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실험쥐 해마 절편 배양에서 성숙기에 따른 c-Jun 단백발현 양상과 전기적 발작으로 인한 신경원 손상 정도에 관한 연구

        채수안(Soo Ahn Chae),이광인(Kwang In Lee),최응상(Eung Sang Choi)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목 적 : 구조적 및 전기적 발작 후의 c-Jun 단백발현의 차이가 미성숙 및 성숙 뇌사이의 발작으로 인한 신경원 손상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생후 8일된 실험쥐에서 해마의 기관형적 절편배양이 준비되었다. 배양 7일과 14일된 해마조직을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실험은 Schaffer collaterals에 1 sec stimulus train(60 Hz, 0.1 msec rectangular pulses)을 가한 후 CA1에서 afterdischarge(AD)를 기록하였다. 전기생리학적 실험 후, 배양 조직을 배양기에 되돌려 놓고 신경원 손상 정도를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신경원 손상을 가리키는 PI 형광발현의 강도는 2 mM NMDA로 유발시킨 총 신경원 손상에 대한 백분율로 수량화 하였다. 본질적 및 전기자극 후의 c-Jun 단백질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전기적 발작 후 24, 48, 72시간 경과시점의 CA1와 CA3 부위의 신경원 손상은 배양 7일된 미성숙 해마조직이 배양 14일된 성숙 해마조직 보다 의미있게 낮았다. 미성숙 배양 해마조직의 전기적 자극을 가하지 않아 구조적 c-Jun 단백발현이 성숙 배양 해마조직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미성숙과 성숙 배양 해마조직간 전기적 자극 후의 c-Jun 발현 정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미성숙 배양 해마조직의 높은 구조적 c-Jun 발현이 발작으로 인한 차후 c-Jun 발현을 억제함으로서 미성숙 배양 해마조직이 성숙 배양 해마조직보다 발작으로 인한 신경원 손상이 미약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생각한다. Purpose : Immaure brain is more resistant to seizure-induced neuronal damage than the adult brain in animal study. Immediate early genes such as c-jun play a critical role in neuronal damage.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the difference of constitutive and electrically stimulated c-Jun expression would explain the difference in neuronal damage from seizures between immature and mature explant culture. Methods : Seven and 14 days-in-vitro(DIV) hippocampal explant cultures derived from 8-day-old rat pups were used. Extracellular field recording was done in cultures. A 1-sec stimulus train(60 Hz, 0.1 msec rectangular pulses) was applied to the Schaffer collaterals, and the afterdischarge was recorded in CA1 pyramidal layer. Cultures were returned to the incubator and observed serially. Intensity of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indicative of neuronal damage was quantitated as percent of total damage induced by 2 mM NMDA. Proteins extracted from individual cultures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Results : Constitutive c-Jun protein expression at 7 DIV was higher than that at 14 DIV.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of c-Jun expression between the 7 DIV and 14 DIV cultures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Neuronal damage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in the hippocampus at 7 DIV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14 DIV.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reduced neuronal injury from seizures in more immature culture. However, constitutive expression of c-Jun protein was higher. Higher constitutive expression may inhibit further induction of c-Jun from seizures and thus result in less severe neuronal injury.

      • KCI등재후보

        조직 배양된 실험쥐 해마부위 신경원의 전기적 발작 손상에 대한 발열의 영향

        채수안(Soo Ahn Chae),박용민(Yong Min Park),유병훈(Byoung Hoon Yoo),김동욱(Dong Woo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 : 간질환자들은 고열 발생시 발작의 발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간질상태의 뇌에서 고체온이 신경원의 과흥분성 및 손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실험쥐 해마부위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신경원의 발작 손상에 대한 발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쥐 해마부위 조직배양을 aCSF의 온도를 39℃까지 단순히 상승시킨 단순 발열군과 aCSF 온도의 상승 없이 36℃에서 조직을 유지시킨 단순 비발열군으로 분류하여 발열이 정상 신경원에 손상을 유발시키는지의 여부와 처음에 36℃에서 stimulus train을 가한 후 aCSF의 온도를 39℃까지 상승시킨 후 2번째 stimulus train을 가한 발열 발작군과 2번째 stimulus train을 가할 시에도 온도를 36℃로 유지시킨 비발열 발작군에서 발열중의 발작과 비발열중의 발작시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결 과 : 발열이 정상 신경원에 손상을 유발시키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단순 발열군과 단순 비발열군 간의 신경원 손상정도 비교에서 해마의 CA1과 CA3 부위 모두에서 실험 24, 48, 72시간 경과 후 두 군간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신경원 손상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발열증의 발작과 비발열증의 발작시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발열 발작군과 비발열 발작군의 신경원 손상정도의 비교에서 해마의 CA1 부위이 션경원 손상정도는 AD 유발 후 24, 48, 72시간 경과 후 모두에서 발열 발작군이 비발열 발작군에 비하여 신경원 손상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고, CA3 부위의 신경원 손상 정도는 AD 유발 후 24시간과 48시간 경과 후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신경원 손상의 차이가 없었지만 72시간 경과 후에서는 발열 발작군이 비발열 발작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신경원 손상의 정도가 심하였다. 결 론 : 정상 뇌에서 단순 고체온은 신경원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나 간질상태의 뇌에서 고체온시의 발작은 정상체온에서의 발작시보다 신경원 손상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것은 간질 상태의 뇌에서는 발열이 발작으로 인한 뇌손상에 상승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간질 환자에서 발열 발생 시 신속하고도 적절한 처치가 발열로 인한 발작으로 초래될 수 있는 뇌 손상을 예방하는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Epileptic patients have a increasing tendency to develop seizure attack in high temperature. This finding suggests that high temperature may have an effect on neuronal hyperexcitability and injury of epileptic brain. Therefore, the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on normal and epileptic brain was studied in organotypic explant cultures of rat. Methods : Fourteen days-in-vitro cultures from 8 day-olf rat pups were perfused with standard aCSF bubbled with 95%/5% O/CO in a microchamber. Stimulus train(0.3 sec, 60 Hz) was applied to Schaffer collaterals in CA3 and extracellular field potential was recorded in the CA1 pyramidal layer. At 36℃ initially, AD was evoked. In high temperature(HT) group, the cultures were subjected to 39℃ for a period of 8 min before the second stimulus train was applied. They were then restored to 36℃ for 10 min. In normal temperature group,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6℃ for the second stimulus train. The cultures were returned to the incubator and observed serially for neuronal damage. Intensity of propidium iodide fluorescence indicative of neuronal injury was quantitated by digital image analysis. The cultures on the same insert that were not stimulated served as the unstimulated groups. Results :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neuronal damage between the unstimulated high-temperature(HT) and normal-temperature(NT) group. In CA1 sector, % damage(mean±SEM) was 0.42±0.20 vs 0.27±0.05 at 24 hrs(HT vs NT)group, n=16 each, P>0.05, Student t-test); 1.81±0.79 vs 1.43±0.27 at 48 hrs(P>0.05); 3.50±1.32 vs 3.35±0.56 at 72 hrs(P<0.05). In CA3 sector, % damage was 0.34±0.10 vs 0.20±0.03 at 24 hra(P>0.05); 0.99±0.20 vs 0.83±0.23 at 48 hrs(P>0.05); 2.00±0.38% vs 2.26±0.35% at 72 hrs(P>0.05). Neuronal damage on AD induced cultures during febrile setting(n=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nfebrile setting(n=16). In CA1 sector, % damage was 6.63±2.56 vs 0.92±0.45 at 24 hrs(febrile setting vs nonfebrile setting, P=0.036); 26.37±7.44 vs 4.99±2.23 at 48 hrs(P=0.010); 38.59±9.63 vs 6.48±2.30 at 72 hrs (P=0.003). In CA3 sector, % damage was 1.23±0.48 vs 3.91±2.37 at 24 hrs(P=0.277); 13.09±5.75 vs 5.93±3.27 at 48 hrs(P=0.288); 27.86±8.68 vs 7.54±3.74 at 72 hrs(P=0.04). Conclusion : At high temperature, seizures in epileptic brain may be more injurious than seizures in normal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응급의료센터를 내원한 소아 환자 중 신경계 질환의 경향 분석

        박승완(Seung Wan Park)ㆍ채수안(Soo Ahn Chae)ㆍ이재희(Jae Hee Lee)ㆍ이정주(Jung Ju Lee)ㆍ윤신원(Shin Won Yoon)ㆍ임인석(In Seok Lim)ㆍ최응상(Eung Sang Choi)ㆍ유병훈(Byoung Hoon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0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8 No.1

        목 적:소아 응급 환자, 특히 발작이나 의식의 변화 또는 소실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들을 조기에진단하고, 적절하게 응급 조치를 한다면 심각한 합병증과 후유증 또는 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신경계 질환 환자들에 대한 검증은 거의 없는 실정이나 외국에서는이미 여러 나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신경계 질 환은 나라마다, 지역마다 다른 분포를 보이므로 우리나라의 자료를 분석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방 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은 18세 미만의 환자 총18,922명 중 신경계 질환으로 최종 진단된 환자1,058명(5.6%)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례에 대해응급 의무 기록지와 입원 병록지를 참고하였고, 이를 근거로 연령별 질환군, 계절별 질환군을 분석하였으며, 주증상별 최종 진단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결 과:남녀비는 1.5:1이었고, 연령별 분포상 2세부터 5세 미만이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3세였 다. 연령에 따른 흔한 질병은, 영유아기에는 열성경련이, 학령기에는 뇌수막염이, 청소년기에는 간질과두통이 가장 흔하였다. 계절별 분포는 2005년부터2007년까지는 계절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2008년에는 여름철에 내원한 환자수가 가장 많았다. 여름에는 뇌수막염이 다른 계절에 비해 월등히 많았으나, 다른 질환은 계절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주증상 별 분포는 발작, 열, 두통, 구토의 순으로 많았으며,최종 진단명별 분포로는 열성경련(51%), 간질(21%), 뇌수막염(18%) 순으로 많았다. 최종 진료 형태별 분포로는 입원(70.0%), 귀가(27.9%), 자의퇴원(1.5%), 전원(0.6%) 순이었다. 신경계 질환의입원율은 전체 환자의 입원율(22.8%)이나 다른 계통 질환의 입원율 보다 높았다.결 론 : 신경계 질환 환자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있으며, 다른 계통 질환에 비해 입원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보호자들의 불안과 신경계 질 환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신경계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을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것 뿐만 아니라, 보호자들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고안심을 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ediatric emergencies with seizure and decreased mental status or loss of consciouseness may cause severe complications without early proper management. Distribution of neurological disorders may differ according to various demographics, it would be valuable to evaluate recent data in Korea. Methods : Patients who had neurological problems and below 18 years old were defined as case. 1,058(5.6%) case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were analyzed. The patients were also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age 1 year or younger, preschool children(2-5 years), middle childhood group(6-10 years), and adolescent group(11-18 years). Results :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5:1. Most children were between 2 to 5 years old(mean age=3 years). Febrile convulsion is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among infant and preschooler, meningitis is the most common among middle childhood, epilepsy and headache is the most common among adolescent. Main initial presentations were seizure followed by fever, headache and vomiting. Febrile convulsion was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s followed by epilepsy and meningitis. Final dispositions of patients were admission, discharge, against medical device, and transfer to other hospital. Admission rate of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was higher than those of total patients. Conclusion : Neurological disorders are increasing in pediatric emergencies and have highest admission rate, mostly because of the parent's anxiety and severity of disease itself. Therefore, not only detect and treat neurological disorder in early stage, but also reassuring parent is important.

      • SCOPUSKCI등재

        최근 6년간(1998-2003) 소아 Mycoplasma 폐렴의 임상 양상

        김지현,채수안,이동근,Kim, Ji-Hyun,Chae, Soo Ahn,Lee, Dong-K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9

        목 적 : 소아기 지역 사회 획득 폐렴의 주요 원인인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최근 임상 양상의 변화를 알아 소아 폐렴 환아의 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6년 동안 중앙대학교 필동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Mycoplasma 항체치가 1 : 160 이거나, 혹은 추적검사상 4배 이상 증가했던 0-15세 사이의 393 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남녀비는 1.06 : 1이었고, 평균연령은 $4.32{\pm}2.94$세였다. 2-3세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2세 미만에서도 14.7%나 발생했다. 2003년에 가장 많았고, 2000년에 10, 11월, 2002년에 4월, 2003년에는 10, 12월에 많았다. 2) 26.7%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10.7% 환아의 2촌 범위 내에서 알레르기 질환이 있었다. 43.3%가 이전에 폐렴으로 입원하였고, 23.9%에서는 폐렴을 2번 이상 앓았었다. 알레르기 검사를 시행한 환아의 65.7%가 양성이고, 가장 흔한 원인은 집먼지진드기였다. 12.2%에서는 mycoplasma 폐렴이 천식의 유발 혹은 악화인자로 작용했다. 3) 호흡기 증상은 기침, 객담, 순이었고, 폐외증상은 복통, 구토 순이었다. 악설음이 85.4%에서 들렸고, 천명이 18.3%에서 들렸으며, 32.3%에서 청진 소견이 방사선과 일치하였다. 4) 2.5%에서 무기폐, 1.8%에서 흉막삼출이 동반되었다.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엽상 음영 순이었고, 우측에 더 많았다. 5) 한랭응집소치와 Mycoplasma 항체치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호발 연령이 이전 연구결과 보다도 낮아진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학동기 이전의 폐렴 환아들에서 특히 영유아에서도 이에 대한 감별진단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천명 동반율이 높아지고,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재발성 폐렴과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We performed a study of clinical findings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to know differences between recent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and previous stud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3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Mycoplasma pneumonia with high titers of Mycoplasma antibody(${\geq}1$ : 160) or fourfold rises of Mycoplasma antibody at Chung 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3. We practiced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to 1 and mean age was $4.32{\pm}2.94years$.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the age of 2 to 3 years(18.6 percent). Most frequent months were October, and November in 2000, April in 2002, and October and, December in 2003. Twenty six point seven percent showed allergic diseases. Second degree relatives of 10.7 percent patients had allergic diseases. Forty three point three percent were admitted before this admission for pneumonia. Allergic tests were positive in 65.7 percent. Cough, and sputum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nd abdominal pain, and vomiting were the most frequent extrapulmonary symptoms. Atelectasis and pleural effusion were seen in 2.5 percent and 1.8 percent. Infiltrations were more common on the right side. Titers of each simultaneous test for cold agglutinin and mycoplasma antibody were not in proportion to each other (P=0.163). Conclusion : The onset age of mycoplasma pneumonia was found to be lower than it used to be. More patients had a past medical history or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 and more wheezing was heard and associated with recurrent pneumonia.

      • KCI등재후보

        Acetazolamide로 치료된 가성 뇌종양 환아 1례

        김용수(Yong Soo Kim),채수안(Soo Ahn Chae),유병훈(Byoung Hoon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In 1897, Qunicke described a disorder which was characterized by symptoms and signs of a space-occupying intracranial mass, such as headache, transient visual obscurations, and papilledema, but with no evidence of a ventricular obstruction. Lumbar puncture revealed elevated intracranial pressure, but cerebrospinal fluid components were normal. Nonne further defined the disorder, calling it ""pseudotumor cerebri"" in 1904.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seudotumor cerebric in child in 10 years old boy who responded to acetazolamide treatment.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가와사끼병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9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2의 임상적 중요성

        윤기욱,윤신원,이정주,채수안,임인석,최응상,유병훈,이미경,Yun, Ki-Wook,Yun, Sin-Weon,Lee, Jung-Ju,Chae, Soo-Ahn,Lim, In-Seok,Choi, Eung-Sang,Yoo, Byoung-Hoon,Lee, Mi-Ky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가와사끼병은 급성 전신성 미세혈관염으로서, 소아의 후천성 심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병변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미만성 혈관염에 의한 관상동맥벽의 파괴를 시사하는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그 내인성 억제인자인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TIMP)가 이러한 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중에도 MMP-9이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와사끼병 환아들에서 MMP-9과 그 억제인자들인 TIMP-1, TIMP-2가 갖는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가와사끼병 환아 4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급성열성 세균감염 환아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혈중 MMP-9, TIMP-1, TIMP-2의 농도를 kit를 통한 효소 면역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각 임상 단계 및 관상동맥병변의 유무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기에 MMP-9과 TIMP-1은 가와사끼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TIMP-2는 오히려 낮았다($P$<0.05). 급성기에 증가한 MMP-9은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관상동맥 확장군과 비확장군의 비교에서는, 확장군에서 급성기 MMP-9과 TIMP-1, MMP-9/TIMP-2가 낮았으며, 아급성기로 가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다시 회복기로 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MMP-9은 급성기와 아급성기에 TIMP-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TIMP-2와는 아급성기와 회복기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 론: 이러한 결과들은 MMP-9과 TIMP-1의 증가, 그리고 MMP-9과 TIMP-2의 불균형이 가와사끼병, 특히 그 관상동맥병변의 병태생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하겠다. 더 종합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를 위해서 좀 더 많은 대상자를 포함하는 큰 규모의 연구들이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Kawasaki disease (KD) is a systemic vasculitis, a leading cause of pediatric acquired heart diseas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coronary artery lesion (CAL) in KD indicate destruction of the coronary artery wall with diffuse vasculiti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heir endogenous tissue inhibitors (TIMPs) might play central roles in this process. Special attention to MMP-9 has recently been emerg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MMP-9 and its inhibitors, TIMP-1 and TIMP-2, in KD. Methods : We compared 47 KD patients with 14 febrile controls. Serum MMP-9 and TIMP-1, TIMP-2 were measured by ELISA and compared according to clinical stages and coronary involvement. Results : In acute stage, MMP-9 and TIMP-1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TIMP-2 was lower, in KD than those in febrile controls ($P$<0.05). The elevated MMP-9 levels in acute phas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subacute and convalescent phases ($P$<0.05). During acute phase, the MMP-9, TIMP-1, and MMP-9/TIMP-2 levels in the CA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n-CAL group, but they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ubacute phase ($P$<0.05). MMP-9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P-1 in the acute and subacute phase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IMP-2 in the subacute and convalescent phases ($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P-9, TIMP-1, and the imbalance in MMP-9 and TIMP-2 might play important roles on the pathophysiology of KD and especially on the development of CAL. However, further larger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식욕부진과 성장발달지연으로 내원한 소아의 맥락총 유두종 1례

        홍순철(Soon Cheul Hong),채수안(Soo Ahn Chae),이동근(Dong Keun Lee),민병국(Byung Kuk Mi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저자들은 성장 발달 지연과 식욕 부진의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인 환아에서 신경학적 검사상 조화운동불능보행과 울 때 눈과 입이 비대칭적으로 편위되어 시행하였던 뇌단층촬영과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제4뇌실에 발생한 맥락총 유두종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었으며, 완전 절제술을 시행하여 안면마비 및 보행 장애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horoid plexus papilloma is a very rare disease in children. The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differ according to the tumor size and the location. Increased CSF production by the tumor, hydrocephalus and symptoms of increased ICP are the main symptoms. The first line of treatment is surgical excision, but sometimes excision itself is very difficult due to the site and the size of mass. Adjunctive radiation therapy or chemotherapy is not recommended. Since gross total resection without adjunctive therapy offers highest likelihood of succes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re sex, age, time of diagnosis, the duration between the appearance of symptoms and diagnosis, tumor volume, tumor site and the extent of surgery. We report a case of choroid plexus papilloma, in a child with anorexia and failure to thrive.

      • KCI등재후보

        소아 피부근연 1례

        조성옥(Seong Ock Jo),채수안(Soo Ahn Chae),한헌석(Heon Seok Ha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Dermatomyositis is a disease of unknown etiology characterized by proximal muscle Weakness and specific cutaneous findings. A case of dermatomyositis in a 8-year-old girl is reported. She was admitted with chief complaint of progressive weakness of lower extremities. The diagnosis was made by typical clinical findings with aid of laboratory data and muscle biopsy finding. Her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improved markedly with oral steroid (prednisolone)medication and physiotherapy.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has been done.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Pentylenetetrazole-발작 동물모델에서의 케톤생성식이요법의 연령

        김동욱(Dong Wook Kim),채수안(Soo Ahn Chae),박호진(Ho Jin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케톤생성식이요법은 임상적으로 대상 환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치료 효과가 더 크다고 인식되어 왔다. 그 이유는 아마도 미성숙 뇌가 케톤체를 추출하고 이용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PTZ-발작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이러한 케톤생성식이요법에 의한 항간질효과의 연령-의존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9주령 및 12주령 숫쥐를 각각 케톤생성식이요법 치료군(9주령 19수, 12주령 17수)과 표준사료를 먹이는 대조군 (9주령 17수, 12주령 16수)의 2군으로 나누었다. 치료군은 실험 시작 첫날은 금식시키고 이후[지방]:[단백질+탄수화물]이 4.3:1의 비율로 구성된 실험용 케톤생성식이사료를 먹었으며 ,대조군에게는 실험기간 내내 표준 사료를 먹였다. 실험 제 21일에 모든 동물에게서 케톤체인 BHB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PTZ를 체중 kg당 60 mg의 용량으로 실험동물의 복강내로 투여하여 발작을 유발시키고 그 심한 정도를 점수화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9주령 쥐에서의 발작행동점수는 치료군(3.5±1.2)이 및 대조군(4.4±0.9)에 비하여 유의하게(P<0.05) 낮았으나,12주령에서는 치료군(3.9±0.3)과 대조군(4.1±0.3)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BHB 농도는 9주령(치료군 1.21±0.14 mM, 대조군 0.14±0.12 mM)과 12주령(치료군 0.64±0.08 mM, 대조군 0.18±0.02 mM) 모두에서 치료군이 유의하게(P<0.001) 높아서 케톤혈증이 초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저자 등은 이미 3주령 쥐를 이용하여 PTZ-발작에 대한 케톤생성식이요법의 항경련효과를 관찰하여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케톤생성식이요법이 9주령 쥐에서는 항경련효과를 보인 반면에 12주령 쥐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관찰하여, 케톤생성식이요법의 연령-의존성 항간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ketogenic diet(KD) has been felt to be clinically more efficacious at younger ages, presumably because of the enhanced ability of the immature brain to extract and utilize ketone bodi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ge-dependent effects of the KD on pentylenetetrazole(PTZ)-seizure severity in rats. METHODS: A KD([fat]:[protein+carbohydrate] ratio of 4.3:1) was administered to male Sprague-Dawley rats for 3 weeks, while control animals were fed a standard rodent chow. Dietary treatment was initiated at either postnatal 9 or 12 weeks. Seizures were chemically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TZ(60 mg/kg) and blood ß-hydroxybutyrate (BHB) levels were assayed on treatment day 21. Seizure severity was evaluated by using a scoring system of seizure behaviors:0, no seizure; 0.5, abnormal behavior; 1, myoclonic jerk; 2, myoclonic jerk with jumping; 3, forelimb clonus with preserving righting reflex; 4, generalized clonic seizure with brief loss of righting reflex; 5, generalized tonic clonic seizure; 6, expire. A greater score represents a more severe seizure. RESULTS: In 9 weeks old rats, the mean(±SEM) seizure behavior scores were 3.5±1.2 [n=19] and 4.4 ±0.9[n=17] for the KD-treated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P<0.05), whereas in 12 weeks old anima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izure behavior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3.9±0.3[n=17] vs. 4.1±0.3[n=16], respectively). Blood BHB levels in the KD-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9 (1.21±0.14[n=19] vs. 0.14±0.12[n=17] mM, respectively; P<0.001) and 12(0.64±0.08[n=17] vs. 0.18±0.02[n=16] mM, respectively; P<0.001) weeks old animals. CONCLUSION: The KD was previously reported to decrease PTZ-seizure severity in 3 weeks old rats. In this study, the KD decreases PTZ-seizure severity in 9 weeks old rats, but is ineffective in 12 weeks old rats. These results parallel clinical experience, where the beneficial effects of the KD are felt to be age-depen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