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간적 지식 너머의 지식?: 메이야수의 사변적 유물론 비판

        주재형 한국현상학회 202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00 No.-

        메이야수는 현대 철학의 주목받는 흐름인 실재론 운동에서 중심적이고도 독특한 자리를 차지한다. 그는 ‘상관주의’라는 명칭을 고안함으로써 다양한 실재론들을 반-상관주의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마련했다. 그러나 메이야수가 주장하는 사변적 유물론은 상관주의 내부에서 상관주의를 벗어나고자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실재론들과 명확히 구별된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메이야수가 자신의 주저 유한성 이후 에서 전개한 사변적 유물론의 중심 논변이 과연 상관주의를 실제로 논박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메이야수는 자신의 사변적 유물론이 상관주의가 성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암묵적 전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상관주의가 그러한 전제를 수용하지 않고서도 일관된 입장일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또한, 그의 논증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그의 입장은 수행적 모순을 범하지 않을 수 없다. 다음으로 우리는 메이야수가 상관주의의 난점을 보여주기 위해 고안한 원화석의 문제는 사실상 상관주의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상관주의가 말하는 상관성은 선조적 진술을 문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개방성으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메이야수의 초-카오스 개념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우리는 그의 사변적 유물론이 사실상 절대적 무지의 존재론적 투사에 불과하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Meillassoux holds a central and distinctive position within the contemporary realist movement in philosophy. Coining the term “correlationism”, he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encompass a wide range of realist theories under the umbrella of anti-correlationalism. However, his speculative materialism stands apart from these other realisms in its attempt to transcend correlationism through correlationism itself. In this study, we will critically examine whether Meillassoux’s central argument in speculative materialism, as expounded in his essay After Finitude, effectively challenges correlationism. Meillassoux contends that his speculative materialism constitutes a necessary implicit premise for correlationism. Nevertheless, we will demonstrate that correlationism can maintain coherence without accepting such a premise. Moreover, if we take his argument at face value, his position entails a performative contradiction. Subsequently, we will argue that the problem of arche-fossil, which Meillassoux introduces to highlight the dead-end of correlationism, ultimately does not pose a substantial threat to it. This is because the so-called correl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n openness that accommodates ancestral statements without reservation. Finally, upon scrutinizing Meillassoux’s conception of the Hyper-chaos, we will conclude that his speculative materialism amounts to nothing more than an ontological projection of absolute ignorance.

      • KCI등재

        베르그손의 예술철학 연구 1 : 예술의 방법, 체험, 진리, 창조에 대하여

        주재형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60 No.-

        Art occupies a unique position in Henri Bergson's philosophy. Because it is central and peripheral at the same time. Though his thinking was based on art, Bergson did not write an independent book about art, but we can reconstruct an original philosophy of art from his fragmentary texts on art. This study is an attempt at such a reconstruction. To this end, we will begin by analysing a sentence defining art in Bergson's first work, Time and Free Will. From this analysis, we will show that Bergson defines a method of art in close connection with techniques of hypnosis, and characterizes the experience of art as that of the artist's human emotions, ideas, and efforts. This view of art can be regarded as a re-formulation of classical art theories such as Plato's and Kant's in Bergson's own language. After examining some of the issues raised by these conceptions of art, we will end our study with the notion that art allows us to experience Bergson's “Durée” through creative means. 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예술은 중심적이면서도 주변적이다. 그의 사유는 예술을 모델로 하고 있으면서도 베르그손은 예술에 관한 독립적인 저작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는 예술에 관한 그의 단편적인 언급들로부터 매우 독특한 하나의 예술 철학을 재구성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재구성의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먼저 베르그손의 첫 저작인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에서 예술을 정의하는 하나의 문장에 대한 분석에서 논의를 시작할 것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베르그손이 예술의 방법을 최면 기법과의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규정하며, 예술 작품의 감상을 작가의 인간적인 감정, 관념, 노력에 대한 체험으로 특징짓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베르그손의 이러한 예술관은 플라톤, 칸트 등의 고전적인 예술론을 베르그손 자신의 언어로 재정식화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지만 베르그손의 예술 이해는 또한 몇 가지 문제들을 제기한다. 예술은 존재의 진리에 대한 인식이라는 예술 진리론과 예술은 작가의 감정에 대한 체험이라는 예술 감정론 간의 충돌, 베르그손의 지속 형이상학과 그의 예술론 간의 관계, 저자의 죽음이라는 현대 미학적 관점과 베르그손의 관점 간의 외관상의 대립, 그리고 끝으로 진리 인식으로서의 예술과 창조적 활동으로서의 예술 간의 모순 등이 베르그손의 예술론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마주하게 될 문제들이다. 우리가 보기에, 예술은 창조적 수단들을 통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자의 내밀한 본질인 지속을 체험하도록 해주는 것이라는 관념이 이 모든 문제들에 대한 대답의 단초를 제공한다.

      • KCI등재

        베넷의 생기 유물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주재형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70 No.-

        Bennett's Vibrant Matter is an influential work of vital materialism. In this book, Bennett's goal is to criticize the idea that humans are the only or most important agents of action, and to show the power of material things that have been regarded as having no creativity or activity. Here, we would like to critically examine this philosophical project. First, we will scrutinize the first example of what she calls “thing-power” in Chapter 1 of Vibrant Matter. It will be revealed that her arguments cannot go beyond the limits of subjective or literary metaphor. Next, we will examine her vital materialist analysis of a North American power blackout in 2003,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Chapter 2. This analysis shows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her position. This is because vital materialism actually results in the granting of metaphysical indulgences to those in power and rulers under the guise of preventing the human subject from monopolizing status of agent, or at least remains defenseless to such consequences. Finally, we will point out that Bennett's vital materialism lacks the concept of responsible action which can make possible a proper political and ethical project. Bennett does not see that moral responsibility has to do with the ability of negative action to prevent an outcome, not to the capacity to act positively to produce an outcome.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conceive a general theory of passivity against the essentialist monistic metaphysics of the activity of beings. 베넷의 『생동하는 물질』은 생기 유물론을 대표하는 영향력 있는 저작이다. 이 책에서 베넷의 목표는 인간만이 유일한, 또는 가장 중요한 행위 주체라는 고정 관념을 비판하고 그동안 아무런 자발성, 능동성이 없다고 간주된 물질 대상들의 힘 (power)을 입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러한 그녀의 철학적 기획을 비판적 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우선, 『생동하는 물질』의 1장에서 그녀가 사물적 힘 (thing-power)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 제시하는 첫 번째 예를 살펴볼 것이다. 이 검토를 통해서 그녀의 논의가 주관적이거나 문학적인 은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 고 있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다음으로, 2장의 핵심을 이루는 2003년 북미의 대 규모 정전 사고에 대한 그녀의 생기 유물론적 분석을 살펴볼 것이다. 이 분석은 그 녀의 입장이 가진 현실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다. 생기 유물론은, 인간 주체가 행 위를 독점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미명 하에 실제로 권력자와 지배자들에게 형이상학 적 면죄부를 부여하는 결과를 낳거나, 그게 아니면 적어도 그러한 결과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끝으로, 우리는, 베넷의 생기 유물론에는 제대로 된 정치적, 윤리적 기획을 끌어낼 수 있는 책임 있는 행위의 개념이 없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베넷은 도덕적 책임이 어떤 결과를 적극적으로 산출하는 행위능력이 아니라 그 결과를 막을 수 있는 소극적 행위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을 보지 못한 다. 결국 존재자의 능동성에 대한 본질주의적 일원론 형이상학에 맞서, 수동성에 대한 일반 이론을 사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베르그손의 직관의 방법과 실증 형이상학

        주재형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7

        The importance that Bergson attached to his philosophical method is not so well known. But when we pay attention to his method, his philosophy is revealed as a new rationalism. Bergson does not simply claim a mystical ineffable intuition, but describes the methodology for reaching that intuition and the close cooperation of intuition and intellect.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main step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 of intuition, taking his representative methodological text “Introduction to Metaphysics” as the central object. His methodology has three steps: 1) Distinction between analysis and intuition, 2) Methodology of images, 3) Philosophical integration. Also, there are interesting philosophical issues in each of these three steps: a singular dualistic ontology, the overcoming of solipsism, and the competitive partnership between science and metaphysics. By examining these issues, Bergson's methodology of intuition will be explained more rationally. Finally, we will add a word about the failures and potentials of this methodology.

      • KCI등재

        생명주의의 내재적 비판: 베르그손의 “전쟁 담론”을 중심으로

        주재형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9

        이 논문은 베르그손의 “전쟁 담론” 텍스트들에 대한 독해를 통해 생명주의 철학에 대한 내재적 비판 논리를 드러내고자 한다. 1차 세계대전은 베르그손을 포함한 일군의 유럽 철학자들이 속해 있던 생철학의 근본 원리들의 타당성과 한계를 측량하는 현실의 시금석이었다. 생명의 본질이 자기 역량의 무제한적 발휘와 그에 대한 향유라고 본 몇몇 철학자들은 전쟁을 생명의 이러한 본질이 드러나는 계기로 보며 전쟁을 지지했다. 베르그손 역시 독일에 맞서는 프랑스의 대의를 정당화하며 이 전쟁에 대한 철학적이면서도 이데올로기적인 해석을 제시했다. 하지만 그의 “전쟁 담론” 텍스트들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이 이데올로기적 선동 이면에서 창조적 역량으로서의 생명 개념에 내재적인 한계를 드러내는 논리들이 발견된다. 개념적 수준에서, 힘이 최고의 가치로 등극하는 순간은 동시에 힘이 힘 이상의 어떤 정신적 가치로 변화되는 순간이라는 점에서 힘의 절대화는 내적 한계에 부딪힌다. 또한, 베르그손은 독일의 역사적 발전을 철학적으로 고찰하면서 생명의 창조적 역량이 자기 파괴로 전도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따라서 생명의 창조는 무조건적으로 긍정적인 것이 아니라 다른 가치들에 의해 조건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창조적 역량으로서의 생명 개념이 드러내는 이 내재적 한계들로 인해 이후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에서 제시되는 베르그손 자신의 철학 또한 변모를 겪으며 생명주의의 내적인 분화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푸코와 캉길렘 ‒과학, 생명, 주체‒

        주재형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4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cault and Canguilhem, we follow a lead in Foucault’s last plublished text, a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his preface to the english translation of Canguilhem’s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It should be noted that at the end of the text, the philosophy of concept as the tradition that Foucault and Canguilhem both belong to is presented as another approch to the notion of life. How could a philosophy of concept become a kind of vitalism?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e will reconstruct an invisible debate between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The birth of the Clinic, and show how some singular vitalism, vitalism of errant life emerges from this tense intellectual relationship between Foucault and Canguilhem, as a philosophical program for our present. 우리는 푸코와 캉길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푸코가 마지막에발표한 글인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에 대한 서문에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이 글에서 푸코는 자신과 캉길렘이 개념의 철학이라는 전통에 속한다고 말하면서도 이 개념의 철학을 생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특징짓고 있다. 어떻게 개념의 철학이 새로운 생명주의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의질문들을 통해 이 두 사람의 지적 여정을 따라가 볼 것이다. 푸코의 『임상의 탄생』은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를 어떻게 반박했가? 어떻게 캉길렘은 결코 명시적으로 이에 대답하지 않으면서도 논의의 지형을 변형시켜 죽음을 중심에 놓는생명주의로 나아갔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푸코는 어떻게 자신의 마지막 텍스트에서 오류의 철학에 주목하면서 캉길렘에 화답하는가? 이 질문들을 통해서우리의 탐구는 방황의 생명주의라는 새로운 연구 프로그램 속에서 이 두 철학자가 서로 만나면서 우리에게 이를 과제로 넘겨주고 있다는 결론에 이를 것이다.

      • KCI등재

        Microcosm 실험을 이용한 생물유래 살조물질 Naphthoquinone 유도체의 유해 남조류 제어효과 및 기존물질과의 우수성 비교

        주재형,박범수,김세희,한명수,Joo, Jae-Hyoung,Park, Bum Soo,Kim, Sae Hee,Han, Myung-S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종에 의한 녹조현상은 매년 빈번하게 일어나며, 이로 인한 수자원의 질적 변화와 먹는 물확보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Microcystis 종에 의한 피해를 막고자 개발된 naphthoquinone (NQ) 유도체 물질의 장점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황토를 이용한 microcosm 실험을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Q 40, NQ 2-0 물질은 선행 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종을 선택적으로 99.9%, 99.6% 제어했으며,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성을 증진시켰다. 그러나, 황토를 처리한 실험구는 실험 초기 일시적인 조류 제어효과를 보인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유용 조류를 포함한 모든 식물플랑크톤에게 적용되어 다른 조류의 성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NQ 물질을 처리한 처리구는 비생물학적, 생물학적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개량된 유해 남조류 제어물질 NQ 2-0은 높은 살조효과, 선택적 제어효과, 저독성, 자연분해에 의한 비잔류성 뿐만 아니라, 편의성 및 경제성까지 갖춘 새로운 살조물질로서 현재까지 개발된 살조물질보다 현장 생태계 적용에 가장 적합한 친환경 녹조제어 물질이라고 판단된다. Bloom-forming toxic cyanobacteria Microcystis spp. are common in the summer season in temperate freshwater ecosystems. Often, it leads to the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and affects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In a previous study, NQ (naphthoquinone) compounds were shown to be effective, selective, and ecologically safe algicides for Microcystis spp. blooms. To analyze the superiority of developed NQ derivatives, we conducted a microcosm experiment using clay, which is frequently used in South Korea. Similar to previous studies, the NQ 40 and NQ 2-0 compounds showed high algicidal activities of 99.9% and 99.6%, respectively, on Microcystis spp. at low concentrations (≥1 μM) and enhanced phytoplankton species diversity. However, when treated with clay, a temporary algicidal effect was seen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that gradually increased at the end. In addition, treatment with the NQ compounds did not affect either the abiotic or biological factors, and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with the cont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NQ 2-0 compound was more effective, with no ecosystem disturbance, and more economical than the currently used cl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NQ 2-0 compound could be a selective,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safe algicide to mitigate harmful cyanobacterial blooms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