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연옥 관념과 의례 실천

        조현범 ( Hyeong Beom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받아들였던 연옥 관념과 이에 입각한 연옥 관련 의례 실천들을 다루었다. 새로운 종교적 관념과 실천이 도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전형적인 반응이 배타적 거부와 전면적 수용 사이의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는 점에 입각하여 조선 후기에 천주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이 제사 문제로 전통적인 세계관을 따르는 주류 사회와 충돌을 빚은 이후에 사후 세계의 문제에 대해서 어떠한 대안을 형성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특별히 연옥이라는 독특한 교리와 그 의례적 실천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연옥에 대한 관념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당시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천주교 교리서에 근거하여 개괄하였다. 그런 다음에 연옥 관념을 실천하는 의례적 장치로서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탐구하였다. 전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천주교 의례의 일반 구조를 따라 설명하지 않고, 사람의 생애 주기를 축으로 하여 천주교 연옥 의례들을 나열하였다. 먼저 가장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식사기도, 하루의 일과 시간을 세분하여 진행하는 성무일도, 일 년 단위의 전례력 속에 들어 있는 추사이망첨례, 그리고 초상이 났을 때 행하는 상장예절 등에서 연옥 의례가 어떤 실천되는지를 순서대로 서술하였다. 그런 다음에는 연옥 관념을 의례라는 형식으로 실천함으로써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의 의식 속에 어떤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논하였다. 새로운 공동체 구성 원리의 등장과 새로운 종교성의 출현, 저승의 지리학에서 발생한 변화, 고통의 회계학이라 부를 만한 수량적 사고의 등장, 박해와 순교를 감내하는 종교적 원동력의 생성 등을 지적하였다. 조선 천주교사 속에서 연옥이라는 주제를 연구할 때 앞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연옥 내러티브에 대한 연구이다. 연옥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은 연옥 개념과 연옥 관련 의례 실천 그리고 연옥 내러티브를 구성된다. 선행 연구에서 연옥 개념이 지닌 역사적 변천을 밝혔다면, 이 글에서는 의례 실천에 대해서 살펴본 셈이다. 하지만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연옥에 관한 관념 내지 상상의 세계를 전체적으로 밝히려면 연옥 내러티브, 즉 연옥에 관한 관념들을 구체적이고 생생한 모습으로 형성화하는 이야기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notion of purgatory was first introduced in the devoted adherents of Korean Catholic Church from the last decades of the 18th Century of Korea. And they were taught to think that the ritual practices of purgatory would help their deceased ancestors to reduce the weight of punishment which should be imposed after death. These ideas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ordinary thought about the after-death world at that time in Korea. When the new religious notion and practice were import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 could imagine that these caused a striking confusion or a negative response or a creative mixture among the people. We had examined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urgatory in another article. This article traced the ritual practices of the doctrine of purgatory from the documents of the Sacraments, the Blessing, the Mass. They were in the Benediction of Table (Grace after Meals), the Vespers of Divine Office, the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lastly the Funeral and Burial Rites. If Korean Catholics accepted the doctrine of purgatory and practiced the purgatory ritual, what happened in their religious imagination? The influences of the religious idea could be estimated in four points. First, the new ordered community which transcend the board line of life and death emerged. Second, the geography about the world of the dead transformed. Third, came out the accountancy of pain which bring up the balance sheet for measuring the Indulgence. Lastly, the purgatorial idea and ritual gave the religious motivation for bearing up the persecution and martyrdom. Nevertheless we must admit the omission of one important procedure in this article. It is the analysis of the popular narratives about purgatory. The discourses of purgatory consists of the idea, the ritual and the narrative. The last part of the examinations on the purgatory is left out for the forthcoming study. We expect to understand the whole world of Korean Catholic imagination for the purgatory through the tripartite research.

      • KCI등재
      •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지 사제 양성과 성 정하상 : 관련 문헌에 대한 고증을 중심으로

        조현범(Cho, Hyeonbeom)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9 이성과 신앙 Vol.67 No.-

        제2대 조선 대목구장 앵베르 주교는 조선에 입국한 후에 현지인 사제 양성과 관련하여 한 가지 계획을 수립하였다. 당시 조선은 박해 때문에 국내에서 정규 신학교를 운영할 수 없는 형편이었다. 그래서 앵베르 주교는 중년의 남자들에게 라틴어 읽는 법을 가르치고, 간단한 신학 교육을 하여 사제로 서품할 생각이었다. 앵베르 주교의 사제 양성 계획과 정하상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미 선행 연구들이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는 관련 문헌들에 대한 세부적인 검토가 더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다. 게다가 몇 가지 문헌상의 오류도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사용된 문헌들을 재검토하여 파리외방전교회의 역사 속에서 선교지 사제 양성 방침이 나타나는 문헌적 전거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파리외방전교회가 조선을 비롯하여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선교지에서 사제 양성을 위하여 벌인 노력들의 초창기 역사를 재조명하였다. 첫째, 파리외방전교회 설립의 계기를 제공한 인물은 예수회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 신부였다. 그는 로마와 파리에서 새로운 선교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에 자극을 받은 프랑스 사제들이 아시아에 명의 주교를 파견하도록 교황청에 건의하게 되었다. 드 로드 신부의 구상에서 흥미를 끄는 것은 선교지의 교리교사들을 사제로 서품한다는 계획이 들어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알렉산델 7세 교황은 1659년 9월 9일 팔뤼 주교와 랑베르 주교를 통킹 대목구와 코친차이나 대목구의 대목구장으로 임명하는 칙서를 반포했다. 라틴어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읽을 수만 있다면 사제로 서품할 수 있다는 허락이 실제로는 바로 이 팔뤼 주교와 랑베르 주교의 대목구장 임명 칙서에 들어있던 특별권한이었다. 그리고 대목구장 임명 칙서와 함께 전달되었던 포교성성 훈령은 1658년 8월 17일이 아니라 1659년 11월 10일에 나온 것이었다. 셋째, 베트남으로 가던 팔뤼 주교와 랑베르 주교는 시암에서 선교지의 상황을 파악하고 포교성성 훈령을 구현하기 위한 선교사 활동 지침서를 마련하였다. 그 지침서 속에는 앞으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주교들이 행할 활동 지침으로서 교리교사의 양성과 사제 서품에 관한 실행 내용이 들어있었다. 이것은 현지인 사제 양성을 위한 일반적인 방침으로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 역사 속에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리외방전교회는 초기부터 선교지에서 사제 양성을 성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신학교를 설립하여 정상적인 사제 양성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아직 그러한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자질을 검증받은 교리교사들을 교육하여 사제로 서품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그렇게 활동하였다. 앵베르 주교는 바로 이러한 전통의 연장선 위에서 조선 교회의 장래를 위한 사제 양성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래서 마카오로 유학을 보낸 어린 신학생들과 별도로 조선 교회에서 활동하면서 자질과 능력을 검증받은 정하상 등의 교리교사들을 사제로 서품하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After entering Korea, the second bishop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Mgr. Imbert kept in mind a plan for ordinating the indigenous priests. At that time, it was not possible to establishing a legal major seminary in Korea due to persecution. Mgr. Imbert was therefore planning to teach middle-aged men how to read Latin and to promote them to priesthood. Preliminary studies have already been made on the plan of Mgr. Imbert and Paul Chong Ha-sang as a seminarian. However, there is still a need for more detailed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here are some philological errors. This article,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used in the previou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iterary sources that reveal the missionary policy in the history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la Société des Missions Etrangères de Paris, MEP). First, the person who provided the impetus for the birth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was Fr. Alexandre de Rhodes, a Jesuit missionary. He proposed a new missionary method in Rome and Paris, prompting French bishops and priests to present petitions to the Holy See for assignment of bishops to Asia. Interestingly in Fr. de Rhodes’ conception was found a plan to promote catechists to priesthood and to ordain them as the indigenous priests. Second, Pope Alexander VII published a decree on September 9, 1659, in which Bishop Pallu and Lambert were appointed as vicars apostolic of Tonkin and Cochinchina. The permission to ordain a priest if he could not understand but only read Latin was, in fact, the special authority(Facultates in Latin) contained in this Decree of September 9, 1659. And the Instructions of the Congregation of Propagation of Faith, delivered with the Decree of Appointment of Vicar Apostolic, were proclaimed on November 10, 1659, not August 17, 1658. Third, Mgr. Pallu and Lambert who went to Vietnam, prepared a missionary guidebook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missions and to implement the missionary message in Siam. The guide contained action on the training of catechists and the ordination of priests as a guide for the future work of bishops of MEP. This is a general policy for fostering indigenous priests and is documented in the history of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As such, the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has endeavored to achieve the successful formation of priests in the missionary field. The major seminary was set up to promote normal priest training. And if such conditions had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bishops of MEP had a plan to educate and testify the qualified catechists to ordain priests. Indeed, they did so in China and Vietnam. In Korea Mgr. Imbert mad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priests for the future of Korean Church. Therefore, parallel with the young theologians who had studied abroad in Macau, he tried to ordain middle-aged catechists such as Paul Chong Ha-sang, who had proven his qualities and abilities while working in Korean Chu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후기 유학자들의 서학 인식: 종교/과학 구분론에 대한 재검토

        조현범 ( Hyeon Beom Cho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0

        많은 논자들은 중국의 서학 관계 문헌들이 과학 방면의 서적들과 종교 방면의 서적들로 나뉜다고 전제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도 청나라 황실을 비롯하여 중국의 유학자들이 유럽의 과학과 기술을 소개하는 지식들은 수용하되 천주교라는 종교의 유입에 대해서는 금지하였다고 본다. 그 연장선 위에서 조선의 유학자들 역시 과학 지식은 받아들여 활용하되 종교적인 가르침은 배척하였다는 견해가 학계에서 널리 자리 잡고 있다.본고는 마테오 리치 등 중국 예수회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과 서학관련 저술 활동이 어떤 패러다임에서 나온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리치의 패러다임은 중세 스콜라 신학의 틀 속에 존재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예수회 선교사들의 의식 속에는 종교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을 구분하는 논리가 들어 있지 않았다. 이것은 그들의 신학적 입장, 교육 내용, 중국에서의 선교 활동에 관한 기록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또한 조선에서 서학에서 대하여 유학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고,이것을 종교/과학 구분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검토하였다.기존의 논의들은 대개 조선의 유학자들이 서학 서적 가운데에서 과학에 관한 내용들은 수용하되, 종교적인 가르침을 담은 내용은 배격하였다는 해석을 내리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유학자들의 인식을 잘 담고 있다고 판단되는 명물도수학과 위기지학의 용어법으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조선 유학자들의 서학 인식을 종교 및 과학과 같은 근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하려는 노력을 극복하는 과정은 새로운 물음을 제기한다. 말하자면 ‘종교’나 ‘신앙’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던 시기에 이승훈이 북경에 돌아와 이벽 등에게 세례를 주고 함께 모여서 천주교 교리를 학습하고 의례를 실천하는 모임을 개최한 1784년 사건을 어떤 개념으로 포착할 수 있을 것인가. 현재로서는 천주교라는 종교 공동체가 출현하게 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나 논리를 갖고 있지 못하다.따라서 조선에서 천주교가 종교로서 존재하기 시작한 첫 지점을 탐구하는 문제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Many contemporary scholars presupposed that the Western literature printed in the 17th and 18th China could be divided into scientific documents and religious ones. Therefore Chines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the Imperial Court were thought to assert the reception of the Western knowledge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contrary, they were regarded to prohibit the prevalence of Western religion, i.e., Roman Catholicism. In the case of the late Choseon society we could find the same assumption: Korean Confucian scholars also would introduce the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but refuse the Western religious doctrine. The dichotomy of religion and science functions on the two academic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s between confucianscholars and Western learning. Was examined the paradigm which Jesuit missionaries’ activities and writings based on. Ricci paradigm was in the framework of medieval Scholastic theology. So there was not the logic of division of religious doctrine and scientific knowledge. We could draw it from their theological position, pedagogical formation and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What about the problem of Choseon confucian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literature? Whether their response to the Western Learning could be successfully explained or not? Actually was not found the very obvious evidence for the assertion that they accepted Western science and denied Western religion. Instead of that anachronic bias, their native terminologies are more preferable. For example, they regarded some favorable aspects of Western literature as a learning for the name of thing and the number(名物度數). In others, they found some dangerous or harmful constituents which were disagreed with the confucian cultivation of the mind(爲己之學).

      • KCI등재후보

        조선 후기 근대적 양심 개념의 도입 경위와 천주교의 역할

        조현범(Cho, Hyeon-Beom)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5

        일반적으로 양심(conscience)이라는 용어는 윤리적인 행위를 하도록 강제하는 심리적 주체 또는 절대적인 자유를 보장받는 인간 내면의 세계 등을 가리키는 근대적인 개념으로서 개항 이후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서구번역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양심(良心)이라는 한자어 자체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중국과 조선에서 유교적인 문맥에서 사용되던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 한자어로 사용될 때 양심 개념은 어떤 의미를 지닌 것이며, 서구 근대적 의미를 담고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이 글은 먼저 양심 개념의 서구적 맥락을 추적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개념과 이것이 로마로 건너가서 번역된 개념이 어떤 역사를 지니고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중세에 접어들어 토마스 아퀴나스가 정립한 양심의 의미를 살펴본 다음에, 중세교회의 가톨릭 전례 행위에서 양심이 왜 강조되었는지를 조명하였다. 이러한 양심 개념은 자율성을 그 특징으로 하였기 때문에 근대 계몽주의에 와서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계속 사용되었다. 특히 근대의 이성 중심주의와 자연법사상에서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와 대비해서 중국과 조선에서는 유교적인 맥락에서 양심 개념이 사용되었다. 인간적인 욕망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마음 상태 또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연의 마음을 의미하는 용어가 바로 양심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근대적인 의미에서 양심 개념이 사용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천주교 신자들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주장하였다. 즉 정하상이 남긴 글에서 조상제사를 거부하는 논리적 근거로서 양심이 허락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나온다. 정하상은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 앵베르 주교로부터 신학 수업을 받았는데, 아마 그때에 양심 개념을 배웠을 것으로 추측한다. Conscience is a translative terminology through the Modern Japan since the opening-port period, which means a psychic subject to force us to do something from the moral criteria, or indicates the human inner world that has a absolute freedom from any external coercion. Meanwhile a chinese lexicon, 良心 has also a long history and has been used in the Confucian context in China and Korea. What means 良心(translation of conscience) as a traditional terminology? When did Koreans take it bearing the western modern signification? From this problematique we began to trace the western intellectual context of the notion of conscience. A concept from the ancient Greek thought and its translation in Rome were examined. Then we explained the meaning of conscience which was established by Thomas Aquinas in the Middle age. In addition, an important focus was given to the Catholic liturgical activities of the Medieval Church. The western and Catholic concept of conscience did not lose its vitality in the modern Enlightenment thought, because it wa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y. What is more, conscience had a essential status in the modern reason-centered way of thinking and natural law. In the contrast, the concept of 良心 was understood to have a Confucian meaning by the traditional Koreans. That is, 良心 was regarded as a pure mind never tainted with human desire, or original and primitive spirit granted by Heaven. If so, what is the first case of using 良心 in the modern concept of conscience? We argued that it was the Korean Catholics in the late Joseon period. To speak more concretely, it was Jeong Ha Sang, who was mar tyred in 1839, left a letter which was estimated as a famous apologetic document written by Korean Catholic leader. He used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his letter, that justified the refusal of ancestral sacrifice in the name of conscience. Jeong Ha Sang received a seminary education from Bishop Imbert, French missionary of the Society of Foreign Missions of Paris. We supposed that Imbert taught him the concept of con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