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중․고등학교 체육활동 프로그램평가 지표 개발

        진연경,권민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18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중․고등학교 일반학생의 체육활동 프로그램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문헌연구, 전문가 협의회를 사용하였으며, 델파이 조사를 위해 15명의 학교체육 전문가(교사, 장학사, 교수)를 패널로 선정하였다. 총 3회의 델파이 조사 및전문가 협의회를 종합한 결과 최종적으로는 4개 평가 영역, 11개 평가 준거, 22개 평가 지표, 41개 평가 문항이 도출되었다. 대부분의 평가 지표의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일부 지표(1학생 1운동 실천, 지역사회와의연계 운영)는 합의도, 수렴도, CVR값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그동안의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필요성 공감을 확인하였지만, 학교체육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낮은 평가, 체육교사주체로 시행되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운영 평가 지표의 부재를 제시하였다. 제언으로는 개발된 평가 지표에근거한 체육활동 프로그램 반성 및 개선 사례 발굴, 다양한 측면의 프로그램 운영을 평가할 수 있는 많은 수의 지표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ex for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pplying Delphi Technique. Delphi Technique, Literature Study and Expert Conference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and 15 school physical education experts(in-service PE teacher, school commissioner, professor) were selected as a panel for delphi survey.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and expert meeting were combined, resulting in four evaluation areas, 11 evaluation criteria, 22 evaluation indicators, and 41 evaluation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evaluation indicators showed high validity, but some indicators (1 student 1 exercise practice and linkage with community) had lower comparatively about consensus, convergence, and CVR values .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e positiv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ctivation policy, but produce the low effectiven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and the lack of systematic program operation evaluation indicators implemented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 purpose to find out cases of reflection and improvement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developed education indicators, and to develop a large number of indicators to evaluate various aspects of program operation.

      • KCI등재

        국가수준 학교체육정책의 내용과 성과 고찰

        진연경,유정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총 10년 간 수립된 우리나라 국가수준 학교체육정책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체육정책의 성과와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부가 수립·시행한 학교체육정책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으며, 학교체육정책과 관련한 주요 정책행위자인 교육부 학교체육정책 담당자와 체육교사 및 관리자 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체육정책 내용은 체육교육과정운영의 내실화에서 학교운동부의 교육적 운영으로, 이후 일반학생의 학교생활체육 활성화에서 다시 체육교육의 내실화로 정책의 주요관심이 이동하였다. 대부분의 학교체육정책은 양적확대의 수준이며 최근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이나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학교운동부 운영의 투명화 등의 정책은 양적 확대 이후 정책시행의 내실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난 10년간 학교체육정책의 가장 큰 성과는 2014년부터 시행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업시수 증가 및 학생, 학부모 등의 학교체육교육 주체들의 체육에 대한 인식변화라 할 수 있으며,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와 학생선수 학습권 보장제는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정책내용에 있어 지도자 관련 정책 및 학생과 선수 모두를 위한 통합정책 수립, 정책의 유형 별 일원화가 요구되며, 정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는 정책 대안을 분석하고 성과를 예측하는 보다 철저한 정책 설계 및 정책사례를 바탕으로 한 정책학습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stablished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and the outcomes in national level for 10 years from 2005 to 2014. For doing this, national docu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MOE) have been collected for 10 years. In addition, total 13 people including policy makers, school administrato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interview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ncern of physical education policy has moved from solidification of operating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to educational operation of sports club in the school, thereafter, from the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of general students in school life to solid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 largest result from physical education policy for 10 years is increment of lesson time numbe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forced since 2014 and the change in recognition of educational entities of physical education of school such as students, parents achieved by efforts for 10 years. In the area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life,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s the policy that remarkably changes to expand students' opportunity in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ies and that is successfully being implemented the policy which currently makes boom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the site of school.

      • KCI등재

        정책사의 관점에서 본 학교체육정책 발전방안

        진연경 한국체육정책학회 2017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5 No.2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refers to the guidelines of education, in which the government, or a public organization determined the principle and basic policy on educational management for students’ physical activity as a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hereupon, the government is carrying out various systems and polices for the purpose of intramural students’ physical activity revitalization. This study is intending to look into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ies from the 1890s until the present by period,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cent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which is being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ransitions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quickening period-suppression period-establishment period-development period-stagnant period-takeoff period-advancement period by life cycle, and that the latest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showed institutional support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i.e. intramural curricular physical education, school life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elite physical education, et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chool education policy changes, the aim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curricular class → elite physical education →internal stability of the curricular class →school life physical education →school physical activity, showing a change of concern. At present,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steadily making its developmental efforts while showing an aspect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policy project through the policy concern throughout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rea in gener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in the near future, it is required that a substantial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rough specialized, systematic efforts, and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having to establish the philosophical aim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olicy.

      • KCI등재

        유소년 생활체육 영역에서의 교육 :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진연경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2

        유소년의 생활체육 참여는 운동습관 형성, 건강하고 활기찬 삶의 습관, 평생스포츠 참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소년 생활체육 참여의 주요 통로인 스포츠 프로그램은 중요한 ‘교육’ 활동 임에도 교육적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생활체육 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에서의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직접 참관을 통해 수영과 리듬체조 수업을 50회 이상 관찰하였으며, 강습에서 제공한 사진, 지도자와의 면담 등을 자료로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유소년 생활체육 교육 현장의 ‘비체계적 교육내용’, ‘단편적인 교육 방법’, ‘불분명한 학습 성취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고, ‘교육을 중시하는 현장의 인식 마련’ ‘유소년 생활체육 현장에 적합한 내용 교수 지식 강화’, ‘ 교수실천역량 함양’, ‘지도자 교육 시스템 구축’의 네 가지 발전 방안을논의하였다. 향후에는 다양한 수업사례 연구, 유소년 생활체육에서의 교육학적 지식 구축의 노력이 더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Youth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is a very important role in forming exercise habits, living a healthy and active life, and participating in lifelong sports. Sports programs, which are the main channel for youth participation in sports, are not receiving educational attention even though they are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and how is taught in youth sports education, find problems in curriculum design and practice, and propose action plans to improve them. Through direct observation, we observed more than 50 swimming and rhythmic gymnastics classes,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photos provided during the classes and interviews with coac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iculum, problems such as 'unsystematic education content', 'fragmented education method', and 'unclear learning achievement' in the youth sports education field were identified, and 'creating awareness of the field that values education' Four development plans were discussed: 'strengthening knowledge of teaching content suitable for youth sports fields', 'cultivating teaching practice capabilities', and 'establishing a coach education system'.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study various class cases and build pedagogical knowledge in youth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