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전의 상징경관으로서의 ‘푸른 산’ - 산림녹화정책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진종헌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4

        landscape of ‘green mountain’, constructed by nation-wide campaign of forest greening since the late 1960s, was symbolic landscape of development. It was represented as a national landscape, in that all the members of the nation have generally agreed on the virtue of the forest greening. The authoritative Park Jung-Hee regime as a developmental state at that times implemented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project through the huge transformation of natural landscape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architectural landscape in urban and industrialized areas. Nationalism implied in forest greening policy was strengthened with the change of tree planting plan in 1972. Represented image of green mountain was a landscape of moral geographies whose values and necessity can not easily be challenged. However, the case study of Jeju landscape shows how the homogeneity and the innocence implicitly assumed in the image of green mountain have symbolically been denied and disrupted. 범국민적 산림녹화 프로젝트에 의해 만들어진 ‘푸른 산’경관은 ‘발전(개발)’의 상징경관(symbolic landscape)이다. 동시에 ‘푸른 산’은 민족구성원 모두가 염원하는 근대화과제로서의 산림녹화의 가치를 절대시하는 일종의 민족경관(national landscape)으로 재현되어 왔다. 발전(주의)국가로서 1960년대와 70년대 한국의 박정희체제는 한편으로는 도시 및 산업경관의 급속한 건설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경관의 근본적 개조를 통해 발전의 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했다. 1972년 산림정책의 변화와 함께 산림녹화정책의 내셔널리즘이 한층 강화되었다. 재현된 푸른 산은 그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누구도 쉽게 문제제기할 수 없는 일종의 도덕지리적 경관이었다. 그러나 제주의 사례에서 산림녹화정책의 상이한 귀결은 위와 같은 도덕적 상징경관으로 재현된 푸른산 이미지에서 암묵적으로 가정된 동질성, 균질성, 순결성을 부인, 해체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 KCI등재

        공단입지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한 주민의식연구 - 서산시 대산읍을 사례로 -

        진종헌,정석호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4

        The paper critically examines how location of industrial complex had an impact on Daesan community. Especially the author focuses on the residents's opinions survey on the ongoing industrialization of Deasan region rather than official data analysis and quantitative methods. According to the survey analysis, first, residents in Deasan-up seriously recognize the negative impact, particularly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 region of industrial complex as well as positive effects. Second, respondents?opinions were shown differently according to its residential areas. Third, as many firms have been located and population were migrated into the region,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became diversified. Therefore, respondents?opinion were also differentiated by job classification, which implies the dissolution of the homogeneity of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공업단지가 입지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 공업화에 의해 나타난 지역의 변화를 주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산읍의 주민들은 지난 20여 년간 공단의 입지에 따른 긍정적 효과뿐만 아니라 부정적 영향, 대표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지역에 오래 거주한 농수산업 중심의 고령층 원주민들이 공단입지에 따른 환경파괴에 가장 비판적 인식을 갖고 있는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민들의 반응은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공단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독곶리 등에서 비판적인 견해가 많이 나타난 반면에 공단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인 견해가 많아졌다. 셋째, 기업이 입주하고 외지에서 인구가 유입되면서 지역사회의 인구구성도 다양해졌다. 지역문제와 지역발전방향에 대한 주민들의 견해도 직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지역사회의 동질성이 해체되어가고 있음을 말해 준다.

      • KCI등재

        순천만 국가정원을 향한 문화지리학의 시선

        진종헌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비판적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순천만 국가정원은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상징경관이고, 공적 공간이며, ‘진정한’ 장소를 지향한다. 상징 경관으로서의 순천만 국가정원은 나라별정원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정 원은 아름답고 조화로운 풍경을 넘어서, 특정한 역사시기와 지역 및 국가의 문화적 정체 성을 표현해 왔다는 의미에서 상징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순천만 국가정원은 공적 공간으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국가정원은 공원이나 광장과 같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전형적인 공적 공간은 아니지만,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 고 문화의 한 부분으로 포섭해 온 긴 역사’에 대해 배우고, 감상하고 체험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순천만국가정원은, Relph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하게 만들어진 장소와는 거리 가 멀고, 오히려 디즈니화된 가짜 장소에 가깝다. 그러나 국가정원은 순천이라는 장소의 내향적이고 고유한 역사에 기반해 고유의 전통과 문화 및 환경을 단순히 계승하는 것을넘어서 세계-국가-지역의 중첩된 장소스케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국적 문화의 일부로 서 순천의 새로운 장소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매개체 즉, 일종의 상징경관이다.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ree key words from the view of cultural geography. The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public space, and reaches forward to ‘authentic’ plac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s symbolic landscape is well shown in the section of ‘The Gardens by Countrie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in that it has represented cultural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or state and of a certain historical period beyond beautiful and harmonious scenery. The Garden as public space intends to promote the public good (or interest). Though the Garden is not a typical public space as a square or public park (open to anybody), it is definitely a space in history. During this historical space we can learn, appreciate, and experience a virtue of nature, and eventually embrace nature as a part of culture. The Garden is far from an “authentic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Edward Relph. However,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medium through which a new identity of Suncheon is constructed (part and nexus of changing transnational network of culture). This is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spatial scales like ‘global-national-local’. This is true rather than simply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an introverted history of a place. All of these features make the Garden a symbolic landsc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