힘 있는 발성으로 동편제적 변모를 올곧게 지킨 이별가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lyrical and musical characters of the Chunhyang`s Mother Standing Up part of Farewell Song in Chunhyangga of Park Bongsul, the great master of the east school of pansori. Chunhyangga by the master singer Park had not be handed down modern pansori singers. Fortunately, his recording was released an album, professor Jeon Insam restored and announced Park`s old song housed in Jeonnam University. Researches for Park`s Chunhyangga are also under way, and this study considers Park`s song and musical features of the east school pansori through the analysis of his Farewell Song with 112 measures, the longest Farewell Song there is. A look at the epic chant of Farewell Song suggests that lyrics with no meter features as well as lyrics like trimeter or tetrameter connects in various ways. Musically, peongjo alternates with gyemyeonjo in a song. Master singer Park sang Chunhyang`s part with a gyemyeonjo and Lee Mongryong`s part with a peongjo(a gyeongdeureum) considering the sense of the lyrics. And his vocalization was strong tongseong. He mainly used a Daemady Daejangdan and created tension and liveliness by making use of triple time type and two-thirds time type rhythm. In case of the binary time type, a various connection with smaller beats on each time breaks the monotony from the binary time and gives fresh impression. Park pushed changes in the way of using buchimsae mainly, not sigimsae. In other words, his song was based on a buchimsae and added sigimsae decoratively, but the composition and the completeness of his sigimsae were so high that it appeared a monotonous mood. In Park`s Farewell Song, he emphasized a Daemady Daejangdan, rhythm pattern of singing words naturally, and kept the style of the east school pansori using a strong voc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가 미술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선옥(Kim Sun-Ok),채수정(Chae Soo-J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18 행동분석․지원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학교생활 중 수업참여에 있어서 도전행동을 보이는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가 도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3명이었고, 독립변인은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이며, 종속변인은 대상 학생의 도전행동이었다. 직접관찰, 기존 기록 검토, 면담, 설문, 기능분석 등의 생태학적 사정을 통해 연구대상학생들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 교사변인 등을 파악하고 이 정보에 근거하여 선행사건 중재를 시행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중재, 유지의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종속변인인 도전행동은 자리이탈 행동, 소음발생 행동, 과제방해 행동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서 부분간격기록법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는 미술수업시간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도전행동을 기초선에 비해 중재 구간에 유의미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대상학생 모두 도전행동의 평균값이 크게 낮아졌으며 PND 값 100%, Tau-U 값 -1.00로 중재의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효과를 알아본 결과, 기초선과 비교해보면 기초선과 유지 구간 간 PND 값이 100%로 중재효과가 유의미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in the ecological assessment process on the maladap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seco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The subjects personal, environmental, and teacher-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using ecological assessment- direct observation, reviews of existing records,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functional analysis. The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ecological assessment. There were three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s: seat breakaway, noise generation, and task interruption. These behaviors were observed and recorded using the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20-second intervals comprising 17-second observations with 3-second recordings). Multiple-baseline research design, a type of single-subject design, was employed across three participants for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ix visual analysis methods: level of data, trend, distribution of data, immediacy effect,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and persistence of data. These methods were recently suggested by What Works Clearinghouse (Kratochwill et al., 2013) as quality indicators for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The results showed that antecedent-based intervention in the ecological assessment proces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art clas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intervention interval. The mean value of challenging behaviors was significantly less in all subjects,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value was 100%, and Tau-U value was -1.00, indicating tha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 Compared to the baseline value, the PND value between the baseline and maintenance was 100%, indicating that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significantly consistent. These analys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implications to apply in special education practices.

      • KCI등재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이희연 ( Hee Yeon Lee ),채수정 ( Soo Jung Ch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실행되어 온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장애인들을 위한 웹 기반 시스템들의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문헌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총 41편의 국내 논문들이 6개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최종 선정된 문헌들은 연구 유형, 웹 접근성 평가자, 평가 대상, 평가 도구별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 유형별로는 조사연구가 다른 문헌연구나 개발연구, 질적연구들에 비해 가장 많이 실행되었고, 웹 접근성 평가자별로는 웹 관련 전문가보다 장애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된 연구들이 많았으며 장애인이 직접 평가를 수행한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적게 실행되었음이 나타났다. 평가 대상별로 분석한 결과 교육 관련 콘텐츠보다는 학교, 병원 등과 같은 공공기관이나 시설의 웹 사이트 접근성에 대한 평가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으며, 평가 도구별로는 수동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자동화된 도구를 사용한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실행되었고 자동/수동 도구를 모두 사용한 연구들은 많이 실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웹 접근성 관련 연구들의 실행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web-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considerations in further studies. A total of 41 studies that met this study`s selection criteria was collected via six research data-bas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ypes of research, web-accessibility evaluator`s academic backgrounds, the target of web-accessibility evaluation, and web-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The results presented that (1) survey studies were most frequently conducted compared to the reviews of literature, development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2) many studies were conducted by disability-related specialists rather than web specialists, and relatively few studies were conduct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3) many studies evaluated web-accessibility of public institutions` main website such as schools, hospitals, or social welfare facilities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s, and (4) studies using manual web-accessibility tools were more conducted than those using automatic web-accessibility tools, and relatively small number of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both manual and automatic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web-accessibility in special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