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튜터제도 수익자 부담 운영 모델 도출에 관한 연구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정책과제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가지를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현재 학과튜터 제도를 튜터직무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튜터제도 재원의 다각화 방안을 검토한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환경교육 경험 및 요구 조사

        주형선,김남수,전푸름,이선경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ssess their nee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groups. First, the sample was prepared by selec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Nex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etween 2017 and 2020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online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2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shown to be interested in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As for ‘how to obtain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issues’, ‘Internet’ and ‘school class or activity’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groups. Second, ‘climate change/climate crises’ among environmental issues provided in schools got the overall highest rate of learning. Regarding pedagog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lecture’ was the most popular, which was high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environmental issues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from school in the future’ were not only ‘climate change/climate crisis’ but also ‘water crisis’, ‘ecosystem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city.’ In addition, they hop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and be ‘includ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festivals and events’ as well as ‘regular classes’ at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systematicall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classes and school life. It was proposed to prepare an institutional plan to secure tim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expand student-participatory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support projects as well. 본 연구에서는 학교 환경교육의 주요 주체라고 할 수 있는 학생의 환경․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두 집단이었다. 우선 전국의 초․중․고등학생을 모집단을 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17년∼2020년 사이 환경부의 환경교육 지원 사업에 참여한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는 2020년 11월∼12월 사이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 사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사안에 대해 정보를 얻는 방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인터넷’과 ‘학교 수업이나 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에서 배운 적이 있는 환경 사안’을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후변화/기후위기’를 학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환경 사안을 학습한 방법’은 ‘강의’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학교에서 더 높았다. 셋째, ‘학교에서 앞으로 배우고 싶은 환경 사안’은 ‘기후변화/기후위기’뿐만 아니라, ‘물 위기’, ‘생태계 보전’, ‘지속가능한 도시’ 등 다양했다. 또한, 학교 ‘수업시간’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에 환경교육 포함’, ‘환경축제, 행사 개최’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를 희망했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수업과 학교생활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 환경 사안 상호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보다 통합적인 환경교육을 수행할 것,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할 것, 학생 참여형 환경교육을 확대할 것, 학교 환경교육 지원 사업을 꾸준히 시행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 방송대 중장기 재정운용계획 수립방안 연구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본 연구는 방송대 재정실태 분석을 토대로 중장기 재정운용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알리미 공시자료(2008~2011 결산기준)에 나타난 회계별 세입 및 세출 현황을 조사하여 방송대 재정실태를 분석하였다. 대학 공시자료 검토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부분은 대학내 회계별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보완하였다. 방송대 재정은 세입과 세출의 측면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방송대 회계별 세입 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등록금 수입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이는 달리 말하면 발전기금회계 및 산학협력단회계를 통한 수입이 적다는 것이다. 또 방송대의 회계별 총 세출을 다른 국공립대학과 비교해 보면 기성회회계 비율이 70%를 차지했다. 따라서 방송대는 기성회회계를 주 재원으로 해서 학교를 운영한다는 평가가 가능해진다. 방송대 세입에서 등록금의존율을 일시에 낮추기는 어렵지만 다른 회계에서의 세입을 확대하여 그 비율을 낮추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총 세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성회회계 세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재정실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방송대 중장기 재정운용의 개선방안을 제안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방송대 세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록금의 합리적 책정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등록금 수입 이외의 추가적인 재원을 확보할 것, 예산편성․지출을 효율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세입구조를 개선하고 예산편성과 지출을 효율화하기 위해 현재의 재정관련 업무 및 조직의 체계화할 것 또한 제안하였다. 방송대 재정 수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록금을 합리적으로 책정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등록금의 성격과 책정방법에 대한 제이론 및 등록금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비 원가 산출에 근거한 책정모형은 대학의 평균 등록금을 책정하는 모형으로 적용하는 데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원가분석모형에 의한 등록금 책정방안은 계열별 또는 과정별(학부와 대학원) 차등화 방안에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송대의 경우 현재 2개 계열 등록금 차등화방안은 4개 단과대학별로 세분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른 국공립대학교와 비교결과 사회계열과 자연계열의 경우 등록금 수준을 현재보다 차등적으로 올릴 필요가 있다. 또한 매체유형과 중간시험 유형 등 교육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이한 교육비용을 반영하여 교육비 차등화방안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방송대의 세입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국립대학에 대한 기본경비 지원 확대 및 고등교육에 대한 재정지원 사업 수주를 통한 지원금 확보를 제안하였다. 국립대학에 대한 기본경비 지원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서 지원금을 산정하는 포뮬러 가운데서 학생 수 대비 기본 단가가 적정하게 책정되었는지, 시설면적에 따라 일률 배분하는 것이 원격교육기관인 방송대에 적합한 것인지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본경비 지원에서 방송대가 패널티를 받은 기성회회계 운영과 장애인 의무고용 확보율에 대한 대응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산학협력단회계 수입 증대를 위해서는 현재 준비하고 있는 간접비 등급 상향 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프로젝트가 수행될 수 있는 연구지원시스템을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의 고등교육에 대한 재정지원 사업에서 선정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TF 팀 운영과 함께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예산편성과 지출을 효율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대학발전 6대 전략별로 예산비율을 설정할 것과 대학 평가지표와 연계하여 예산을 집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제안한 대로 세입구조를 개선하고 예산편성과 지출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대학발전이라는 큰 그림 속에서 대학재정운용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을 관리, 평가할 사업단위가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의 재정관련 업무 및 조직을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방송대 재정실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장기 재정운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내용은 세입구조 개선, 합리적 등록금 책정, 예산편성 및 지출 효율화, 재정관련 업무 및 조직의 체계화 등 4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 방송대 교양교육 운영체계 수립 연구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3 정책과제 Vol.- No.-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가. 연구 내용 3 나. 연구 방법 3 Ⅱ. 선행연구 분석 5 1. 방송대 교양교육의 목표 및 영역, 편성체계 5 2. 대학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9 가. 교양기초교육의 정체성과 목표 9 나. 교양기초교육의 목표 10 다. 교양기초교육의 영역 11 라. 교양교육 총 학점 및 영역별 학점 배분 지침 12 마. 교양교육 정상화에 요구되는 제도적/행정적 지원 12 3.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이수체계 14 4. 방송대 교양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 의견조사 결과 20 가. 교양교육 목적과 목표, 영역 20 나. 교양교육 조직체계 22 5. 소결 24 Ⅲ.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체계 수립 과정 및 현황 26 1. 교양교육 운영체계 수립 과정 26 가. 강원대 26 나. 성균관대 32 2. 교양교육 운영체계 36 가. 강원대 36 나. 성균관대 42 3. 소결 47 Ⅳ. 교양교육 운영체계 개선안 50 1. 교양교육의 목표 50 가. 교양의 정의 50 나. 교양교육의 지향점 51 다. 교양교육의 목표 51 2. 교양교육의 영역 52 3. 교양교육과정의 편성체계 54 Ⅴ. 결론 및 제언 56 1. 요약 및 결론 56 2. 제언 58 가. 대학의 교육목표 재설정 및 교육과정 관련 규정 정비 58 나. 교양교육원 운영 내실화 59 다. 학과별 교양교과목 개설 가이드라인 제공 60 라. 교양교과목 학점 다양화 60 참고문헌 63 [부록] 교양교육과정 운영 지침(안) 65

      • 신․편입생 학업지속률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15 No.-

        방송대는 원격교육기관으로 성인학습자가 일-학업을 병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이 점이 또한 학업지속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그 결과 방송대생의 평균 졸업률은 30%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학업중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4년 이래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방송대 학생들의 학업 지속에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 및 심리적인 요인, 학습의 내용과 수업 운영방식, 학습 결과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큼 한 가지 방안으로 학업지속률을 획기적으로 높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학업지속률 제고를 위한 방안 역시 교육내용과 운영체제의 개편, 평가제도 개선, 학습자 지원 강화, 대학의 행정 서비스 간소화 등 대학 운영의 전 영역에 걸쳐 제안되어 왔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중요한 사항 가운데 하나는 학업지속 여부에서 결정적인 시기는 입학 이후 1년 이내이며 첫 학기가 특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학업지속률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으로 가야한다는 점이 수차례 제기되어 왔다. 특히 학업중단 위험 집단에 대해서는 학습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학업 설계를 지원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어 왔다. 따라서 방송대 입학 후 첫 학기에 학업중단 위험집단군에 대한 심리적, 학습적 지원을 확대하고 학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지속 여부에서 중요한 시기인 첫 학기의 학업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 수강 교과목 수를 축소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즉,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를 축소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시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제반사항을 검토하였다. ■ 연구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 축소가 학업부담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수리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과목 수 축소에 대한 타당성 및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008학년도에서부터 2014학년도까지 신‧편입생들의 첫 학기 및 둘째 학기의 수강 신청 교과목 수 및 중간, 기말평가 응시 현황, 성적 자료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6과목을 모두 수강하는 학생들의 성적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둘째 학기 등록 집단(학습수월 집단) 및 미등록 집단(학습고부담 집단)으로 구분하면 수강 교과목 수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학습수월 집단 및 학습고부담 집단 모두에서 수강 교과목 수가 적을수록 평균 평점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2008학년도 입학생의 2013학년도 1학기까지의 종단자료를 분석하였다. 즉, 2008학년도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와 성적, 2013학년도 1학기까지 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1학년 신입생의 경우 5과목 수강자, 2학년 및 3학년 편입생은 6과목 수강자의 성적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2013학년도 1학기 기준으로 미졸업자(학습고부담 집단)과 졸업자(학습수월 집단)으로 구분하면,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즉, 학습수월 집단의 경우 특히 3학년 편입생에서 수강 교과목 수 감소시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고부담 집단의 경우 수강 교과목 수가 1-2과목 줄어들면 전체적으로 성적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볼 때,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 축소는 학업 부담을 완화하여 학업지속의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보이며, 그 효과는 학습고부담 집단에서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신‧편입생의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 축소 운영 방안 및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운영안은 시행 대상을 신입생으로 한정할 것인지 아니면 신‧편입생 전체로 할 것인지에 따라, 또한 개설 교과목 수 및 지정 교과목 수에 따라 A, B, C, D 네 개 안으로 구분될 수 있다(표 1). 이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 축소 운영 방안으로 A안과 D안을 제안하였다. A안과 B안은 개설 과목 수는 현재와 같이 6과목이고 수강지정 과목만 5과목으로 축소하는 안이다. 학습자가 원하는 경우 입학 첫 학기부터 6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별도의 예산이 필요하지 않는다. A안과 B안 모두 정책수행에 따른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적용 대상이 신‧편입생 전체인 A안을 운영 방안 가운데 하나로 제안하였다(대안 1). 구분 대상 신‧편입생 전체 1학년 신입생 입학 첫 학기 6과목 개설, 5과목 수강지정 A B 입학 첫 학기 5과목 개설 및 수강지정 C D <표 > 시행대상 및 방법에 따른 신‧편입생 첫 학기 수강 교과목 수 축소 운영안 구분 C안과 D안은 개설 과목 수 및 수강 지정 과목 수를 5과목으로 일괄 축소하는 안이다. 따라서 학생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프라임칼리지 과목을 무료 또는 최소 비용으로 수강하고 이를 방송대 학점으로 인정하는 것과 같은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그런데 C안의 경우 시행 대상이 신‧편입생 전체이기 때문에게 그 인원이 약 5만3천명(2015학년도 기준)에 달해 프라임칼리지 수용 가능성이 낮고 소요 예산도

      • 방송대 학생 실태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 연구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14 No.-

        ■ 연구필요성 및 목적 ○ 1980년대 중반 학부 신‧편입생 실태조사가 시작된 이래 재학생, 졸업생, 그리고 대학원 신‧편입생과 재학생 대상 조사가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옴. 따라서 그간의 학생 대상 실태조사의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토대로 조사 영역 및 문항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 이와 함께 방송대 학생 실태조사의 체계를 조사 방법, 결과 분석 및 공유‧활용 측면에서 효율화하는 방안을 제안함 ■ 연구내용 ○ 실태조사 조사영역 및 문항의 타당도를 검토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음. 1) 연구진 검토: 각 실태조사의 목적에 비추어 조사 영역이 타당하게 설정되었는지, 추가하거나 삭제, 보완할 영역이 있는지 검토함. 이를 통해 조사 영역이 확정되면, 영역별로 개별 문항을 검토함. 2) 관련 부서 협의: 부서 업무와 관련하여 추가하거나 삭제할 문항이 있는지 협의. 3) 전문가 검토 및 수정: 1)과 2)의 과정을 통해 확정된 조사 영역과 문항에 대한 교내외 전문가 검토. 이 결과를 반영해 문항 수정. 4) 학생 대상 예비설문: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은 없는지 등 설문에 대한 학생 의견 수렴. 5) 조사영역과 문항 확정(그림 1) [그림 1] 실태조사 조사 영역 및 문항 검토 과정 ○ 학생 대상 실태조사 가운데 신‧편입생 실태조사와 재학생 실태조사를 사례로 하여, 조사 영역과 문항의 타당도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이 수정안을 제시함 ○ 신‧편입생 실태조사의 경우 일련의 검토 과정을 거쳐 다음 6가지 조사 영역을 확정함: ‘대학진학 동기 및 장애요인’, ‘방송대 교육방법, 평가방법, 학습자 지원 서비스에 대한 사전 인지’, ‘방송대 입학 초기에 겪은 어려움’, ‘학습 환경 및 학습특성’, ‘대학생활을 위한 기본 역량’, ‘개인배경’ ○ 신‧편입생 실태조사의 조사 문항은 6개 영역에 걸쳐 총 51개 문항으로 2014년, 2015년 대비 약 10개 문항 증가함. 새로이 ‘방송대 학습자지원서비스에 대한 사전 인지’, ‘방송대 입학 초기에 겪은 어려움’, ‘학습특성’, ‘대학생활을 위한 기본 역량’ 등 4개 영역이 신설되어 관련 문항이 추가된 결과임 ○ 재학생 실태조사의 경우 일련의 검토 과정을 거쳐 다음 11가지 조사 영역을 확정함: ‘대학진학동기 및 장애요인’, ‘교육매체’, ‘U-KNOU PLUS 서비스’, ‘출석수업’, ‘학습방법 및 학습시간’, ‘동아리 활동’, ‘학습자 지원 서비스’, ‘첫 학기 적응과정에서 겪은 어려움 정도’, ‘학교생활 어려움 해결방안’, ‘학업중단 경험과 이유’, ‘개인배경’ ○ 재학생 실태조사의 조사 문항은 11개 영역에 걸쳐 총 39문항임. 이는 기존과 큰 변화가 없는 숫자임. ‘입학 첫 학기에 겪은 어려움’ 관련 조사 영역이 새로이 추가되었지만 다른 영역에서 삭제, 통합된 문항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문항수가 증가하지 않음 ○ 신‧편입생 실태조사와 재학생 실태조사의 조사 영역 및 문항에 대한 검토 과정 및 최종 선정 결과는 <표 1>과 같음 구분 검토 또는 변경 내용 신‧편입생 실태조사 재학생 실태조사 1차 연구진 검토 ∘ 6개 영역의 50개 문항 선정 ∘ 10개 영역의 42개 문항 선정 관련 부서 협의 ∘ 없음 ∘ 컴퓨터운영체제 및 브라우저에 대한 조사 일시적으로 추가 요청 전문가 검토 ∘ 조사목적 대비 조사영역 및 문항이 타당하게 선정됨 ∘ 문항 수정 시 아래 사항을 참고할 필요 있음 ∘ 평가방법 사전 인지 조사 시 ‘계절수업시험’ 추가 제안 ∘ ‘입학 전 인터넷 강의 경험’ 문항 통합 제안 ∘ ‘입학 초기 어려움’에 대한 자유 답변 문항 추가 제안 ∘ 개인배경 중 ‘아버지 학력’ 문항 삭제 제안 ∘ 조사목적 대비 조사영역 및 문항이 타당하게 선정됨 ∘ 문항 수정 시 아래 사항을 참고할 필요 있음 ∘ ‘첫 학기 적응’ 관련 조사 추가 제안 2차 연구진 검토 ∘ 평가방법 사전 인지 조사 시 계절수업시험 추가, ‘입학 전 인터넷 강의 경험’ 문항 통합, ‘입학 초기 어려움’에 대한 자유 답변 문항 추가 ∘ 개인배경 중 ‘아버지 학력’ 문항은 5년 후 조사, 삭제 여부는 추후 결정하기로 ∘ 11개 영역의 39개 문항 선정 ∘ ‘첫 학기 적응’ 관련 조사 영역 추가 및 신규 문항 개발 ∘ ‘교육매체별 활용도’ 관련 문항 삭제 ∘ ‘학업중단 경험’ 문항 통합 ∘ 11개 영역의 39개 문항 선정 예비설문 ∘ 없음 ∘ 없음 조사영역 및 문항 확정 ∘ 6개 영역의 51개 문항 확정 ∘ 11개 영역의 39개 문항 확정 <표 1> 신‧편입생 및 재학생 실태조사 조사 영역 및 문항 최종 선정 결과 ○ 학생 대상 실태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은 조사 방법, 결과 분석, 결과 공유 및 활동 등의 3가지 측면에서 제시함 ○ 첫째, 실태조사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사 시기와 간격은 현재의 방식을 유지하여 시계열 분석의 효과를 거두고자 함. 실태조사의 대상은 조사 시기와 밀접하게 관렴됨. 따라서 학기 시작 후 1개월 후의 등록생 수를 모집단으로 간주하여 조사를 시행함(1학기는 4월 1일, 2학기는 10월 1일 기준) ○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현재 실태조사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학생패널조사는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바로 시행되기가 어려움. 따라서 현재 조사 방법을 유지하되, 사안에 따라 각종 실태조사 연속 응답자를 대상으로 유사패널을 구축하여 분석에 활용할 것을 제안함 ○ 문항수는 대학홍보 활동 인지도 조사 및 대학자체평가 조사 문항 등을 합해 재학생 실태조사는 100문항 내외에서, 신‧편입생 실태조사 60~70문항 수준을 유지할 것을 제안함 ○ 둘째, 실태조사 결과 분석 다양화 방안으로는 ‘동일 실태조사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 ‘동일 학생 정보를 활용한 유사 패널자료 분석’, ‘유사 문항을 활용한 실태조사 비교 분석’, ‘IDE 통계분석보고 등 스토리가 있는 분석’ 등을 실례와 함께 제시함 ○ 셋째, 조사결과 공유 및 활용 방안은 ‘조사 결과 보고서 발간 다양화’ 및 ‘관련 부서와 조사결과 공유 및 협의회 개최’ 두 가지로 나누어 제안함 ○ 향후 조사 및 분석의 효율화, 빅데이터 분석 기법 활용 등을 위해서는 조사 결과 및 관련 학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함 ○ 실태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을 종합하면 다음 [그림 2]와 같음 [그림 2] 방송대 학생 실태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 1-143 시작페이지 15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3. 선행연구 검토 3 Ⅱ. 실태조사 조사 영역 및 문항의 수정 방안 10 1. 신.편입생 실태조사 11 2. 재학생 실태조사 32 Ⅲ. 실태조사 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 57 1. 조사 방법의 체계화 방안 57 2. 조사 결과 분석의 다양화 방안 60 3. 조사 결과의 공유 및 활용 방안 71 Ⅳ. 결 론 75 1. 연구 요약 75 2. 정책 제언 77 참 고 문 헌 81 부 록 ■ 정책 제언 ○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실태조사 체계의 효율화 방안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첫째, 실태조사에 대한 모니터링 및 체계화 연구 정례화, 둘째,. 통계 업무의 지속성 및 전문성을 위한 우수 인력 확보 및 유지, 셋째, 실태조사 결과 공유 및 활용 방안 적극적 추진, 넷째, 학습자 친화적 대학 정책 수립과 추진이라는 정책 기조 유지

      • 원격개방대학 국제비교연구 : 교육과정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체제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 우수 원격개방대학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대학으로는 영국 개방대학(OU UK) 및 호주개방대학(OUA), 프랑스 국립원격교육원(CNED) 세 곳을 선정하였다. 이들 대학의 교육과정 체제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는 자격체제와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방식에 초점을 맞추되 각 대학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보다 발견적인 접근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 3가지로 크게 구분된다. 우선 사례 대학의 교육과정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각 국의 고등교육 체제 및 직업교육제도를 조사하였다. 영국, 호주, 프랑스 각 국의 고등교육체제 및 직업교육 제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사례 대학의 교육과정 체제를 분석하기에 앞서 각 대학의 설립배경 및 목적, 대학조직, 재학생 및 교직원 수 등 기본 현황을 조사하여 대학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사례 대학의 교육과정 체제는 개설된 자격 및 교육 프로그램 현황, 이수 규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대학의 대표적인 직업 관련 자격을 선정하여 관련 프로그램 현황 및 운영상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영국개방대학은 학점기반 모듈식 교육과정(credit-based modular curriculum) 체제의 장점을 살려 수준과 분야가 다양한 자격 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호주개방대학은 콘소시엄에 참여하는 대학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 폭이 넓을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들이 필요한 시기에 학습을 시작하고 직업과 연계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프랑스 국립원격교육원은 영국개방대학과는 달리 학위 또는 자격 취득을 위한 일관된 교육과정과 이수 학점을 제시하고 있어 학습자 선택의 폭이 넓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공 분야를 세분화하거나 거의 모든 전공의 학위 과정에서 학습자가 전공 관련 분야를 탐색 할 수 있는 ‘개별 프로젝트’를 별도의 교과목으로 개설함으로써 보다 개인화된(personalized)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이상의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방송대가 유연하고 다양하며 실용성을 담보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고등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교육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습 경험을 가진 성인학습자가 대학 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본격적인 자격 과정을 준비하는 일종의 기초 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현재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가칭 ‘선행학습인정제’ 역시 학습자의 근로경험 및 학습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여 성인학습자들의 교육기회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013년 개설될 예정인 ‘선취업 후진학’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현재 직업경험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직무기반학습’ 교과목을 도입하는 것 또한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현재 수준의 개설 교과목을 활용하여 좀 더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기 위해 별도의 학과를 신설하는 데는 많은 장애 요인이 있다. 따라서 현재 학과 내에 세부 전공을 추가로 개설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직업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서 협력기관을 적극 활용한다. 각 분야 관계자와의 협의를 통해 교육과정에 현장의 목소리를 보다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직업 교육에 필수적인 현장실습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도 협력기관의 발굴이 중요하다. 현재 방송대가 추진하고 있는 사내대학과의 협력도 이러한 취지라고 볼 수 있다. 넷째, 학습 경로 및 진로를 탐색하는 학습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프라임칼리지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될 것으로 보이는 e-포트폴리오 및 커리어 코칭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관심사와 이전 학습 경험, 직업 동향 등을 바탕으로 학습 경로 및 진로를 탐색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초등 생태교육 사례 연구

        주형선,이선경,김남수 한국환경교육학회 2022 環境 敎育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한 도시에 위치한 A 초등학교를 사례로 하여 학년 단위로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생태교육을 수행한 과정, 이를 통해 이루어진 생태교육의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2021년 1학년, 3학년, 5학년에서의 생태교육을 조사하였으며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온라인 기반 학년별 교사 면담이었다. A 초등학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은 매해 2월 중순 새학년 준비 워크숍에서 동 학년 교사들이 국가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작년 교육과정 평가 자료 등을 바탕으로 해당 학년에서 중요하게 가져갈 주제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학기 시작 전에 교사들이 협력하여 첫 번째 주제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학기 중에는 공동 개발한 수업 계획을 기초로 앞서 수업을 했던 동료 교사의 경험과 반 아이들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진행 중의 경험 공유와 평가는 학년별 학습공동체 시간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학년별 생태교육은 1학년은 ‘봄이랑’, ‘여름이랑’, ‘가을이랑’, ‘겨울이랑’, 3학년에서는 ‘나비’와 ‘출동! 지구 탐험대’, 5학년은 ‘○○산 친구를 소개합니다’라는 이름으로 각각 진행되었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A 초등학교의 생태수업은 첫째, 분과 학문 중심의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 목표를 통합적으로 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생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적 경험에 대해 지속적인 고민하고 실천하면서 자연과 관계 맺기라는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셋째 생태교육의 장이 교실을 넘어 학교 전체, 마을로 확장되고 아이들의 삶과 연계된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 특징과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튜터링 질관리를 위한 튜터 교육 및 평가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주형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정책과제 Vol.2021 No.-

        방송대는원격교육환경에서튜터의중요성에대한인식을바탕으로튜터제도를도 입,운영하고있다.방송대의튜터제도는학습지원을위한여러제도중가장큰규모 와체계를갖춘지원제도로1997년지역튜터제도를시작되었다.2006년통합튜터라는 이름으로시작된학과튜터제도는일련의연구와시범운영을통해튜터의직무와튜터 링대상, 운영기간, 튜터교육및평가방법등운영의기틀을마련했다.또한튜터링 과튜터에대한평가가동시에이루어지는튜터지도사이트를구축하여운영하고있다. 하지만 방송대 튜터제도는 성과지표라고 할 수 있는 학업성취도 향상, 학업지속률 제고 등효과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한편 2020학년도에 23개학과 및 재학생, 튜터대상으로튜터의필요성에대해조사한결과, 세주체모두90%이상의 높은비율로튜터링이필요하다고응답하였다.튜터링의필요성에대한학내구성원들 의요구를반영하여제도를유지하기위해서는학습자지원제도로서튜터링의역할을 제고하기위한질관리를강화해야한다. 방송대튜터제도질관리를위해서는질관리에서추구하는가치와목표를명확히하 고우수튜터선발,튜터교육,튜터지원체제,튜터관리및모니터링,튜터링효과성 평가등튜터선발에서부터평가결과의환류에이르기까지전과정에서의지속적인 관리가필요하다는점이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튜터제도 질관리 영역 가운데 학과튜터 교육 및평가에초점을맞추어개선방안을도출하고자한다.방송대학생들의학업과대학 생활을지원하기위한학습자지원제도로서튜터링의질제고를위해1)튜터제도운 영목적과학과튜터의직무를새로이설정하고이를바탕으로튜터가양질의학습자 지원서비스를수행할수있도록2) 튜터교육및평가제도개선방안을마련하는데 그목적이있다. 주요연구내용및결과는다음과같다.첫째,학과튜터교육및평가현황을분석하 였다.튜터교육및평가와긴밀이연계되는현행튜터제도운영목적및직무도살펴 보았다. 학과튜터교육및협력체제는학사운영과주관튜터교육과학과주관튜터 간담회와같은공식적인프로그램과함께튜터간교류세부분에서살펴보았다.양적 평가지표,질적평가지표,가산점의세영역에걸쳐이루어지는학과튜터평가현황은 평가지표및최근5개학기의학과별,학과내평가결과를분석하였다.이를바탕으 로튜터제도운영목적및학과튜터직무,평가지표수정안을제안하였다. 둘째, 24개학과및최근4년동안활동한튜터를대상으로튜터링현황, 학과튜터 교육및평가제도개선에대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4대단과대학,8개학과튜터 를대상으로면담도실시하였다. 튜터링현황은학생들의질문,의사소통통로,튜터지도사이트에대한참여와활용도 향상을위한노력,과제물및기말시험준비지원방법등을조사하였다.학생들은 주 로 학사 제도와 일정, 성적 취득을 위한 과제물⸱기말평가 준비와 관련된 질문을 하며, 학생과의 의사소통은 튜터지도사이트와 문자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튜터지도사이트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사이트를 통한 자기소개를 요청하고, 학기 초에 사이트 참여 방법을 적극적으로 안내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과제물 작성 및 제출, 기말시험 준비 지원을 위해 단계별 일정 안내 에서부터 과제물 문제와 표지 파일 안내, 기출문제 탑재 또는 다운로드 방법 안 내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현행튜터직무및평가지표에대한검토를바탕으로제안한수정안에대해서는학 과와튜터모두일부항목을제외하고는전체적으로필요하다고응답했다. 튜터교육은학사운영과주관튜터교육의개선방안,튜터간담회현황,튜터간교 류등세가지측면에서조사하였다. 튜터들은 학사운영과 주관 튜터 교육이 신임 튜터가 튜터의 직무 및 관련된 행정 절차를 파악하고 선배의 튜터링 노하우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므로 온・오프라인을 활용하여 교육을 정례화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학사제도 변화 안내와 튜터링 노하우 공유를 적극적으로 수행해 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조사에참여한대부분의튜터들은튜터간담회가필요하다고여기고있었으며간담 회를통해튜터링의중요성을공유하고해당학기튜터링시주의사항을안내받는다고 응답했다. 하지만학과조사결과코로나19가심각해진2019학년도2학기를기점으로 튜터간담회를실시하지않는비율이42.1〜73.7%로매우높아진것으로나타났다. 소속학과내튜터간교류는학과별로차이가있으며타학과튜터와의교류는대 부분튜터지도사이트내튜터와의장을통하는것으로나타났다. 튜터간교류는공식 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튜터링에 필요한 정보와 노하우를 공유하고, 튜터링 과정에서생기는문제나어려움을함께고민할수있는협력체제로서의미있었다. 튜터평가와관련하여학과를대상으로소속학과튜터의평가결과에대한피드백 여부,학과주관질적평가의참여주체및참고자료를조사하였다.조사에참여한대 부분의학과가성과가낮은튜터를대상으로개선을권고하고질적평가는양적평가 결과와튜터링결과보고서를참고하며주로학과장주관으로시행한다고응답했다. 셋째,튜터제도질관리의핵심영역인학과튜터교육및평가제도의개선방안을제 안하였다.튜터제도운영목적및직무재설정안도함께제안하였다. 방송대의학과튜터교육및협력체 제는 튜터제도 도입 이래로 그 틀이 잘 갖추어져 있으므로 학교, 학과, 튜 터등단위별역할을명확히할 것을 제안하였다(그림 1, 표 1). 단위별 학 과튜터교육및협력체제가잘 작동 되면튜터가자신의직무를잘이해하 고선배튜터의노하우를활용하여튜 터링계획을수립하며과정중에생기는문제를협력관계를통해해결해나갈수있을것으로보인다. 본연구에서는각 단위에서역할을제대로수 학과튜터평가제도개선방안은평가지표재설정및평가결과환류두측면에서 제안하였다. 평가지표는현행양적평가지표, 질적평가지표, 가산점의체계를유지하 되직무에기반한평가가이루어지고평가자료제출을위한튜터의문서작성부담을 경감하는방향에서세부지표와배점을수정하였다. 방송대의 학과튜터평가 및평가결과에대한환류체계 역시 그틀이비교적잘 갖추어져있으므로현재갖추어진일련의평가및환류체계를잘운영하는것이중요 하다는점을강조하였다(그림2).또한튜터평가및환류에서학과의핵심적인역할을 고려하여학과차원에서튜터링질관리의중요성을인식하고그역할을충실히수행하 기위해노력할것과이에대해대학이행정적, 재정적지원을적극적으로해나갈것 을제안하였다.행하고있는지자기평가를매학기정기적으로수행할것을 제안하였으며이를위한체크리스트를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