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충하초 분말, 누에고치 분말 또는 Conjugated Linoleic Acid의 첨가가 산란 노계 회수단백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Cremi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Sang-Keun Jin),허인철(In-Chul Hur),신대근(Daekeun Shin) 韓國家禽學會 2011 韓國家禽學會誌 Vol.38 No.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dyceps ochraceostromat, silkworm coco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ddition on the quality of cremi during storage, this study was conducted. Cremis were prepared using a 20% spent layer breast recovered protein to replace Alaska pollack with the addition of 0.1% silkworm cocoon powder (T1), 0.05% silkworm cocoon powder + 0.05% Cordyceps ochraceostromat powder (T2), and 0.05% silkworm cocoon powder + 0.05% CLA. All manufactured cremis were vacuum-packaged, stored at 10±1℃ and finally evaluated for their quality on 0, 2, 4 and 6 weeks of storage. The pH, whiteness, gel strength and breaking force of cremis from T2 were higher than those of samples derived from either T1 or T3. However, cremis from T2 showed low shear force values when compared to other cremis (p<0.05).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cremis contained 0.05% silkworm cocoon powder and 0.05% Cordyceps ochraceostromat combination (T2) may be recommendable to induce customers to buy, thereby, it may be beneficial to both manufacturers and consumers in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Comparison of Effects of Two Ag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Traits of Pork Loin

        진상근(Sang-Keun Jin),임동균(Dong-Gyun Yim) 한국축산식품학회 202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40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wo different aging methods on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al traits of pork loin: Dry and wet-aged meat was hung in the cooler at 8±1℃ and 85±2.1% humidity for 14 days, while wet-aged meat was immersed in a 3.5% salt solution of brine in vacuum pouches. On day 7, pH and moisture content were higher in dry-aged loins than in wet-aged, while drip loss and total plate counts (p<0.05) were lower on day 14. As aging continued, the pH and drip loss of dry-aged loins decreased, while their total plate counts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creased (p<0.05). After 7 and 14 days of aging, redness in dry-aged loins was higher than that in wet -aged muscles (p<0.05). On day 14 of aging, hardness, chewiness, and adhesiveness were lower in dry-aged pork loin as compared to those in wet-aged samples (p<0.05).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dry and wet aging methods differently affects meat quality traits of pork loin.

      • KCI등재

        축산물 및 가공 : 유통초기단계의 건조-숙성햄의 품질특성 비교

        진상근 ( Sang Keun Jin ),김일석 ( Il Suk Kim ),양미라 ( Mi Ra Yang ),허인철 ( In Chul Hur ),김대승 ( Dae Seung Kim ),강석남 ( Suk Nam Ka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 중인 국내산 건조-숙성햄 중 숙성기간이 24개월된 다리육(T1)과 4개월 된 목살(T2)의 성분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분 함량은 T1(45.24%)이 T2(32.50%)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지방 함량은 T2(26.42%)가 T1 (16.46%)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T1이 69.47mg/100g, T2가 54.80mg/100g으로 T1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처리구간 염농도, 염용성 단백질, 보수력 및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T1이 T2 보다 낮았으며(p<0.05), 지방산패도인 TBARS는 T2가 3.25mgMA/kg로 T1의 0.39 mgMA/k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VBN은 T1이 134.65 mg/100 g로 T2의 47.25 mg/100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미생물의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대장균 군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T1 및 T2의 유산균수은 각각 4.31, 3.57 log CFU/g로 T1이 T2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는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황색도는 6.41~7.24 수준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의 경우, Palmitoleic acid 및 stearic acid의 함량이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단가 불포화지방산은 T1이 T2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T1이 T2 보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T1이 T2 보다 asparagine, leuc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 숙성 기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T1의 연도, 단백질 변성도, 유산균수 및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지방산화도는 낮게 나타나 장기간의 숙성 제품이 오히려 단기간 숙성 제품보다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s in the domestic market. Two kinds of dry-cured hams were processed with pork leg (T1) and pork neck (T2). Five 24-month dry-cured legs (T1, 5.3-6.1 kg) and twenty 4-month dry-cured pork necks (T2, 1.5-1.9 kg)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y were stored at 4℃ chilling room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holesterol content, CIE L*, VBN, total plate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1 were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ose of T2, whereas fat content, NO2-, CIE a*, TBARS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of T2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1. In fatty acid compositions, palmitoleic acid and stearic acid in T2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1, however, oleic and linoleic acid in T2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1. In free amino acids, the total content and individual content of asparagin, leucine and phenylalanine in T1 were higher than those of T2 (p<0.05). The aroma score of T2 was higher than that of T1 in sensory evaluation (p<0.05). In conclusion, two kinds of dry-cured hams were different in their final characteristics and could enhance the consumer`s appeal of pork meat in Korean marke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폐계육이 함유된 게맛살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Sang-Keun Jin(진상근),Sun-Jin Hur(허선),Teak-Soon Shin(신택순)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6

        폐계육 가슴살에서 회수한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게맛살의 저장기간 중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조 초기 시험구간의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이후에도 회분을 제외한 일반성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H는 제조초기 유의적이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4주경과 후에 누에고치분말(T2) 및 CLA(T3) 처리구가 다른 시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초기 보수력은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았고, 가열감량은 T2 및 T3이 가장 낮았고, 전단가는 T2 및 T3가 낮게 나타났다. L<SUP>*</SUP> 및 W는 대조구와 T3이 시험구 중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도(a<SUP>*</SUP>)와 황색도(b<SUP>*</SUP>)는 T2 및 T3이 낮게 나타났으며, T3는 저장기간 동안 육색의 안정을 보였다.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 강도는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T3가 시험구중 가장 낮은 파괴강도, 겔강도 및 젤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조직감 중 T2가 모든 항목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치를, T1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T3은 저장기간 동안 경도, 파쇄성, 검성, 저작성 및 부착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패도(TBA)와 휘발성염기질소(VBN)는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의 경과에 의해 TBA값은 감소하였고, VBN값과 총세균수는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를 포함한 육색, 향, 풍미, 연도 및 다즙성 모든 항목에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기능성 물질의 첨가가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능적 품질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계적인 품질 측정항목에서는 전체적으로 T3이 다른 처리구에 비교해 품질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itation crab stick samples were made from Alaska pollack with protein recovered from spent laying hens breast meat (C), Alaska pollack with spent laying hens breast recovered protein and cordyceps powder (T1), Alaska pollack with spent laying hens breast recovered protein and silkworm cocoon powder (T2), and Alaska pollack with spent laying hens breast recovered protei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T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among the imitation crab samples. p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2 and T3 compared with C and T1 after 4 weeks of storage. The values of L<SUP>*</SUP>, a<SUP>*</SUP>, b<SUP>*</SUP>, and W (whiteness) in T3 were found to be more stable during storage and W in T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amples. T3 was significantly lower in hardness, brittleness, gumminess and adhesiveness after 4 weeks of storag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 values decreased with storage, whereas volatile basic nitron (VBN) values increased with storage periods in all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odor, taste,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samples. T3 was significantly lowest in quality among the treated samples.

      • KCI등재

        축산물 및 가공 :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 첨가가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 ( Sang Keun Jin ),양한술 ( Han Sul Yang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glucomannan, carrageenan, carboxymethyl cellulose 및 transglutaminase-B의 0.5% 첨가가 돈육껍질 돈육껍질결체조직 함유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육색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평가 또한 모든 처리구들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그러나 가열감량의 경우, 저장말기인 21일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들에서 낮은 가열감량 값을 나타내며, 전단가 또한 저장 14일에 CMC 및 TGB 처리구들에서, 저장 21일차엔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전단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지방산패도 결과, 저장 1일에 CAR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지방산패도 값을 보였으나, GMN, CMC 및 TGB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말기인 21일에 GMN 및 TGB 처리구에서 낮은 지방산패도 값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저장 21일의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육껍질 함유 돈육 패티에 GMN, CAR, CMC 및 TGB의 첨가는 육색과 관능평가에 영향을 미치진 못하지만, 패티의 가열감량을 줄여 연한 조직감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MN 및 TGB 첨가는 저장 중 패티의 지방산패도를 억제시키며, 저장말기 휘발성염기태질소 값을 떨어뜨려 저장성 향상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ucomannan(GMN), carrageenan(CAR), carboxymethyl cellulose(CMC), and transglutaminase-B(TGB) on the qual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pork patties manufactured with pork skin connective tissue during 21d of storage at 4℃. Results showed that CIE color values lik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pork patties. Sensory attributes also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atments(P>0.05). However, cooking lo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added GMN, CAR, CMC, and TGB compared to the control at 21 d of storage. The shear force value of GMN and TGB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t 21 d of storage(P<0.05). The pork patties added with GMN and TGB had low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values than the control at 1 or 21 d of storage(P<0.05). Volatile basic nitrogen(VBN) values of all treatment samples was lower than the control at 21 d of storage(P<0.05). Therefore, result of cooking loss suggested that the decrease in shear force in GMN and TGB were due to higher moisture retention. Also, the pork skin connective tissue with added GMN and TGB decreased lipid oxidation of pork patties.

      • 브랜드화된 돈육의 품질 특성

        진상근,김일석,이제룡,신택순,Jin, Sang-Keun,Kim, Il-Suk,Lee, Jae-Ryong,Shin, Teak-Soon 한국육가공협회 2009 肉加工 Vol.36 No.-

        시중에 유통 중인 브랜드 돈육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개 브랜드(Y처리구 : 재래돼지 $\times$멧돼지, 맥강과 한약제 급여 ; J처리구 : LY$\times$D, 무항생제, 생균제 급여; M처리구 : LY$\times$D) 돈육 등심을 구매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과 조회분 함량은 Y처리구가 J와 M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조지방 함량은 J처리구가 Y와 M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Y처리구의 미경산돈이 거세돈보다 수분과 조지방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p<0.05) Y처리구의 미경산돈의 pH는 J와 M처리구의 미경산돈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돈육의 L(명도)값과 $W^*$(백색도)값은 Y처리구가 J와 M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p<0.05) 조직 특성 중 탄력성은 J처리구가 Y와 M처리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관능적 점수는 Y처리구가 J와 M처리구에 비해 높았고, M처리구의 미경산돈은 거세돈에 비해 다즙성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 함량은 Y처리구가 J와 M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palmitic acid, pamitoleic acid, stearic acid 및 oleic acid 함량은 낮았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Y처리구가 J와 M처리구에 비해 낮았지만, 불포화지방산, 필수지방산,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 필수지방산/포화지방산 비 및 필수지방산/불포화 지방산 비는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성별 간에는 M처리구에서 거세돈이 미경산돈에 비해 stearic acid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재래돼지$\times$멧돼지를 교잡하여 맥강과 한약재를 급여한 Y처리구가 J와 M처리구에 비해 육의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ands pork: a crossbred between Korean native and wild pigs (Y), a commercial LYD breed fed with probiotics (J), and a commercial LYD fea without probiotics (M). The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 of Y treated pork was higher than those for J and M brands, but the crude fat content of J pork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Y and M brands. The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s of Y gilt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barrows. The pH values of Y gilts were higher (p<0.05) than those of gilts of J and M brands. The Land W values of Y pork were lower (p<0.05) than with J and M brands. The springiness value of J pork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Y and M porks. The sensory scores of Y pork were higher than pork of J and M. The juiciness of gilts of M brands was higher (p<0.05) than for barrows. With regard to the fatty acid profiles among the pork loins,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 contents of Y pork were higher than with J and M, while the palmitic, pamitoleic, stearic, and oleic acid contents were lower. The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 of Y pork was lower than that for J and M ones,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s (USFA), essential fatty acids (FFA), USF/ASF A ratio, FFA/SFA ratio, and EFA/USFA ratio were higher. The stearic acid content of M barrows was higher (p<0.05) than that for gilts.

      • KCI등재

        전통 양념을 이용한 소스의 냉장저장 중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 변화

        진상근,김일석,하경희,박기훈,김인,이제룡,Jin Sang-Keun,Kim Il-Suk,Hah Kyoung-Hee,Park Ki-Hun,Kim In-Jin,Lee Jae-Ryo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2

        Changes of pH, acidity, preten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using soy sauce (T1), red pepper paste (T2) and soybean paste (T3)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1{\pm}1^{\circ}C$ for 21 days. The pH and pretense activity of soybean past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soy sauce and red pepper paste during storage. The acidity of red pepper past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compared to those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at 1, 7 and 14 days of storage. The total plate counts and Lactobacilli spp. of soy sauce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to those for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during storage. The Escherichia coli of red pepper paste and soybean paste were not detected during storage. 본 연구는 간장(T1), 고추장(T2) 및 된장(T3) 소스를 제조한 후 $1{\pm}1^{\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는 동안 pH, 산도,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 및 미생물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pH는 된장 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산도는 고추장 소스가 간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저장14일까지 현저하게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도는 된장소스가 간장과 고추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총 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대장균은 간장 소스가 저장 1일에 검출되었으나 저장 7일부터는 검출되지 않았고, 고추장과 된장 소스는 저장 1일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간장 소스가 고추장과 된장 소스에 비해 현저히 낮았고, 모든 양념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