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 유적 출토 현악기의 음악고고학적 연구

        주재근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국악교육 Vol.47 No.47

        In this article, I studied on string instruments founded at Korean prehistoric sites(B.C.1C~A.D.7C). Relics od presumed string instruments from Seokamri tomb No.205(Nangnang era, excavated in 1925). string instruments from the site of ancient ruins in Shinchangdong, Gwangju city(Samha era, excavated in 1997). string instruments from Imdangdong, Kyeongsan city(excaveted in 1998). presumed string instruments from Dahori, Changwon city(excavated in 1998) and Yangyidu(tailpieeceof Gayageum) from Wolpyeongdong, Daejeon city(Bakje, exvated in 1994~1995) were focused for this study. String instruments of Nangnang’s holes are rectangular shape and are too big to be thought as holes for string. Therefore, it is presumed as hole for another function. This is similar with string instruments of Goguryeo period,seen at wall painting of Thaeseongri tomb No.1 and Jangcheon tomb No.1 and the instruments of Shinchangdong(2.4cm×1.8cm). This trend can be found at chinese ancient Seul(瑟). By comparative study on string instruments of Nangnang and Gogureo, which were very close in terms of history, culture and geography, this instruments could be considered as new archomusiciological sources for the origin of Gogureo’s Geomungo. By excavating string instruments of Byeonhan and Jinhan, Imdangdong, its existence was confirmed, which has been written in『Smgukji 三國志』. These and the instruments of Mahan, Shinchangdong can show the existence of their own string instruments in whole Samhan province or southern Korea. As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 string instruments in southern Korea before appearance of Gayageum, it needs to reconsider theories relating the origin of Korean string instruments such as the imitation theory of Chinese instruments(zheng) for Gayageum and Chilhyeongeum(七絃琴) for Geomungo. Even though eight holded Yangyidu from Daejeon Wolpyeongdong site had a missing trunk. it has historicalimportance due to first wooden Yangyidu of Gayageum found in Korea.. 본 논문은 한국 고대 선사유적(B.C1세기~A.D6․7세기)에서 발견된 현악기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낙랑시대 고분으로 알려진 석암리 205호묘에서 현악기로 추정되는 것(1925년 발굴), 삼한시대의 유적으로 알려진 광주 신창동 유적 출토 현악기(1997년 발굴), 경산 임당동 유적 출토 현악기(1998년 발굴), 창원 다호리 유적 출토 추정 현악기(1988년 발굴), 백제 시대 유적인 대전 월평동 출토 양이두(1994년~95년 발굴)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고대 낙랑의 현악기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네 개의 현 구멍은 현 구멍으로서는 매우 커서 현공이 아닌 촉구멍(弦枘)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의 고대 슬과 더불어 태성리 1호분 벽화의 현악기와 장천 1호분 벽화의 현악기등 고구려의 현악기와 신창동 현악기(2.4cm, 가로1.8cm)등 삼한의 현악기와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문화․지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낙랑군의 현악기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보이는 현악기가 비교 연구됨으로서 고구려의 거문고 기원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음악고고학적 자료로 인식된다. 광주 신창동 유적에서 출토된 목제로 된 현악기는 변진한(弁辰韓)-임당동현악기가 출토됨으로서 『삼국지』위지 동이전의 변진한의 현악기 실체가 확인되었으며 마한(馬韓)-신창동 현악기를 통해 삼한 전지역 즉, 한반도 남부지역에 독자적인 현악기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삼한(三韓)이 한(韓)이라는 모태에서 정치 사회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삼한의 각 유적에서 동일하게 발견되는 고고학적 유물들과 삼한의 현악기가 증명하고 있다. 그리고 가야금 발생 이전에 한반도 남부의 고유한 현악기가 존재가 확인됨으로서 『삼국사기』악지 기록에 의한 가야금의 중국악기(箏) 모방설과 거문고의 중국 칠현금의 수용등 한반도 현악기의 기원에 대하여 재 고찰이 있어야 한다. 또한, 신창동 유적에서 출토 유물, 다호리 유적 출토 유물과 일본 야요이 시대 출토 유물과 밀접한 관련으로 인해 고대 한반도와 일본의 유적에서 출토된 현악기를 비교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전 월평동 유적 목곽고내에서 발굴된 8공이 뚫려진 양이두는 비록 몸통은 발견이 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굴된 목재로 된 가야금의 양이두 부분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 KCI등재후보

        박동진 명창의 국립국악원 활동 업적 연구

        주재근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artistic activitie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examine what Park Dong-jin, who has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pansori, left to the National Gugak Center.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1951, Park Dong-jin, who succeeded the Pansori Myeongchang Gang Jang-won, performed not only pansori, but also Sanjo accompaniment of Kim Byeong-ho and other folk musicians,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pieces of court music. Park Dong-jin's entry into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a turning point for the expansion of the pansori area in the field of folk music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folk music troupe, it has been evaluated a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reversal of folk music. In addition, he was appointed as a Pansori teacher at the Gugak Center affiliated with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aught Pansori subjects. After learning pansori from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those from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later entered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various art organizations to play a major role in boosting pansori. Park Dong-jin's unrivaled Pansori activities and activiti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als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folk band in 1980. Park Dong-jin received direct or indirect help in the recognition and status of Park Dong-jin's great singers in the budget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embers, and Park Dong-jin himself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vent. The role of the first senior master in the folk music scene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a great help to the stable development of the folk music group. In conclusion, Park Dong-jin's achievement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made it possible to stand as the center of the succession of folk music in name and reality along with pansori i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ion of court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근현대 한국판소리사에서 큰 업적을 남긴 박동진 명창이 국립국악원의 단원과 지도위원을 거치며 남긴 예술 활동을 정리해 보고 국립국악원에 남긴 업적이 무엇이었는지 고찰해 보는 것이다. 1951년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판소리명창 강장원의 뒤를 이은 박동진은 판소리뿐만 아니라 초기 김병호 등 민속악인들의 산조 반주와 궁중음악에서 좌고까지 연주도 하였다. 박동진의 국립국악원 입단은 국립국악원에서 민속악 분야 중 판소리 영역을 넓힐 수 있는 전환기가 되었으며 이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창단 이후 민속악 반전까지 이루는데 초석을 다진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또한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에서 1972년 판소리 교사로 발령받은 최초의 소리꾼으로 판소리 과목을 전수하였다. 국악사양성소에서 판소리를 전수받은 국악사양성소 출신들은 이후 국립국악원 및 여러 예술단체 등으로 진출하여 판소리를 진작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게 하였다. 박동진 명창의 국립국악원에서의 독보적인 판소리 활동과 활약은 1980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창단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국립국악원의 예산이나 단원 증원 등에 박동진 명창의 대외인지도와 위상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받았으며 박동진 명창 스스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국립국악원에서 민속악계에서 처음으로 맡은 원로사범의 역할은 민속악단의 안정적 발전에 큰 힘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박동진 명창이 국립국악원에 남긴 업적은 궁중음악의 계승 발전에서 판소리와 더불어 명실공히 민속악 계승의 중심지로 우뚝 설수 있게 하였다.

      • 외국인지분율과 배당변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주재근,강길환 한국재무학회 200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04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투자 보유비중 증가는 시장의 유동성 확충과 경영 투명성 의 제고 이외에도 상장기업의 배당과 자사주 매입 및 투자 등 재무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투자자의 영향력 확대와 관련하여 외국인지분율과 배당변수의 관련성 검정을 위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토빗모형으로 실증분석하고, 비교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자료는 최근 5년(2001년~2005년)간 외국인지분율이 계속하여 5%이상인 상장기업의 연도별 불균형 패널자료에 기초한 506개의 표본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외국인지분율을 독립변수로 하고 총자산의 장부가치로 표준화한 총자산배당수익률, 총자산자사주매입수익률 및 총자산주주환원수익률을 종 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종속변수를 시가총액배당수익 률, 배당성향까지 확장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지분율과 기업의 배당변수별 관련성 분석 결과, 총자산배당수익률이 다 른 종속변수 보다 유의성이 높은 변수로 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제시 된 시가총액배당수익률이나 배당성향 변수보다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지분율과 총자산배당수익률간의 관련성 분석에서는 상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외국인지분율 증가는 해당기업에 보다 많은 배당지급을 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배당을 선호하는 외국인투자자들은 고배당 기 업에 지속적으로 지분을 늘려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외국인지분유형별 분석에서 총 외국인지분율(TFH)에 비해 5%이상 외국인지 분율 합(FFH)이 배당변수 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것은 총외 국인지분율은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5%이상 외국인지분율 합(FFH)의 증가가 실질적으로 해당기업의 배당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을 위해 사용한 토빗분석의 결과를 다중회귀분석 결과와 비교 해 보면 통계적인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지분율이 기업의 배당변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여러 배당관련 변수 중 총자산배당수익률, 자사주매입수익률 및 총주주환원수익률을 통해 실증적으 로 검정하였다는 점과 외국인지분율과 기업의 배당정책이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서 다양한 배당정책이 기업의 주요한 재무전략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고 본다.

      • KCI등재

        외국인지분율과 기업배당정책에 관한 실증연구

        주재근,강길환 한국상업교육학회 2007 상업교육연구 Vol.17 No.-

        외국인투자자의 국내 주식투자 보유비중 증가는 시장의 유동성 제공과 기업경영 의 투명성 제고 및 상장기업의 배당과 자사주 매입 및 투자결정 등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인투자자의 투자확대와 관련하여 외국인지분율과 기업의 배당정책간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빗모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최근 5년(2001년~2005년)간 외국인지분율이 5%이상인 상장기업의 연도별 불균형 패널자료에 기초한 506개 표본자료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외국인지분율을 독립변수로 하고 총자산 장부 가치로 표준화한 총자산배당수익률, 총자산자사주매입수익률 및 총자산주주환원수익률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성을 높이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시가총액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변수까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지분율과 기업의 배당변수별 관련성 분석 결과, 총자산배당수익률이 다른 종속변수 보다 유의성이 높은 변수로 검정되었다. 즉,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시가총액배당수익률이나 배당성향 변수보다 총자산배당수익률이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지분율과 총자산배당수익률간에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외국인지분율 증가는 해당 기업에게 보다 많은 배당지급을 요구하거나 아니면 배당을 선호하는 외국인투자자들은 고배당 기업에 대한 지분을 지속적으로 늘려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외국인지분유형별 분석에서 주요 외국인투자자 보유비중이 5%이상 외국인지분율이 배당변수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즉, 총외국인지분율은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지만 5%이상 외국인지분율 증가가 실질적으로 해당기업의 배당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다. The increase in foreign holdings in the Korean domestic stock market has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financial decisions of the listed companies such as dividend, stock repurchase and investment. Therefore, this research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the influence of foreign investors and the corporate payout policy through the Tobit analysis model, and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comparison. The source data used is 871 pooling samples based on annual unbalanced panel data of listed companies with more than 5% foreign holdings in each of the past 5 years (2001-2005). In empirical study, we set the foreign holdings rat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DYA (dividend yield to assets) standardized with total asset's account value, RYA (repurchase yield to assets) and PYA (total payout yield to assets)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distinguish this research from previous ones, we expanded our dependent variables to include dividend yield to market value and the dividend payout rati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in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holdings and corporate payout policy, dividend yield to assets was found to have more significanc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and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dividend yield to market value and dividend payout ratio. Secondl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holdings and dividend yield to assets revealed that they mutually affect each other. In analysis of the foreign holdings typ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e sum of more than 5% foreign holdings than the total foreign holdings. Thirdly, there doesn't appear to be an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stock repurchasing rate and foreign holdings when considering the entire period, but in the latter period of 2001 to 2005 when there was a steady increase in stock repurchase rate, we fou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repurchase rate and foreign holding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highlights in a practical manner the effect of foreign holdings on corporate payout policy through yield-related variables including DYA (dividend yield to assets), RYA (repurchase yield to assets) and PYA (total payout yield to assets).

      • KCI등재
      • KCI등재

        동대가야금보(東大伽倻琴譜) 소재 민요 <흥타령(興打鈴)> 연구

        주재근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49 No.-

        It is meaningful that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is a folk song that has both the lyrics and melodies as in today's vocal music scores, and that it reveals the aspects of the folk songs and their accompaniment melodies of the late 19C by being included in the Yeongsanhoisang type of music, which belongs to the court music genre. This paper compares Dongdae gayageumbo to Dongdae geumbo to figure out whether they share the compiler as well as they were compiled around the same time. As a resul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ompiler of Dongdae gayageumbo referred to Dongdae geumbo but it can not be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period of compilation. It is rather considered that Dongdae geumbo was referred to as the original script in a later period. Dongdae gayageumbo should be estimated at the late 19C, not around 1813. Examining the tuning system included in Dongdae gayageumbo, it is found that the tuning system of gayageum of the late 19C is completely identical with today's system. In terms of musical form,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has the same form as "Boheoja":AB/C (episode; hwandu) B (refrain; hwanip). That is, each paragraph in "Heungtaryeong" is not discrete but in consecution. When translated, "Heungtaryeong" progresses in the order of sing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singing. This piece is not clearly interpreted by its tones and melody progress. What is noticeable among the tones in "Heungtaryeong" in Dongdae gayageumbo is the ddang () tone. This tone never appears in the Yeongsanhoisang type of pieces but in "Gukgeori" and "Pungnyu chieum". Being the same pitch as the ddang () tone, the ddang () tone is made by pressing the left hand finger harder than when making the other, which seems to be the reason why it was notated as its fortis. What is also notable in "Heungtaryeong" is that it has many appoggiaturas. These are also found in "Gukgeori" and "Pungnyu chieum". Considering "Yeongsanhoisang", the main piece of Dongdae gayageumbo displays distinction in space between notes and lines as well as the thickness of the letters from its following pieces, "Gukgeori", "Pungnyu chieum", "Heungtaryeong",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added by the same author at a later time. Those added pieces are more of folk pungnyu music which are more suitable for sanjo gayageum rather than jeonggak gayageum, and their oral sound with the playing style were expanded for maximized expression. 민요 가운데 오늘날 성악악보와 같이 가사와 선율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동대가야금보』의 <흥타령>은 19세기말 민요 반주선율 등을 볼 수 있게 해 주는데 의의가 있다. 『동대가야금보』가 『동대금보』(1813년)와 비슷한 시기, 동일 인물이 편찬하였는가에 대한 검토 결과 『동대가야금보』의 편찬자는 『동대금보』를 참고하였을 가능성은 높지만 동일시기라 할 수 없고 후대에 저본으로 참고하였을 가능성은 있다. 『동대가야금보』의 편찬년대는 1813년 무렵이 아닌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동대가야금보』의 ‘조현법’을 통해 19세기 후반 가야금 조율법이 오늘날 가야금 조율법과 완전히 같음을 알 수 있다. 『동대가야금보』 <흥타령>의 형식은 보허자의 환두 환입과 같은 형식으로 AB/C(환두)B(환입)과 같은 음악적 형식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흥타령> 문장과 답장은 각장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연속적 음악 흐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흥타령>은 문장에서 노래를 부르고 나면 답장에서 기악 반주를 하고, 다시 문장의 선율을 노래 부르는 연행방식이다. 『동대가야금보』 <흥타령>의 출현음에서 주목되는 음은 음과 , , 과 같이 본음을 내기전 전타음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전타음들은 <영산회상>곡들에서는 보이지 않고 <국거리>, <풍류치음><흥타령> 등에서 공통적으로 보인다. <흥타령>은 정악가야금보다는 산조가야금에 어울리는 민속풍류음악이며 구음에 있어서도 표현을 극대화로 인한 구음의 확장(→), 전성, 퇴성 등 주법의 확장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전통기악 활성화를 위한 소고

        주재근 한국예술융합학회 2021 예술융합연구 Vol.2 No.-

        판소리와 국악에 대한 관심은 2021년에도 지속되고 있다. 8월 MBN에서 신개념 퓨전국악 대국민 오디션 프로그램 <조선판스타>를 론칭하였다. JTBC에서도 11월국악경연 <풍류대 장>을 선보여 방송프로그램으로서 성공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렇게 국악창작에 있어 소그룹에 의한 콘텐츠는 대중적 관심을 얻고, 세계적 진출로 이어지고 있지만, 대규모의 국 악관현악은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글은 제도권 음악에서 큰 축을 이루 고 있는 국악관현악단을 중심으로 창작국악과 국악관현악단의 실상을 살펴보고 몇 가지 발 전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Interest in pansori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continues in 2021. In August, MBN launched a new concept fus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udition program <Josun Panstar>. Jtbc of success as a traditional Korean music contest by showing the <Pungryu Daejang> television program in November is being evaluated. This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creative content is public attention by the small group in the world, lead to advance, But it can be said that large-scale Gugak orchestral music is relatively stagnan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lity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focusing o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which forms a large axis in institutional music, and suggests several development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