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 독일어 학습자의 동기 연구

        주소정,유수연 한국독어학회 2017 독어학 Vol.35 No.-

        Die vorliegende Studie untersucht den Faktor Motivation beim Deutschlernen bei Lernern, die an einem Deutschkurs für Hörer aller Fächer an koreanischen Universitäten teilnehmen. Der Konstrukt Motivation stellt einen wesentlichen Faktor im fremdsprachlichen Lernprozess dar. Die Forschung unterteilt dabei in instrumentelle, integrative, intrinsische und extrinsische Motivation. Motivation liefert einerseits den Anreiz zum Sprachenlernen, andererseits ist sie verantwortlich für das Durchhalten eines kontinuierlich andauernden, mühsamen Fremdsprachenlernprozesses. In der vorliegenden Studie wurden koreanische DaF-Lerner im Rahmen des Deutschunterrichts nach ihrer Motivation befragt, was sie überhaupt dazu bewegt, sich für Deutsch zu entscheiden. Neben der Motivation wurde dabei der Lernerbedarf abgefragt wie z.B. das Lernziel, die von den Lernern intendierten Fertigkeiten, sie interessierende Themen und Inhalte sowie die bevorzugte Lehrmethode usw. Es wurde eine Fragebogenerhebung mit Studierenden durchgeführt, die an vier verschiedenen Universitäten Deutsch als zweite bzw. weitere Fremdsprache lernten. Dabei ergab sich, dass die meisten Lerner sich für eine Reise, Kultur, Kontakte und Gespräche mit Deutschen interessierten, und sie fast kein oder nur wenig Interesse für deutsche Literatur und Informationsrecherche im Internet zeigten. Eine deutliche und starke Motivation beeinflusst das Selbstvertrauen, sodass die Lerner den mühsamen Lernprozess durchhalten können. Als Lehrmethode bevorzugten die Lerner Sprechübungen und interaktive Spiele der gelernten Ausdrücke in der Gruppe. Die Ergebnisse dieser Studie zeigen deutlich Notwendigkeit einer Veränderung des 192 독어학 제35집Deutschunterrichts als Wahlfach, in dem der Unterricht von qualifizierten Lehrkräften mit interessanten Inhalten auf das Lernziel hin erteilt werden sollte. 학습자의 학습 동기, 학습 목표, 관심 주제를 충분히 파악하여 이에 맞춰 수업이 이루어질 때 학습자는 더욱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본 연구는 교양 독일어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습동기와 더불어 학습 목표, 중점 영역, 관심 주제, 선호하는 수업 방식 등 학습자 수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교양 독일어 수업 구성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을 시도하였다. 우선 이론적인 고찰로서 동기에 대한 정의와 학습 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며국내외의 연구경향을 논하였다. 이어서 서울 소재 네 개 대학의 196명의 교양 독일어 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서면 설문 조사를 활용한 경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독일어 학습 동기는 주로 내재적성향을 띠었으며, 그 가운데 독일어에 대한 흥미와 독일 여행 중의 의사소통, 그리고 독일인과의 기초적 일상회화 구사를 위해 독일어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문법 지식을 심화시키거나 독일문학을 읽기 위해 독일어 강좌를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매우 낮았다. 한편, 전공별, 성별로도 학습 동기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경험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아효능감을 갖고 있으며, 이 자아개념과 자아효능감은 명확한 학습 동기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장에서는 강좌기획, 학습 내용 및 교재의 구성, 학습 방법 면에서 향후 교양 독일어 수업을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 학습자를 위한 독일어 수업

        주소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5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6 No.-

        Der demografische Wandel der letzten Jahrzehnte wurde insbesondere durch die höhere Lebenserwartung und den daraus folgenden immer größeren Anteil der älteren Bevölkerung gekennzeichnet. Damit steigt auch die Bedeutung und Verbreitung des lebenslangen Lernens, das nicht nur Kinder und junge Erwachsenen betrifft, sondern auch Senioren in Betracht zieht. In diesem Zusammenhang entwickelt sich seit kurzer Zeit im Rahmen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eine neue, sehr interdisziplinäre Forschungsrichtung, die Fremdsprachengeragogik, die sich u. a. mit dem Fremdsprachenlernen im höheren Alter beschäftig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Charakteristika der älteren Fremdsprachenlerner aus physiologischer, lernpsychologischer und soziologischer Perspektive dargestellt. Die bisherigen Forschungs- erkenntnisse weisen sowohl auf altersbedingte Defizite und Grenzen der älteren Fremdsprachenlerner hin, u. a. bezüglich der Sensorik, des Gehirns und der kognitiven Leistungen, als auch auf die große Unterschiede zwischen älteren und jüngeren Fremdsprachenlernern angesichts der Motivation und sozialen Bedingungen. Gleichzeitig zeigen die Forschungsergebnisse jedoch auch, dass die Möglichkeit zum erfolgreichen Fremdsprachenlernen im Seniorenalter durch intensives, regelmäßiges Training ihrer kognitiven Fähigkeiten und Anwendung bestimmter Strategien besteht. Es wird außerdem immer wieder betont, dass die altersbedingten Beeinträchtigungen, wie z. B. Altersdemenz, durch das lebenslange Fremdsprachenlernen zum großen Teil vermindert werden können. Unter Berücksichtigung dieser Charakteristika des Fremdsprachen- lernens im Seniorenalter werden in dieser Arbeit angesichts der Organisation, Zielsetzung, Unterrichtsmaterialien und Strategien sowohl didaktische als auch methodische Schlussfolgerungen gezogen, die sich von denen für den Unterricht der jungen Lerner unterscheiden. Der koreansiche DaF-Unterricht im fremdsprachengeragogischen Kontext befindet sich noch in der frühen Anfangsphase und weitere Forschungen, die besonders auf empirischen Untersuchungen beruhen, sind zu erwarten. 한국은 이미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7%가 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로 젊은 층 인구가 줄어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된 결과이다.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만 고령화 사회 현상은 비단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나타나는 전 세계적 추세이다. 따라서 매스컴과 학계는 물론 국가 정책 수립 시에도 고령화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문제가 쟁점화 된다. 표면적으로는 연령 구조의 변화에 따른 연금이나 노동력 부족과 같은 문제가 부각되지만, 고령화는 더 나아가 사회의 중점 산업 및 가치관, 소비 양식의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교육, 의료, 복지 등이 중점 산업으로 떠오르는가 하면, 금전 소비 외에 시간 소비 욕구가 증가하면서 여가 활동과 관련된 산업이 발전하게 된다. 또한 자칫 사회적 약자가 될 수 있는 노인 계층을 배려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려는 정책 수립이 강구되고 있다(기영화 2007: 18f.; 한정란 외 2006: 19ff.). 특히 교육 측면에서 노년층 인구 증가와 노년기의 확장은 평생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또한 국가 경제의 전반적 발전으로 여가 생활 및 재교육, 자기 발전을 위한 투자가 가능해졌다. 각 개인은 평생 교육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아실현을 추구할 수 있으며, 사회 전체적으로도 평생 교육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사회 구성원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세대 간, 그리고 세대 내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통합을 이끌어 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평생 교육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 더 나아가 UN, UNESCO, 유럽연합과 같은 초국가적 기구에서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민문홍 2009; 21ff.; UNESCO 2015). ‘요람에서 무덤까지’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평생 교육은 결과적으로 기존의 학령기 중심의 교육 pedagogy을 넘어서서 성인 교육 andragogy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성인 교육 가운데서도 다른 연령의 학습자와 여러 면에서 구분되는 노인과 관련된 교육 geragogy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한정란 2001: 32f.). 영국, 미국, 독일, 일본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이러한 흐름에 맞춘 평생 교육 및 노인 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오늘날 노인 복지관이나 노인 대학, 종교 단체 등에서 운영하는 노인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을 흔히 볼 수 있다. 이 중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같은 외국어 강좌도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와 평생 학습이라는 흐름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 분야는 아직까지 이러한 시대의 조류에 맞추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학교교육과정에서 독일어 과목의 비중이 점차 줄고, 상대적으로 성인 교육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독일어 학습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독일어 교육 연구는 여전히 고등학교 및 대학교의 독일어 학습에 편중되어 있다. 특히 노인의 독일어 학습은 예외적인 특이 현상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평생 교육이 더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상당수의 노인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을 희망하고, 아직까지 소수이지만 일반 독일어 강좌에 참여하는 노인 학습자들을 감안할 때 ...

      • KCI등재

        ‘좋은’ 독일어 수업을 위한 교수ᆞ학습계획안 작성 원리에 대한 연구

        주소정,유수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2 No.-

        Bei der Unterrichtsgestaltung spielen verschiedene Faktoren eine Rolle, darunter Lernende und Lehrende, Lernziele im Curriculum, jeweilige Lerninhalte, die zu erwerbenden kommunikativen Kompetenzen sowie verschiedene Übungs- und Interaktionsformen. Um diese einzelnen Elemente in eine Unterrichtseinheit zu integrieren und in begrenzter Zeit einen ‘guten’ Unterricht zu gewährleisten, ist eine Unterrichtsplanung erforderlich, die als Lehrskizze oder Unterrichtentwurf bezeichnet wird. Trotz der nachweislich nachhaltigen Funktionen von Lehrskizzen wird die Erstellung dieser bedauerlicherweise in den meisten Fällen weder in der Deutschunterrichtspraxis, noch bei der Deutschlehrerausbildung intensiv diskutiert. In dieser Arbeit werden die Funktionen und die Prinzipien zur Gestaltung von Lehrskizzen im Bereich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behandelt. Nach einer kurzen Einleitung werden die theoretischen Grundlagen und frühere Studien zu Unterrichtsentwürfen bzw. Lehrskizzen im DaF-Bereich vorgestellt. Anschließend werden die Funktionen einer Lehrskizze dargestellt und ihre inhaltlichen Strukturen hinsichtlich der Informationen über den Unterricht, der vertikalen Zeitachse und der horizontalen Handlungsachse ausführlich beschrieben. Im letzten Abschnitt werden die Forschungsergebnisse und Aussichten für zukünftige Forschungen diskutiert. Die Ergebnisse dieser Studie sollen angehenden Lehrkräften als Leitlinie bei der Erstellung und Gestaltung ihrer Unterrichtsplanung dienen und Ausbildenden Anregungen für die effektive Anleitung zur Anfertigung einer Lehrskizze geben. 외국어 수업에는 학습자와 교수자, 교과과정 상의 학습 목표, 각 차시의 학습 내용, 습득해야 할 의사소통 행위 능력, 여러 연습 유형과 상호작용 형태 등 매우 다양한 요소들이 관여한다. 이러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한 된 시간 내에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좋은’ 수업을 수행하는 데는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교수·학습계획안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교안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독일어 교육 및 교사 양성 현장에서 교안 작성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독일어 수업 교안의 내용과 형식이 여러 측면에서 미흡한 경우가 많다. 이는 나아가 수업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교안의 기능과 구성에 대해 다루고 교안을 작성하는 원리를 소개한다. 먼저 교수⋅학습계획안의 개념과 이 연구의 필요성 밝히고 외국어 교 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교안에 대한 선행 연구를 소개한 후, 교안의 기능에 대해 서 자세히 분석한다. 이어서 교안의 구조와 내용에서는 교안의 작성 원리를 수 업 관련 정보, 시간의 수직축, 행위의 수평축으로 분류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마 지막 장에서는 연구결과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전망을 다룬다. 이 연구는 특히 예비교사들에게 교안 작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교사양성기관의 교수자들에게는 교안 작성 지도에 관한 제언을 시도한다.

      • KCI등재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 대상 독일어 교육에 관한 연구 -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주소정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8 獨語敎育 Vol.73 No.73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bricht zurzeit bezüglich ihrer rasanten Alterung alle bisherigen Rekorde. Mit Rücksicht auf den demografischen Wandel der nächsten Jahrzehnte und sozio-kulturellen sowie bildungsbiografischen Hintergrund der Koreaner ist zu erwarten, dass Senioren im Deutschunterricht einen immer größeren Anteil ausmachen werden. Dennoch wurde diese Altersgruppe im Rahmen der DaF-Forschung kaum in Betracht gezogen.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daher mit dem Deutschlernen der koreanischen Senioren, vor allem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ihrer Lernmotivation. Die Ergebnisse meiner empirischen Forschung, die auf Tiefeninterviews mit 15 Deutschlernenden im Alter ab 57 Jahren basiert, weisen darauf hin, dass sie sich hinsichtlich der Lernmotivation nicht nur von jüngeren Lernenden, sondern von Lernenden anderer Fremdsprachen im vergleichbaren Alter unterscheiden. Obwohl die Lernziele und -motivationen der koreanischen Senioren individuell sehr heterogen sind, gelangt man jedoch zur Erkenntnisse, dass sie hauptsächlich auf Motiven intrinsischer Art beruhen. Anhand der Interviewergebnisse ist festzustellen, dass sie das Lernen als Bestandteil ihres Lebens und ihrer Identität wahrnehmen und ein großes Interesse an der Kultur der deutschsprachigen Länder zeigen, vor allem an der gehobenen Kultur wie Literatur, Kunst, Geschichte und klassischer Musik. Außerdem haben sie ein sehr positives Bild vom zielsprachigen Land und der Zielsprache. All dies führt die koreanischen Senioren zum Deutschlernen. Sie benötigen Deutschkenntnisse somit für den Zugang zur deutschen Kultur, die Erweiterung des eigenen kulturellen Horizonts, intellektuelle Zufriedenheit und manchmal auch für ihre mentale Gesundheit. Diese Forschungserkenntnisse weisen auf die Bedürfnisse hin, einerseits den künftigen Deutschunterricht mit Senioren in Bezug auf die Organisation, Zielsetzung, Auswahl der Unterrichtsmaterialien themen- und inhaltsorientiert zu gestalten, andererseits kompetente Lehrkräft aus- und fortzubilden, die in altersheterogenen Klassen gut mit Seniorenlernern umgehen können. 오늘날 사회, 경제, 정치 모든 분야에 걸쳐 한국 사회의 고령화 현상과 이에 수반된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다. 저출산과 기대여명 증가에 의한 인구구조의 고령화는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된 현상이나, 그중에서도 특히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700만의 베이비붐 세대가 노령 인구로 접어드는 2020년부터 한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며, 곧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 것이 자명하다(이상림 외 2014: 15f.; 통계청 2016). 고령화는 노인 부양으로 인한 부담과 생산성의 저하, 노인의 빈곤과 같은 경제적 문제나 정보 단절로 인한 고립, 외로움 등과 같은 사회 문제와 직결되기도 한다. 그러나 누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겪게 되는 노년기를 이와 같이 마냥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사회 구성원들이 ‘성공적인 노화(successful aging)’(Rowe/Kahn 1997)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자립적이고 생산적인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해결책을 찾아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늘날 평생교육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차원에서는 모든 구성원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에 잘 적응하고, 세대 간의 단절과 불균형 현상을 극복하도록 도와 사회 구성원 간의 화합을 이끌어 낸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vgl. 민문홍 2009: 21ff.; 이윤경 외 2013:9f.; 장명숙/박경숙 2012. 256ff.; 전명수 2014: 235). 이와 같은 사회 전반적 흐름과는 달리 외국어 교육 분야는 아직까지 인구의 고령화나 평생학습의 중요성 증대와 같은 사회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노인의 외국어 학습이 더 이상 예외적인 사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나 외국어 학습 동기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없으며, 노인 학습자의 특징이나 노인 학습자에게 특화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도 미진하다. 현재 노인 대상 외국어 강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교육 연구에서조차 노인 학습자는 여전히 관심 밖에 머물러 있다. 독일어 교육 영역에서도 노인의 독일어 학습에 대한 연구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제2외국어가 필수 과목이었던 제3차 교육과정기와 이전의 제2차 교육과정기를 거친 베이비붐 세대에 속하는 코호트가 노년기에 접어드는 향후 10년 간 노인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노인의 독일어 학습 사례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노인’이라는 새로운 학습자 집단의 독일어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연구 공백을 메우는 한편, 평생교육으로서의 독일어 학습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선행 외국어 학습 경험이 독일어 어휘의 의미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소정 한국독어학회 2020 독어학 Vol.42 No.-

        Das Deutschlernen in Korea erfolgt erst nach dem Erwerb der Muttersprache(L1) Koreanisch und dem Erwerb der ersten Fremdsprache(L2) Englisch, d. h. Deutsch wird in Korea als eine der Tertiärsprachen(L3) gelernt. Die Lernmechanismen der L3 unterscheiden sich jedoch von denen der L2, u. a. im Hinblick darauf, dass die Faktoren von vorherigen Fremdsprachenlernerfahrungen beim L3-Erwerb miteinander agieren. Im Vergleich zu L2-Lernenden besitzen L3-Lernende noch umfassendere sprachliche Ressourcen, die beim L3-Erwerb aktiviert und transferiert werden können, und verfügen zugleich über ein erhöhtes metasprachliches Bewusstsein sowie Fremdsprachenlernstrategien und -techniken. All dies ermöglicht einen schnellen Einstieg in die Zielsprache und fördert das effiziente Lernen. In dieser Arbeit wird mithilfe eines Wortschatztests untersucht, welche persönlichen Variablen aus vorherigen Fremdsprachenlernerfahrungen besonderen Einfluss auf das Deutschlernen ausüben und wie diese Einflussfaktoren in der Unterrichtspraxis Deutsch als L3 methodisch und didaktisch berücksichtigt werden sollten. Im empirischen Forschungsteil konnten die Probanden, die sich aus 58 Studierenden ohne Deutschkenntnisse zusammensetzen, allein anhand ihrer vorhandenen sprachlichen Kenntnisse und Erfahrungen größtenteils erfolgreich die Bedeutung von 305 unbekannten deutschen Wörtern, die mit den entsprechenden englischen Wörtern phonologische bzw. orthographische Ähnlichkeiten aufweisen, zuordnen. Außerdem konnte mit einer multivariaten Analyse festgestellt werden, dass sich diese Erschließungskompetenz jedoch weniger auf die Motivation zum L3-Lernen, die Zahl der gelernten Fremdsprachen oder die Lerndauer einer bereits gelernten Sprache stützt. Vielmehr wird sie von der Englischkompetenz der jeweiligen Probanden, den Lernerfahrungen einer europäischen Sprache außerhalb des Englischen und auch zum Teil von dem Selbstbild als Fremdsprachenlernender bestimmt. Die Ergebnisse der empirischen Forschung weisen darauf hin, dass die Deutschlehrenden vor dem Kursbeginn die Fremdsprachenlernbiografie ihrer Lernenden erfassen und den Deutschunterricht je nach persönlichen Voraussetzungen in Hinsicht auf diese Einflussfaktoren methodisch und didaktisch differenziert gestalten sollten. 근래 제3언어 학습이 제1언어 및 제2언어 학습과 차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여러 경험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제3언어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이미 배운 언어들과 목표어 사이에교차언어적 영향이 발생하며, 정서적, 인지적 요인의 양적, 질적 변화가 나타난다. 이와 함께 높은 메타언어적 의식, 본인의 학습유형에 대한 이해, 다양한 외국어 학습전략 활용 능력 등 선행 언어 학습경험을 제3언어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제3언어 학습을 특징짓는 선행 언어 학습 경험 요인 가운데 어떤 요인이독일어 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선행 언어 학습 경험이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해 보려 한다. 이를 위해 독일어 학습경험이 전무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독일어 유사 어휘의 의미를 추론하게 하는 경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처음 접하는 독일어 어휘 중 상당수의 어휘에 대하여 그 의미를 성공적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결과 추론 성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의 제2언어 실력과 유럽어 학습 유무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긍정적인 자기상도 경계선 상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제3언어로서의 독일어 수업의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이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긴다.

      • KCI등재

        독일어 학습자의 단기 해외 어학연수 경험에 대한 연구

        주소정,유수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1 No.-

        어문계열 학생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핵심 역량은 다국적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목표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어학연수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오늘날 많은 대학의 어문계열 학과에서는 더 많은 학생들이 장학재단이나 학교의 후원을 받아 해외 단기 어학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하고 경제적, 교육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어독문학과, 독일학과, 독어교육과 학생들의 단기 어학연수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2022년 여름 방학에 독일 어학연수를 다녀온 두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과전공 학습 능력, 학습심리학적 요인, 문화적 역량, 진로 및 취업 계획, 장래 삶에 대한 계획 측면에서 독일 단기 어학연수가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학교의 어학연수 기획, 선발, 준비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설문조사에서 학습자들은 어학연수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으며, 학습심리학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답하였다. 뿐만 아니라어학연수는 독일어권 사회와 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다른 사회와 문화,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은 어학연수를 통해자신감과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각 대학에서 독일 단기 어학연수를계획하고 어학연수의 효과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Materialentwicklung und Didaktisierung der interkulturellen Landeskunde im DaF-Unterricht -Handynutzung und Benimmregeln im kulturellen Vergleich von Deutschland und Korea-

        주소정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4 獨語敎育 Vol.59 No.59

        Im Fremdsprachenunterricht herrscht ein allgemeiner Konsens darüber, dass die Landeskunde bzw. Kultur zielsprachiger Länder ein wesentlicher Bestandteil des Lerninhalts und das Kultur- und Fremdverstehen ein wichtiges Lernziel ist (vgl. 교육과학기술부 2012: 80f.; 429ff.; Bredella/Christ 1995: 17f.; Pauldrach 1992: 6; Trim et al. 2001: 105; Zeuner 1997: 1; 2010: 1472). Besonders in Bezug auf die interkulturelle Orientierung des Fremdsprachenlernens geht die Behandlung der Landeskunde im Fremdsprachenunterricht derzeit über die Vermittlung von Informationen der zielsprachlichen Gesellschaft und Kultur bzw. die Beseitigung der kommunikativen Missverständnisse hinaus und setzt ihren Schwerpunkt auf die Förderung der interkulturellen Kompetenz, die in der Strömung der Globalisierung, Internationalisierung und Multikulturalität der letzten Jahre als eine Schlüsselkompetenz einen hohen Stellenwert hat (vgl. Erll/Gymnich 2013: 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