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직 Jump動作의 緩衝 메카니즘에 관한 硏究 : 힘과 時間曲線을 中心으로

        趙孝九 龍仁大學校 1990 용인대학교 논문집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ropping height on buffer action in landing. Seven University athletes dropping from four different heights onto a force platform were filmed with a 16mm cinecamera operating at 100 F.P.S, : at the same time, ground reaction force was recorded by using a kistler force platform and a oscillograph. The dropping heights were 52, 107, 134 and 193cm.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body marks were digitized every film frame for the landing motion and transferred to a micro computer for processing. From force data, the time the ground reaction force elapsed from landing to the level of the subject's body weight was calculate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ing time and ground reaction force was examined. The time percentages to reach the peak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in landing were 16, 14, 10 and 8% and the mean time was 0.068, 0.058, 0.047 and 0.035sec respectively. For the dropping heights of 52, 107, 134 and 193cm, and the maximum ground reaction force were about 3.08, 3.1, 4.3 and 9.5 times of body weights. respectively The time percentages with elapsed from the maximum force to each body weight to line were 84, 86, 90 and 92%, and the mean time was 0.355, 0.365, 0.422 and 0.432sec respectively. The ground reaction force and absorbing time increased as the dropping height increased.

      • 한·일 대학유도선수의 체력 비교연구 : 용인대·동해대 선수를 중심으로

        남종선,조효구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1997 武道硏究所誌 Vol.8 No.2

        The main concern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otor ability along with individual skills and injuries caused by practice, between maie judo players of Yongin, and ?? Donghae Universities, who represent Korea and Japan. The sample size were 36 males from Yongin university in Korea and 67 from Donghae University in Japan. Questionaire survey was appiled for the investigation, which contained 13 items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Judo, 13 items for body composition, and 11 items for physical fitness and motor ability. The analysis of data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1) Seoinage was the most favorite individual skill in both schools, however nage was adapted very frequently by 40% of Yongin University players, and 20% of Donghae University players. (2) Among some of the players who were away from practices about 1 month because of injuries, shoulder was the most common part caused injuries with 41%, and elbow the next with 30% in Yongin University, which meanes the mostly upper arm injury, however, 45% on knee and 23% on shoulder in Donghae University. (3) Big difference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schools in body composition, however, Donghae University was slightly better in neck, chest upper arm. (4) Donghae University showed better records in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bench press, and running, but flexibility was higher in Yongin University.

      • KCI등재

        12주간 승마 운동이 초,중학생들의 Sit-to-Stand 동작 시신체 이동 및 평형성 그리고 몸통의 굴신 운동에 미치는 영향

        조효구 ( Hyo Gu Cho ),정태운 ( Tae Woon Jung ),권문석 ( Moon Seok Kwon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12주간 승마 운동이 초·중학생들의 STS 동작 시 신체 이동 및 평형성 그리고 몸통의 굴신 운동에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STS 동작 시 정지된 상태에서 신체를 중력의 역방향으로 가속시키는 기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몸통 분절의 효과적인 회전 운동과 하지 근력의 강화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선행연구들 중, Galli et al.(2000)와 Sibella, Galli, Romei, Montesano & Crivellini(2003)의 비만인과 정상 체중인들을 대상으로 STS 동작을 분석한 연구에서 비만인들은 정상 체중인들에 비해 작은 몸통 회전 운동으로 인해 힙 관절의 굴신 범위가 작게 나타났으며, 또한 이러한 적은 몸통의 회전 운동은 신체 운동 시 하지 근골격계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STS 동작 시 힙 관절을 중심으로 몸통의 굴곡/신전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어야만 정상적인 STS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힙과 허리를 감싸고 있는 근육들의 근력 향상은 올바른 신체의 정렬을 통한 척추의 안정성 유지와 몸통 운동의 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Kim & Lee, 2010). 본 연구에서는 STS 동작 시 통제군과 주 1회군에 비해 주 3회군은 12주간의 승마 운동 후 WTT 요인이 의미있는 단축을 나타내어 신체 이동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그리고 12주 승마 운동 전후 몸통의 회전 운동 평가에서 TFV의 수치 변화는 주 3회군, 주 1회군, 통제군의 순이었으며, 주 3회군의 TFV 수치 증가가 가장 크고 의미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EV 요인 역시 주 3회군, 주 1회군, 통제군의 순으로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주 3회군의 TEV 수치 증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승마 운동을 많이 경험한 주 3회군의 WTT, TFV, TEV의 의미 있는 증가는 승마 운동을 통해 몸통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승마 운동 시 기승자는 말의 움직임에 따라 신체가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체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증자는 하지와 요부 근육들과 함께 몸통 근육들의 빠르고 반복적인 수축 운동을 통해서만 말 위에서 신체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Han et al., 2004). 신체 운동수행능력은 신체를 가속 또는 감속시키는 근육의 강화를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신체 근력 향상을 위해 기구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과 저항성 운동과 신체를 이용한 안정화 운동을 이용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 왔다(Kim & Park, 2004; Kim & Lee, 2010). Kim과 Park(2004)은 근력 향상에 도움을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의 경우 선수가 아닌 일반 학생들에게서는 경우 평형성과 민첩성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리고 Kim과 Lee(2010)의 연구에서도 저항운동과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는데 근력의 향상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평형성에는 긍정적 효과를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단순한 근력의 향상이 평형성을 향상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Tveter & Holm, 2010). 이에 반해 승마 운동과 평형성에 관한 선행 연구 중 Han et al.(2004)는 승마 운동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들을 대상으로 평형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초·중학생들의 신체 안정성 유지 능력은 운동수행능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다양한 공통 체력인자들 중 평형성의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Son, 1999). 그리고 STS 동작에 관한 선행 많은 선행연구들은 정상인들의 좌·우 신체 운동이 일어서기 운동에서 대칭성을 가지고 있으며, 원활한 STS 동작은 신체 평형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해 왔다(Nuzik, Lamb, VanSant & Hirt, 1986; Pai & Rogers, 1990; Mak, Levin, Mizrahi & Hui-Chan, 2002). 본 연구에서 STS 동작 시 정지된 앉은 자세에서 신체 가속 운동을 의미하는 MRI 지표는 통제군, 주 1회군, 주 3회군 모두 그룹에서 사전 측정치보다 12주 후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특히 승마운동의 기회가 많았던 주 3회군이 통제군과 주 1회군에 비해 MRI 수치에서 의미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STS 동작 시 신체 가속 능력은 좌·우 하지와 몸통 근육들의 근력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승마 운동이 초·중학생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MWA 요인에서 승마 운동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군은 12주 후 증가된 반면, 주 1회군, 주 3회군은 MWA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승마 운동의 기회가 많았던 주 3회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MWA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는 승마 운동이 초·중학생들의 좌·우 하지와 몸통 근육들의 균형적 발달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하며, 승마 운동의 경험이 많을수록 하지, 요부, 몸통에 작용하는 좌·우 근골격계의 기능을 균형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는 평형성과 신체 이동 능력을 상승시켜 안정적이고 원활한 STS 동작을 수행하는데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12-week horse riding exercise effect on the locomotion of a body and bilateral balance and flexion/extension of trunk during the sit-to-stand(S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ne-hundred elev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was subject to a different horse riding exercise: control group(n = 36), 1 time/week group(n=37), and 3 times/week group(n=38). Two-way repeated ANOVA was used to compare weight transfer time(WTT), trunk flexion velocity(TFV), trunk extension velocity(TEV), mean rising index(MRI), mean weight asymmetry(MWA) among the groups, and STS changes in before and after 12 weeks. There was a group interaction in WTT, TFV, TEV, MRI, and MWA with different responses to horse riding exercise particip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1 time/week group and 3 times/week group of WTT, TFV, TEV, and MRI. Additionally, MWA(an index of a capacity for bilateral balance) in lower extremity was decreased in 3 times/week group. It seems that horse riding exercise positively affected musculoskeletal function of the trunk and lower extremity by accelerating locomotion and bilateral balance.

      • 하지마비 장애인의 견관절과 견갑골 사이의 재정렬 후 족저압 변화

        김미선+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7 특수체육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논문으로서 하반신 마비를 동반한 장애인의 견관절과 견갑골 사이의 재정렬이 족저압과 무게중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대상자는 26세의 남자로서 2002년 서울 소재 A 대학병원에서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하반신 마비로 진단 받고 현재까지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이다. 대상자는 대부분의 일상생활동작을 휠체어로 생활하고 있으며, 보행 시 워커를 사용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휠체어 사용으로 인한 둥근 등과 내회전된 견관절과 상방회전․거상된 견갑골 사이의 재정렬을 실시 후, F-scan을 사용하여 족저압과 무게중심 이동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평가에서는 나쁜 자세로 인하여 족저압이 외측으로 편향되었으며, 특히 첫 번째 중족골의 체중지지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견관절과 견갑골 사이의 재정렬 후 체중의 무게중심이 보다 중심에 가깝게 위치되면서, 첫 번째 중족골의 체중지지면의 증가와 더불어 엄지 발가락의 체중분포도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보다 내측으로 체중지지면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Berg balance test에서는 총 56점 만점에 12점에서 15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서 있는 자세에서 최소한의 도움으로 2분 이상 서 있는 능력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므로 이 논문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향후 보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평형성훈련프로그램이 시각장애인 볼링스텝에 미치는 효과

        주명일+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7 특수체육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평형성훈련프로그램이 시각장애인 볼링스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과제에 대해 사전경험이 없는 자로 서울시 소재 A 시각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남성 시각장애인 18명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면담을 통해 3개의 집단 즉, 통제집단, 스텝훈련집단,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6주 동안 주 3회, 회당 60분씩 각각 스텝훈련집단과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에 적용하였다. 6주간의 중재 후에 볼링스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어프로치 상에 임의의 기준선을 긋고, 스탠스자세에서부터 폴로스루까지 스텝이동 후 기준선에서 벗어난 오차거리를 측정하여 중재시작 전과 후를 측정하여 각 집단별로 개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이 스텝훈련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시각장애인의 볼링스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볼링교육 시 스텝훈련과 병행하여 평형성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 골볼 제자리 드로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정태운,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8 특수체육연구 Vol.5 No.-

        In this study, the kinematic analysis of throwing a goal ball was done to provide coaches and teachers of this sport with useful advice. 4 Korean goal ball national team member of offense position and 4 disability players with similar body shape condition participated and performed the throw. The kinematical data was recorded by 6 cameras and Kwon3D was used to gather and analyze the data. First, the disturbance time appeared similarly from two groups and the body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fact that the body center moves plentifully with progress direction of the ball. Second, the result of the swing operation experimental group which tries to observe the height of the right hand appeared very on a large scale, the result of observation the speed of the instantaneous right hand which it throws and the lower part of arm joint,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speed quickly with the fact that it uses the wrist snap a little. Third, the trunk angle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in the comparative group it appeared a big price of angle and with the fact that it bends the upper body plentifully. Fourth, the result of amount of the ground repelling power experimental group the weight movement will be smooth than comparative group, it shows big swing operation together weight mobility an important element for stronger pitch. With above all, uses an event by weight movement, a trunk angle change and the release at the time of wrist snap method are the most importantly teach and guided when guiding the Goal-ball proper place draw right operation for beginner. 본 연구는 골볼 공격 동작 중의 하나인 제자리 드로우를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하여 골볼 지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군인 남자 골볼 국가대표 공격선수 4명과 비교군으로는 체격조건이 비슷한 4명을 선정, 총8명을 대상으로 제자리 드로우 동작을 6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고 Kwon3D XP를 이용하여 data 수집 및 분석하여 얻은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소요시간은 두 집단에서 비슷하게 나타났고 신체중심은 실험군이 볼의 진행방향으로 신체 중심이 크게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볼을 던지는 오른손의 높이를 살펴본 결과 실험군의 스윙동작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릴리스 순간 오른손과 아래팔 분절의 속도를 살펴본 결과, 실험군이 비교군에 비하여 속도가 빠르고 손목스냅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몸통각은 실험군이 비교군에 비해 큰 값을 나타내 스윙동작과 함께 상체를 크게 구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면반력 값을 살펴본 결과 실험군이 비교군에 비해 체중이동이 원활하여 강한 볼 투구를 위해서는 큰 스윙동작과 함께 체중이동도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초보자에게 골볼 제자리 드로우 동작을 지도할 때는 이벤트별 체중이동, 몸통각의 변화 및 릴리스 시 손목스냅을 이용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부력기구를 활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 동작에 미치는 효과

        홍승범,조효구,정태운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9 특수체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부력기구를 활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S시 B복지관을 이용하고 독립보행이 가능하지만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없는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 21명중 7명을 무선표집법에 의해 선정하였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신체중심 이동, 보행 주기, 다리관절각, 다리관절 각속도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ver. 1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주기는 환측의 입각기와 단일지지기의 비율이 향상되고, 환측과 건측의 비율 차이가 줄어들어 보행주기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중심의 이동은 거리가 늘어나고 시간은 줄어들어 속도가 빨라지는 결과는 수중운동프로그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 동작에서 신체중심 이동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절각은 환측의 사전 측정결과 보다 관절각이 커지고 건측의 사전 측정결과 보다 작아져 수중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 환측과 건측의 좌우불균형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절각속도는 보행주기에서 나타난 근력향상과 관절각 결과에서 나타난 관절가동범위 향상으로 인해 관절각속도 또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며, 특히 모든 관절이 입각기 시 보다 유각기에서 각속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nderwater exercise program that utilizes buoyancy appliances on the hemiplegics’ walking. The subjects are selected randomly among 21 patientswho have had been hemiplegic more than 5 years in B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The final 7 patients who had no exercise with left side hemiplegia were selected. After they have participated in 8-week underwater exercise program, central body movement, gait cycle, the angle of legs joints and the angular speed of leg joints a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using statistics program, SPSS 13.0. Based on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is research make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hile the subject is walking, there is increase in displacement for central body movement and decrease in time resuted in increase in speed. This result made the central body movement affected the gait. Second, Improvement in the ratio of stance phase to single needling support phase and decrease in the ratio difference between hemiplegic and normal side leads to improvement of gait cycle. Third, the disparity between hemiplegic and normal side have improved with increase of the angle of leg joint for hemplegic side and decrease of the normal si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underwater exercise program. Lastly, as a result of muscular strengthening from gait cycle and range increase of joint angle, angular speed also shows improvement, especially in the swing phase compared to stance phase.

      • 평형성운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이경섭,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11 특수체육연구 Vol.8 No.-

        본 연구는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신지체 아동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각각 7명씩 총 14명을 선정하였다. 측정은 F-scan system의 압력분포 측정 센서를 장착한 신발과 장비를 착용시킨 후, 평상시의 보행 자세로 걷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보행을 할 때 실시하였으며, 직선 10m 중 두 번째 유각기에 해당하는 왼발을 분석하였다. 또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 군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8주간의 평형성 운동 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F-scan version 5.7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ASCII로 전환하고 평형성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보행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쩨,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최고압력에서 모든 영역이 증가하였다. 둘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평균압력에서 앞꿈치지지기를 제외한 영역에서 증가하였다. 셋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접촉면적에서 모든 영역이 감소하였다. 넷째, 정신지체 아동 실험군이 평형성 운동 후 접촉비율에서 앞꿈치 지지기를 제외한 영역에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의 평형성 운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보행 시 족저압 분포 변화가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