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골수구성백혈병에서 백혈구과정가증의 임상적 의의

        채명종,조덕,신종희,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3 No.1

        배경 : 성인에서 백혈구 과증가성 급성골수구성백혈병(hyper-leukocytic acute myelogenous leukemia, H-AML)은 비교적드물지만 검사 성적이나 임상적 특징이 백혈구 증가증이 없는 백혈병과는 다를 가능성이 있다.방법 : 1994년 7월부터 2001년 2월까지 급성골수구성백혈병(AML)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백혈구수 100,000/ L 이상인 19예(H-AML)를 대상으로 하여, 백혈구수 100,000/ L 미만인127예(non-H-AML)의 형태학적 검사, 면역표지자 검사, 세포유전학 검사 및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다.결과 : H-AML의 빈도는 13.1% (19/146)이었다. Non-H-AML에서는 M2 (40.9%), M3 (28.3%), M4 (11.0%)의 순이었고, H-AML은 M5 (36.8%), M4 (21.1%), M2 (21.1%)의순이었다. H-AML과 non-H-AML에서 CD14 양성률은 각각23.5% 및 6.4%, 그리고 HLA-DR 양성률은 각 83.3% 및47.2%였다. H-AML 군의 완전 관해율은 낮은 경향이 있었고,전체 생존기간도 짧은 경향이 있었다. H-AML의 무질병 생존기간은 non-H-AML 보다 유의하게 짧았다(6개월 vs. 22.1개월,P=0.006).

      • KCI등재후보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자발성 급성 악화의 원인 및 임상 경과

        채명종,김병호,정경환,김남훈,동석호,김효종,장영운,이정일,장린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2

        목적: 저자 등은 만성 B형 간염 경과 중 급성 악화가 심하게 발생한 환자에서 그 원인을 조사하고, 자발적 악화시 HBeAg 혈청전환 및 임상 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만성 B형 간염의 급성 악화로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증 급성 악화의 정의는 AST/ALT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증가한 경우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성별, 연령, 원인, 간기능검사, 혈청학적 검사 및 생존 등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이 유사한 대조 환자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중증 급성 악화 환자는 남자 29명, 여자 15명 등 44명으로 평균 38.6±0.1세였다. 급성 악화 원인으로는 자발적 악화가 34예(77%), 약물 복용 7예(16%), 음주 2예(5%), HCV 중복감염 1예(2%)였다. 혈액검사에서 총 빌리루빈은 8.3±8.3 ㎎/dL, 알부민 3.6±0.7 g/dL, ALT 924±597 IU/L, 프로트롬빈 시간 1.58±1.29 (INR), α PF 108±163 ng/mL이었다. 자발적 급성 악화 34예 중 HBeAg 양성인 경우는 27예(79%)였으며, 추적 기간(579±459일) 동안 51.9%에서 HBeAg 혈청전환이 일어났으나, 3개월째 혈청전환율은 15%에 불과하였으며, 12개월 및 24개월째는 각각 18.5%, 48.1%였다. 한편 ALT가 199 IU/L 이하인 대조 환자의 경우는 같은 기간의 혈청전환율이 각각 4.3%, 10.9%로 낮았으며, 기저 ALT치에 따른 누적 혈청전환율도 200 IU/L을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경변으로의 진행은 대조 환자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17.6% vs. 5.5%, P<0.08), 사망한 경우는 급성 악화군에서만 1예(2%) 있었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중증의 급성 악화는 자발적 악화가 가장 흔하였으며, 약 반수에서 2년내 HBeAg 혈청전환되었고 18% 정도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3개월 이내의 조기 혈청전환은 15%로 낮았으며, 전반적인 혈청전환율도 외국의 보고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Background/Aims: Acute exacerbation (AE) of chronic hepatitis B (CHB) can occur spontaneously, and may be followed by HBeAg clearance. HBeAg seroconversion often coincides with the normalization of liver biochemical tests and clinical re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tiology and the clinical consequence of severe AE in Korean patients with CHB.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CHB patients with severe AE (defined by the sudden increase of ALT above 400 IU/L) who were admitted to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ty-fou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evere AE group. Result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severe AE was spontaneous exacerbation (77%). Drugs (16%), alcohol (5%), and HCV coinfection (2%) were suspected of causing AE in the remaining patients. HBeAg seroconversion at 12, 18, and 24 months following severe spontaneous AE was 18.5%, 40.7%, and 48.1%, respectively.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CHB patients without AE (4.3%, 4.3%, and 10.9%, respectively). Seroconversion within 3 months, however, occurred in only 15% of CHB patients with AE. There was a tendency to progress to liver cirrhosis more frequently in the patients with AE as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out AE (17.6% vs. 5.5%, P<0.08). Conclusions: Severe AE in patients with CHB is mainly caused by spontaneous exacerbation. Although HBeAg seroconversion occurs frequently in these patients, the rates a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reported in other countries and early seroconversion is expected only in a small proportion. Further studies will be warran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early use of antiviral agents at the time of AE.(Korean J Hepatol 2004;10:99-107)

      • KCI등재

        Real-time PCR법을 이용한 Candida glabrata의 Azole 내성 유전자 발현 분석:Northern 교잡법과의 비교

        채명종,송정원,신종희,이진솔,김수현,신명근,서순팔,양동욱 대한의진균학회 2008 대한의진균학회지 Vol.13 No.2

        Background: One of main mechanisms responsible for acquired azole resistance of Candida glabrata is the increased drug efflux mediated ABS transporters, which are encoded by CgCDR1 and CgCDR2 genes. Objectives: We compared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CR (RT-PCR) with northern hybridiz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gCDR1 and CgCDR2 expression in bloodstream isolates of C. glabrata. Methods: Nineteen blood isolates of C. glabrata were selected, including nine fluconazole susceptible (MIC ≤8 μg/ml), nine susceptible dose-dependent (S-DD, MIC 16~32 μg/ml), and one resistant (MIC 128 μg/ml), isolates. The expression of CgCDR1 and CgCDR2 was quantified using real-time RT-PCR with ROTOR Gene 3000 (Corbettet research, Austria).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northern hybridization with sequence-specific probes. Results: Correlation of quantification results between real-time RT-PCR and northern hybridization yield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92 for CgCDR1 and 0.82 for CgCDR2 gene. By both method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expression of CgCDR1 and CgCDR2 between fluconazole-susceptible isolates and S-DD isolates. In contrast, a strain with high fluconazole resistance (MIC 128 μg/ml) revealed a greater abundance of CgCDR1 by both methods, compared to the other isolates. Conclusion: This study show that real-time PCR method for C. glabrata RNA quantification correlates well with traditional northern hybridization and can be a valuable alternative to northern hybridization for rapid quantification of CgCDR1 and CgCDR2 genes in clinical isolates of C. glabrata.

      • KCI등재

        최근 8년간 혈액에서 분리된 Candida 균종과 항진균제 감수성

        채명종,신종희,조덕,기승정,김수현,신명근,신동현,정숙안,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3 No.5

        배경 : 칸디다혈증의 빈도는 최근 20년동안 현저히 증가하였다.혈액에서 분리되는 칸디다 균종과 항진균제 감수성 추이를 연도별로 분석하는 것은 경험적 치료방침이나 항진균제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방법 : 최근 8년간 전남대학교병원의 혈액 배양에서 분리된 칸디다 균종과 항진균제 감수성 성적을 제 1기(1994-1997년)와 2기(1998-2001년)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다. Amphotericin B, flu-conazole 및 itraconazole에 대한 감수성 검사는 NCCLS M27broth microdilution법으로 실시하였다.결과 : 8년 동안 혈액에서 칸디다가 분리된 환자 수는 총 290명(805주)이었다. 원인균종으로는 제 1기에는C. albicans (29.5%),C. parapsilosis(25.9%) 및 C. tropicalis(18.8%) 순으로 많았고 제 2 기 에 는 C. parapsilosis(31.5%), C. albicans (23.6%) 및C. glabrata (14.0%) 등의 순으로서 제 1기와 비교할 때 C. gl-abrata가 10% 증가하였다( P<0.005). 제 1기와 2기를 비교하여보았을 때 동일 균종내 항진균제 MIC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fluconazole에 내성(MIC가 64 g/mL 이상)인 균은 제 1기와 2기에 각 2.0% (2/100) 및 8.0% (13/163)이었고, itraconazole내성(MIC가 1 g/mL 이상) 균은 각 7.0% (7/100)와 20.9%(34/163)로서 1기에 비해 2기에 내성균 수가 증가하였다(P<0.05).

      • KCI등재후보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자발성 급성 악화의 원인 및 임상 경과

        채명종,김병호,정경환,김남훈,동석호,김효종,장영운,이정일,장린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Aims: Acute exacerbation (AE) of chronic hepatitis B (CHB) can occur spontaneously, and may be followed by HBeAg clearance. HBeAg seroconversion often coincides with the normalization of liver biochemical tests and clinical re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tiology and the clinical consequence of severe AE in Korean patients with CHB.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CHB patients with severe AE (defined by the sudden increase of ALT above 400 IU/L) who were admitted to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ty-four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evere AE group. Results: The most common etiology of severe AE was spontaneous exacerbation (77%). Drugs (16%), alcohol (5%), and HCV coinfection (2%) were suspected of causing AE in the remaining patients. HBeAg seroconversion at 12, 18, and 24 months following severe spontaneous AE was 18.5%, 40.7%, and 48.1%, respectively.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CHB patients without AE (4.3%, 4.3%, and 10.9%, respectively). Seroconversion within 3 months, however, occurred in only 15% of CHB patients with AE. There was a tendency to progress to liver cirrhosis more frequently in the patients with AE as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out AE (17.6% vs. 5.5%, P<0.08). Conclusions: Severe AE in patients with CHB is mainly caused by spontaneous exacerbation. Although HBeAg seroconversion occurs frequently in these patients, the rates a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ose reported in other countries and early seroconversion is expected only in a small proportion. Further studies will be warrant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early use of antiviral agents at the time of AE. 목적: 저자 등은 만성 B형 간염 경과 중 급성 악화가 심하게 발생한 환자에서 그 원인을 조사하고, 자발적 악화시 HBeAg 혈청전환 및 임상 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만성 B형 간염의 급성 악화로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증 급성 악화의 정의는 AST/ALT가 정상 상한치의 10배 이상 증가한 경우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성별, 연령, 원인, 간기능검사, 혈청학적 검사 및 생존 등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이 유사한 대조 환자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중증 급성 악화 환자는 남자 29명, 여자 15명 등 44명으로 평균 38.6±0.1세였다. 급성 악화 원인으로는 자발적 악화가 34예(77%), 약물 복용 7예(16%), 음주 2예(5%), HCV 중복감염 1예(2%)였다. 혈액검사에서 총 빌리루빈은 8.3±8.3 mg/dL, 알부민 3.6±0.7 g/dL, ALT 924±597 IU/L, 프로트롬빈 시간 1.58±1.29 (INR), α-PF 108±163 ng/mL이었다. 자발적 급성 악화 34예 중 HBeAg 양성인 경우는 27예(79%)였으며, 추적 기간(579±459일) 동안 51.9%에서 HBeAg 혈청전환이 일어났으나, 3개월째 혈청전환율은 15%에 불과하였으며, 12개월 및 24개월째는 각각 18.5%, 48.1%였다. 한편 ALT가 199 IU/L 이하인 대조 환자의 경우는 같은 기간의 혈청전환율이 각각 4.3%, 10.9%로 낮았으며, 기저 ALT치에 따른 누적 혈청전환율도 200 IU/L을 중심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경변으로의 진행은 대조 환자군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17.6% vs. 5.5%, P<0.08), 사망한 경우는 급성 악화군에서만 1예(2%) 있었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중 중증의 급성 악화는 자발적 악화가 가장 흔하였으며, 약 반수에서 2년내 HBeAg 혈청전환되었고 18% 정도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3개월 이내의 조기 혈청전환은 15%로 낮았으며, 전반적인 혈청전환율도 외국의 보고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 KCI등재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배위자의 간암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채명종 ( Myung Jong Chae ),심재준 ( Jae Jun Shim ),김병호 ( Byung Ho Kim ),황보영 ( Bo Young Hwang ),이영주 ( Young Ju Lee ),하승형 ( Seung Hyung Ha ),장재영 ( Jae Young Jang ),동석호 ( Seok Ho Dong ),김효종 ( Hyo Jong Kim ),장영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목적: PPARγ는 핵 수용체의 일종으로 혈당 조절과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종 암세포에 대한 항암 작용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합성 PPARγ 배위자인 thiazolidinediones계 혈당 강하제와 내인성 배위자인 15-deoxy-Δ12,14-prostaglandin J2 (15d-PGJ2)가 간세포암(이하 간암)에도 항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간암 세포주로는 HepG2, Hep3B, PLC/PRF5를 사용하였는데, 이들 세포주에서 PPARγ 유전자 발현은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확인하였다. Thiazolidinediones계 약물인 troglitazone (TGZ), pioglitazone (PGZ) 그리고 rosiglitazone (RGZ)을 각각 25~100 μM의 농도로 각 세포주에 투여하였고, 15d-PGJ2는 20~80 μM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을 72시간까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세포 주기 분석은 flow cytometry를 이용하였고, 세포자멸사는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Caspase-3와 caspase-8 그리고 caspase-9의 활성도를 caspase colorimetric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aspase 억제제를 투여하여 PPARγ 배위자에 의한 세포자멸사가 억제되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사용된 PPARγ 배위자 중 TGZ과 15d-PGJ2가 HepG2, Hep3B 그리고 PLC/PRF/5에 뚜렷한 성장 억제를 나타냈다. 반면에 PGZ과 RGZ은 TGZ에 비해 거의 효과가 없었다. 세포 주기분석에서도 TGZ과 15d-PGJ2가 G0/G1 arrest와 세포자멸사를 일으킨 반면 PGZ과 RGZ은 효과가 없었다. 세포 주기 및 세포자멸사 분석에서 TGZ과 15d-PGJ2의 항암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TGZ은 HepG2에서 G0/G1 arrest를 일으켰고 PLC/PRF5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 반면 15d-PGJ2는 HepG2에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고 PLC/PRF5에서는 뚜렷한 세포자멸사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TGZ과 15d-PGJ2은 caspase-3 활성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p<0.01) caspase-9의 활성도도 증가시켰다. TGZ과 15d-PGJ2에 의해 유도된 세포자멸사는 pancaspase 억제제와 caspase-3 특이 억제제에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론: Troglitazone과 15d-PGJ2는 간암 세포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항암 작용을 나타내는데, PPARγ 이외의 다른 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항암 기전도 서로 다른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iazolidinediones, which are synthetic insulin sensitizers, are known activator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PPARγ ligands, including endogenous 15-deoxy-Δ12,14-prostaglandin J2(15d-PGJ2), are thought to elicit antineoplastic effects in various cancer cells. In this study, the antineoplastic effects of PPARγ ligands against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cells were investigated. Methods: HepG2, Hep3B, and PLC/PRF5 cells were cultured with troglitazone (TGZ), pioglitazone (PGZ), rosiglitazone (RGZ), or 15d-PGJ2 at concentrations of 20-100 μM.. Cell viability, cell cycle arrest, apoptosis, and caspase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the MTT assay, flow cytometr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colorimetric assays, respectively. The effects of various caspase inhibitors were also measured using a cell death detection ELISA. Results: All three cell lines expressed the PPARγ gene. TGZ and 15d-PGJ2 strongly inhibited growth in HepG2, Hep3B, and PLC/PRF5 cells. In contrast, PGZ and RGZ showed a much weaker effect in all cell lines. In terms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GZ induced G0/G1 arrest in HepG2 cells and increased the apoptotic fraction in Hep3B and PLC/PRF5 cells. In contrast, 15d-PGJ2 induced apoptosis only in HepG2 and Hep3B cells. TGZ and 15d-PGJ2 increased caspase-3 activity significantly and increased caspase-9 activity slightly. TGZ- and 15d-PGJ2-induced apoptoses were inhibited by a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and a caspase-3 specific inhibitor (Z-DEVD-FMK)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TGZ and 15d-PGJ2 elicit antineoplastic effects in various HCC cells via caspase-dependent apoptotic induction. Their differential effects on similar cell types suggest that another antineoplastic mechanism, most likely a PPARγ-independent pathway, is involved. (Korean J Med 75:288-299, 2008)

      • KCI등재

        안면부 성형 수술 후에 발생한 Scopulariopsis brevicaulis 감염 1예

        오봉준,채명종,조덕,기승정,신명근,신종희,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6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6 No.1

        Scopulariopsis brevicaulis는 주로 토양에 존재하는 사상형 진균으로, 인체에서는 흔히 조갑진균증을 유발하며 이 균에 의한 조갑진균증은 대략 1-10% 정도이다. 드물게 이 균은 수술 또는 외상을 받은 환자에게서는 피부 감염이나 더 심각한 심부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 저자들은 안면에 이물질을 주입하는 성형수술을받은 54세 여자에서 1년 후에 발생한S. brevicaulis에 의 한 봉 와직염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왼쪽 안면의 수술부위에 통증과경도의 열감이 발생하면서 점차 병변이 커지는 양상을 보여 내원하였다. 내원 후 좌측 안면의 병변 부위에서 1주일 간격으로 총 세차례 농 배양을 실시하였는데, 모두S. brevicaulis 균주가 분리되었다. 내원 2주일 후 지방흡입술을 통해 병변과 이물질을 완전히제거하였는데, 그 이후 진균 감염의 재발 소견이 없었다. 이 증례는 성형수술과 연관되어 안면에 발생한S. brevicaulis에 의 한 감염의 국내 첫 보고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