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지역 통일신라~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차인국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20

        통일신라시대 평기와 연구는 삼국과 고려시대에 비하면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마저도 분석속성에 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대부분 통시적인 관점에 치중해 지역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글에서는 전북지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고려시대 평 기와의 특징 및 변천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기와제작공정을 바탕으로 기존의 평기와 속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중 9가지를 선별하였다. 분석은 전북지역 출토 평기와 중에서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기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평기와는 통일신라~고려시대로 이행되면서 타날판은 단판→중판→장판으로 길어지며, 이에 따라 선호하는 문양도 선문·격자문→어골문·복합문으로 변화되는 것을 파악하였다. 수키와는 토수→미구 기와로, 타날면 형태는 각짐→둥금, 상단부는 정면· 무정면→정면, 내면 조정은 무조정·깎기→물손질, 와도질 방향은 내측으로 정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와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길이 39cm, 두께 2cm 이상으로 커지 며, 모래 건조흔이 간혹 확인되다 정면으로 인해 사라지는 것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기본적으로 기와 수요의 증가, 사회적 요인, 기와 제작의 용이성, 경제적 효율성, 미적인 표출을 통한 장식적 요인, 유수와 관련된 기능적 요인이 상호작용한 것 으로 판단된다. Studi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rare compared to those Three Kingdoms and Koryo Dynasty. And even that studies did not examined thoroughly in terms of analytical attributes and most of them gave undue value on diachronic views, resulting as lack of consideration about regional difference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features and transitions of plain roof-tiles from Unified Silla to Koryo dynasty found in the Jeonbuk region. In order to do this, I looked through the existing attributes of plain roof-tiles based on traditional roof-tile production process and sorted 9 types from them. I chose plain roof-tiles found in the Jeonbuk region which their production period is recognizable.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paddle board gets longer following ‘short→middle length →long’transition as time goes by from Unified Silla to Koryo dynasty. And following this, the preferred pattern transition is ‘linear,lattice→herringbone, complex’. For Convex roof-tiles, basic shape transition is ‘Tosu roof tiles→Migu roof tiles’, their paddled side’s shape transition is ‘angular→round’, and their upper part transition is ‘ both trimming and non-trimming→only trimming’. In addition, their inner side modifying transition is ‘non-modifying, shearing→water trimming’, and direction of roof-tile cutting becomes mostly inner side. Also, roof-tile becomes larger to 39cm long in average and thicker than 2cm, and sand drying traces are sometimes found in the early times but disappear later due to trimming. These transitions appeared from interactions between the social factors, convenience of roof-tile producing, economic efficiency, ornamental factor based on aesthetic expressions, and functional factor related with flow of rainwater, which basically derived from the increased demand for roof-tiles. And these transitions can be categorized from Phase I to PhaseV.

      • KCI등재

        완주 봉림사지 기와의 변천과 후백제

        차인국 호남고고학회 2020 湖南考古學報 Vol.64 No.-

        후백제는 통일신라시대 후기부터 최소 37년 이상 존속한 나라이지만, 그에 대한 고고학적 성격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후백제의 여러 물질자료중 평기와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후백제의 왕실사찰로 비정되는 완주 봉림사지 출토기와를 분석하여 변천양상을 파악하고, 후백제의 기와를 특정하였다. 그 결과 봉림사지의 기와는 4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1기는 후백제가 등장하기 이전인 7세기 후반~9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기와의 특징으로는 단판과 중판 타날판, 내면하단부 깎기조정을 들 수 있다. 2기는 9세기 중반에서 10세기 초반이며, 후백제의 존속시기와 일정부분 일치한다. 이 시기의 기와는 ‘장판타날판+내면하단부 無조정’, ‘장판타날판+내·외측 와도질’이 표지적이며, 그 밖에 내면하단부 깎기조정과 와도질 방향의 양쪽 외측, 혹은 양쪽 내측도 가능하다. 3기는 후백제멸망 이후인 10세기 중반~12세기 후반으로 기와는 ‘토수기와+내면하단부 물손질조정’이 특징적이다. 4기는 경복궁에서 출토된 기와의 문양과 비교하여 조선시대 전기로 추정하였는데, 미구기와가 토수기와를 대체하며, 내면하단부에는 물손질조정이 계속된다. 이중 후백제 기와는 유물의 시·공간적 배경을 토대로 2기에 해당하는 모든 기와를 상정하였는데, 일부 문양은 후백제의 또 다른 유적으로 알려진 전주 동고산성과 광양 마로산성 출토품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1기의 기와는 후백제가 등장하기 이전에 제작된 것이나, 전주 동고산성의 기와양상과 비교하여 후백제에 의해 (재)사용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평기와 제작흔의 실험고고학적 연구

        차인국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7

        평기와 제작방법은 매우 전통적으로 그 일부는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평기와 연구는 현재의 기와제작공정에서 출발해야 하며, 실험고고학적 방법 등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평기와 연구는 지금까지 많은 성과가 집적되었지만, 일부 속성의 경우 연구자간에 이견이 있다. 대표적인 논쟁으로는 사절흔과 포목흔에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평기와에서 관찰되는 여러 속성 중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사항을 실험고고학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사절흔과 포목흔 등의 형성배경을 추정해보는 등 제작흔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그간 사용해온 용어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또 지금까지 평기와의 연구 속성으로 검토된 바 없는 하단부 건조흔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추후 평기와 연구에 있어 재검토해봐야 할 속성 중 하나인 문양과 전면 와도질흔이 확인되는 기와의 용도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roduction methods of plain roof tiles have a very long tradition, and some of these traditional methods are still practiced. Therefore, the study of roof tiles has to begin by studying modern production methods of roof tiles, and various approaches, such as experimental archaeology, are requir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undertaken on plain roof tiles until now, and some of their attributes have been the focus of debate between scholars adopting opposing views. One of the debates has been on the dividing traces and textile traces found on roof tiles. Therefore,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current arguments on these plain roof tile attributes and presented my own opinions based on experimental archaeological research. As a result, a basic understanding of these production traces was increased, for example by reconstructing the formation processes of dividing and textile traces. The problems inherent in the terminology used were also reviewed. I also investigated the drying traces found on the lower sides of roof tiles, which previously had not been studied as an attribute of roof tiles. Finally, I also considered the function of patterned and (upper side) divided roof tiles, a topic that should be reviewed in further studies on roof tiles.

      • KCI등재후보

        임실 월평리산성 출토 기와 연구

        차인국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건지인문학 Vol.- No.38

        이글은 임실 월평리 산성에서 출토된 기와를 대상으로 편년과 제작주체를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에는 인장와를 비롯해 다수의 평기와가 출토되었다. 인장의 내용은 ‘上’, ‘下’로 7세기를 전후하여 백제 중앙세력의 공급처와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평기와는 선문의 비율이 높은 가운데, 승문은 문양과 통보 중 둘 중 한 곳에만 사용되는 특징이 있었다. 차륜문 수막새는 접합기법과 공반유물 등으로 미루어 백제와 관련된 유물로 상정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는 8세기 초반 이후에 기와가 제작되었는데, 중판타날판을 대표로 하며, 기와의 수량은 다른 시기보다 다소 적은 편이다. 9세기 중반부터는 장판 타날판으로 기와가 제작되는 시기인데, ‘大中三年’명(849년)기와 및 주변에서 출토된 기와와의 문양을 비교하여 월평리 산성에서도 9세기 중반경부터 장판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종선문에 격자문이 부가된 문양은 완주 봉림사지 출토품과의 연관성을 통해 후백제와의 관련을 상정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ge of the tiles excavated from the fortress in Wolpyeong-ri, Imsil, and the subject of product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 number of flat tiles, including the seal, were excavated. The contents of the seal were considered to be "upper" and "lower" and related to the supply source of the central power of Baekje around the 7th century. While the ratio of Seonmun was high in Pyeonggi, Seungmun was characterized by being used only in either pattern or notification. The Sermakbird of Chaerunmun Gate was assumed to be a relic related to Baekje based on the bonding technique and the relics of Gongba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roof tiles were produced after the early 8th century, representing the middle plate tile plate, and the number of roof tiles is somewhat smaller than that of other periods. From the mid-9th century, roof tiles were manufactured with floor tiles, and by comparing the patterns of the 'Three Years' era (849) and the tiles excava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it was believed that the floorboards were used from the mid-9th century in Wolpyeong-ri fortress. The pattern with a lattice door attached to the Jongseonmun Gate was assumed to be related to Hubaekje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excavated products of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 KCI등재후보

        제주도 기와의 출현 시점과 특징 – 원당사지와 수정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

        차인국 한국기와학회 2020 한국기와학보 Vol.2 No.-

        이글은 제주에 기와가 출현한 시점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와에서 시간을 반영하는 속성을 검토하고, 제주도에 적용이 가능한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제주도 기와 사용처 중 에서 공반유물을 통해 수정사지와 원당사지가 이른 단계의 유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두 유적에서 출 토된 기와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을 추출하여 제주도 기와의 출현 시점으로 파악하였다. 첫 번째는 세판형식의 연화문수막새이며 꽃잎의 수는 15엽~29엽으로 다양하다. 꽃잎의 형태는 직선 형과 유선형으로 구분되나 동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세판 연화문수막새는 통일신라시대부터 제작되는데, 나말여초기 전국적으로 유행하는 형식이다. 두 번째는 화문암막새로, 중앙에 연봉을 배치하 고 양옆으로 꽃잎이 표현되었다. 꽃잎은 독립된 줄기를 가지는데, 이러한 문양의 표현방식은 영월 흥녕선 원지 암막새와 동일하다. 흥녕선원지 막새기와의 제작시기는 나말여초기로 추정된다. 세 번째는 권운문 암막새이며 중앙에 보주형 장식을 두고, 양옆으로 권운문이 표현되었다. 이 문양은 안학궁 출토 권운문암 막새와 가장 유사한데, 나말여초기 중원지역에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가 등장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일 것이다. 이상의 막새기와는 육지에서 나말여초기로 편년되었으나, 제주도의 경우 지리적인 여건을 감안하여 10세기 중반에서 10세기 후반으로 설정하였다. 평기와는 세판연화문형식이 부가된 문양을 막새와 동일 시기로 파악하였다. 그 밖에도 토수기와, 하단부 깎기조정, 사격자문 등의 속성은 막새기와와 비슷한 시 기로 소급할 수 있는 평기와의 전제조건일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rasp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Jeju Roof tiles. To this end, first, the attribute reflecting time in the tile is reviewed, and whether it is applicable to Jeju is discussed. Next, it was found that Sujeong temple site and Wondang temple site were in early stages through on the law of association relics among the places where tiles were used in Jeju. Therefore, among the tiles excavated from the two sites, the earliest tiles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the emergence tiles of Jeju. The first is a narrow petals type of convex tiles Lotus Design, and the number of petals varies from 15 to 29 leaves. The shape of the petals is divided into straight and streamlined,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was produced at the same time.Narrow petals type of convex tiles Lotus Design is produced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is a form that is popular nationwide in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The second is Floral design Concave eave-end roof tiles, with a mountain peak in the center and petals on both sides. The petals have an independent stem, and the way of expressing these patterns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cave eave-end roof tiles in Heungnyeongseonwonji, Yeongwol. The production period of Roof-end Tiles at Heungnyeongseonwonji is estimated to be in the early days of Namal. The third is a gwonunmun Concave eave-end roof tiles, with an orb-shaped ornament in the center, and two cirrus gates are expressed on each side. This pattern is similar to the Gwonunmun Concave eave-end roof tiles excavated from Anhak Palace, but it is in a similar context to the appearance of the Goguryeo family convex tiles Lotus Design in the middle of the early Namalyeo period. Although the above-mentioned Roof-end Tiles was in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on land, in the case of Jeju Island, it was set from the mid-10th century to the late 10th century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conditions. In Roof-Tiles, the pattern to which the Narrow petals type Lotus Design was added was identified as the same period as Roof-end Tiles. In addition, attributes such as water jetting machine, lower part cutting adjustment, and shooting advisory will be prerequisites for a Roof-Tiles, which can be retroactive to a similar period to that of Roof-end Tiles.

      • KCI등재

        호남지역 고려시대 기와 가마출토평기와연구

        차인국 중앙문화재연구원 2017 중앙고고연구 Vol.0 No.22

        고려시대 평기와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문양 및 제작기법에 관한 성격이 어느 정도 규명되었다 그러나 세부적인 속성과 이들의 변화시 점에 대해서 이견이 있는데 검토된 자료가 주로 수량이 부촉한 연호명 기와 및 층위적으로 불안정한 건물지 출토품이기 때문에 야기된 문제로 생각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층위적으로 안정적인 가마에서 출토된 자료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기와의 제작연대는 가마의 14C와 고고지자기연대측정 질과를 수용하였는데 측정연대의 비교와 기존의 고고학적 성과를상호 검토하여 절대연대의 활용이 가능하다논 것을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검토한 질과 평기와 문양과 융철흔은 시간성을 반영한다는 기존 견해에 재고가 필요하며 수키와종류와하단부 조정방법은 과도기가 긴 속성임을 알수 있었다 비 슷한 형태의 문양이 각기 다른 유적에서 확인된 것은 와공이 소비지로 이동할 때 제작도구는 현지에서 조달하였을 가능성과복수의 가마에서 한곳의 수요지로 공급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방대한종류의 문양과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되는과도기가길고 지역적으로변화시기가상이한점을통해고려사회의 기와생산과 공급에 대한통제는 세부적인 제작기법까지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Previous studies have illuminated the patterns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Korea dynasty plain roof-tiles. In contrast, debates about the detailed properties and their change point in time remain unsettled. This is partly due to the limitation in data, where the majority come from buildings with unclear strati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features of the plain roof-tiles from kilns, where the artifact dates(stratigraphy) are relatively clear This study uses AMS and archaeomagnetic dates of the kilns for examining rooftile production dates‘ Through comparing the two dating methods and existing arεhaeological results, the possibility of using absolute datε:s for research like this was substantiated The res비 ts show that the argument that the patterns and the wheel-shaped marks (Yoonchul-heun; a traε:e made by binding something around the tile) on plain rooftiles reflect the production dates need to be revisited, and that the typological changes in convex roof-tiles and the changes in the modifìcation methods in bottom-part go through a long transitional period. Similar patterns on roof-tilε:5 are found across different sites. This possibly indicates that when a roof-tile producer was sent to a certain consumption region, the producer used the production equipment from the dispatched region, and that a single consumption region received the roof-tiles from multiple kiln sltes‘ Based on the wide range of variation in the patterns on plain roof-tiles and the long transitional period for the ch an ges in roof- tile production metho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trol system of the roof- til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Korea Dynasty (9 18-1392 CE) did not reach the details of produc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