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란스이완요법이 발목의 두께와 체간의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주연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lance relaxation therapy on ankle thickness and trunk flexibility. This study selected people with more than 1cm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ir ankles, consisting of 15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ankle's thickness, the experimental group averaged 1.33 cm thicker on the right ankle, and the balance relaxation therapy was performed on the right ankl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 10-minute balance relaxation therapy twice a week for five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 balance relaxation therapy.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ankle thickness and trunk flexibility (flexion, extension, left and right lateral flexion, and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t the 1st, 3rd, and 5th week. The data analysis presen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confirm homogeneity priorly using the independent t-test between groups. The time-phased changes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tests was set to a=0.05. This study was concluded as follows. Thickness of Ankle wa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nkle (right) thicknes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Flexion and Extension was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body flexion and extens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5) Lateral Flexion was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lateral flexion (left and right) significantly increased. (P<.05) Lateral rotation was in the experimental group, both lateral rotation (left and r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5) Based the above study results, balance relaxation therapy is considered a therapy that can help the body recover its flexibility if there is an imbalance in body shape without special effort without time constraints.

      • 중국의 통화정책에 대한 분석 :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주연우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China's monetary policy. In particular, starting with the 2008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we examine whether monetary polici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econom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the real economy, the long-run equilibrium and dynamic response of variables are analyzed using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nges in interest rates and money supply on production and prices. do. First, the basic analysis results for the entire sample (1992:1 ~ 2014:4) are as follows. Expansionary monetary polic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money supply is effective in stimulating the economy. In other words, it plays a role in regulating the money supply when the economy fluctuates. Also, in the co-integration relationship, GDP and money supply play a relatively large role in adjusting the long-run equilibrium compared to other variables. However, the partial analysis presents slightly different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e basic analysis. Overall, the impact of money supply and interest rates on the economy after the crisis is greater than before the crisis. In addition, before the financial crisis, the money supply plays a key role in the departure from the long-run equilibrium, but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interest rate plays a greater role as a control tool when the long-term equilibrium is broken. Therefore, if the Chinese government manages the interest rate and money supply flexibly,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can be improved. 본 연구는 중국 통화정책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08년의 국제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하여 통화정책이 경제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통화정책이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자율과 통화량의 변화가 생산량,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벡터오차수정모형(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을 이용하여 변수들의 장기균형 및 동태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우선, 전체 표본(1992:1 ~ 2014:4)을 대상으로 한 기본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화량 변화에 대한 확장적 통화정책은 경기부양으로 효과가 있다. 즉, 경기 변동하였을 때 통화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적분 관계에서 GDP 와 통화량이 다른 변수에 비해 장기균형을 조정하는데 상대적으로 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부분 분석은 기본분석의 결과와 조금 다른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금융위기 이전보다 금융위기 이후에 통화량과 이자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금융위기 이전에는 장기균형에서 이탈 시 통화량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장기균형에서 이탈 시 이자율이 조절 수단으로 더 큰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중국 정부가 이자율과 통화량을 신축적 운용하면 통화정책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 Swarm circulation : 포스트-시네마 상황에서의 아카이브 영화제작

        주연우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작품 <Swarm Circulation>은 파운드 푸티지 방식으로 제작된 실험 영화이다. 파운드 푸티지는 원본 필름을 재활용, 몽타주, 컴필레이션, 아카이브, 콜라주하여 재해석된 맥락으로 전유하는 영화적 실천이다. 이에 따라 파운드 푸티지는 원본 자료의 의미와 형식을 해체하고 새로운 맥락으로 끌어내어 이미지를 비평적으로 활용한다. 최근의 파운드 푸티지 방식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감독들은 자료를 우연히 발견하거나 임의적으로 찾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수단을 활용하여 물리적 아카이브 또는 디지털 아카이브 내에서 자료를 조사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기술은 비디오 스트리밍이나 파일 형태로의 용이한 접근과 이미지의 비선형편집, 합성 방식으로 조작, 전유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작품에서는 전자제품이 생산, 소비, 폐기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아카이브 자료를 조사하고 수집한 자료들을 몽타주하였다. 작품을 구성하는 자료들은 먼저, 전자제품의 제조 공정을 담은 다큐멘터리들, 두 번째는 TV Set 광고 영상 및 지면 광고에 사용되었던 일러스트들, 마지막으로 전자폐기물과 관련한 다큐멘터리, 뉴스 릴 등의 기록물들이다. 이러한 이미지 자료들은 화면 분할, 교차 편집, 리타이밍의 기법을 통해 충돌하고 결합된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 자료들 상의 상이한 시간과 공간을 몽타주함으로써 기존의 경험적 인식에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질문을 제기하는 것은 기존의 인식론, 질서와 체계, 실재 등의 보여 지는 것 이면의 실체에 대한 의구심에서 출발한다. 텔레비전의 시대별 제조 공정에서 볼 수 있는 기술의 발전, TV를 광고하는 영상에서 최신 기술을 소비하는 풍요로움을 보여주는 이미지들, 그리고 제 3세계 지역에 버려진 전자폐기물들이 소각되는 모습들을 통해, 우리가 인식하고 믿고 있는 것이 허구적인 환상은 아니었는지에 대하여 묻는다. 그리고 기술의 소비와 관련하여 익숙하게 접하는 (광고)이미지의 밖에 있는, 다시 말해 존재하고 있지만 감추어졌거나 외면되어 잘 인식되지 않는 사실들을 들여다봄으로써 기억 또는 인식체계를 재구성한다.

      • 국제회의복합지구 성과 평가지표 개발 : 델파이와 AHP 활용

        주연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task of the domestic MICE industry, which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is to come up with measures for qualitative growth, and is seek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recognizing the need for qualitative growth. In line with this paradigm, various discussions are under way to maximize the ripple effect through the MICE industry, one of which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clusterization’ of the MICE industry. In particul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which creates synergy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ies, there is a tendency to promote clusterization around convention centers in Asia. MIC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Singapore and Macau are pushing for the integration of related industr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MICE, and are integrated by linking accommodation, entertainment facilities with the center of exhibition convention centers. In 2015, the legal basis for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was laid. Through this, a turning point was prepared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domestic MICE industry with the integration of related business, focusing on the convention center. However, despite the legal stipulation of the concept of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the exact concept establishment of it is incomplete as it is on its early stage, and the existing prior research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to revitalize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lay the foundation for the initial settlement of the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ystem, thereby enhancing the continuous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its system. In order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initial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will be formed based on the business plan of designated cities and related research reports, then based on this, the in-depth interview and three round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the MICE field. After th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relative weight of the derived indicators and check the priority of the project based on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paring basic data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related projects of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for the first time. Also, the need for research related to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was re-examined,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organizing the necessary projects and activities from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case studies of MICE clusterized district. In addition,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guidelines and checklist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activation strategies of it should be established from a mid- to long-term perspective to enhance the regional and national MICE competitiveness. Finally, the AHP analysis of the derived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confirmed that projects related to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and establishing networks’ is the most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the focus should be on it in developing and improving policies related to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policies related to the MICE Integrated District. 양적 성장을 이룬 국내 MICE 산업의 현 과제는 질적 성장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며, 질적 성장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패러다임에 발맞춰 MICE 산업을 통한 파급효과 극대화와 관련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그 중 하나로 MICE 산업의 ‘클러스터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타 산업과의 융복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MICE 산업의 특성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회의산업 복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싱가포르, 마카오 등 MICE 선진국들은 국제회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관련 산업 복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전시컨벤션센터를 중심으로 숙박시설, 엔터테인먼트, 카지노 등을 연계한 복합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의 일부 개정을 통해 ‘국제회의복합지구 및 국제회의 집적시설 지정’에 관한 내용이 신설됨에 따라 ‘국제회의복합지구’ 관련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는 국내 MICE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전환점으로 기대를 받고 있으며, 2020년에 총 5개 도시가 지정되면서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활성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회의복합지구의 개념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제도가 도입 초기 단계에 있어 정확한 개념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부족도 해결이 시급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이후의 관련 연구가 부재하여 사업의 진행 상황 및 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사업에 대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 측정 역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회의복합지구의 활성화를 위한 사업의 성과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제도의 초기 정착과 평가 기준 및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개발된 성과 평가지표는 국제회의복합지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사업의 진행 상황을 점검하는 체크리스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성과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관련 연구보고서와 지정도시의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예비 성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MICE 분야 전문가 대상 심층 인터뷰 및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국제회의복합지구 성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3개 대분류, 9개 중분류, 36개의 평가지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성과 평가지표를 대상으로 AHP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여 평가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시도되지 않은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사업에 대한 성과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관련 사업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국제회의복합지구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재조명하였으며, 국내외 국제회의복합지구 사례 조사를 통해 제도의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업 및 활동을 정리하여 포괄적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성과 평가지표는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국제회의복합지구를 통한 지역 MICE 경쟁력 강화 및 국가 MICE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국제회의복합지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성과 평가지표의 AHP 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 ‘국제회의산업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및 네트워크 구축’ 관련 사업이 가장 중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제회의복합지구 관련 정책 개발 및 개선에 있어 산업 생태계 조성 및 네트워크 구축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회의복합지구 관련 정책 개발 및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청소년의 ‘새·물고기 그림 검사’ 수행 경험 연구

        주연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새·물고기 그림 검사’를 통하여 청소년이 지각하는 환경은 어떠하며, 무엇을 이야기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청소년 환경을 평가하는데 ‘새·물고기 그림 검사’가 유용한 환경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의 중고등학생이다. 중학생 68명과 고등학생 64명 총 132명을 임의표집 하여 2021년 8월 13일부터 9월 6일까지 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중 추가면담에 참여한 5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이며, 그림 검사 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물고기 그림 검사’에서 나타난 환경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새·물고기 그림 검사’에서 드러낸 환경은 자신, 가정, 친구, 학교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 중 이성 친구에 대한 이야기(56%)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자신의 기질이나 성격(54.2%), 진로(42.3%), 부모, 학교생활, 또래친구, 형제에 대한 이야기 순이었다.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Elo와 Kyngas(2008)의 귀납적 접근방식에 따라 개방 코딩, 그룹화, 추상화 순서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7개의 상위범주와 23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상위범주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와 첫 만남’, ‘자신의 성격과 욕구’, ‘친구와의 우정과 사랑’, ‘가족이라는 울타리’, ‘나의 목표와 학업’, ‘소망하는 시간’, ‘그림 검사가 안겨준 선물’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새·물고기 그림 검사’를 통하여 자신에게 의미가 있는 환경을 선택하여 심리적 상황을 그림으로 나타냄으로써 ‘새·물고기 그림 검사’가 청소년의 환경평가 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새·물고기 그림 검사’의 초기 탐색적 연구로 추후 연구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새·물고기 그림 검사, 청소년, 환경평가, 질적 내용분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dolescents' environments as perceived by them and what they narrate through their drawings by using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s a valuable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 and to provide research data that can be utilized as empirical data in clinical practice. The participants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school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132 students including 68 middle school students and 64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the drawing test was conducted among the participants from August 13 to September 6, 2021. Out of the 132 students, 5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ost-test interviews were finally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ir data was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he assessment tool was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fter conducting the drawing test, environmental contents shown in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s of interviews,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in detai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s revealed by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included contents about oneself, the family, friends, and the school. Among them, stories about friends of the opposite sex took up the highest proportion (56%), followed by narratives about one's temperament or personality (54.2%), future careers (42.3%), parents, school life, peers, and siblings in descending order. In other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involved the three main stage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abstraction following the inductive approach suggested by Elo and Kyngas (2008). The content analysis yielded 7 main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The seven main categories were generated as follows: 'The first encounter with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One's personality traits and needs', 'Friendship and love with friends', 'The family as a protective fence', 'My goals and school work', 'The time that I desire to have', and 'The gift given by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One of the meaningfu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the participants selected meaningful environments for themselves and represented their psychological situations through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thereby sho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as an assessment tool for the environments of adolescents. In addition, as an early exploratory study on 'the bird and fish drawing test', this study provided data that may prove useful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bird and fish drawing test, adolescents, environmental assessmen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이러닝(e-learning)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연우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디지털환경의 일반화는 교육환경에도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학습의 확산을 가져왔다. 이러닝(e-learning)이라는 웹기반의 학습은 전통적인 학습 환경에서와는 달리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닝을 통한 긍정적 학습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인의 디지털미디어 활용능력인 리터러시는 중요한 요인이다. 즉, 이러닝을 통해 학습할 때 제공되는 정보 및 콘텐츠를 활용함에 있어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보다 의미 있는 정보를 생산하고 새로운 아이디로 창출 할 수 있어야 하며, 윤리적이고 책임 있게 미디어를 이용하는 태도로써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러나 디지털 리터러시를 이러닝 학습만족도와 직접적으로 연계시킨 논의와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만족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개인의 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들을 기술, 지식, 태도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고 영역의 특성뿐만 아니라 이러닝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조사대상 이러닝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영역들과 이러닝 학습만족도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충북지역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K대학교의 학부생 261명의 조사결과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별, 참여정도)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정(t-test)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간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이러닝을 이용하는 대학생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5점 만점 3.74로, 하위 영역별로는 기술 3.64, 지식 3.57, 태도 3.99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따른 학습자의 차이가 존재하는 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학습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유일하게 학년(.037, p<0.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지식 영역에서 4학년과 1학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와 이러닝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하위변인 기술(β=0.413 ,p<.000), 지식(β=0.243, p<.000), 태도(β=0.261, p<.000) 각각의 요인이 이러닝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영역 중 기술영역이 이러닝의 학습만족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본 연구는 학습자 고유한 능력으로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러닝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 및 학습만족도를 증진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실증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explos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eneral digitalized environment has expanded the amount of learning via digital media. Web-based learning, known as e-learning, enables an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unlike anything in the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Digital literacy, the individual ability to use digital media, is an essential contributor to achieving positive learning effects through e-learning. In using the information and content available in the e-learning educational material, digital literacy as an ethical and reliable attitude towards media and critical thinking to help produce meaningful information and create new ideas, is needed.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n.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the 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by categorizing the factors of digital literacy(skill, knowledge and attitude – the sub areas), and then analyzing each feature.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1 undergraduates of University K, a private four-year college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nd the results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literacy level of e-learning undergraduates was 3.74 (out of 5) with 3.64 in skill, 3.57 in knowledge, and 3.99 in attitude. Demo-statistic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learning level did no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igital literacy level of e-learners, except for school year (.037, p<0.05). Secon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n found that every subarea of skill (β=0.413, p<.000), knowledge (β=0.243, p<.000), and attitude (β=0.261, p<.000) had a meaningful static influence on e-learning satisfaction. Of all, the area of digital skill was found to have the most meaningful influence on e-learning satisfaction. In general term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literacy of e-learne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Furthermore, the paper suggests how to improve digital literacy capac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an e-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former on the latter. It is to be hop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further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