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구과학의 地震 학습을 위한 STS 프로그램의 개발

        주국영,김종희,김상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7 科學敎育硏究報 Vol.24 No.-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 양성이 오늘날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한 교육방법의 하나인 STS 교육은 우리나라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게 인정되고 있는 형편이다. STS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우리 나라의 교육 환경 하에서 활용할 수 있는 STS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안내서 및 기본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활동의 중심이 되며 교사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STS 수업의 실제 상황을 예시하고, 이 과정에서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활용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의 지진 분야 학습을 위한 STS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여 지구과학 수업에서 STS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t is a one of important objects of science education today to bring up citizens with scientific attainments. As a way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TS's importance is being highly emphasized. To activate STS education, it is needed to develop STS programs, guide books and fundamental materials. Considering these sectors, this study shall present actual situations of STS education in which students are at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eachers are assistants. Based on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 applied in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shall help to enable STS in earth science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STS program for earthquake portion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 KCI등재

        영재교육을 위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주국영,최성봉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6

        There has been an amounting interest and subjects in gifted education in recent years as a number of studies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However, earth science area remained as a low profile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that meet the varying curiosities and needs of gifted students with a focus on their characteristic development. This study developed a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in middle schoo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erm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cience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gifted students. Then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ions of the studen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articipated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their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the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appare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interest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oward the instruction,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affective domain. It implies that these findings were not caused by the lectures from the teachers, but by the variety of activities in which the gifted students discussed and debated with the classmates to derive a positive reciprocal action. In conclusion, a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promoted a reciprocal action among all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mall group by sharing their opinions and respecting each other.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대상의 증가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영재들의 다양한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고 인성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 지구과학 영역의 교육활동 자료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은 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정의적 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설명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활동적 수업이 진행되었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급우들과의 토의 및 토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하여 다른 학생을 배려하고 서로 조화를 이루며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집단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인식된다.

      • 海洋學的 要素의 年週變化가 海洋生物에 미치는 影響 : 莞島 海域의 海苔에 關하여 on the laver in the Wan-Do coast area

        曺炷煥,朱國英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4 自然科學硏究 Vol.7 No.1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laver production with the scientific raising and management of laver, after axamining closely the various surroundings of the inside ocean and the outside of Wan-Do, the central farming place of laver, physically and chemically and comparing and investigating the laver productivity of i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studying many important factors thrice a year, that is, in the months of September, Movember an February from 1981, I measured the following factors : water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pH, Nitrite-N. Phosphate-P, and transparenc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change of water temperature in February 1982 Varied from 5.0℃ to 8.5℃ and in February 1983 Varied from 6.5℃ to 8.5℃. The Salinity in February 1982 fluctuated with in the range between 33.41‰ and 34.03‰ and in February 1983. fluctuation with in the range between 33.31‰ and 33.60‰. pH in general showed a fluctuation between 7.89 and 8.1. The range of dissolved oxygen in 1981 was from 4.40㎖/ℓ to 7.22㎖/ℓ and in 1982, was from 4.20㎖/ℓ to 6.50㎖/ℓ. The change of dissolved oxygen showed the maximum of 1.22㎖/ℓ in February 1981 at station 3, and a minimum 4.20㎖/ℓ at statimon 3 in Septemer 1982. Transparency showed a fluctuation between 0.25m and 1.5m. The change of Nitrite-N in 1982 or 1983, Varied from 1.19㎍-at/ℓ to 0.66㎍-at/ℓ. The phosphate-P in 1982 or 1983 fluctuated with in the range between 0.35㎍-at/ℓ and 1.08㎍-at/ℓ.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annual variation on oceanographical factors of Wan-Do coast area. Water temperature, more than anything else, was showed up as having an important effects to the laver growth condition and the situation of laver production of the outside ocean was showed up better than that of the inside ocean. I believe the cause of this is that the situation of seawater exchange of inside ocean is poor. And as a result of the overconcentration of laver is also poor. I think the quantity of laver temperature etc., the production of laver is also landwater is little, the exchange of seawater is good, and the quantity of dissoled oxygen is abundant.

      • 과학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Web 기반 수업 자료의 개발

        조주환,주국영 조선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과교육연구소 2001 敎科敎育硏究 Vol.4 No.1

        본 연구는 과학의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학생 능력과 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수준에 맞는 다양한 컴퓨터용 웹 자료들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Web 기반 학습자료(WBI)는 학습자가 스스로 본시 학습에 필요한 선수학습요소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본시 수업시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보충 학습 자료는 본시 학습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안내해 줌으로써 결손 학습 부분을 원활하게 보충해 줌으로써 학업 성취를 높일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제작한 Web기반 심화·보충형 수업 자료는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기의 수준에 맞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흥미 있게 학습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2002년부터 적용되는 수준별 교육과정인 7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많은 웹 자료들이 개발된다면 현장의 교사들이 일선에서 활용하기에 용이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and levels in order to implement effectively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science, and to develop various web data for them to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ies for themselves. The WBI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timulate the learners' motivation in class since it helps them to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and supplement the weak points. The complementary data for learning are expected to enhance learners' attainment as they show the learning tasks in detail and supplement the missed points successfully. So the advanced/complementary data for learning will be basic data that help students to learn positively given subject everywhere and everytime, and that give a aid to implement the 7th differentiate curriculum of science that will be applied in 2002. Therefore if we develop various web data, teachers will be able to apply them easily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효과

        김상달,김은정,주국영,최성봉,홍동균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using mind map instruction has on th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in 11th grade in the earth science instruc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two classes with 11th graders at K public high school in Kimhea city.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mind map was lessoned 2 hours a week for 10 week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d group was traditionally taught. Each group was consisted of 34 students. Student’s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assessed in pre-test, and then each group was instructed.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instructio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cientific inquiry skill,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finding means that the mind map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to improv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s. Second, Regarding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the 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ind map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In conclusion, the earth science instruction using mind map showed more effectivene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mprovement of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본 연구의 목적은 11학년 지구과학 수업에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김해시에 소재한 공립 K 고등학교 11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에 2시간씩 10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집단은 3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후에 사후검사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t-검증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효과 분석

        박수경,김상달,주국영,남윤경,Park, Soo-Kyong,Kim, Sang-Dal,Ju, Gook-Yong,Nam, Youn-Kyong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간학문적 통합 방식의 주제중심 통합과학 단원을 개발하고 중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관련 선행연구와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상호작용’과 ‘안정성’의 두 가지 통합주제를 선정한 후 과학 네 영역을 포괄하여 주제와 관련된 주개념과 하위개념을 추출하고 해당 학습내용을 통합적으로 구성하였다. 통합주제가 상호작용인 경우 추출된 과학 각 영역별 주개념과 이와 관련되는 하위개념들이 높은 연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었으나 통합주제가 안정성인 경우 주개념과 하위개념들을 서로 관련짓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즉 안정성이라는 통합주제는 상호작용이라는 통합주제보다 교과내용을 관통하는 연계성을 마련하기가 어려웠다. 개발된 주제중심 통합과학 단원을 실험집단인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전통적인 분과형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과학 수업과 전통적인 분과형 과학수업이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합과학 수업이 분과형 과학수업에 비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과학 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학수업의 즐거움 범주에서 통합과학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과학적 탐구에 대한 태도 범주와 과학적 태도의 적용 범주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범주별로는 통합과학 수업시 학생의 참여 정도와 통합과학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 동기유발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학습자들이 통합과학 학습을 하는데 아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층서대는 Neognathodus roundyi 대로 지정될수있다. 이 생층서대와 금천층 코노돈트는 금천층의 지질시대가 북아메리카의 일리노이 분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더모이네시안 조(Desmoinesian stage)에 대비됨을 지시한다. 능력 없이도 특정 지식만 있으면 해결되는 문항이다. 반면에 정답률이 낮은 문항은 지구와 행성의 운동, 해파에 관한 문항이며, 특히 복합개념이 요구되는 문항의 정답률이 낮다. 학생의 오답 반응 분석 결과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주요 내용은 공통과학에서는 변환단층 및 부정합에서 지질학적 현상, 혼합층과 수온 약층의 의미, 온대저기압 통과 전후의 날씨 변화이며, 지구과학 II 에서는 달의 위상과 위치변화, 화성암의 구성광물 ${\cdot}$ 화학조성 ${\cdot}$ 조직 변화와 마그마 분화 및 풍화와의 관계, 지진파 주시곡선, 대기순환의 종류와 규모, 해파, 혼합층과 수온 약층, 서안강화 현상, 행성의 위치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unit b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o analyze it's effects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learning. 'Interaction' and 'Stability' were selected as the integrated themes, and the main concept and subconcept in relation to the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four areas of science, a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nstructed in the integrated ways. While the main concept have relevance to subconcept in the interaction, the main concept have little relevance to subconcept in the stability. Therefore, the stability was to fit with middle school integrated science theme, but the interaction was not. The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units developed wa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science achievement of group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Second, the scores of the test of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the group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Thir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was positive. The students have participation, interest, motivation in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and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 영재교육을 위한 지구과학 분야의 능동적 소규모협력수업 프로그램 개발

        최성봉,김상달,주국영 국제과학영재학회 2007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1 No.1

        Active Learning is defined as a ‘process to turn new information into knowledge,’ which is possible in thecourse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thinking, asking questions, and solving problems.Therefore, good class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part in learning actively. As implied by the saying,“One can learn by teaching,” encouraging active learning is to help students experience learning processfor themselves. To this end, in this study, students conduct the primary pre-study through research inan effort to understand concepts related to given theme and find learning interesting. In addition, presenta-tion and experiments help them better understand natural phenomena and concepts, with a formative testfunctioning to give them feedback about what they have never known. After all, the study wasintended to help solve problems with science education, students actively take part in the class, whichmakes class more exciting, and more teachers apply the developed lesson model to their class, by meansof small group-based collaborative and experimental classes in which they can learn by teaching. Inrelation to this study, research tasks for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studies should be made on how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mall Group-Based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velopedin this study and induce change in attitude, by applying the model to gifted student. Second, it isessential to continue R&D efforts on Small Group-Based Ac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making useof integrated characteristics of four science subject, going beyond earth science.

      • 달과 행성의 위상변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김상달,김종희,주국영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科學敎育硏究報 Vol.25 No.-

        중등학교의 지구과학과 열린 수업을 위한 달과 행성의 위상 변화 프로그램 개발을 주제로 본 연구에서는 철저한 학습 과제 분석을 통하여 개념 위계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의 순서와 방향을 모색하였다.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달의 위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달 관측 안내서’를 제작하였다. 또한 달과 행성의 위상이 변하는 원리를 이해하게 하는 실험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서 학습자들이 농구공 스케치라는 친숙한 실험 활동을 통하여 빛의 원리와 위상 변화를 관련지어 이해하도록 하였다. 실험의 전개에서 조별 토의 등 협동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인성 및 사회성을 함양하는데도 관심을 기울였고, 학습자의 수준별 학습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학습 주제를 다루는 관련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해 줌으로써 보다 상위 단계로의 학습을 권장하고 학습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업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활동 및 교사 활동이 보조를 맞추어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With the subject of development of program for teaching-learning of the phases change of the moon and the planets for open education of earth science in secondary school, we searched for the order and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concept map that were drawn through learning task analysis. We made "A Guide for Moon Observation" by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the phases change of the moon through self-leading learning.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the experiment that explain the principal of the phases change of the moon and the planets, we promoted learners understand the phases change related to the principal of light through drawing basketball. We paid attention to raising personality and sociality of learner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n the process of experiment. And we encouraged higher level learning and let the learners' curiosity satisfied by offering subject-related internet sites. We designed and developed whole program to balanc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by developing presentation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