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근로자의 직무자원과 직무열의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주도적 성격의 매개효과 : 생산직, 사무직의 비교

        지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자원,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를 주도적 성격이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리서치회사 엠브레인과 서베이몽키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과 오프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현재 사무직과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여성근로자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직무자원은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외 주도적 성격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모형에 대한 생산직 여성 근로자와 사무직 여성 근로자 간에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에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직무자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직무열의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집단에 따른 평균 차이가 유의하였다. 즉, 사무직 여성 근로자가 생산직 여성 근로자에 비해 직무자원의 지각과 주도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경우 직무소진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집단 별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직무자원의 측정변인인 업무계획자율성, 의사결정자율성, 업무방식자율성, 사회적지지의 각 상관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주도적 성격의 측정변인인 주도적 성격1, 주도적 성격2, 주도적 성격3의 각 상관에서, 직무열의의 측정변인인 활력, 헌신, 몰두의 각 상관에서, 직무소진의 경우 측정변인인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과 고갈의 각 상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연구모형의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무직,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자원에서 직무열의로 가는 경로에 있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부트스트랩 절차를 사용하여 주도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도적 성격이 직무자원과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 모두에서 주도적 성격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지만, 사무직 여성근로자 집단에서 주도적 성격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에서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집단 간 매개형태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자원과 주도적 성격,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집단 간 차이 및 주도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사무직과 생산직 여성근로자 집단에 차별된 방식으로 직무열의와 직무소진 그리고 주도적 성격에 개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Also, the study predicts the effect of the occupational difference between job resources, proactive personality, work engagment and job burnout. To examine hypothesis of the study, 371 female office and labor workers completed surveys that measured job resources(job autonomy, social support), proactive personality, work engagement, job burnout. To test the hypothesis, structure equation model(SEM) was us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except social support and work engagement. Secon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bout model revealed that model showed good fits. And the results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proactive personality,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differed depending on the groups. Third, proactive persona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work engagement, job burnout. Specially, proactive personality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work engagement, job burnout in female office workers group. But in female labor worker group, proactive personality are fully mediate. The results implied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would be need to promote work engagment and to minimize job burnout of female office and labor workers.

      • <개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 향상

        지윤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향상이 어떠한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4, 5세 혼합연령 1학급 유아 18명(남11명, 여7명)이며, 본 연구의 기간은 2021년 4월~ 2021년 12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며 <개미>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기타 자료(학부모 면담, 학습 결과물)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증진되었다. 유아들은 주변 세계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감각기관과 도구를 활용하여 관찰하고 유아-유아, 유아-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궁금한 것을 알아내기 위해 실험하고 토의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탐구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개미>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의 과학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유아들은 신기한 것을 발견할 때마다 친구들과 함께 공유하고 의논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개방성과 개미가 물에서 수영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협력하여 수영장을 만들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역할분담을 통하여 협동성이 나타남으로 유아의 과학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들은 오감각과 도구를 활용한 관찰하기와 실험 및 토의하기 능력의 과학적 탐구능력이 증진되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에도 귀를 기울이는 개방성과 함께 협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과학적 태도가 증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through the <Ant> project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 4-or 5-year-old children (11 boys, 7 girls) of mixed age class at a kindergarten attached to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This study took the method of ethnographic research, and was conducted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1. The data were collected and thoroughly analyz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artifact collections (parent-teacher conference records, children’s activity portfolios, and etc.) in the process of the <Ant> project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the <Ant> project activities. With curiosity about the world around them, children observed using their senses and various tools.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improved in the process of experimenting and discussing to find out their questions through active interactions among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a teacher. Second,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 was improved through the <Ant> project activities. Whenever children discovered something new, they shared and discussed it with their friends. Their openness was improved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ir ideas and discussing with their peers. While working together to create a swimming pool for ants, they discussed to come up with new ideas needed to solve problems and shared their roles. In this process, the scientific attitude of cooperation was improved. In conclusi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of observation using the five senses and tools, experimentation, and discussion were enhanced, and their scientific attitude was enhanced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on with openness to listen to others' opinions.

      •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방안

        지윤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bility to use computers in the information society is critical to all students. Thus, in order to utilize the information around the world effectively, it is appropriate to expand the education in the area of computer information. It is obvious that the use of computers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have become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the world of globalization. In this paper, the fundamental theories of using computers in Mathematics Education are discussed. 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ologies in using computers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most realistic and effective methodology, CAI, is chosen by considering the factors of students' personality, interests, and varieties. As shown, the utilization of computer in Mathematics Education is highly suggested not only to perform an effective Mathematics Education but also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s and their motivations in their study.

      • 기포/난류항적 산란신호의 모델링 이론과 실험적 검증

        지윤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wake detection, the acoustic reverberation model is required for the simulation of the wake detector. Wake is separately divided to the ship wake by surface vessel and the turbulence wake by underwater vessel. In this thesis, a reverberation model for the wake detection is presented. In case of the ship wake, the reverberation model consists of the acoustic scattering model due to the distribution of the micro-bubbles and the kinematic model for the moving active sonar. And, in case of the turbulence wake, the spectral spreading due to the acoustic doppler effect from moving scatterers is included in the reverberation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reverberation model, a series of sea experiment was executed in September 2007 to obtain the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a bubble clouds and, acoustic water-tank experiment was executed in October 2007 to observe the scattering signals from the turbulence region. The measured signal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imulated sign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