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페퍼민트분말 급여가 비육기 재래흑돼지의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지중룡,최영민,송동용,최호성,나종삼,심관섭,Ji, Joong-Ryong,Choi, Young-Min,Song, Dong-Yong,Choe, Ho-Sung,Na, Chong-Sam,Shim, Kwan-Seob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페퍼민트 급여가 재래흑돼지의 육질특성과 근육내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함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페퍼민트 분말을 평균체중이 $77{\pm}5$ kg일 때부터 출하까지 0.2%(T1) 또는 0.4%(T2)를 50일간 급여하였으며, 도축 후 등심근을 채취하여 다양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T2처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대조구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사후 45분 pH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24시 pH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T2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 있어서 명도와 황색도는 T2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연도와 보수력 역시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퍼민트 첨가는 지방산 조성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T1은 대조구보다 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콜레스테롤 감소지수는 T1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페퍼민트 첨가 사료는 돈육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의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ppermint powder 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finishing Korean native black pigs. Ninety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and fed peppermint powder at 0 (C), 0.2 (T1), and 0.4% (T2) in the basal diet, respectively for 50 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mus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the fat content in T2 tended to be lower than the control. No difference in $pH_{45min}$ was observed, whereas $pH_{24h}$ was higher in T2 than the control (p<0.01). T2 showed the lowest lightness (p<0.01) and yellowness values (p<0.05), but shear force and drip loss were no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dividual fatty acid and cholesterol compositions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however, T1 showed a decreasing trend f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an increasing trend for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The hypocholesterolemic inde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than in the control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peppermint could positively affect fatty acid and cholesterol levels without changing meat quality in finishing Korean native black pigs.

      • KCI등재

        사료 내 목초액의 첨가가 토종닭의 생산성, 혈액성상,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및 가슴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심관섭(Kwan Seob Shim),지중룡(Joong Ryong Ji),나종삼(Chong Sam Na),박재홍(Jae Hong Park)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3

        본 시험은 목초액이 토종닭 한협 3호의 생산성, 유해 가스 발생량, 혈액 성상 그리고 가슴육의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종닭 사료에 수준별로 첨가하여 70일 동안 급여하였다. 목초액은 0, 0.1, 0.2% 수준으로 첨가 · 급여하였고,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6수씩 총 240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시험 결과, 목초액은 생산성에 있어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혈중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농도에 있어서는 목초액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p<0.05). 가슴육의 포화지방산인 myris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목초액을 급여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목초액은 유해 가스 저감 효과가 있으며, 토종닭의 혈중 지질 수준을 개선시키고, 가슴육의 포화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고 단쇄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dietary pyroligneous acid (PA) on performance, noxious gas emission in excreta, blood paramete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Korean native chicken. A total of 240 one-day-old chicks were allocated to three treatments (PA; 0, 0.1, 0.2%) with five replicate of 16 each per treatment for 10 weeks. Although there was no effect on the performance, ammonia ga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A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Birds fed PA had higher serum total protein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but lower triglyceride content in the PA 0.2% treatment than control (p<0.05). In fatty acids composition of breast meat, myristic and stearic aci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oleic and linolenic aci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fed PA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dietary PA may reduce the noxious gas emission and improve lipid levels as well as increase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mposition of breast meat in Korean native chickens.

      • SCOPUSKCI등재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사과 pomace로부터의 폴리페놀 추출조건 최적화

        김윤숙(Yoon-Sook Kim),김로사(Rosa Kim),문지혜(Ji-Hye Moon),지중룡(Joong-Ryong Ji),최희돈(Hee-Don Choi),박용곤(Yong-Kon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3

        사과 pomace의 알콜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중심합성 계획법을 이용하여 용매비와 침지시간, 추출시간, 추출온도는 독립변수로 수율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최적조건은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반응표면그래프 분석 결과 사과 pomace의 알콜 추출 시 수율은 침지시간과 추출시간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시료에 대한 용매비가 높을수록 또는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모든 독립변수에 영향을 받아 비례적으로 함께 증가하였으나 최고점을 보인 후 다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최대로 하는 최적 알콜 추출 조건은 사과 pomace에 용매비를 13.00 mL/g로 하고 89.02분 동안 침지시킨 후 70℃에서 180분 추출하였을 때로서 그 때의 수율은 3.76%, 총 폴리페놀 함량은 29.68 mg catechin equiv./g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ization of alcohol extraction conditions for maximizing the total polyphenols derived from apple pomac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effect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Xsub{1} (ratio of solvent to sample content), Xsub{2} (dipping time), Xsub{3} (extraction time), and Xsub{4} (extraction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at five levels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Ysub{1} (yield) and Ysub{2} (total polyphenols) were chosen as dependent variables.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sub{2}, were greater than 0.900 (0.9042 and 0.955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fit was very significant (p<0.001).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13.00 mL/g for the ratio of solvent to sample content, 89.02 min for dipping time, 180 min for extraction time, and 70℃ for extraction temperature. At these conditions, the predicted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29.68 mg catechin equiv./g.

      • KCI등재

        고지방 사료에 타우린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 간 조직의 지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

        심관섭(Kwan Seob Shim),박강희(Garng Hee Park),나종삼(Chong Sam Na),지중룡(Joong Ryong Ji),최호성(Ho Sung Choe) 韓國家禽學會 2010 韓國家禽學會誌 Vol.37 No.4

        본 실험은 타우린이 고지방 사료를 급여한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 간 조직의 지질 및 지질과산화물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45주령 Hy-Line 갈색계 280수를 4개의 처리구로 구분하여 처리구당 7반복, 반복당 10수씩 배치하여 4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기초 사료를 대조구로 하고, 기초 사료+0.5% 타우린(CT), 기초 사료+5% 대두유(HF) 그리고 기초 사료+5% 대두유+0.5% 타우린(HFT)로 구분하였다. 난중은 CT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HFT는 대조구 그리고 HF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준이었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GOT 농도에서 HFT는 HF보다 유의적으로 각각 약 30%, 36% 그리고 20%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에서 중성지방 농도는 HFT보다 HF보다 약 28% 낮은 경향이었으며, 지질과 산화물 농도는 HFT가 HF보다 유의적으로 약 25%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고지방 사료에 타우린의 급여는 산란계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혈청 중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농도를 개선하였으며,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dietary taurine 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parameter, liver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level of laying hens fed high fat diet. Two hundred eighty laying hens, forty five weeks of age, were allocated to four treatment groups with seven replicates of 10 each per treatment for 4 weeks. Experimental diets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four groups: control diet (CON), CON with 0.5% taurine (CT), CON with 5% soybean oil (HF), and CON with 5% soybean oil and 0.5% taurine (HFT).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ntrol than the CT (P<0.05). However, the HFT was similar to the level compared to both control and HF.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bout 30%, 36% and 20%, respectively in the HFT compared to the HF (P<0.05). In the liver tissue, triglyceride concentration tended to be lower by about 28% in the HFT compared to the HF (P<0.05). The hepatic lipid peroxid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about 25% in the HFT compared to the HF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aurine supplementation improved the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decreas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level without affecting performance in laying hens fed high fat diet.

      • SCOPUSKCI등재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초임계 유체 추출

        이해창(Hae-Chang Lee),서혜영(Hye-Young Seo),신동빈(Dong-Bin Shin),박용곤(Yong-Kon Park),김윤숙(Yoon-Sook Kim),지중룡(Joong-Ryong Ji),최희돈(Hee-Don Choi)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6

        SFE법을 이용하여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시료의 적정 전처리 및 SFE 작동조건을 검토하였으며, SD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과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을 비교하였다. 딸기 생시료, 동결건조시료, 그리고 생시료에 celite를 30, 70%를 혼합하여 제조한 시료를 이용하여 SFE 처리후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생시료에 celite를 70% 첨가하는 방법이 향기성분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40, 55℃)와 압력(3,000, 6,000 psi)을 달리하여 SFE 처리한 결과, 3000 psi, 55℃ 조건에서 alcohol류와 acid류의 추출효율이 증가하였으며, γ-dodecalactone의 함량도 3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DE법, SFE법 및 SE법 등의 추출방법별 딸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SF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는 적지만 추출량이 비슷하면서 열분해 및 열변성이 발생하지 않아 딸기 고유의 향기에 가까운 향기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기호적으로 우수한 acid류가 다량 함유된 향기성분을 추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optimize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conditions of volatile components from the strawberry, we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sample preparation and SFE operating conditions. Th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extracted by a variety of sample preparation protocol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30, 26, 30, and 34 volatile components in fresh, freeze-dried, 30% celite and 70% celite treatments, respectively. The 70% celite treatment was the most effective in extracting the volatile components from strawberry via SF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extracted by a variety of SFE operating conditions yielded identifications of 34, 35, 34, and 35 volatile components at 3,000 psi (40, 50℃) and 6,000 psi (40, 50℃), respectively. The extraction yield of alcohols and acids, and the total volatile component contents, were highest under conditions of 3,000 psi and 55℃. Volatile components from the strawberry were extracted via SF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and solvent extraction (SE). The analysis of the volatile components extracted via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56, 34, and 32 volatile components in the SDE, SFE, and SE extracts, respectively. The total volatile component contents identified in the SDE, SFE, and SE extracts were 20.268±1.144, 21.627±1.215 and 2.476±0.177 mg/kg, respectively. The SFE extract evidenced higher contents of sweet flavors such as 2-methylbutanoic acid, 2-methylpropanoic acid, and hexanoic acid than the SDE and SE extracts. SFE prov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fresh volatile components from the strawber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