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 분석

        조혜숙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무 수행 과정에서 접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컴퓨팅 사고력을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들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식에 기반하여 컴퓨팅 사고력의 필요도와 현재 능력 수준 정도를 분석하여 구성 요소에 대한 교육의 우선 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를 이론적으로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컴퓨팅 관련 산업체 인사 2명, 교육전문가 1명, 중등단계 직업교육 담당 교사 2명 등의 총 5명을 대상으로 자문을 받아 설문지를 검토 및 수정하였다. 이후 컴퓨팅 관련 산업체 인사 6명, 교육전문가 3명, 중등단계 직업교육 담당 교사 6명 등의 총 15명으로 이루어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의 타당도를 조사하여 수정하였고, 현직 직업계고 전문교과 교원을 대상으로 한 예비 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구안된 설문지는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 요소에 대한 필요도와 현재 능력 수준에 관한 문항과 관련 변인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컴퓨터 사고력의 구성 요인에 대한 필요도 및 현재 능력 수준과 관련된 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값이 각 요인의 필요도와 관련된 문항은 .889~.940, 현재 능력 수준과 관련된 문항은 .918~.960의 범위 내에 있어 내적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의 모집단은 공업 및 상업 계열 특성화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종사하는 전문교과 교사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조사 대상의 지역, 학교 배경 특성 등을 고려하여 비례유층표집 방법으로 학교 소재지별로 층을 나누고, 소재지의 전문교과 교사 수에 비례하도록 표본 수를 할당한 후 표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 방법을 고려하여 목표 표집 수는 500부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0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우편과 이메일 전송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총 477명의 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이 중에서 중에서 현재나 미래에 컴퓨터 관련 또는 컴퓨터-기반 전문교과를 가르치지 않는다고 대답한 82명의 응답과 불성실한 응답 등의 16부를 제외한 379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 통계 프로그램, EXCEL 36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문제에 맞게 기술 통계, t 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t 검정, Borich 교육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를 구명하기 위해 필요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이 .000으로 나타나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 간의 상관성이 인정되어 전반적으로 요인 분석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전체 설명력이 69.020%이며, 컴퓨팅 사고력은 다음과 같은 6개의 요인으로 구조화되었다. 그 요인들은 문제 인식(문제 정의,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문제 표상(표상), 문제 분석(분해, 추상화), 문제해결 설계(알고리즘, 분석과 검증), 문제해결 실천(자동화, 오류 수정, 시험), 문제해결 평가 및 전이(평가 및 수정, 적용, 일반화)이었다. 둘째,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의 관련 변인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 요인에 대한 필요도와 현재 능력 수준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육 경력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필요도와 현재 능력 수준의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20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진 교사는 평균값이 가장 낮았으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컴퓨터를 수단 또는 목적으로 사용한 교과 담당 교육 경력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의 필요도와 현재 능력 수준의 경우에는 교과를 담당한 교육 경력이 없는 교사들의 평균값이 낮았다.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교육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어느 영역에서 실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응답한 교사의 50.39%는 컴퓨팅 사고력이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공통 과목』’에서 이루어져서 학과와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학생이 들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문교과 교사 중에서 컴퓨터 관련 교과의 수업을 하는 교사는 대부분(90% 이상) 컴퓨팅 사고력이 교과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특징이 있다고 인식한 교사들은 그렇지 않다고 인식한 교사보다 필요도에서 ‘전체’와 대부분 요인들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중등단계 직업교육 전문교과 교사가 인식하는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의 필요도 및 현재 능력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구성 요소의 필요도가 현재 능력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 요구의 최우선 순위는 ‘문제정의(문제 상황의 이해)’와 ‘자료분석’(자료의 분석과 분류, 자료의 재구성), ‘분해’(문제의 분석 및 분할, 문제의 구조화), ‘추상화’(핵심 요소 추출화)였다. 교육 요구의 차순위는 ‘알고리즘’(알고리즘의 구상, 알고리즘의 설계), ‘분석과 검증’(알고리즘의 타당성 평가 및 검증), ‘자동화’(해결책 실행을 위한 도구 선정, 해결책 실행 형태 구성 또는 전문가 의뢰), ‘오류 수정’(해결책 점검, 오류 제거 및 수정), ‘시험’(해결책에 대해 스스로 및 모둠 내의 수정 및 보완), ‘평가 및 수정’(해결책에 대해 모둠 간 또는 제3자와 의사소통으로 공유), ‘일반화’(최적의 해결책을 다른 사람들에게 이해/설득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제시)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for teachers, as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in order to apply the computational thinking necessary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or occupation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 degree of present competence level and needs for computational thinking were analyzed to derive educational priorities for each component. This study provided the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by deriving priorities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and revised with advice from five experts consisting of 2 computing-related industry personnel, 1 education expert, and 2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on the theoretical design of the compon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then revised by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for 15 experts consisting of 6 computing-related industry personnel, 3 education experts, and 6 teacher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Reli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 pilot test of a questionnaire for in-service teachers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 present competence level and needs for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items of related variables. In addition,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related variables such as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teac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present competence level and needs of computational thinking‘s components, the Cronbach's α value of the needs for the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 .889 to .940, and the value of the present competency level was .918 to .960. These values were found to have high internal consistency as they were within a reliable range. The population consisted of teachers of specialized and Meister high schools in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sectors, and surveys were sent to 500 people in a method desired by the survey participants, such as mail or e-mail, and 477 cop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379 were analyzed, excluding 82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did not teach computer-related or computer-based specialized subjects, and 16 with poor response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using the SPSS 18 statistical program and the EXCEL 365 program. In addition,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pplied to analyze the priority of computing thinking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computational think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for the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by EFA, Bartlett's sphericity test value = 10638.082 satisfies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or less, so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was recognized, and the overall factor analysis was possible,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69.020%, and it was extracted as 6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represent six factor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defini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problem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problem analysis (decomposition, abstraction), problem solving design (algorithm,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blem solving practice (automation, error correction, test) and problem-solving evaluation and transition (evaluation and correction, application, generalizati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eeds and present level of competence for the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by related variables for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 of the needs and present level of competence for the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general education careers, teachers with education experience of 20 years or more were the lowest,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ost-hoc analysis. When analyzing the mean of the needs and present level of competence for the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educational career of computer-based subject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 mean of teachers without experience was the lowest. Results of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f specialized subject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bout where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50.39%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educa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should be taught in a 『Common subject』. Among the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most teachers who teach computer-related or computer-based subjects recognized that computational think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specialized sub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computer-based subjects of specialized subject in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55.67% of the respondents taught subjects currently using computers in their majors. Among the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most teachers who teach computer-related or computer-based subjects recognized that computational think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specialized subject. In addition, when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perceived that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ir need for computational thin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ho recognized that they were not at the present competency level. Third, the need for the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 was higher than the present level of competence in a result of comparing the needs and present level of competency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 The top priorities for the educational needs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for computational thinking were 'problem definition' (understanding the problem situation), 'data analysi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data, reconstruction of data), 'decomposition' (analysis and division of problems, structuring of problems). ,and 'abstraction' (extraction of core elements). In addition, the next priorities for education needs were 'algorithm' (algorithm design, algorithm design), 'analysis and verification' (algorithm's validity evaluation and verification), 'automation' (selection of tools for solution execution, configuration of solution execution form or request of experts ), 'error correction' (checking the solution), 'test'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solution by yourself and within the group), 'evaluating and correcting' (sharing the solu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groups or third parties), 'generalization' (presenting the best solution as an appropriate way to understand or persuade others).

      • 한국 여성 교역자들의 사회복지 대안 연구

        조혜숙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상으로 전도부인으로 출발하여 교회의 제도화에 따라 그 지위를 차별받게 된 한국 여교역자들의 차별의 현실을 분석해 보았다. 여성에 대한 성직은 차별은 3천년의 가부장제의 역사 속에서 기독교 전통의 시대 산물이며, 그것은 한국 문화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그 성직의 지위를 갖지 못하는 여교역자는 사회적 안정망에 소외를 강요당해 왔고,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현대의 여성과 관련된 사회법은 많은 개정의 역사를 이루어냈음에도 교회는 아직도 기본적인 복지문제도 다루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신학의 입장에서 신학에서의 당위성과 사회복지 법의 의미에서 여교역자들을 위한 복지의 시대적 요청을 교회에서 실천하기 위한 가치들을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본 교단의 여교역자문제를 일반 여성복지 관련법과 비교 검토하면서 진단해 보고, 제도의 확립의 과제를 제시했다. 여교역자의 복지가 현실화되는 것은 구조모순의 해방이며, 성서의 참된 교역, 즉 섬김의 교역을 실천하는 기초가 된다. 레티 러셀은 다원화된 사회구조와 개방된 교회학의 관점에서 발전된 새로운 성직유형은 "세계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해방의 선교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봉사와 행동신학이 끊임없이 동참하고, 공동체의 증거하는 선교와 삶에 필요한 봉사와 선교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소명과 능력을 가진 회중이면 누구나 가능하다"고 말한다. 토마스 오덴은 성직자의 이미지에 대해 "성직자의 이미지도 부모의 이미지로서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에게도 해당하며, 때로는 여자에게서 전형적으로 찾아볼 수 있고, 인간의 과거 역사 가운데 여자는 남자만큼이나 자주 교회의 양떼들을 돌보아 왔으므로, 경쟁하고 지배하려는 것보다 협력하고 양육하는 일을 하도록 훈련된 여성들은 그리스도 목회의 미래에 크나큰 영향을 주게된 것이다. 교회의 신앙교육을 섬김의 교육으로 전향하여 여성의 의식화 교육을 우선실시하여 남녀평등을 실현하도록 한다. 그리고 성차별 성서해석을 지향한다. 신학교의 교육에서 남녀가 동참하는 목회를 교육하며, 사회복지적 목회를 교과과정을 이수하게 한다. 교회의 모든 기구를 구성할 때 남녀 동비율로 구성하게 하며 봉사직에 남녀 모두 동참케 한다. 제도적, 법제적 차별에서 법, 교육제도, 언어 등에서 이루어지는 성차별의 법제도화 과정에서 교회도 예외일 수가 없으며 그것을 종교적 신념에까지 연결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잘못된 사고는 여성과 남성에게 내면화되어서 여장로, 여목사를 환영하지 않고, 여전도사를 멸시한다. 그럼으로써 여목사나 여장로의 수가 적어질 수밖에 없고, 그로인해 여성이 열등하다는 증거가 되는 현실처럼 보인다. 성차별을 강화하는 사회구조 속에서 교회는 여성억압의 조직체로 정비되면서 담임목사를 정점으로 하는 피라미드식 가부장적 위계적 성별분업을 이룬다. 교회는 섬김의 구조로 가야 한다. 첫째, 모든 법제도의 개정이다. 일반근로기준법, 남녀고용 평등법, 사회복지법 등을 참고하여 교단의 법제화 과정에 참고하여야 한다. 특히, 여성에 대한 부분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열악하기 그지 없다. 이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야말로 교회갱신의 첫걸음일 것이다. 교회간의 긴밀한 연합을 강화하여 교회안에 전도와 봉사의 무한한 자원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선교와 봉사를 담당하는 여성 평신도를 양성하는 일이다. 열등한 여성의식이 아닌 건강하고 당당한 여성으로서 여신도들을 신앙인으로 자부심을 갖게하며 교회 정책적인 목회방향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여교역자에 대한 차별의식은 크게는 정치, 경제적 요인으로 분단의 현실을 들 수 있다. 민족 해방의 역사를 이끌어 온 선배 여교역자들의 뒤를 이어 현재 목회를 하는 모든 이들이 민족통일을 위한 전위대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는 교회가 세상의 눌린 자, 억압받는 자, 병든 자를 위해 해야 할 봉사의 임무이기 때문이며 새로운 인간성을 위한 새로운 해방을 위해 봉사할 의무이기 때문이다.

      • 중·노년기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역할

        조혜숙 호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노년기 부부관계, 결혼만족도 및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며,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 간의 자아탄력성의 조절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50세 이상의 유배우 중·노년기 536명이고,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부관계 변인의 하위요인은 헌신 및 책임, 애정관계, 여가공유,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가사분담 인식 등으로 구분되었고,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 등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 헌신 및 책임, 애정관계, 여가공유,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가사분담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헌신 및 책임, 애정관계, 여가공유,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가사분담 인식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부관계 변인의 헌신 및 책임, 애정관계, 여가공유,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가사분담 인식과 결혼만족도의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은 헌신과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항, 여가공유와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항에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결과요약 및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등으로 밝혔다.

      • 學務裝學 協議에 대한 初等敎師의 期待와 認識에 관한 연구

        조혜숙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학은 교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적인 지도를 하여 교육의 질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학무장학은 도.(군)교육(구)청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장학활동으로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장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학교의 교사들이 학무장학 협의에 대한 기대와 인식의 정도 및 차이를 분석하여 현행 학무장학 협의에 대한 제도의 개선 및 자료의 제공, 개선방향 수립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내 공립 초등학교의 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 구성은 장학의 본질에 근거를 두어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을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영역 둘째, 교수-학습방법 개선 영역 셋째, 생활지도 영역 넷째, 장학사와 교사와의 인간관계 영역 다섯째, 교사의 전문성 신장 영역 여섯째, 교사의 사기앙양 영역 설문지는 60문항으로 구성 제작하여 총 400부를 배부하고 회수된 338부의 질문지 중 처리 가능한 331부를 활용하였으며, 전체적인 기대와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체적으로 볼 때 교사들의 학무장학 협의에 대한 기대가 인식보다 컸다. 둘재, 교육과정 영역에서 장학 담당자들의 교육과정 운영계획 실천에 필요한 협의 및 연수의 기회 제공 등의 노력으로 80∼90년대 초반에 비해 인식이 점차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셋째, 여섯 가지 영역 중 사기 앙양과 인간관계영역에 대한 기대와 인식의 차이가 가장 커 교사들의 사기와 인간적인 유대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사무 처리 및 제 장부의 간소화 방안의 협의로 업무 과중의 해소와 제도 개선이 시급하며 점검, 확인, 지시에서 벗어나 봉사자로의 전환 모색과 상호 밀접하고 친밀한 인간관계 유지의 장학업무 수행이 요구되었다. 넷째, 학무장학을 수행하는 지방교육행정 조직의 장학 담당자는 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지도. 조언의 역할을 중요시해야 하며 장학의 본질에 근거를 둔 능동적인 장학활동과 노력으로 장학 업무를 수행 해야한다. The purposes of Supervision lie in increasing the quality of education, enhancing teachers' instructional skills, and helping them take charge of professional ability. In particular provincial offices' supervisors take charge of consulting matters that are directly related with teachers, so those conference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what teachers expect from Educational supervisory conference, how teachers percept educational supervisory conference, what discrepancy is in their expectation and perception. The examine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work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Kyeong Ki-Do, and they were sampled as a matter of convenience.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were previously divided into 6 criteria(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guidance, human relationship's of school-supervisors and teachers, teachers' professional ability, teachers' morale-enhancement) according to essential characters of school supervision.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was .90(Cronbach α).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60 items in total, 400 copies were distributed, 338 copies were collected, and 331 copi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focus was on the general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 recognition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eachers' expectation level toward educational supervisory conference was higher than their real recognizing conditions. Second, school-supervisors have made a great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curriculums, put those improvement plans into practice, offer more opportunities of conference, study, and training, consequently, teachers' recognition coditions in understanding the continually since the early nineteen eighties and the early nineties. Thir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ation levels and recognition degrees were particularly large in the area of teachers' morale-enhancement and human relationship, which had a negative effect on teachers' human relationship as well as morale-enhancement. Therefore, the most urgent tasks were to simplify the procedures of conducting school-affairs and all accounting or other documents, to reduce too much affairs, and to improve many other problems found in the present system. Also another requirement was conducting various supervisory affairs under a close human relationship of not a forceful relationship such as checking, confirming, or directing but a servicing attitude. Fourth, the school-supervisors who administrate each provincial education governmental office shoul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s well as the supervisor's role of instructing and advising. Also, they should make more efforts to conduct supervisory affairs more actively, based on the essential characters of supervision. When we try to imporve the educational supervisory conference, we can be assured the quality of education.

      • 국내 EFL 환경에서 구두 교정 피드백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종합

        조혜숙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EFL 환경에서 실시된 구두 교정 피드백 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연구 종합을 하여 구두 교정 피드백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종합,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구 종합한 결론을 바탕으로 EFL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구두 교정 피드백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두 교정 피드백 관련 일차 연구물을 수집·선별하여 연구 적격성 기준에 부합하는 74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그 중 메타 분석이 가능한 20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여 구두 교정 피드백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질적 메타 종합이 가능한 연구물 14편을 선정하여, 종합·해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학습에 구두 교정 피드백이 큰 크기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고(d = .81), 지속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g = .91). 둘째, 피드백 유형에서는 메타언어 피드백이 큰 크기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이상 연구에서는 메타언어 피드백과 고쳐말하기 모두 큰 크기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오류 수정과 피드백 제공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피드백 제공 방식을 보았을 때, 능숙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은 자기 수정을 유도하는 피드백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능숙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은 명시적인 피드백과 고쳐말하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영어 능숙도 수준과 오류 유형에 따라 다른 피드백을 제공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 수행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을 통해, 구두 교정 피드백과 오류 수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적합하고 다양한 구두 교정 피드백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목표 언어 형태를 학습할 때, 학습자들에게 자기 수정의 기회를 제공하는 피드백인 메타언어 피드백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단, 능숙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 높은 언어 불안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알 수 있는 힌트를 더 제공해 주는 등 세심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 학습자들과 교육 목적에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직접 다양한 피드백 방식을 익혀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교실 현장에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의 발화에 오류가 있을 때, 피드백을 적절하게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