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세음보살묘응시현제중감로』 나타난 법화사상

        차차석(Cha cha seuk)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 논문은 1877년 간행된 『제중감로』에 나타난 법화사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책의 내용을 분석하면 크게 『법화경』의 내용을 재인용하거나 압축 내지 요약해 인용한 경우와 『법화경』에 나오는 특수한 용어나 내용을 재해석하거나 응용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동북아시아에서 법화사상의 총아인 천태의 영향을 『제중감로』에서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법화경』자체의 영향을 제외하면 천태의 사상적인 영향 보다는 오히려 화엄성기론이나 염불, 선사상의 영향이 강하게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 나타난 법화사상의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화경』의 내용을 인용한 경우인데, 주로 「방편품」, 「비유품」, 「약초유품」, 「법사품」, 「오백제자수기품」 등이 인용되고 있다.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다양한 교화의 방법이 시설되는데, 그 목적은 일대사인연을 응용한 것이다. 중생들의 현실상황은 삼계화택에 비유하고 있다. 중생들은 각각 불성의 현현이라 존귀하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을 교화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은 「약초유품」을 활용하고 있다. 自家寶藏이란 자기 정체성의 각성은 의리궤주의 비유를 활용하고 있으며, 여래의 심부름꾼이란 자각과 사회적 책무의 실현은 「법사품」을 활용하고 있다. 물론 이외에도 「관세음보살보문품」이 활용되고 있지만 그것은 별도의 논문으로 발표한 바가 있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았다. 묘련사에 참가해 『제중감로』를 편찬한 재가 수행자들은 이조불교의 다양한 영향 속에서도 『법화경』에 의지해 수행하면서 자신들의 종교적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점은 다양한 불교사상을 흡수하여 『제중감로』의 편찬에 활용하되, 그것은 때때로 『법화경』을 해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약초유품」을 해설하는데 화엄의 성기론이 활용되거나 관음을 정토 내지 선과 결부해 해석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특이한 것은 재가자들이 수행결사체를 만들어 다년간에 걸쳐 수행하고, 그 결과물인 『제중감로』를 편집했으며, 불교의 주류에서 소외되어 있던 『법화경』에 의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19세기 중후반에 전개된 한국불교사상의 외연을 풍성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재가신앙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법화경』의 핵심 단어를 활용하거나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시라는 「방편품」에 나오는 단어를 진여 내지 불성의 현현이라 이해하고, 모든 것은 如是에 의거해 전개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런점은 천태의 영향이 아니라 오히려 화엄의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으며, 이조후기 불교사상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나아가 수기라는 단어를 활용해 수기의 게송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남녀를 가리지 않고 수기를 준다는 점, 전통방식인 전법게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 등이 특징적이다. 결론적으로 『제중감로』는 『법화경』의 영향을 강하게 수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속신앙의 형태가 아닌, 사유의 결집체로서의 법화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조선후기의 희귀한 문헌이 아닐 수 없다. 또한 그런 만큼 다양한 시각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Lotus thought in Gwanseeum Bosalmyoeungsihyeonjejunggamno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Jejunggamno for abbreviation) lay Buddhists of Myoryeon Society edited and published in 1877. The text cites, condenses and summarizes the Lotus Sutra and reinterprets and applies the sutra's technical terms and contents. Although it is influenced from the sutra, it has strong influences from Huayan, Pure Land and Zen Buddhism, not from Tiantai Buddhism, closed connected with the sutra. First, it cites sentences from the sutra's several chapters, including "Chapter2 Expedient Devices," "Chapter3 A Parable," "Chapter5 Medicine Herbs," "Chapter8 Five Hundred Disciples Receive Prediction," "Chapter10 Masters of the Dharma," and "Chapter28 The Encouragement of the Bodhisattva Universal Worthy." Because this author discussed in an article on relations between Jejunggamno and the sutra's 28th chapter, he excluded discussion of the subject in this article. Second, lay Buddhists relied on the Lotus Sutra, incorporated various Buddhist traditions, i.e., Huayan, Pure Land and Zen Buddhism, established a religious organization named Myoryeon Society and ecumenically practiced the traditions for several years in late Joseon Dynasty. Inconclusion, this author thinks that this article might be preliminary to further and deeper academic research on relations between this text and the Lotus Sutra.

      • KCI등재

        현대 한국불교의 현황과 전망

        차차석(Cha Cha-Seuk)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9 No.-

          현재 불교의 상황은 외형적으로 드러난 것만큼 안정적이거나 희망적이라 말할 수 없다. 관성적인 신앙의 형태에서 벗어나 있지 않으며, 종교 환경은 호전되었지만 현대사회의 대중이 원하는 종교의 정보나 신앙형태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전통이 깊은 만큼 그 관성에 의해 교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종교적 정체성, 신도의 교육, 종교지도자의 교육, 관리시스템, 신도관의 소통 및 결속력 확보 등에 여러 분야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BR>  더불어 외부환경의 변화는 불교계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끼치고 있지는 않으며, 오히려 불교계에 순기능적인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개신교나 천주교의 선교방법이 불교계에 차용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그렇다.<BR>  기타 매스컴, 인터넷, 출판, 문화 등의 발전은 불교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리라 본다. 종단 내부 갈등이 해소되고, 각 종단의 역량을 외부로 돌릴 수 있다면 불교계는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몇 가지 전제 조건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출가자들의 교육 제도들 현대사회에 맞도록 개선해야 한다. 둘째 각 종단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확립해야 한다. 현재처럼 종명과 무관하게 정체성이 떨어진다면 그 생명력이 연장될 수 없다. 셋째 각 종단의 관리시스템이 현대화, 체계화, 제도화 되어야 한다. 넷째 종단 자체 내부의 현황에 대한 통계 자료가 정확해야 한다.   Since independence, Korea-Buddhism has met change and adaptation, and confusion and hardship. If so, we may ask where the Korea-Buddhism is. Here, I would like to answer the question with data mostly getting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BR>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in 2002, Korea-Buddhism has more than 150 fraternities. Nowadays, experts pronounce more than 200 fraternities are jumbled. However, if categorizing fraternities, fraternities may divide into five category, such as orders of chan, orders of lotus tiantai, orders of metheya, orders of pureland, etc.<BR>  If analyzing fraternities by the total number of Buddhist in Korea, eastregion has more Buddhist than westregion.<BR>  Korea-Buddhism which has had no interest in the public has been changed since 1990. After reinvigorating the Korea-Buddhism press and broadcasting, there have too many publications in Korea. After that, Korea-Buddhism has begun to recognize the important of social welfare and operate or build many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Various welfare activities(such as nursing home, hospital, general welfare facility, rehabilitation facility, silver town, and etc.) are developed. Now those facilities are more than 555. Beside that, more than 338 number of prekindergarten and 361 number of cultural program are operating.<BR>  Revitalizing Buddhism makes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numbers of Buddhist group. Buddhist groups by function and work place and a chorus and culture and art groups led by temple are increasing. With tendency of focusing on well-being and culture, staying in temple and activities for experiencing ecology are increasing.<BR>  The other side of Korea-Buddhism changing after 1990 comes with requesting of the public and recognizing the Korea-Buddhism status of educated Buddhist priesthood in 70’s and 80’s. However, the prospect of Korea-Buddhism will not be an optimistic view. When Korea-Buddhism takes the multi-religion into consideration, the all above-mentioned activities are results for adopting and maintaining.<BR>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e can see Korea-Buddhism is inferior in numbers at especially the metropolitan and suburbs.<BR>  For turning the tables, Korea-Buddhism should have to try to make identity and stability of the inside of the Korea-Buddhism body. Furthermore it is needed the education of apprentice and believer, and new management system of the Korea-Buddhism body. Too many fraternities may come from the uncertainty of identity.<BR>  Not only adopting the changing of external environment but also minimizing inside conflicts are needed.

      • KCI등재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에 나타난 포교관(布敎觀)과 그 지향점(指向點)

        차차석 ( Cha Cha-Seu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8 No.-

        이 논문은 만해의 『조선불교유신론』(이하 『유신론』)에 나타난 포교관과 그 지향점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만해의 『유신론』은 조선말기 불교계의 개혁과 갱생을 위해 저술되었다고 평가 받는다. 이 책에 나타난 만해의 포교관은 근대세계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부응, 불교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 통찰, 대중과의 소통을 통한 사회성의 회복 등을 모색하고 있다. 논자는 먼저 이 책의 정확한 성격과 포교를 중시하게 된 배경을 그의 개혁적인 사상의 특징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표적인 연구서의 성격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시도했다. 즉 당시의 국제정세와 국내 불교계의 현실 속에서 개혁과 포교가 지니는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유신론』에는 포교라는 항목이 별도로 설정되어 있었지만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였다. 이후 1931년 10월 ≪불교≫ 88호에 발표한 「조선불교의 개혁안」에서는 ‘경론의 번역과 대중불교의 건설’이라는 항목에서 포교에 대한 필요성이나 유관 내용을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 또한 1931년 8월 ≪불교≫ 86호에 실린 「불교 청년 총동맹에 대하여」<sup>1)</sup>라는 글에서도 ‘사회적 진출의 필요’를 포교와 연계해 강조하고 있다. 논자는 이상의 글과 여타 다른 자료를 참조하면서 만해가 지닌 포교관의 핵심, 포교의 방식, 포교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불교적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uddhist mission and its orientation described in Manhae’s “Joseon Buddhism Yushin the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Yushin theory”) of Manhae. Manhae's “Yushin theo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reform and rehabilit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anhae’s mission appearing in this book seeks a timely response to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world, fundamental insights into what Buddhism is supposed to be, and restoration of social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e writer first attempted to examine the exact nature of the book and the background behind its emphasis on missionary work from the characteristics of his reformist ideas. Therefore,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representative study. In other words, it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forms and missionary work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reality of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though the topic of missionary work was set separately in the “Yushin theory,” it mer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issionary work. Subsequently, in October 1931, “the Reform Proposal of Joseo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in the No. 88 issue of the Buddhism, detailed the necessity and related details of missionary work in the section titled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struction of Public Buddhism.” The article, “About the General Alliance of the Young People of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in the Buddhism’s August 1931 issue, also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Buddhist missionary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need for social advancement. Referring to the above articles and other materials, the writer tried to look at the core of Manhae's mission, the method of missionary work, and what Buddhist values he wanted to pursue through missionary work. Preaching mission is still an important topic for contemporary global Buddhism. As the society is getting more complex, the method of missionary work has to be realized through a very complex method. Experts point out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constantly communicate with the public by converging education, welfare and culture. Given that, the significance of missionary work claimed by Manhae does not end with problems in the past, but is still appealing.

      • KCI등재

        조계종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와 율장의 비교 고찰

        차차석 ( Cha Seuk Cha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본고는 250계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사분율』과 조계종의 <종헌,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비교 고찰하여, 그 문제점을 적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250계는 4바라이, 13승잔, 2부정, 30니살기바일제, 90바일제, 4바라제제사니, 100중학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고는 이들 조항 중에서 특징적인 조항이 지니는 현대적인 의미를 세세하게 밝히고 그 문제점을 설명했다. 이어서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의 종류와 특징을 나열하고, 평면적이지만 조계종의 징계제도를 율장의 해당된다고 생각되는 조항과 대비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물론 율장과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일률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과연 온당한 것인가 하고 반문할 수 있다. 현재의 조계종은 『사분율』에 의거해 구족계를 받고 있지만 그것은 형식적인 것이며, 그 정신만을 계승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정신을 계승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필요한 경우 새로운 규칙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시대환경이 과거와 달라졌다는 것은 새로운 계율의 제정이 필요한 이유이며, 부처님 역시 소소한 계율은 버려도 좋다는 말씀을 남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십분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규칙이나 제도를 만드는 경우, 그것이 불교의 근본정신을 침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세심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조계종의 종법에 나타난 징계제도를 율장과 비교해 살펴보았지만 대비해서 비교할 수 없는 것도 많았다. 시대상황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율장에서는 중벌에 해당하는 내용이 종법상의 징계제도에서는 가벼운 사안으로 처리된 것도 있다. 그러한 경우 율장이 제정된 의미를 되새겨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중대한 처벌 규정인 멸빈이나 제적, 내지 5년 이상의 공권정지 같은 경우는 불교의 정신과 합치되는 것인지를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율장 정신과 전혀 무관하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 이상의 도표에서 살펴보았듯이 바라이, 승잔, 니살기바일제, 바일제 등 다양한 율장의 항목이 두서없이 혼용되고 있다. 여기에 사회의 변화에 따라 행정절차와 소유에 대한 문제, 승단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요식이나 절차 등에 관한 조항들이 첨가되어 있다. 멸빈과 소유에 관한 문제는 율장의 정신과 정면으로 배치되고 있는 점이 많다는 점에서 역시 심각하게 재고해야할 사항이 아닐 수 없다. 조계종의 징계제도는 율장의 정신과 기타 필요한 사항들이 복합적으로 혼용되고 있다. 그런 만큼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절차상의 문제는 차치하고, 율장의 기본 정신을 잘 계승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우선 생각해 본다면 그 역시 생각할 여지를 많이 남기고 있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문제점을 몇 가지로 정리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무거운 징계에 해당하는 멸빈에 대한 문제점인데, 율장의 정신과 너무 어긋나 있다. 둘째 징계의 경중이 불교의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혼재되어 있어 조정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직권제적과 관련된 조항들은 율장에서 중시하는 절차를 무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호계원의 호계위원을 구성하는 문제이다. This paper aims to point out problems arising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buddhist traditional law in Vinaya Pitaka, especially the Four Divided Vinaya(四分律) and the law of the Jogye Order which is the largest traditional Korean buddhist sect, and to look for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250 precepts in the Four Divided Vinaya are composed up with 4parajika(波羅夷), 13samghadisesa(僧伽婆尸沙), 30nissaggiya pacittiya(尼薩耆波逸提), 90pacittiya(波逸提), 4patidesaniya(波羅提提舍尼), and 100sikkha karaniya(衆學). This paper explains in detail the meaning and problems today of especial some precepts in 250 precepts, and arranges the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iplinary punishment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and then tries to compare them with the traditional precepts in Vinaya Pitaka which may be thought to be correspond with them. As a result, this paper reaches such a point that the disciplinary punishment system of the Jogye Order has many problems. Of course, there might be an argument that It is not right to compare the disciplinary punishment system of the Jogye Order with the buddhist traditional law in Vinaya Pitaka by looking at only one side. Today, when one becomes a buddhist monk in the Jogye Order,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Four Divided Vinaya that he/she gets the full precepts(具足戒), but we may say that the getting the full precepts by the Four Divided Vinaya is a just symbol, it which one gets really is the spirit of Vinaya. In the point that we should keep a spirit of Vinaya, if necessary, we could legislate new precepts. Because the times and circumstances have changed, and Buddha also said that unimportant precepts could be changed. But, although we agree with that fully, in the case of when we legislate new precepts and systems, we must examine it closely that they are corresponding with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or not. This paper has tried to consider and compare with the law of the Jogye Order and Vinaya Pitaka, but there are many precepts which could not be compared directly due to the problem induced from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ircumstances. There are such cases that, although they are gross sins in Vinaya Pitaka,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they are perceived as being not important. In such cases, by considering the true meaning of Vinaya, we need to readjust the law. Especially, in such cases of important punishment rules as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滅?), the blotting a name(除籍), and the suspension of monk`s right over 5years, we need to consider fully that the rules are corresponding with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ism, or not. The punishment rule system of the Jogye Order has some relation with the spirit of Vinaya Pitaka. As we see, many different precepts as like parajika, samghadisesa, nissaggiya pacittiya, pacittiya, patidesaniya, etc appear in the law of the Jogye Order, mixed disorderedly, and added clauses as like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ownership induced from the changing of society, the requisite rules for the management to a monastic order. Because the rules on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 and ownership have many problems which run counter to the spirit of Vinaya Pitaka, we need to consider and readjust them carefully. From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points several problems as below. In the first, the rule on the excommunication of a monk goes against the spirit of Vinaya Ptaka. In the second, we need to readjust the law of the Jogye Order in which the spirit of buddhism does not come out clearly due to the disorder of a relative importance to the punishment. In the third, the rules relation to the blotting a name by one`s authority(職權除籍) ignores the rules of Vinaya Pitaka. In the last, the rules on the formation of member of the Board of Adjudication(護戒院) are problematic.

      • KCI등재

        震默一玉의 선사상과 그 연원 고찰

        차차석(Cha, Cha Seuk)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조선 중후기에 활동한 진묵스님의 법맥과 선사상의 특징, 그리고 사상적 연원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몇 단계로 구분해 파악하고 있다. 법맥의 경우 진묵스님은 휴정서산에게 닿아 있지만 그것은 당시 일반적인 불교계의 조류와 무관하지 않다. 혹은 후학들에 의해 휴정과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사상적으로 상통점이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묵스님의 선사상의 특징은 離 樂三昧와 楞嚴三昧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특히 능엄삼매는 송 대 이후 전개된 중국의 선사상과 깊은 관계가 있다. 그런 점을 고려한다면 진묵스님은 일반적인 선사상의 흐름에 편승하면서도 자신의 사상적 지평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진묵스님의 선사상은 이분법적 구별을 지양하고 우주와 자연, 너와 나를 하나로 인식하는 불이삼매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다시 세분해 고찰하면 진속일여, 이입과 행입의 일치, 평상심시도와 自家寶藏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 모두 남종선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가르침을 보다 철저하게 현실 속에서 구현하고자 한 것이 그의 선사상에 내재된 본질적 특징이다. 진묵스님은 선승으로서 깨달음의 세계를 구축했지만 그것은 실천적인 入世로 표출되고 있다. 민중들의 지지를 받고, 그의 삶 자체가 신화화되었다는 것은 불교적 가치를 현실 속에 구현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상징한다.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review dharmic genealogy of Master Jinmook, who lived middle and late Chosun Dynasty. Moreover, characteristics of his meditative thought and origin of his thought are also examined. My arguments briefl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it is said that dharmic genealogy of Master Jinmook is Master Seosan. However, it might be reflection of general tendency of that period. Most probably, this genealogy was invented by the ages to come. Though it is intellectu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at is why, it has also possibility. Second, dharmic characteristics of Master Jinmook are lirak(離樂)-samadhi and Neungum(楞嚴)-samadhi. Especially, Neungum(楞嚴)-samadhi is a deep relation with Chinese meditative thought, which spread out post-Sung Dynasty. It maintains he seems to be jumping on that period and organized his idea at the same time. Third, Master Jinmook sublatee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e did not divide between universe and nature, the subject and the object according to non-dualistic samadhi. In detail, there are ordinary mind is the way, the unitary between the mundane and the supramundane etc.. All these thought are descended from the Southern tradition in Ch'an school. Those ar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is meditative thought. Fourth, he is as Ch'an master, who was following his own enlightenment and displayed into practical engagement of the mundane world. The general populace supported him and his life is mythologized by them. It represents that he tried Buddhist value into the mundan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만해의 "대중불교론"과 그 교학 적 배경

        차차석 ( Cha Seuk Cha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만해의 대중불교론에 나타난 교학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내용을 압축 요약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가 주장한 대중불교론은 불교를 위한 불교나 사찰을 위한 불교가 아니라 대중을 위한 불교로 탈바꿈해야 한다는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불교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는 점을 전제하고 있다. 『조선 불교유신론』이래 발표한 다양한 기고문을 통해서 그가 주장하는 대중불교론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한 주장은 불성론과 원생보살사상에 의거하고 있다. 중생은 모두 평등하며,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간에 대한 애정이 사상적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면서 중생의 행복과 안락을 위해 세존이 인도 전역을 순례했듯이, 그의 제자들 역시 원생보살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대중불교론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으로 교육의 혁신이나 역경을 비롯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다양한 개혁안을 제시한다. 그의 대중불교론을 분석하면 마주하게 되는 화엄의 성기론이나 유마의 방편설, 「십현담주해」의 性相融會說 등은 인도의 불성론이 중국의 체용론과 결합해 생긴 논리들이다. 만해는 이러한 논리들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兩極을 초월해 어디에도 집착해선 안 된다는 무집착의 정신, 무집착의 원생보살사상은 不二論의 토대 위에서 전개된다. 空有와 性相, 本末과 주객을 초월해 자유자재로 생사에 출입하고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의 모습이 여기에 나타나 있다. 만해의 대중불교론은 구체적으로 1931년도에 기고한 「조선불교의 개혁안」에서 주창되었지만, 이미 1913년에 간행된 『조선불교유신론』에 그 단초가 보이고 있다. 또한 그의 대중불교론은 전통적 가치가 현대의 자본주의적 가치에 비해 열세인 점, 불교가 대중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인식 등에서 아직도 여전히 강한 호소력을 지니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doctrinal background of Manhae`s view of Buddhism for Masses. He argued in his various writings that Buddhists are not to serve for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but for masses. He had revealed the view in his writings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seminal Essay on Restoration of Korean Buddhism based on the doctrine of Buddha nature and the concept of vow-generating bodhisattvas. Because all sentient beings are equal in value, they deserve to be respected equally and without exception. He emphasized that just as Sakyamuni Buddha travelled across India for benefitting and comforting sentient beings, his disciples also should become vow-generating bodhisattvas for this mundane world in suffering. He presented various ways for reforming education system, translating scriptur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masses in order to concretely implement his view of Buddhism for Masses. He properly utilized in his view of Buddhism for Masses Huayan Buddhism`s Theory of Nature Origination and Theory of Harmonization of Nature and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combination between Indian Buddhism`s theory of Buddha Nature and Chinese Buddhism`s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He also used in his view non - dualism with which Buddhists should not attach themselves to various extremist views. He, based on non - dualism, idealized the vow - generating bodhisattvas who do not attach themselves to extreme views. In his view, Bodhisattvas are supposed to save sentient beings, freely getting away from and entering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and transcending dichotomy between emptiness and existence, nature and characteristics, the original and the derivative, subject and object. Although he definitely proposed the Buddhism for Masses in his Proposal to Reform Korean Buddhism in 1931, we can see the sprout of his ideas on the Buddhism even in his earlier Essay on Restoration of Korean Buddhism in 1913. This author thinks that his view of the Buddhism is still strongly appealing to current Korean Buddhists because traditional virtues of Korean Buddhism cannot compete with those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in many ways.

      • KCI등재

        생명불교현양운동론

        차차석(Cha cha-seuk) 한국불교연구원 2007 불교연구 Vol.26 No.-

          The present writer inquired into both the Buddhist’s attitude and avow to establish the ideology for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and the theories to explain life Buddhism and its doctrinal basis. Consequently, we could know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practicing of the great compassion(無緣慈悲) itself and displaying the Buddha-nature. As we saw through this paper, however, the assertion that we should make life Buddhism be widely known doesn’t merely appear in these days. It is what a number of Buddhist thinkers had insisted throughout Buddhist history in India. Therefore, we can say that Chinese Buddhism had also tried to exalt life Buddhism and so did Korean Buddhism.<BR>  However, a previous movement of life Buddhism either was limited partially or couldn’t develop into a well-organized campaign continuously. Although the social and popular move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also can’t say that it has no connection with life movement, it reveals limits of unsystematic and sporadic.<BR>  Reflecting on these points, the present writer is eager to assert that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must not stop just as a slogan and it should systematize or sublimate into the social movement or the religious one. It is sure we can’t say that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able to succeed under the social recognition or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temple like nowadays. It needs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and have to establish the energetic structure systematically to accomplish it. If it’s possible, the present writer would like to say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the most suitable as a Buddhist value that can lead the Buddhist campaign of the 21th century. Desiring to turn Korean Buddhism expansive, therefore, I am willing to recommend Buddhism of exalting life as a basic agenda for the Korean Buddhist campaign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천태 四悉檀의 사상적 특징 고찰

        차차석(Cha, Cha-seuk)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2 No.-

        천태 사실단의 구조와 사상적 특징에 대해 『법화현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천태는 十重으로 사실단을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은 『대지도론』에서 주장하는 사실단의 내용과 다르게 인식하는 것이다. 둘째 천태가 생각하는 사실단의 핵심은 부처와 중생의 관계성이 무엇인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중생의 근기와 성품, 欲樂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으며, 그것이 感應의 관계 속에서 자비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천태는 사실단을 활용해 敎觀兼修의 필요성과 圓融性을 주장하고 있다. 넷째 천태는 사실단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互具互融이나 四句의 논리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천태가 활용하고 있는 사구논리는 매우 주체적이고 자의적이란 점에서 동시대 혹은 그 이전 시대에 활용한 삼론사상가들의 변증적인 사구분별과 다르다. We can understand the system and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the four siddhanta(四悉檀) explained by Tiantai(天台) in the propound meaning on the Lotus sutra-sastra as below. Firs, Tiantai explains the four sddhanta using the notion of sibjoong(十重). This means that Tiantai understood and explained the four siddhanta as the Buddha's teaching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otion of four siddhanta in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Secoud, the key-point of the siddhanta understood by Tiantai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 and human beings. So, he emphasizes the differences of human beings like their fundamental abilities, personality, and wants, and he understood the four siddhanta as the method to embody compassion in the relation of the divine respons. Third, Tiantai holds the complete combination(圓融) and the need of the unity between the learning of Buddhist doctrines and the meditation practice(敎觀兼修) using the idea of the four siddhanta. This shows that Tiantai holds the unity between the learning tradition in the south part of China and the zen tradition in the north part of China at that time. Fourth, Tiantai applies the logic of hoguhoyung(互具互融) and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四句分別), when he analyzes the notion of the four siddhanta. However, his logic system of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 shows the different features of the dialectical logic of the Sanlun logicians in Tiantai's former times on the point that the notion of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 by Tiantai is very independent and subjectiv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