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문 학문’에서 ‘융복합 학문’으로의 길 – 문명사연구로 전환되기까지의 학문적 역정, 혹은 편력 -

        주강현(Joo Kang-hy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7

        이 글은 역사민속학이라는 학문을 화두로 외길을 걸어온 한 학인의 학문적 궤적에 기반한다. 학문의 첫 출발에서 식민지민속학에 관한 비판적 검토를 염두에 두었으며,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주창하면서 학문과 진보에 관한 진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역사민속에서 논자가 개척해오거나 관심을 갖은 분야는 물질 및 생산풍습, 민중생활사, 학제연구의 세 대목이다. 연구소재로서는 다양한 분야를 거론할 수 있으나 대체로 위의 세 부분에서 나름의 연구성과를 개척해왔다고 믿는다. 오늘날 논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는 어느덧 문화사에서 문명사의 범주로 넘어와있는 상태이다. 말미에 그간의 저서 목록을 별첨함으로써 학문적 궤적과 그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cademic trajectory of a scholar who has spoken out about the topic of history and folklore. At the start of the study, I considered a critical review of colonial folklore, and sincerely advocates “folklore as history science”, and sincerely asks serious questions about scholarship and progress. In the history folklore, the fields that the researchers have pioneered or are interested in are the three areas of material and production style, people’s life histo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 a research material, various fields can be discussed, but I believe that I have pioneered the research results in the above three parts. Nowadays, the field of interest of the academic studies has shifted from the cultural history to the category of civilization. At the end of this paper, I will add a list of books and suggest the academic trajectories and their achievements.

      • KCI등재
      • KCI등재

        역사민속학의 궤적과 전망

        주강현(Joo Kang-Hy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성립은 '87체제'의 산물이다. 87년 체제는 일정한 변혁성을 담보하며 한국사회의 민주화를 희구하였다. 한국역사민속학회의 출현은 종전의 민속학이 갖는 성격의 불투명함, 심하게 말해 지나친 체제 온존성과 수구적 태도 등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던졌다. 당시 민속학 분야에서는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출구가 모색되고 있었으며, 1970~80년대 이래의 민속연희운동을 통한 일정한 진보적 역량이 갖추어진 상태였다. 역사학 분야에서는 '쓰이지 아니한 역사'에 대한 갈증과 욕구가 역사민속학이라는 과제로 수렴되고 있었다. 역사민속학의 출발에서 학제 연구가 필연적이었다. 한국역사민속학회는 학회 명칭에서 '역사민속학'을 표방했지만 내용적 측면에서는 '민중생활사' 구현을 최대 목표로 설정했다. 역사민속학은 '역사 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의 줄인 용례이다. 역사민속학은 역사학 범주이며, 학사적으로는 향후 史學史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통섭 및 학제 연구의 필연성과 확충은 역사민속학이 구현하고자 했던 방향과 일치된다. 학제 연구는 필연적으로 제 학문과의 교섭을 요구한다. 또한 민속이란 이름의 개념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근대 풍속의 해체와 새로운 풍속의 생성이라는 지난 100년 간의 변동 속에서 기존 민속개념만으로는 21세기를 이끌어갈 수 없게 되었다. The establishment of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is a product of '87'system which desire a certain transformation and democratization in Korea. The historical-folklife society threw conservertive attitude in studies. In the field of folkstudies the exit of academic identity was being sought, and in the field of history the thirst and desire for the challenge of history, 'folklife as a historic scienc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historical-folklife studies was inevitable departure. In the name of historical-folklife, the terms of contents represent a studies of people's life. The historical-folklife include in the historical category.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evitably requires negotiation with diversity of studies. What is the name of the folk-life there has been expansion of the concept. Pre-modem deconstruction and creation of new changes in the last 100 yeats alone, the existing concept of folklife was unable to lead the 21st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韓國歷史民俗學의 모색과 궤적

        주강현(Joo, Kang-Hy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본 연구는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이 지니는 학사적인 위상을 밝혀내고. 연구방법론의 일부를 몇가지 사례를 들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역사민속학은 일반적 민속학(folklore)과 많이 다르다. 역사와 민속의 단순 결합이 아닌,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이란 입장을 분명히 하기 때문이다. 역사학계의 선학인 손진태는 역사학과 민속학을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손진태 이후에 역사학과 민속학은 그 관계가 단절되었으며, 민속학은 대개 국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되었다. 역사민속학은 일반민속학의 몰시대성 · 탈시대성에 관한 일정한 비판을 전제로 하며 민속의 낙후된 부분만을 민중생활의 전모인 양 파악하는 잔존문화론을 비판한다. 역사민속학에서는 민속사를 주목하며, 민속사는 장기지속의 역사, 단기지속의 역사를 모두 포함한다. 모든 시기에 해당되는 통시대적인 민속도 있지만, 일정한 시기에 발현된 단기적인 민속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역사민속학의 발전과정에서 북한의 역사민속학이 중요하다. 북한민속학은 출발 단계에서부터 역사과학으로 위치지워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북한 통합에서 역사민속학이 일정한 역할을 해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현장 구술의 제 관계도 주목하였다. 역사민속학은 쓰여진 역사와 쓰여지지 아니한 역사의 간극을 좁히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 문헌과 현장 구술이 상호 결합되고 상호 보완된다면 역사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The folklife studies is different from folklore. This treatise analysis about scolastic Meaning of historical folklife & method of research. The folklife studies is mainly interest in a science of history,but in korea folklore is mainly interest in a literature. After 1945 year,historical folklife become extinct with a death of Son-Jin-Tae(孫晉泰). Son-Jin-Tae conduct an studies about history & folklife, but no one suceed to his scolastic tradition. The folklife studies set up a purpose critictical viewpoint of riddance in historic study. The theory of remain cultural viewpoint in folklife studies have many problems. The folklife studies emphasis on the history of the folklife, and long-term history & short-term history. The folklife studies conduct extention of historical-folklife text. The field-work research and ancient document research is main methods of historical-folklife studies. The folkhistory related with ancient document. In the studies of historical-folklife,the phases of the time is very important,and that is realize by reserching ancient document. And,This treatise analysis a little about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al-folklife Studies”(韓國歷史民俗學會) & “The Journal of Historical-folklife”(歷史民俗學).

      • KCI등재

        “탐라”와 “제주”의 해양문명사적 성찰

        주강현 ( Kang Hyun Jo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2

        ``Tamla`` and ``Jeju`` is often mixed. However, bother, the combination of two names ``Tamla era`` and ``Jeju era`` of long-term give us a real perspective history of this island. The history of the Tamla is still mystery untill now. First, this island is essent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an ``island`` is that it should be. The Maritime power of Jeju is very strong,but we know a little. Tamla shipbuilding and sailing can be demonstrated in several articles. If we find archeological heritage or wrecked ship at submarine,we can rewrite history, but untill now we can find. From this perspective, I can point up many Maritime power of jeju; marine network of wind power and navigator, the Kuroshio currents through natural and human hypothesis on the voyage. In conclusion, in this study my major viewpoint is cocentrate on the islands, but as a member of the Pacific Northwest and emphasize on a identity of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