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성교육 실태 및 부모의 요구 분석

        차세진,황순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needs of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a way to support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3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tatus and needs of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home and institution. Results: The method to support sex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xamined according to status and needs. First, th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status was as follows: (1) the active and proactive sex education, (2) the parental sexual knowledge and awareness check and retraining, and (3) the diversity of sexuality education content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The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needs was as follows: (1) providing parent education by classify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tic disorders, (2) adding educational content on improving interpersonal and sexual self-determination, (3) developing evidence-based sexuality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4) sexuality education professional lectur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ort the sexuality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develop related program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여 발달장애학생 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발달장애학생 부모 123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학생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를 가정과 기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 성교육 실태와 요구 분석에 따른 논의 중, 실태에 따른 지원방안은 (1) 적극적이고 선행적인 성교육 제공, (2) 부모의 성 지식 및 인식 점검 및 재교육, (3) 발달단계에 적합한 성교육 내용의 다양화로 나타났다. 그리고 요구에 따른 지원방안은 (1)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를 구분하여 부모교육 제공, (2) 대인관계 및 성적자기결정권 향상에 관한 교육 내용 추가, (3) 증거기반의 성교육 교재 교구 개발, (4) 장애특성을 이해하는 성교육 전문강사 양성 및 배치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 성교육을 지원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일탈된 성 행동 경험이 있는 지적장애 여성의 인지․심리 특성 분석

        차세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총 Vol.3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탈된 성 행동을 개인의 삶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성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일탈된 성 행동 경험이 있는 지적장애 여성의 인지․심리 특성을 분석하여 근거기반의 중재로서 성교육, 인지행동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근거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3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반복된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 3명의 파트너와의 사이에서 4명의 자녀를 출산한 30대 여성, 배우자의 내연녀와 옆집에 살고 있는 40대 여성 등이다. 인터뷰는 1인당 3~4회씩, 1회당 42~87분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체 녹음 및 전사한 후, 연구자가 유의미한 범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인지 특성은 성 인지적 특성과 관계 인지적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성 인지적 특성은 ‘일탈된 성 행동 경험에 근거한 제한적 성 지식’, ‘남성 중심의 왜곡된 성 태도와 고정관념’, ‘섹슈얼리티의 추구와 일탈된 성 행동 경계에서의 갈등’으로 도출되었다. 관계인지적 특성은 ‘친밀한 관계에 대한 이해와 교정의 어려움’, ‘타인 의존형 문제해결’로 도출되었다. 심리 특성은 ‘사회적 통념과는 차이가 있는 가치기준’, ‘타인과의 소통욕구와 사회적지지’, ‘나와 타인에게 공감 없는 무덤덤함과 우울감’으로 도출하였다. 결론: 평생교육을 통한 생애주기별 성교육 제공, 소통을 기반으로 한 장기간의 사회․정서적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defined deviant sexual behavior as ‘various sexual behaviors that degrade an individual’s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d of deviant sexual behavior and provide them as evidence for preparing sex educ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measures.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participant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woman in her 20s who has experienced repeated sexual violence, a woman in her 30s who gave birth to 4 children with 3 partners, and a woman in her 40s who lives next door to her spouse's mistress. Interviews were conducted 3 to 4 times per person, lasting 42 to 87 minutes each. After the interview data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meaningful categories. Resul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s in this study,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gender-sensitiv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cognitive characteristics. Gender-sensitiv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limited sexual knowledge based on experiences of deviant sexual behavior’, ‘male-centered distorted sexual attitudes and stereotypes’, and ‘conflict on the border between the pursuit of sexuality and deviant sexual behavior’. Relational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correcting close relationships’ and ‘solving problems dependent on 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value standards that are different from social norms’, ‘desir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social support’, and ‘calmness and depression without empathy for myself and others’. Conclusion: Provision of sex education for each life cycle through lifelong education and long-term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based on communica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 및 영향요인 분석

        차세진,황순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 공동체 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자, 장애대학생에 대한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P대학의 비장애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학업활동에 대한 태도 평균 4.16점, 일상생활 태도 평균 3.66점, 전체 태도 평균 3.86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함께 강의를 수강한 횟수가 1회일 경우에는 부적상관이, 11회 이상일 경우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비장애대학생의 태도에 대한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은 함께 강의를 수강 한 경험이 11회 이상일 경우로 나타났다. 빈번하게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경험 속에서 학업을 매개로 하는 긍정적인 대인관계와 교류활동 촉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공동체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0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5 points scale and total 30 item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ttitude of learning activities was 4.16, the average of daily living attitude was 3.66, and the total average attitude was 3.86.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lectures taken together(once - negative correlation, 11 times more -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Frequent experience of taking classes together of lecturing together encouraged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xchanges through academic activity. Therefore, this shows that it positively influences community formation

      • KCI등재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 분석

        차세진,황순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초등부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초등부 직업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지원체제, 실시체제에 대한 문항이 자유응답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어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설문지는 부산·경남지역 13개 특수학교에 총 157부가 발송하였으며 127부(80.8%)를 회수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목표와 내용에서 직업체험과 탐색영역에 대한 요구가 다수를 이루었으며, 방법은 직접체험에 대한 내용과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의 개발에 대해서 많은 의견이 수렴되었다. 그리고 평가는 누가기록을 통한 평가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지원체제에 대해서는 교육과정적 지원 및 인적지원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실시체제는 지원체제와 마찬가지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을 포함한 기타사항 등에 대한 요구들이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rvey teachers vocat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n special school.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on the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tudents in the 13 special schools located in Pu-San and Kyung-Nam and the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these schools. The survey covers 6areas-aim, contents, method, evaluation, support system, practice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11 questions on its importance (giving a importance rank to each item ) and 6 open questions on demand (free writing). For the survey data, the questions were analyzed in the from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erm.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Regarding the matters of demand, the largest demand of teachers was about curriculum and program, found in the understanding/development of students’interest, talent and capability,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nd observation evalua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systematic execution of education design for individual traits is required for vocational education in the stage of carrier development.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모듈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차세진 ( Cha Se-jin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균형잡힌 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모듈형으로 개발하고, 타당도와 양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지적장애학생 요구 조사, 전문가 집단 델파이 조사(2차), 특수교사 양호도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와 구조 타당도 모두 전체 평균 4.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급내상관계수도 .900(p<.001)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다만, 구조타당도의 켄달계수가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양호도는 전체평균 4.45이상이며, 전체 세모듈이 놓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대모듈 4개, 중모듈 7개, 소모듈 14개, 세모듈 29개(신체구조와 기능, 2차 성징(여자, 남자), 신체청결, 속옷청결, 자위, 생리, 공간적/신체적 경계, 신체적/언어적/시각적 성폭력, 데이트 폭력, 성매매, 음란물, 디지털 성범죄, 연인관계 맺기, 데이트 기술, 연인관계 끊기, 자립, 결혼, 가족, 청소년의 성관계와 자기결정, 성관계, 피임, 임신과 태아성장, 출산과 육아, 남녀의 차이와 차별, 성적 다양성)로 구성되었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 또는 부분을 실제 특수교육 장면에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in a modular format to support the balanced sexual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t tri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sability. To this end,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eeds survey, expert group Delphi survey (2nd round), and special teacher usability survey were sequentially conducted. As a result, both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program were above 4.60 points on the overall average. The Intracorrelation coefficient also showed high reliability with over .900(p<.001). However, the Kendall coefficient of structural validity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or showed low concordance. The usability is above the overall average of 4.45 points. And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ree modules. The program finally developed was 4 large modules, 7 medium modules, 14 small modules, and 29 small modules: physical structure and function,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female, male), body cleanliness, underwear cleanliness, masturbation, menstruation. spatial boundaries, physical boundaries, physical/verbal/visual sexual violence, dating violence, prostitution, pornography, digital sexual crime, forming a romantic relationship, dating skills, breaking off a romantic relationship, self-reliance, marriage, family, sexual relations and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sexual relations, contraception, pregnancy and fetal growth, childbirth and care, gender differences and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diversity. Finally,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at applies all or part of this program to the actual special education scene.

      • KCI등재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차세진 ( Se Jin Cha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 157명, 부모 137명을 대상으로 직업교육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지원체제, 실시체제 등의 직업교육과 관련된 6개 영역에 대하여 중요도와 요구도가 어떠한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중요도에서는 특수학교초등부 교사와 부모 집단간에 목표, 지원체제, 실시체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초등부 직업교육에 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도에 관한 인식에서는 교사-직업교육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부모-학교ㆍ가정간 연계에 대하여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의 주요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vocat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n special school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demand of parents as well as teacher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on the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tudents in the 13 special schools located in Pu-San and Kyung-Nam and the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these schools. The survey covers 6 areas-aim, contents, method, evaluation, support system, practice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11 questions on its importance and 6 questions on demand.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the largest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its aim, support system and practice system.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e major issues in these areas was private safety skills, understanding/application of interest, talent, capability of students,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nd observation evaluation. Second, regarding the matters of demand, the largest demand of teachers was about curriculum and program while that of parents was about the tie between school and family. The common demand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as found in the understanding/development of students’ interest, talent and capability,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nd observation evaluation.

      • KCI등재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장애인평생학교 교육과정 구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차세진(Cha, Se-jin),황순영(Hwang, Soon-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장애인평생학교에서 5년간 특수교사로 근무하며 겪은 교육과정 구성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의 방식으로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 경험의 탐색은 발달장애인 법 제정으로 인해 장애성인 평생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 구성을 시도하는 현시점에 중요한 실천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 예상한다. 탐색의 결과 성인으로서 행복과 즐거움을 스스로 찾도록 하는 ‘교양있는 어른 학교의 교양있는 교육과정’, 직업ㆍ성(性)ㆍ생활기술 교육을 통해 현실로 직면한 독립ㆍ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독립된 성인으로서의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과정’, 장애인 중에서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학교의 교육과정’이라는 3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제언으로는 장애성인 평생교육 제공인력의 교육과정 구성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강화, 장애성인 평생교육에서의 시민참여교육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xperiences conduct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ive years in a lifelong schoo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utoethnography method. The exploration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practical evidence for construction of a new curriculu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rived Cultured curriculum at liberal adult schools to find happiness and pleasure as adults,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as an independent adult’ to support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through job, sex, and life skills education, and ‘Lifelong school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reflects the specific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ould propose training to enhance the creation of a curriculum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vid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activation of a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 KCI등재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지원방안 탐색

        황순영,차세진,이후희,이연희,조두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4 No.1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grade distribu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academic warnings, a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actual grade distribution and academic warnings of all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nine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over three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eigh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in-depth to derive the factors of influenc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highest grad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the 2 point range(46.0%). By variable, the grade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ere the highest. During the five semesters, the average academic warning rat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6.6%. The variables that received the most academic warning were male(8.7%), second-grader(8.0%), natural college(9.2%), and developmental disability(14.1%). Factors affect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include difficulty in academic performance by disability type, lack of learning and testing strategies, and low level of motivation. External factors are autonomous academic management, adaptation of professors, and adaptation to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ropos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basic education, improve the PCP(Person-Centered Plan) for RTI(response to intervention), and re-establish the role of the center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성적분포, 학사경고 실태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개인 내‧외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4년제 대학 9개교에 재학중인 전체 장애대학생의 3개년에 걸친 실제 성적분포 및 학사경고 현황을 조사‧분석 하였다. 그리고 8명의 장애대학생을 심층면담하여 질적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성적은 2점대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변인별로는 사범대학, 시각장애학생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났다. 5학기에 걸친 장애대학생의 평균 학사경고율은 6.6%였으며, 학사경고를 가장 많이 받은 변인은 남자(8.7%), 2학년(8.0%), 자연대학(9.2%), 발달장애(14.1%)이었다. 장애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되며, 내적요인은 장애유형별 학업수행의 어려움, 학습 및 시험전략의 부재, 낮은 동기수준이며, 외적요인은 자율적 학사운영, 교수자 적응,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적응이다. 결론: 기초학력 준비도 향상 교육, 중재반응 차원의 개인중심계획 지원,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역할 재정립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