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학병원 근무 간호사의 이상섭식태도와 관련된 요인 - 교대근무를 중심으로 -

        지영건(Young-Geon Ji),김수진(Su-Jin Kim),강형곤(Hyung-Gon Kang) 한국역학회 2005 Epidemiology and Health Vol.27 No.1

        Objectives : To compare eat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hift work and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in university hospital's nurses. Methods : For this assessment,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300 university hospital's nurses. Nurses were question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ms. After excluding cases with incomplete data, 276 cases are enrolled in the study.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bnonnal eating behavior, we conduc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proportions of shift work nurses were 63.77%(176 cases). The proportions of abnormal eating behavior among shift work nurses were 22.73%(40 cases), but only 6.00%(6 cases) among non-shift work nurses had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Considering the shift work period, the proportions of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31.25%, 22.92% and 17.50% in case of shift work period were less than 1 year, 1-3 years and more than 3 years, respectively.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was associated with having shift work, doing exercise, more weekly working hours, being on a diet and having perception of overweight. But age and body mass index were not influenced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are the shift work, exercise, weekly working hours, perception of overweight and diet.

      • KCI등재
      • KCI등재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지현(Lee, Ji Hyun),강형곤(Kang, Hyung Gon),정우식(Jung, Woo Sik),채유미(Chae, Yoo-Mi),지영건(Ji, Young Geon)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1

        지금까지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미취업 상태의 노인이 취업을 통하여 삶의 질이 좋아지는데 관련된 요인을 평가한 연구는 보고되지 아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재취업이 삶의 질(자아존중감, 건강, 가족과의 관계, 대인관계. 경제상태, 여가생활)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기 위하여 추적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06년 6월 14일부터 6월 30일까지 '서울노인복지센터 부설 노인취업훈련센터'에서 경비원 또는 배달원 교육을 받은 69명의 미취업 노인으로 하였다. 이 기간에 일차 설문을 실시하였고, 8월 21일부터 11월 24일까지 이차(추적)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차 추적조사에서 취업 예정이라고 응답한 노인의 삶의 질은 경제상태를 제외한 영역 모두에서 1차 설문조사시의 삶의 질보다 좋아졌으며, 대인관계가 좋아졌다는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차 추적조사에서 계속 미취업 상태라고 응답한 노인의 삶의 질은 경제상태를 제외한 영역 모두에서 나빠졌으며, 이 중 자아존중감과 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차 추적조사의 시점에서 취업자, 취업 예정자, 계속 미취업자인 세 군의 삶의 질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분석하였을 때, 취업자 또는 취업예정자는 계속 미취업자와 비교하여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삶의 질 변화를 보여 주었다. 다만, 취업 예정자는 경제상태에서, 그리고 취업자는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이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취업한 노인의 경우 이전에 비하여 여가생활을 제외한 전체적인 삶의 질 관련 요인이 좋아진다는 점, 취업 예정인 노인의 경우 가장 먼저 나타나는 삶의 질 변화로서 대인관계가 좋아진다는 점. 계속해서 미취업인 노인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오히려 나빠지며, 생활의 활력 저하로 말미암아 건강도 나빠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ere are studies for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but few studies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quality of life have been conduc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employment affects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The baseline survey was conducted to 69 elderly unemployed persons who were receiving guard or delivery training from June 14th to June 30th in 2006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of Seou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ocioeconomic status and quality of life(self-esteem, self-rated health, family relations, personal relations, economic conditions, and leisure). The follow-up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4 elderly persons(19 reemployed persons, 5 reemployment scheduled persons, and 10 non-reemployed persons) from August 21st to November 24th. Among the reemployed, self-esteem, family rela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economic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leisure was aggravated. Among the reemployment-schedule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e non-reemployed persons, self-esteem and self-rated health were significantly aggravated. The was no significant evidence that reemployment improving self-rated health in the reemployed or the reemployment-scheduled. The employment, as for social activity, may increase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self-esteem, family rela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economic condi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