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과 수용자의 가치관이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혜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이 수용자의 편견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일차적으로 외국인 이주노동자를 호의적,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뉴스프레임과 적대적,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뉴스프레임이 수용자의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과 수용자 가치관과의 상호작용이 수용자의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두 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하위가설들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연구가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 유형에 따라 `지되었다. 반면, 두 번째 연구가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 유형이 수용자의 편견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자의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의 하위가설들은 모두 기각되었다. 즉,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뉴스프레임은 수용자의 고정관념, 감정, 사회적 거리감의 편견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뉴스프레임과 수용자 가치관의 상호작용은 편견적 태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이슈에서도 뉴스프레이밍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한편 이 연구는 지금까지 실증적인 연구가 거의 없었던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미디어 프레이밍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는 점과 이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전개될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 및 언론 보도의 방향을 모색하게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rough experiments the effects of news frame on audience interpretation of migrant workers and how it affects their biased attitudes. The first run of the experiment explores how audience responds to two types of news frame on migrant workers - positive and negative. This part of experiment assesses how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news frame and audience’s worldviews affects their attitudes. Under these research purposes,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along with additional testable sub-hypotheses that sprung up from doing the experiment. The findings support the sub-hypotheses, of which it says, “Audience’s biased attitudes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news framed migrant workers”. On the contrary, the sub-hypotheses, some of which that state “news frame on migrant workers affecting audience’s biased attitud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ir worldviews”, were all dismis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news frames on the subject of migrant workers affect the biased attitudes of audience’s stereotypes, emotions and social distance, b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ews frame and audience’s worldviews shows the lack of effect on the biased attitudes. Overall, the current study proves that news frame that deals with migrant workers from foreign countries indeed has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those who watch the news.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less on the news framing effects on migrant workers. In this vein,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seeking contribution through conducting experiments on news framing effect of such subject and how it will guide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es.

      • 수면 현상 평가에 대한 인지과학적 조명 : 인간 사고의 제한된 합리성을 중심으로

        주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multi-facet of cognitive process of evaluating the own sleep of normal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As a cognitive product, the result of the self-sleep evaluation has gone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brain, and the bounded rationality of human cognition causes a gap between the actual and the perceived sleep states and properties.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intended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leep and perceived sleep, and the factors affecting this difference. To this end,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on normal adults without sleep disorders. The first study was to assume the framework of the evaluation of sleep, which is divided by a dual structure of sleep evaluation, that is, a standardized measurement based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leep, and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phenomenon of sleep,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each sleep by investigating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efforts to improve individual sleep quality. As a result, it confirmed the state of people's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framework of dual sleep evaluation and derived the scope of the behavioral properties of actual sleep that can be subjectively and reasonably inferred about sleep phenomena. The second study considered the sleep properties occurring daily and analyzed the time series effects of daily life factors affecting sleep by using sleep bands and subjective reports for 30 consecutive days. In addition, by setting the variability index according to continuous measurements, it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sleep quality index, the quality of life, the level of stress, etc. As a result, the granger causality of daily life activities and sleep evaluation were confirmed in the form of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and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hat the statistical variability of sleep satisfac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sleep quality index. In the third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control brain waves using audiovisual stimulation based on the neur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leep. The control of sleep through external sensory stimuli showed changes in sleep structure and evaluation in a positive direction, such as shorter sleep onset latency in both polysomnography (PSG) and subjective repor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power spectrum, this change was interpreted as the relax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increased alpha band at the stage of shallow sleep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change in the signal of brain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audiovisual stimulation was classified using a one-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econd and third studie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measurement of the sleep phenomenon base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sleep phenomenon, it was confirmed a weak to moderate correlations. In summary,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observational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human cognitive process of evaluating sleep and the meaning of the behavioral attributes indicated by the sleep evaluation results. It also confirmed behavioral and neuroscience changes in sleep by sensory stimulation.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enhance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on the phenomena and measurement of the sleep. Further, this study could serve as a source of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industrial applications related to sleep, such as digital therapy for better sleep, healthcare, etc.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일반 성인이 스스로의 수면 현상을 평가하는 인지 과정을 다면적으로 탐색하고자 함이다. 자가 수면 평가 결과는 뇌의 정보처리 과정을 거친 인지적 산물로 인간 이성의 제한된 합리성은 실제 수면 양상과 스스로 지각하는 수면 상태 사이에 간극을 유발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실제 수면과 지각된 수면에서 나타나는 차이 양상과 이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면장애가 없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세 건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수면 평가의 이중적 구조 즉, 수면의 생리학적 특성에 기반한 표준화된 측정과 수면 현상에 대한 개인의 지각으로 구분되는 수면 평가 틀을 가정하고, 개인이 수면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태도와 행동을 조사하여 각 수면 평가 측면과의 관련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중적 수면 평가 틀에 대한 사람들의 균형 잡힌 이해 상태를 확인하였고, 수면 현상에 대해 주관적으로 타당하게 추론할 수 있는 실제 수면의 행동적 속성 범위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매일 발생하는 수면 속성을 고려하여 30일 동안 수면 밴드와 주관적 보고를 이용한 밤 수면 측정을 통해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요인들의 시계열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속 측정에 따른 변동성 지표를 설정하여 일반적인 수면의 질 지표 및 삶의 질, 스트레스 수준 등과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인차가 큰 형태로 수면 평가 결과와 일상생활활동의 그레인저 인과성을 확인하였고, 수면만족도의 통계적 변동성은 수면의 질 지표와 높은 관련성을 갖는다는 실증적 증거를 마련하였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수면의 신경생리학적 특성에 기반하여 시청각자극을 이용한 뇌파 조절을 시도하였다. 외부감각자극을 통한 수면 조절을 통해 수면다원검사 및 주관적 보고에서 모두 더 빠른 입면 현상 등 긍정적인 방향의 수면 구조 및 평가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상대뇌파스펙트럼 분석 결과, 실험조건에서의 얕은 수면단계에서 증가된 알파파에 따라 신체의 이완효과에 따른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시청각자극 제시에 따른 뇌파 신호의 변화는 1차원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분류됨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수면 현상에 대해 생리학적 특성에 기반한 표준화된 측정과 수면 현상에 대한 개인 지각의 상관성 검증을 위해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구분되는 방식의 수면 측정 결과는 약함에서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 및 실험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수면을 평가하는 인간의 사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수면 평가 결과가 가리키는 행동적 속성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또한 감각자극이 수면에 미치는 행동적, 신경과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수면 현상 및 측정에 대한 인간행동의 과학적 이해를 증진시키며, 나아가 더 나은 수면을 위한 디지털 테라피, 헬스케어 분야 등 수면관련 응용 산업 장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 칼 야스퍼스의 실존해명과 철학상담

        주혜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the individual experiences mental troubles such as continuous tension and disorder. Though psychoanalysis and psychotherapy are generalized as a solution of these mental problems, their positivistic approach has showed the limit that lacks understanding to existence of human being. In these days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helps the individual solve the problems by reflecting oneself has been shown up as a alternative. This tendenc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considered as a field of philosophical practic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beyond the limit of past scientific solutions. The view that human being's problems have to be solved by philosophical reflection to self and existence has been continuous since the socratic times. But after modern time this problem has treated concretely by Kierkegaard's philosophy of existence, connecting with the notion of existence Jaspers has embodi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ory with the boundary situation and Existential Elucidation. Jaspers grasps human as the existence in situation. According to it the individual can avoid the situation partly, but can't avoid the situation entirely. The situation which can't necessarily avoid ― Death, Suffering, Struggling, Guilty ― is boundary situation. Jaspers argues that each individual can find self through accepting boundary situation and then by having consciousness of boundary and realizing the finite. Furthermore, he argues that human can be born again as a potential existence. He calls it Existential Elucidation. He explicates the process that the individual can become an intrinsic self through existential communication. It is the process that the individual is getting absorbed in each other, maintaining their self perfectly in spite of the fact that an individual is powerless. An individual can be an intrinsic becoming "I" through setting a goal based on the solitary. In this respect Jaspers's philosophical counseling tries to treat mental suffering by elucidating individual existence. Within this, an individual mind isn't an object treated by an outsider. Jaspers's of therapy is considered the process that a subject can elucidate his or her existence through the process that is composed of communications between a counselor and subject only by having a dialogue. Only as this process is supposed to be proceeded by two equal individuals, it is called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out being called education or therapy. For that reason this is called also counseling as an art. In this counseling a subject can maximize his or her ability by conducting creative thought beyond his or her boundary situation assisted by the person who act philosophically. This writing will present a few of actual examples applied to existential philosophy counseling. Thereby I will show that Jaspers's existential philosophy has a potential that it can heal the individual mind.

      •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in the Korean elderly

        주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tress is a compound topic since it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such as environmental experienc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tressfulness of a situation, and biological response. Although there are many stress measurements including questionnaires or experiments, most of them mainly target the youth or adults. A new stress scale for the geriatric group is needed and this scale should be comprehensible, low cognitive burden, and simple. Through common factor analysis, we explored geriatric stress factors among Koreans aged over 6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we made a Geriatric Stress Scale and compared the scale scores and other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ymptoms. Neuropsychology tests such as K-MMSE, FAB, and GDS were applied. Five stress factors were suggested: family stress, finance, alienation, regret for the past, and health. With these five factors, the stress scale scores were analyz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sex and age but higher education level showed lower stress score. There was no significant cognitive function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stress groups. Depression, however,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stress factors, only alien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normal patients and ones with dementia. The Geriatric Str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organized scale. With further research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cale will appear to be more valid. Moreover, to observe stress related cognitive functions, specific neuropsychology tests should be employed to compare stress. 스트레스는 항상성을 위협하는 환경자극과 그에 대한 인지과정으로써 심리적 반응 및 신체의 생리적 반응을 포함한다. 스트레스의 복합적인 특성에 따라 실험이나 설문지를 활용하는 측정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중학교이상의 학력이 요구되거나 주로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에 적합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고, 문항이 길지 않아 인지적 부담이 적으며 임상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스 척도의 필요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스트레스 척도를 만들어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성별과 연령, 학력수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스트레스의 지각수준, 인지기능 및 증상 등이 변인으로 포함되었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와(K-MMSE), 전두엽기능평가검사(FAB), 노인우울검사(GDS)의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248명의 스트레스 설문지 응답을 기반으로 공통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결과적으로 가족요인, 경제요인, 소외요인, 후회요인, 건강요인의 총 다섯가지 스트레스요인을 제시하였다. 이 다섯가지 스트레스 요인으로 이뤄진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낮은 스트레스 점수를 보였다. 학력의 영향을 통제하였음에도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척도의 점수도 높았다. 스트레스 점수에 따라 인지기능검사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의 우울점수가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요인 중 소외요인은 정상과 치매환자들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스트레스 척도는 척도개발의 선행작업에 해당하며 추후 확인적 요인분석의 과정을 통해 검증된다면 더욱 타당한 척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인지노화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신경심리검사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의 측정을 세분화시켜 스트레스 점수와 비교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 칼 야스퍼스의 실존적 정신병리학과 철학상담 : 필로테라피(PLT)를 통한 실존적 자기되기

        주혜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Grundlage der "Philosophischen Beratung(engl. Counseling) durch Existenzerhellung"(PCEE), die das geistige Leiden des Menschen auf der Basis der Existenzphilosophie von Karl Jaspers zu heilen versucht, zu untersuchen, und damit die "Phillotherapie"(PLT) für die philosophische Beratung als eine praktische Methode, die die Logotheraphie von Viktor Frankl auf PCEE anwendet, neu auszubilden. Diese Untersuchung behandelt im Namen von der "Existenziellen Psychopathologie" die psychopathologische Arbeit von Jaspers, in der er die Psychopathologie mit der Philosophie in seinem Buch "Allgemeine Psychopathologie" zu verbinden versuchte. Hier zeigt sich, dass Jaspers seine existenziellen Gedanken wie "Periechontologie" und "Existenzerhellung" um die Grenzen der traditionellen Psychopathologie und auch sein psychiatrisches Denken selbst zu überwinden, entwickelt hat. Dafür analysiert diese Arbeit zunächst den Unterschied zwischen der ersten und der vierten Ausgabe der "Allgemeinen Psychopathologie", und prüft in Bezug auf die darin gezeigten Veränderung der philosophischen Position von Jaspers das Konzept der phänomenologischen Annäherung und das Problem des genetischen Verstehens der geistigen Krankheit nach, die er zu seiner Psychopathologie aufgenommen hat. Dabei wird die Erhellung der menschlichen Existenz für die Behandlung der geistigen Krankheit betrachtet, wobei die "Theorie des Umgreifenden" und die "Existenzerhellung durch Grenzsituationen", die die Existenzphilosophie von Jaspers bilden, behandelt werden. Jaspers präsentiert die Existenzerhellung als Selbstbetrachtung über den Transzendenzprozess, der über die Grenze jedes Umgreifenden wie Dasein, Bewusstsein überhaupt, Geist hin zum ursprünglichen Selbst führt. Die auf der Theorie des Umgreifenden beruhende Existenzerhellung zielt nicht nur darauf ab, das Symptom des Schmerzes psychopathologisch auszulegen, sondern sie spielt eine wichtige Rolle für die Grundlage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Damit diskutiert diese Arbeit in Bezug auf die philosophische Position in Jaspers’"Allgemeine Psychopathologie" die philosophische Beratung als eine Theorie und Methode zur Lösung der psychischen Leiden moderner Menschen. In diesem Zusammenhang sind die Grenzen der Klassifikation und Definition von Krankheiten in der modernen Psychiatrie aus kritischer Perspektive behandelt und dann untersucht, wie die philosophische Beratung solche Grenzen überwinden kann. Philosophische Beratung kann sich mit dem Bereich der Psychiatrie im Sinne der Heilung von menschlichem Seelenleiden decken. Aber dieses muss klar von dem Bereich des psychischen Leidens unterschieden werden, die die auf Naturwissenschaft basierende Medizin bestimmt. Diagnose und Behandlung von psychogener Krankheit, die durch neurologische Erkrankungen oder psychologische Faktoren verursacht wird, entwickelt sich weitgehend von der Psychiatrie. Die Psychiatrie bietet jedoch keine Lösung für das psychische Leiden durch Verlust und Mangel des Lebenssinnes. Die noogenetische Neurose aufgrund des Mangels am Sinn des eigenen Lebens sollte ursprünglich durch Philosophie gelöst werden. Daher sollte das seelische Leiden, das nicht als Krankheit in der modernen Medizin klassifiziert wird, durch die philosophische Praxis behandelt werden. Unter diesen Umständen hat Viktor Frankl die Logotherapie zur Behandlung von psychotischen Neurosen gegründet. Mit seiner eigenen Psychotherapie hat er versucht, die Grenzen der Psychoanalyse zu überwinden und das Feld der humanistischen Heilung des geistigen Kranken eröffnet. Dafür hat er die verschiedenen Methoden der Psychotherapie auf der Grundlage der existenziellen Anthropologie von Jaspers vorgelegt. Diese Arbeit untersucht die Beziehung zwischen Frankls Logotherapie und der existenziellen Erhellung von Jaspers, wobei die Bezugspunkte wie "Sinn und Wert des Lebens", "tragische Trias" und "Freiheit und Verantwortung" u.s.w behandelt werden, und versucht eine neue Bahn für die Praxis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zu brechen. Dass die Methode der Logotherapie das existenzielle Leben der Persönlichkeit betont, den Lebenssinn als wichtigen Wert aufnimmt, und den Sinn herauszufinden und zu entwickeln versucht, kann reichliche Ansätze für die Praxis der philosophische Beratung anbieten. Diese Arbeit versucht, die Methodik der Logotherapie als einem verschmelzenden Modell, dass die Existenzerhellung durch philosophische Beratung(PCEE) anwenden kann, positiv aufzunehmen. Für dieses methodische Modell, das mit dem Namen "Phillotherapie(PLT) genannt wird, prüft diese Arbeit die Skalas der Logotherapie kritisch nach und bearbeitet sie zur Fallanalyse von PLT. In der Betrachtung der Anwendbarkeit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von PLT, schlägt sie einen Sokratesfragebogen(engl. Socrates- paper) vor, der für die gegenwärtige Gesellschaft benutzt werden kann. PLT legt spezifische Beratungsmethoden nach individuellen Merkmalen entsprechend den in PCEE vorgestellten Schritten, die einen vierstufigen Prozess zur Heilung des psychischen Leidens basierend auf Jaspers’Theorie des Umgreifenden und seiner Psychopathologie präsentieren. Dabei wird PLT die Art des Leidens in vier Typen vorgestellt, die je nach der Seinsart des Menschen als Dasein, Bewusstsein überhaupt, Geist und auch als die Art des Leidens aufgrund der fehlenden häufigen Kommunikation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unterteilt wird. Neben der Heilung geistigen Leidens im engeren Sinn ist die philosophische Beratung insofern wichtig, als sie die Tradition der antiken Philosophie nach Sokrates wiederherstellt, die versucht hat, Antworten auf die wirklichen Probleme der gewöhnlichen Menschen zu geben. In diesem Zusammenhang nimmt PLT einen wichtigen Platz in vielen Versuchen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ein, die sich heute im In- und Ausland entwickelt. Die Etablierung von PLT wird dazu beitragen, den Geist des Menschen nicht als Gegenstand der Behandlung zu bestimmen, sondern als das Selbst zu positionieren, das seinen Schmerz von sich selbst heilen kann. Das seelische Leiden des Menschen sollte niemals dem Bereich der Naturwis- senschaften oder der Psychologie überlassen werden. Zumindest sollte sich die medizinische Wissenschaft und die Psychologie zu einer Form entwickeln, die das philosophische Verständnis der menschlichen Existenz umfasst. Und auch die philoso- phische Beratung muss sich zu einer Form entwickeln, die in Wirklichkeit das Vermögen der Praxis verstärken kann. Der Mensch von heute kann Leib und Geist in der leidenden Gesellschaft behalten, wenn über die Grenzen und Mauern der Naturwissenschaft das Sein des Menschen im Ganzen verstanden wird, und wenn die darauf bezogenen Erkrank- kungen zu heilen verucht werden. 본 논문의 목적은 선행적으로 연구된 철학적 정신치유와 관련된 국내외 이론 및 실천적 논의를 배경으로 야스퍼스의 실존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실존조명적 철학상담(PCEE)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이와 연관하여 빅터 프랑클의 로고테라피의 방법론을 융합한 필로테라피(PLT)를 새로운 철학상담의 방법론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야스퍼스는 전통 정신병리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저술한 자신의 저서 『정신병리학 총론』 자체를 반성하면서 인간존재 전체를 통찰하려는 의도로부터 ‘포괄자론(Periechontologie)’과 ‘실존조명(Existenzerhellung)’과 같은 사상을 핵심으로 하는 실존철학을 전개하였다. 본 논문은 정신의학적 논의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한계상황과 초월적 가능성을 다루는 그의 정신병리학을 ‘실존적 정신병리학(existenzielle Psychopathologie)’의 관점에서 다룰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정신병리학 총론』의 1판과 4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야스퍼스의 철학적 입장변화와 그가 정신병리학 연구에 적용한 현상학적 접근 및 발생학적 이해 개념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야스퍼스의 철학적 인간관의 기초가 되는 ‘포괄자론’과 ‘한계상황을 통한 실존조명’을 중심으로 인간의 실존조명이 정신적 치유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 살펴볼 것이다. 야스퍼스는 현존-의식일반-정신적 차원에서 직면하는 한계를 넘어 본래적 자기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자기성찰로서 실존조명을 제시한다. 이런 점에서 포괄자론에 근거한 실존조명은 ‘고통’이라는 증상에 대한 분석과 해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본래적인 ‘자기되기’의 실천으로서 그동안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철학상담(philosophische Beratung)의 본래적 목적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야스퍼스의 실존조명을 철학상담과 연결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에 나타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철학적 입장을 살펴보고, 현대인의 정신적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치유 방법으로 실존조명에 기초한 철학상담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 정신의학에서의 질병 정의, 분류학의 문제점과 한계를 짚어보고 실존조명적 철학상담이 그 한계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 것인지를 제시할 것이다. 철학상담은 인간의 정신적 고통을 치유한다는 의미에서 정신의학의 영역과 겹쳐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의학이 다루어야할 정신적 고통의 영역과는 명확하게 구별되어야 한다. 뇌신경계의 이상에 원인을 둔 ‘신경 의학적 정신질환’이나 심리적 요인에 원인을 두고 있는 ‘심인성 질환(psychogene Krankheit)’의 진단과 치료는 정신의학에 의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정신의학은 ‘삶의 의미상실 및 결핍에서 오는 정신적 고통’에 대해서는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고통으로 인한 ‘정신인성 신경증(noogene Neurose)’은 근본적으로 철학적 인간이해에 기초하여 해결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는’ 정신적 고통은 철학의 실천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정신인성 신경증을 치료하기 위해 로고테라피를 정립한 빅터 프랑클은 정신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야스퍼스의 실존적 인간학을 토대로 심리치료학의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인문학적 정신치유의 장을 열었다. 본 논문은 프랑클의 로고테라피와 야스퍼스의 실존조명이 어떤 관련성과 차이점을 가지는지 ‘삶의 의미와 가치’, ‘비극적 트로이카’, ‘자유와 책임’ 등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철학상담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의미를 가치로 여기고 의미를 발견하고 찾아가는 실존적 삶과 인격을 강조하는 로고테라피의 방법들은 철학상담에 적용될 수 있는 풍부한 자원을 제공한다. 이와 연관하여 본 논문에서는 야스퍼스의 실존철학을 기반으로 한 실존조명적 철학상담(PCEE)의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로고테라피의 방법론을 적용한 철학상담을 ‘필로테라피(Phillotherapie, PLT)’라 명명하고 상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융합적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여기에는 PLT를 적용한 철학상담의 실천적 사례와 함께 로고테라피의 스칼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우리 사회에 적용 가능한 PLT의 검사지로 제안한 소크라테스 페이퍼가 소개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적 논의는 PCEE와 PLT의 연관성에서 드러난다. 포괄자론과 실존조명을 포함한 실존적 정신병리학에 기초하여 철학상담의 이론적 틀로 제시된 PCEE는 내담자의 정신적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네 단계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PLT는 PCEE에서 제시된 각 단계에 맞춰 개인별 특성에 따른 구체적인 치유방법을 제시한다. 이 때 고통의 유형은 야스퍼스가 제시한 현존재의 존재양태에 따라 현존, 의식일반, 정신으로 구분하고 현대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소통의 부재로 인한 고통의 유형을 추가해 네 가지로 구성된다. 철학상담은 인간의 정신적 고통이 결코 자연과학적 정신의학이나 심리학의 영역에서 온전히 해결될 수 없다는 한계로부터 오늘날 요청되고 있다. 의학과 심리학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다루는 철학과의 대화가 필요하며 철학은 현대인의 정신적 상황에 무관심하게 방관해서는 안 되며 고래로부터 고유한 과제로 주어진 행복한 삶과 건강한 삶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일찍이 야스퍼스가 보여주었던 것처럼 정신의학과 철학의 융합적 대화가 오늘날 더욱더 절실하다. 인간을 이해하고 치유하는 위해서는 영역 간과 학문 간의 경계와 벽을 허물고 인간을 전체의 차원에서 이해할 때 현대 사회는 비로소 진정한 정신적 안전망을 갖게 될 것이다. 특히 철학상담은 정신적 고통의 치유라는 좁은 의미 이외에도 일상인들의 현실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주고자 노력해왔던 소크라테스 이후 고대 철학의 전통을 다시 복원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핵심주제인 PCEE와 PLT는 국내외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천을 위한 발전적 논의를 위해 기여할 수 있으며 현대인에게 정신적 고통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치료의 능력을 배양하고 자기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제조기술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

        주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terprise-based experience program which makes middle school students improve the understa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Three stages includ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were applied to making this program. In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 for the program was decided by the following attempts: analyzing the need of technology subject, learners, and society, analyzing the content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information from manufacturing process in real enterprises and enterprise activities which are included i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education of foreign countries. In the development stage, activity tasks for this program were selected and drafts for this tasks were developed. By self-evaluation and expert verification, the program were finally developed. In the improvement stage, two classes of S middle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nterprise-based experience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irt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ypical lesson and ‘making goods’ practice to thirty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examined by test sheets and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the understanding was also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veloped experience program based on manufacturing enterprise activity allows the students to experience design, produce, marketing and sale by real-manufacturing process out of class. 2) A pre-post test for evaluating a general understanding of manufacturing technology by analysis of goals and contents of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3)It i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experience program based on manufacturing enterprise activity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manufacturing technology.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제조기술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3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준비 단계에서는 기술교과의 요구, 학습자의 요구, 사회의 요구를 통하여 기업활동 중심의 제조기술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제조기술 영역의 구체적인 내용을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기업의 제조 과정과 외국의 제조기술 교육에서의 기업활동 체험의 사례들을 통하여 기업활동 중심의 제조기술 체험 단계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활동 과제를 선정하고,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초안은 자기평가와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거쳐 수정 및 보완을 통하여 완성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완성된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의 S중학교 2개 학급 6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실험집단 3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기업활동 중심의 제조기술 체험프로그램으로 수업을, 통제집단 30명을 대상으로는 기존의 제조기술 이론수업과 일반적인 제품만들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제조기술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전문가 집단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받은 이해도 검사지를 통해 평가한 이질집단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 중 발견한 문제점은 수정·보완과정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조기술 영역에서 기존의 수업 방식을 벗어나 설계부터 제작, 홍보, 판매까지 모두 경험하며 실제 기업의 제조 과정과 유사한 경험을 해 볼 수 있는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제조기술의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여 제조기술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사전·사후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기업활동 중심의 체험프로그램은 제조기술의 이해도 증가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 여자소년원생의 자기개념 향상을 위한 심리극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여자비행청소년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점차 폭력화, 남성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여성비행은 성범죄와 윤락 등과 같은 또 다른 사회문제와 연관되어 있어 시급한 개입의 대상이나, 실제적인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여자비행청소년은 전반적으로 낮은 자기개념과 우울 및 불안의 불안정한 정서상태를 가지며, 특히 낮은 자기개념은 사회 부적응 행동과 비행의 개입을 촉진시키는 주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향상시키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자비행청소년의 특징인 낮은 자기개념을 긍정적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심리극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보고자하며, 진행과정에서 주요하게 작용하는 치료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유사실험설계 디자인을 선택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를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J여자정보산업학교에 재학중인 여자소년원생 20명으로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심리극 프로그램은 2003년 9월부터 11월까지 주1회 총 10회동안 진행하였으며, 총 3회의 개별상담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양적 분석과 과정 평가를 병행하였다. 양적 분석방법으로 자기개념과 관련된 연구질문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치료요인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하였다. 과정 평가는 구체적 문장을 중심으로 집단의 진행과정을 제시하고, 집단 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개별목표 달성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자기개념에서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점수는 47점에서 57.9점으로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의 점수는 46.4점에서 46.9점으로 점수변화가 거의 없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기개념 변화량이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전반적 자기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자기개념의 하위영역별 분석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기개념의 하위영역인 '자기존중감',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 '대인신뢰감'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이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안정성'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변화는 있었으나,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프로그램으로 인한 실험집단의 변화가 입증되지 않았다. 둘째, 전과정에서 주요하게 작용한 치료요인으로 살펴본 결과, 상위요인으로 실존적 요인, 치료자와의 동일시, 보편성, 일차가족의 교정적 감정경험 등이 나타났다. 발달단계에 따른 치료요인의 결과, 초기단계(1-4회)에는 치료자와의 동일시, 실존적 요인, 보편성, 집단응집력 등, 중기단계(5-7회)에는 실존적 요인, 정화, 치료와의 동일시, 일차가족의 교정적 감정경험 등, 말기단계(8-10회)는 실존적 요인, 보편성, 정화, 사회화기술의 발달 등이 상위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전 과정에 대한 종결 평가와 개별목표 평가를 반영한 결과에 의하면, 프로그램에 대한 총 평가는 기준 점수인 10점의 9.6점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또한 집단원들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개별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10점 척도로 초기·중기·말기에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 각 집단원들은 초기에서 중기, 말기로 갈수록 전반적 개별목표 점수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심리극 집단프로그램이 여자소년원들의 욕구에 부응하여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여자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극 집단프로그램의 실천적 함의와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female juvenile delinquent has increased and been getting more violent and virilized. They need an immediate remedy for their delinquent because they are involved in more serious problems such as sexual crime and prostitution. However, there has been no actual intervention for their delinquents. Usually female juvenile delinquent results from low self-concept, depression and mentally unstable state. Above all, low self-concept is the primary reason for their delinquent and lack of sociality and that is why female juvenile delinquent needs a special intervention strategy. Thereby, this study adopted psychodrama group program as a means of improving to the positive level of self-concept shown by almost every female juvenile delinquent into an positive level and then surveyed its impact and revealed therapeutic factors to prove its effectiven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target of the study was composed of 20 female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imprisoned in the J female juvenile reformatory. The members of this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10 students and the program was executed 10 times for 2 hours once a week from Sep. 2003 to Nov. 2003. In addition there were private interviews for three times each.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oth quantitative analysis and process estimation were carried out. The investigative questionnaires on self-concept were analyzed by using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and the questionnaires on therapeutic factors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Process estimation provided those groups' progress with concrete sentence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chieving individual goals to compare chang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ed. First, the self-concept in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47 to 57.9 after the program. But, in control group it was rarely changed, showing a small increase from an average result of 46.4 at post-test to 46.9 after the intervention of program. In experimental groups composed with control group was proved by pre-post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y level. The results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drama group program on improving their self-concept. Self-concept consists of 5 sub-concepts ;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interpersonal-relationship capacity, problem solving capacity and interpersonal trust.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wa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in self-esteem, interpersonal-relationship capacity, problem solving capacity and interpersonal trust after psychodrama group program, while control group did not. In 4 sub-concept, improvement in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as proved by pre-post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y. But, In emotional stability, although amount of experimental groups change was bigger than control groups, it was not proved statistically. Second, throughout the program, curative factors consistently appeared in group process. Those were existential factor,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s, universality, family recapitulation, identification with members, catharsis, group cohesiveness, interpersonal learning, guidance of therapists, instillation of hope, altruism, socializing techniques and guidance of membe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nal and individual accomplishment evaluation of the entire progress, this program achieved 9.6 point out of 10 which is a relatively positive result. Moreover those group members set up their individual goals and executed the process of accomplishments into 3 parts ; beginning in the middle and final. The results provided members' grades were improved from to the final level. Therefore, members can be developed their desires to the positive evaluation with this program. Accordingly this study wants to provide practical usaged of psychodrama group program among female juvenile delinqu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