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 시각장애 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조현근(Jo, HyunGeu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 시각장애 학생 당사자의 관점에서 대학생활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3명의 중도 시각장애 대학생을 유의 표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시각장애학생들의 이야기는 연구자가 다시 이야기하는 내러티브 탐구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들의 이야기에 따른 내러티브 구성은 첫째, 나는 시각장애인이다. 둘째, 대학을 바라보며 꿈꾸다. 셋째, 대학생활의 현실과 마주하다. 넷째, 도움의 사람들을 만나다. 다섯째, 시각장애 대학생 선배가 되어 말하다. 여섯째, 대학생활과 대학 졸업 이후의 생활 사이에서 고민하다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고등교육과 관련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전문가들과 대학입학을 준비하는 현장 교사 및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유용한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eaning of college life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To this end, focusing on 3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tories of students were analyzed by narrative inquiry. Based on the stories of students, the following narrative were drawn. First, I am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Second, dream something hoping the college life. Third, face the reality of college life. Fourth, meet the people who are helping me. Fifth, say something as a college senior who is visually impaired. Sixth, worry about the next life after graduation with doing college life.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in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and researcher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for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and teachers in the field.

      • KCI등재

        국내 특수교육 분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논문의 동향과 방법론적 질 평가: AMSTAR 가이드라인의 적용

        조현근 ( Jo Hyungeun ),강성리 ( Kang Seongr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특수교육 분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논문의 동향을 알아보고, AMSTAR(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방법론적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2011~2021년까지 27종의 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논문 42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발행연도에 따른 동향과 논문의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AMSTAR 가이드라인의 11개 평가 문항에 기초하여 메타분석 논문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특수교육 분야 단일 대상연구 메타분석 논문은 행동 지원, 언어 및 의사소통, 학습, 자기교수/자기관리, 사회성 등 다양한 주제로 수행되었으며,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습장애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논문의 방법론적 질은 ‘보통 수준(M=5.50, SD=.94)’이었으며, ‘낮은 수준’ 5편(11.9%), ‘보통 수준’ 37편(88.1%), 높은 수준 0편(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보다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연구 수행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meta-analysis papers on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special education, and to assess methodological quality by applying the AMSTAR(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guideline. For this purpose, 42 meta-analysis papers published in 27 special education journals were collected from 2011 to 2021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trends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pers, and assessed the quality of meta-analysis papers based on 11 evaluation items in the AMSTAR guidelin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ta-analysis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conducted on various topics such as behavior support, language and communication, learning, self-teaching/self-management, and sociality, and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tic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is papers was 'moderate level(M=5.50, SD=.94)'. and 5 articles(11.9%) of 'low level', 37 articles(88.1%) of 'moderate level', 0 articles(0%) of 'high level' were found. The trend of qualitative level was found to remain at the 'moderate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meaningful data for performing meta-analysis studies of single-subject design with mor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조현근 ( Hyun Geun Jo ),오세철 ( Sei Cheol 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K대학교의 지적·자폐성 장애학생의 대학입학 지원율의 증가에 따른 선발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태 및 선발방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도출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대학의 현황, 전형방법(지원 자격, 최저학력기준, 전형평가요소)과 K 대학교의 신입생 장애유형 현황, 지원자 및 합격자의 지역별 현황, 경쟁률 현황, 고교유형별 지원현황, 학급유형별 지원현황, 선발방법 분석,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선발전문가 팀 구성 및 훈련``, ``직제 및 관련 규정``의 마련, 대학 및 모집학과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인재상 확립, 선발 평가요소의 간소화 및 최적화, 입학사정심의를 통한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첫째,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선발철학 및 선발기준 마련, 둘째, 선발에서의 적절한 지원책 마련, 셋째, 관심과 흥미, 재능 등을 고려하여 지원자격의 재정비, 넷째, 선발의 투명성 제고와 그에 따른 명확한 기준 제시, 다섯째, 지원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제출 서류 양식의 개발과 서류평가에 대한 더욱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과 다양성, 고유한 잠재력 등을 고려한 대입전형에서 선발방식의 전환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며,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들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nsur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dmission by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ed the contents. Analysis are as follows: history and present state of higher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sent state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domestic universities, selection method (eligibility, minimum academic standards, assessment methods), in addition to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K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composition and training of admission officer team, establishment of related to regulations and specific talent type, Simplification and optimization of assessment methods, insurance of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through deliberation process of admission officer team. In detail, 1) the assessment criterion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repared. 2) the appropriate support for sele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eeded. 3) the admission eligibility by considering the concerns, priorities and gif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reorganized. 4) the criteria for fairness of special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presented. 5) the development of the document form for an accurate assessment are required.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s to conduct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 KCI등재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조현근 ( Jo Hyun-geun ),이병인 ( Lee Byoung-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통합교육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곳의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물 중 177편을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으로 분류하여 연도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유아통합교육 실천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통합 현상을 알아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통합교육 기관의 일과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중재 방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통합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활동적 통합, 사회적 통합의 실효성을 위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교육과정적 통합,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 교사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등 실천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통합교육 현장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와 요구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통합교육의 주체로서 유아의 부모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유아통합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통합교육 관련 연구자 및 현장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6 . For this end, total 177 articles published in eightee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2016 in Korea were selected, and were also analyzed by analysis of frequency according to topics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types of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researches that show practical inclusive phenomena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by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in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ird, for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al` researches should be more conducted by integrating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showing clos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d also conducting researches to improve perception on `disability`. Fourth, survey researches related to situation and needs on physical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also conducted. Finally, researches dealing with parents and families of young children as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es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and utilized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IFSP 원리 및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조현근 ( Hyun Geun Jo ),이병인 ( Byoung In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개별 가족의 강점과 관심에 기초한 체계적인 서비스 전달 관리 문서인 IFSP의 원리 및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장애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유치원, 장애아전문어린이집 238기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51기관의 응답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은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및 서비스 제공 시 IFSP 구성요소에 기초한 가족지원 실태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영·유아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이 IEP를 구성하는 요소 외에 다른 요소에 대한 기록과 관리 및 가족단위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을 위한 관리 문서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원활하고 지속적인 가족 참여를 위해 가족의 전반적인 영역의 유기적인 기능 평가를 위한 가족 진단 전문 인력의 확보와 가족 참여 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련 전문가의 방문, 가족과의 원만한 관계유지를 위한 노력과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 간의 질적인 교류를 위해 서로의 전문 영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워크숍과 원활한 협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조기발견과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도구의 활용과 결과해석 등의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다. 다섯째,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중 가족들 개별 가족들이 요구하는 영역에 대한 지원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여섯째, 서비스 조정자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야하며, 서비스 조정의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요구된다. 일곱째, 전이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이 지원 방법의 다양성을 모색해야 하며, 전이 결정에 대한 정보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개별 장애영·유아의 특성과 각 가족의 특징을 반영한 환경 배치 및 적합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체계적인 가족-중심의 유아특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explore current status of family suppor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family suppor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based on purposes,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the IFSP.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survey methods wer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s follow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 across the country, total 238 organizations were selected―kindergarte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y-care center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51 of 23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documents for famil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to be developed. Second, training on the use of family assessment tools was required. Third, in order to cooperate among experts,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areas on expertise was required. The cooperation programs and workshops needed to be developed. Fourth, assessment specialists were required. Fifth, professional staff i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were required. Sixth, the concepts of service coordinator and case manager should be clearly defined. Seventh, the supports for the transition,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DB construction were required. Eighth, arrangement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young children was need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as follows; proposing the direction on researches related to the family support and providing a basis for family-centere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s.

      • KCI등재

        장애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교육 실습 경험을 통해 형성된 장애유아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의미단위 분석을 통해 주요 개념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선호도, 또래 놀이 참여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놀이에 영향을 끼치는 내재적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교사의 교육적 신념 및 태도, 또래의 인식 및 가정 연계 정도, 물리적 환경 및 교재 교구, 전문가 간 협력 및 교사 교육을 장애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기술 교수, 장애 이해 및 또래 수용을 고려한 수업 운영, 놀이 확장 및 흥미 유발을 위한 지원 전략이 사용된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학급 내 장애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및 보조 인력을 위한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play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lay support of teachers formed through an inclusive class practicum experienc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interview data were categorized by deriving key concepts through semantic uni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play preferenc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eer-play participation as intrinsic factors that influence play.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educ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of teachers", "perception of peers and connection of families", "physical environment and teaching materials", and "cooperation among experts and teacher education" act as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 play. Thir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s use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class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peer-acceptance and disability awareness", and "support strategies for expanding play and inducing interest" as methods to support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teachers and assistants in education supporting the pla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 KCI등재

        유치원 통합교육 현장에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경험하는갈등과 상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원길재(Gil Jae Won),조현근(Hyun Geun J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장애유아가 일반유치원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받으며 일반유아와 함께 교육을 받는 유아통합교육이 유치원에 점점 확산되고 있다. 나는 특수교사로 유아통합교육을 하는 동안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갈등이 유아통합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임을 보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을 하는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의 양상을 살펴보고, 갈등을 넘어 상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지향점들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통합교육을 하고 있는 일반교사 4명과 특수교사 4명에 대한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갈등은 조직 내 힘의 불균형 및 교육관의 차이로 인한 교사 간 갈등과, 교육을 잘해보고자 하는 교사 내 갈등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운명”적으로 만나 서로를 “인정”하며 “성장”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한솥밥 식구”가 되어갔다. 또한 교사들이 이러한 갈등을 넘어 상생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더 나은 유아통합교육 문화를 위한 교육적 모색을 함께 해 나가는 것이 도움이 됨을 논의하였다. Kindergartens increasingly employing integrated systems in which children with various disabilities can discover their diversities and differences as they interact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 crucial factor that leads to success in such a school system is th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In other words, the success of integrated school systems depend in large part on how these two groups of teachers overcome their conflict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describe their various types of conflicts and to then find ways of establishing synergistic and productive relationships. The study employ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Carefully selected for the study were five specialized teachers and five general teachers. Analysis produced several findings. In the initial stage, the groups began to experience conflict due to their different educational viewpoints and the unbalanced power structure between them. They also showed that positive conflict could come from a desire to make a constructive integrated class. As such, as time went by, those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me to an awareness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mplementing each other in the integrated class by way of taking a series of steps such as “Fatalistic Attitude,” “Acknowledgement,” and “Cooperation for Growth.” The study delves into the necessity of teachers`` practicing cultural relativism in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It also searches for educational approaches and methods that better enabl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experience a more inclusive class and greater success.

      • KCI등재

        발달지체 영,유아 가족의 요구에 따른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구성 및 활용방안 탐색

        이병인 ( Byoung In Lee ),조현근 ( Hyun Geun J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 구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가족지원요구 조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를 자녀로 둔 가족(어머니 중심)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지속적 비교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지원프로그램 구성요소로 관계, 정보, 심리ㆍ정서, 전문가, 자원, 경제적 지원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활용방안으로 가족기능의 회복과 강화,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과 단계 및 발달지체 영ㆍ유아의 성장주기에 따른 접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가족 내ㆍ외에의 자원 발견 및 활용, 가족의 요구와 기대 영역 반영, 가족의 독특한 상황과 고유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ponen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an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families. Total 15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lated to family support needs survey were analysed for this study. Focusing on mothers of young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ix conten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relationship, information, psycho-emotion, professionals, resources, financial support. In addition, for application of effective family support programs, the following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levels and steps of family stress, approach based on life-cycles of young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ommunity-use.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family’s resources, considerations on family needs, considerations on special situation and unique cultural background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want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family support programs in real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강성리(Kang, Seong-Ri),조현근(Jo, Hy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PBL 기반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 45명이다. PBL 기반 장애 유아통합교육 수업은 강의식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문제중심학습은 3개의 PBL 문제로 구성하여 총 9주간 진행하였다. PBL 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이 통합교육 신념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PBL기반 장애유아통합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통합교육 신념(t=-6.80, p<.001)과 교사 효능감(t=-8.11,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에 대한 학습 만족도는 높은 수준(M=6.71, SD=.4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통합교육 관련 교원양성 과정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ffec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teacher effic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is class. The PBL-based class used a mixture of lecture-based classes and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ree PBL problems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weeks. A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it and their self-efficacy. For data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learning satisfaction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BL-based inclusive education cla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s’ beliefs(t=-6.80, p<.001) and their self-efficacy(t=-8.11, p<.001)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at a high level(M=6.71, SD=.47).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teacher training cours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