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1987∼2017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3

        이 글의 목적은 민주화 이후 지난 30년간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 미디어가 어떤 궤적 속에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지금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 글의 이론적 자원은 최근 등장해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화론이다. 미디어화론을 원용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한국의 언론이 가진 권력성을 직접적으로 포착하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미디어화의 단계론은 미디어와 정치 사이의 역학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셋째는 역사성이다. 한국 민주주의의 지난 30년에는 정치뿐만 아니라 미디어에서도 생태계적 변화가 있었다. 민주화 이후 언론의 자유가 회복되었으나 시장에서 주류신문은 바뀌지 않았고, 노조가 초반에는 활발했으나 경쟁에 밀려 곧 쇠락하였다. 이로써 언론의 민주화는 내외적 측면에서 모두 실패했다. 보수 일색으로 조성된 언론의 장은 IMF 이후 급격하게 바뀐 의견지형을 반영하지 못했다. 특히 진보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는 주류 신문과 보수야당 사이에 권력적 양태의 병행·연합관계가 강화되었으며, 정부에서도 세무조사나 법(신문법) 등으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시도는 대부분 실패했으며, 보수세력은 결국 재집권하였다. 주류 신문이 방송시장에 진출한 ‘종편’은 이런 승리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권위주의의 반언론적 색채가 강했던 박근혜 정부 말기에 이르러 연합의 내부적 균열은 심해졌으며, 총선에서 패배하고 최순실 게이트가 열리면서 마침내 박대통령은 탄핵되었다. (공영)방송에서는 신문과 달리 노조의 희생어린 투쟁이 계속되었으나 정부의 후견주의는 해결되지 못했다. 방송의 제도화는 차기 정부로 넘겨진 큰 숙제이다. 미래에는 기존의 집중화된 언론을 넘어 더 많은 미디어가 번성할 것으로 보이고 미디어화는 일상의 미시적 영역으로 더 많이 진전될 것이다. 이제 정치와 사회는 언론과 미디어의 민주적 제도화에 대해 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is paper applies to the concept of ‘mediatiza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democratic transition of Korea during about thirty years since 1987. In doing so it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journalism and media has both a conflictual and symbiotic relationship with politics and democracy. The role of mediatization theory is three aspects: power dynamics of journalism and media, reciprocal and (de-facto) i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politics (government) such as political parallelism and political-media alliances, historic specificity over transformative process in media ecosystem. Whereas the freedom of press was formally protected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established dominance of three conservative dailies, ‘Cho-Joong-Dong’ has little been changed since authoritarian age. Cho-Joong-Dong and Hannara Party have evolved into the political-media alliance facing the opposition’s rise to power. Especially during presidency Moo-Hyun Roh (2003∼2008), government clashed fiercely with Cho-Joong-Dong on the issue of democratization of media. However, the failure of Roh government resulted in conservative’s return to power and Cho-Joong-dong’s longing for advancement to television market. President Geun-Hye Park (2012∼2017) have her own way ignoring civil society and even some supporting classes too disappointingly. After the failure of 20<SUP>th</SUP> general election, the alliance has gradually ruptured, eventually bringing about the historic candle protest and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I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unlike papers, the dedicated struggle for internal freedom of the union has continued, but the age-old issues of political clientelism was not resolved. Arguably, new media ecosystem arising from internet may substitute centralized political-media alliance for decentralized political communication revealing diverse and everyday mediatization.

      • KCI등재

        언론 통제와 자기 검열

        조항제(Hang-Je Cho)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3

        이 글의 목적은 언론에 대한 내적·비공식적 통제와 그 하나로서 자기 검열을 개념적 수준에서 성찰하는 것이다. 체제가 민주화될수록 노골적 저항을 부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외적·공식적 통제는 금기시되는 반면, 정보를 생산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언론의 역능에 대한 수요는 사라지지 않으므로 통제는 내부화·비공식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통제는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효과 또한 상당해 민주체제에 의해 선호된다. 특히 자기 검열은 검열의 기제가 개인 내부에 있어 더욱 예방적이다. 그러나 자기 검열은 일상적으로 쓰이는 빈도에 비해 아직 학문적으로 충분히 연구되지는 않은 것이다. 정의 또한 정착되지 않아 먼저 개념부터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자기 검열의 기존 정의들을 개관하고 쟁점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약간의 사례를 추출해 보완·분석한다. 자기 검열은 가장 철저하게 검열의 효과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검열이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이지만,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검열체와 검열대상 사이에는 항상 치열하게 갈등할 수밖에 없는 권력과 규범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자기검열의 문제화는 이런 갈등을 부각시키고 언론인들의 내적 투쟁을 장려한다. 이처럼 자기 검열의 중심에는 결국 사람(언론인)이 있다. 자기 검열 개념은 언론인을 문제의 중심에 놓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ly examine such an internal and informal control for the press as self‐censorship. An external and formal control is prohibited because of the likelihood of explicit resistance particularly when political systems are democratized.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control is likely to be internalized and informalized because of the indispensible demand for the power of the press which produces political agenda and builds public opinion. This control is invisible, but the effect is considerably high. Therefore, democratic systems prefer it. Especially, self‐censorship is rather proactive because the mechanism of censorship is in internal thinking process. However, scholars have not fully studied it in spite of its high frequency in everyday life. The concept of self‐censorship has not been exactly defined yet. Acknowledging the current states, this study reviews a few existing definitions for the concept and points out pending issues in journalism around it. Also, this study adds more insight for it based on the analysis of some notable cases in Korea. Self‐censorship is indeed desirable to powerful censors because it produces the most perfect effects. Despite that, it is not always successful in that power comes into conflict with norms between censor and censee. Problematizing of self‐censorship gives lights on these conflicts and it encourages journalists‘ internal struggle. That is, there are still agency i.e., journalists in its center. To sum up, self‐censorship again brings into journalists as a core issue of journalism and press freedom.

      • KCI등재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비판에 대한 반론 겸 해명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1 언론과 사회 Vol.29 No.4

        미흡한 내 책에 대해 송현주 교수가 긴 서평을 해주었다. 한국의 언론학 풍토에서는 희귀한 일이라 매우 고마웠다. 이론적 측면에 집중한 그의 평은 필자가 책을 쓰면서 내내 해왔던 고민을 예리하게 지적했다. 그러나 오해나 오독도 있었다. 그의 제언 역시 일부는 내가 보기에 그렇게 유용하지 않다. 이 점이 내가 반론 겸 해명을 굳이 쓰는 이유이다. 먼저 송 교수는 내가 이론적 자원으로 삼은 미디어화론의 유용성에 상당한 반감을 표시했다. 특히 이 이론과 하위이론들의 관계에 대해 ‘연구대상과 접근방식이 상이하다’고 하면서 나의 설정을 비판했다. 정치 병행성론에 대해서는 내가 경직된 해석과 설정을 했고, 거시적 이론을 하위이론으로 ‘전락’시켰다고 했다. 미디어화론이 본받아야 하는 모델로 의제 설정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나는 설사 공약이 불가능한 지평이라도 얼마든지 절충과 합의 가능성이 있다는 원론을 전제하고, 미디어화론이 ‘커뮤니케이션에 민감한 (새로운)민주주의’와 정치와 미디어 둘 모두에 관심을 두는 ‘두 갈래 전략’, 디지털화로 요약되는 미래의 여러 변화 등을 ‘포스트미디어화’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실천적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면서 이에 답하고자 했다. 미디어화론이 사회변화의 경향성이라면 정치 병행성은 그 안에서 주요 인자가 형태화된 것으로 양자의 관계를 정리했다. 혼란을 낳은 정치 병행성론에 대해서는 개념의 질적 세분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의제 설정’의 문제틀을 강조해 기존의 ‘공중 의제 설정’을 경쟁적으로 보완하고자 했으며, 정치적 의제 설정과 미디어화론의 긴밀한 관계를 강조해 양 이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Song Hyun-Joo gave a article-length book review on my recent book. I was very grateful that it was rare in the academic culture of journalism and media studies in Korea. His review, focusing on the theoretical aspect, sharply pointed out the concerns I have had while writing the book. However, there were some misunderstandings and misreadings. Unfortunately some of his suggestions are not so useful to me either. This is why I response and elucidate seriously to him. First, Song considerably opposed to the usefulness of mediatization theory that I set as a umbrella concept in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particula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sub-theories, he criticized my formulating, saying, “The research subjects and approaches are definitely different.” As for the theory of political parallelism, he criticized I made a wrong interpretation and a setting for its becoming a sub-theory. Also, He proposed agenda setting theory as a model that mediatization theory should emulate. In response, on the premise that even incommensurable theoretical horizons may have the potential to compromise and synthetize together, I suggested that mediatization theory has the potential to encompass “communication-sensitive(thus, newly-reborn) democracy,” “two-pronged strategies” that should pay attention to both politics and media in democratization of the state and society, and various changes in the future summarized by digitalization. Regarding the theory of political parallelism, I argued that the current confusion should be cleared up by pursuing the conceptual differentiation addressing the internal power dynamics. Finally, by emphasizing the distinctive problematic of ‘political agenda-setting’(virtually agenda-building), I tried to competitively complement to the American style ‘public agenda setting,’ and to show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agenda setting and mediatization theory.

      • KCI등재

        한국언론의 공정성 재조명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2

        한국처럼 언론의 공정성 시비가 많았던 나라에서 제대로 된 공정성 연구서가 나왔다는 점은 기쁜 일이다. 그 저서가 외적 공정성 같은 참신한 개념을 제시하면서 다양한 매체를 모두 다루었다는 점은 기쁨을 배가시킨다. 그러나 윤 교수의 책에는 크게 세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한국의 역사적·사회적 맥락을 중시한다고 하면서도 사실상 아무런 배려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한국 언론의 정당성에 해당되는 이 빈 자리를 차지한 것은 과학자에게나 어울리는 정밀성과 증거 검증에 중점을 둔, 절대적 사실성에 가까이 가려는 상대적 우월성이다. 둘째, 윤 교수가 주장하는 이상적인 절차, 곧 정교한 원칙과 정밀성을 위한 노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절차가 결과의 타당성을 보장하는 것이 되기 위해서는 담론 내적인 것 못지않게 담론 외적인 것, 곧 공정성 투쟁이 필요하다. 공정성 투쟁은 한국처럼 논의의 장 자체가 권력논리의 산물이 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이다. 셋째, 그는 사회정의, 약자 배려 같은 실체적 도덕이 공정성의 내용이 되는 것을 꺼린다. 그러면서도 기사(프로그램)로 영향 받을 당사자의 의견을 고루 반영해야 한다는 담론적 공정성에는 언로가 현실적으로 불평등하다는 점을 들어 반대한다. 그렇다면 절차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불균형이 시정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해야 하는데, ‘정교한 규범’ 외에는 그의 책 어디에서도 이를 찾기는 어렵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think media ‘fairness’ as one of main themes in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commenting on professor Youn, Suk-Min’s ≪Media impartiality≫. It is very glad to see the magisterial research work on the deep-seated endemic problem of Korean journalism practice and academia. The fact that this book dealt with various media by referring to the fresh concept of ‘external fairness’ doubles my gladness. Nevertheless I would like to insist that Youn’s book have three points in dispute for three main reasons. Firstly, putting emphasis on Korean historical and structural context, he really don’t think of it hardly at all. This vacancy analogous to the social legitimacy and accountability of journalism is filled with relative supremacy that undoubtedly approaches to the precision of natural science and the absolute reality. Secondly, we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ideal procedure comprised of exquisite principles and verification of facts. However, for his procedure to guarante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it should consider the extra-discourse as well as the intra-discourse. In other words, it should consider the struggle for fairness seriously. Thirdly, he is reluctant to take the substantial morality such as social justice and care for the weak into account as a content of fairness. He even objects the discursive fairness to reflect validly the opinions of those who are influenced by the articles or programs because of the imbalance of media resources between the powerful and powerless. Even though he seems to have to provide with the ground on which he could argue that imbalance could be corrected by upholding the ideal procedure, he did not provide anything but the vague concept of ‘refined principle’ in his book.

      • KCI등재

        한국방송의 근대적 드라마의 기원에 관한 연구 〈청실홍실〉을 중심으로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5 언론과 사회 Vol.13 No.1

        한국 방송드라마의 보편적 양식은 애정ㆍ가족 소재에 뚜렷한 결말이 있는 프라임타임 대 솝오페라이다. 이러한 형태를 갖춘 최초의 드라마는 1956년의〈청실홍실〉이다. 플롯 면에서〈청실홍실〉은 로맨스 주제와 터부적 소재, 운명적 우연과 반전, 그리고 해피엔드 등을 기본구성으로 망라한 전형적인 멜로드라마이다. 또〈청실홍실〉은 대중장르에서는 신파극, 방송에서는 수기 각색드라마인〈인생역마차〉, 영화에서는 〈자유부인〉등에 영향을 받았으나, 이들과 상당한 차별성도 보였다.〈청실홍실〉이 다룬 ‘지금 이곳의’ 일상은 사극ㆍ어린이극ㆍ각색 수기에 머물러 있었던 방송드라마의 세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당시 큰 사회적 문제였던 미망인의 성을 다루는 그 자체로 하나의 사회비판이 되었고, 해피엔드는 당시 공동체의 꿈을 가상실현해주었다. 그러나 이 꿈은 당시의 체제와 방송조직이 추구했던 것이기도 해서〈청실홍실〉은 멜로드라마가 가진 친체제성을 여실히 보여준 사례가 되었다. The beginning and constitutive process of Chung-Shil-Hong-Shil(Blue thread, Red thread), the first prime-time radio soap, tells when and how radio soap opera develops its distinctive narrative style of romance drama in Korea. In Korea, private romance and love affair would not be a private matters but a family matters. It can be said that Chung-Shil-Hong-Shil is a kind of prototype of radio melodrama which has influenced over conventions and style of radio and television drama series and serials since it made great success of getting high popularity among the masses in 1956. The Chung-Shil-Hong-Shil introduced radio soap opera to Korean audience and made soap opera-like drama serial a regular program of radio broadcasting.<br/>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and main characters of the soap are, how the show became getting its distinctiveness by appropriating precedent genre conventions; melodrama of cinema, theatrical drama, and radio version of “What shall I do?” stories, and then what the soap’s implications to the Korean melodrama history is. I discuss that Chung-Shil-Hong-Shil narrative maintains a few main attributes particular in a hybridized theatrical drama genre, 'shin-pa' popular in the 1930s in Korea.<br/> The narrative structure of Chung-Shil-Hong-Shil follows the typical style of well-made play with linear plot. For instance, the happy-ending closure is used to be wedding scene of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who suffered a series of ordeals for the reason of having love affairs being tabooed in Korea. Most of all, the taboos are conventional and cultural ones with some social significances. In case of Chung-Shil-Hong-Shil, romance between a promising bachelor and a war-widow and their marriage was taken as a taboo, but, at the time, war-widow issue was too delicate not only to be spoken out, but also to be wholly ignored. Chung-Shil-Hong-Shil’s happy ending, that is, two lover’s wedding, provided a sort of feeling of resolution that personal problem was finally solved with a possibility that the taboo can be broken step by step. The audience, especially female audience came to the temporary resolution of all problems which developed in slow pace as the story sporadically divulges episodes and got to the climax in a fashion no less than contemporary television soaps does.<br/> Chung-Shil-Hong-Shil stand out as introducing modern types of multi-faced characters, who has no precedence in traditional and premodern family morals and manners. I argue that Chung-Shil-Hong-Shil should be acknowledged as the beginning or a prototype of the modern version of radio and television soap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의 자유 · 언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조항제(Hang-Je Ch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이 글의 목적은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 언론의 자유가 전개되는 과정과 언론학의 동태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한국의 민주화는 위로부터 진행된 보수적 형태로 전개되어 기대만큼 많은 변화를 동반하지 못했다. 정부의 통제로부터는 벗어났지만 시장의 과점화로 언론이 대표하는 이념의 지평은 넓어지지 않았다. 공영제가 유지된 방송의 경우는 비공식적 통제가 사라지지 않아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한 종사원의 자율화 투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언론학은 이념적 다양화와 자율화의 노력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했다. 이의 단적인 예는 노동조합에 대한 관심의 결여이다. 노동조합은 신문에서는 IMF 이후 크게 활동이 위축되었으나 방송의 경우에는 지금까지 자율화와 공정성을 위한 최소한의 보루로 역할 했다. 민주화 이후 한국방송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가 있다면 노동조합을 첫 손에 꼽을 수 있지만 한국 언론학은 이를 외면했다. 정부와의 관계는 정치병행성(신문)과 후견주의(방송)로 분석해 볼 수 있는데, 연구의 경우에는 정치병행성의 특징이 충분히 분석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정치의 논리가 방송을 식민화시킨 방송의 후견주의의 경우에도 언론학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그런 면에서 한국 언론학은 상대적으로 시장의 강자, 기득 권력자에 대한 경계나 비판이 약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ritical review o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ress freedom in Korea and its dynamic relationships with Korean journalism studies. The democratization in Korea, being a top-down conservative one in its form, did not bring about as much change as expected. Even though the Korean press was freed from the government control, the range of ideological spectrum represented by the newspaper was not so much widened because of the oligopoly in the market. In the field of the broadcasting that maintained the public service system, the incessant informal control led to fierce struggles for autonomy by the members of the labor union. However, Korean journalism studies could not fully support those efforts for ideological diversity and autonomy. One vivid example can be seen from the lack of concern about the media labor union. Even though the activity of the newspaper union was weaken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broadcasting un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ruggling for autonomy and fairness. Korean journalism studies totally ignored the media union which seems to be the crucial variable for understanding the broadcasting after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can be analyzed by political parallelism(the newspaper) and clientelism(the broadcasting). Korean journalism studies failed not only to analyze the power relationships of political parallelism but also to fully respond to clientelism in which the logic of politics colonized the broadcasting. All of this shows that Korean journalism studies have been very weak in criticizing the relatively strong forces in the market or the established power block in Korea.

      • KCI등재

        한국방송 초기의 시장 -포퓰리즘과 TBC

        조항제 ( Hang Je Ch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3

        TBC는 한국방송사에서 극단적인 평가가 교차하는 독특한 존재이다. 재벌방송이자 기업집중의 산물이고, 시청률경쟁의 주범이지만, 경쟁에서의 우위, 혁신적 경영, 독특한 포맷의 개발 등으로 경영과 창조성의 측면에서는 기록될만한 가치가 있는 방송이다. 당시 TBC 안에는 정치(유신체제)와 자본(삼성), 시청자(대중) 등의 서로 다른 실체와 논리가 있어 서로 갈등과 공존을 거듭했다. 종말로 치달리고 있었던 체제는 텔레비전을 끊임없이 자신의 도구로 삼으려 했고, 자본 역시 한 편으로는 수익과 재투자 같은 기업의 일반적 행태를 요구하면서도 다른 한 편으로는 모기업의 기수 노릇을 하기 원했다. 시청자들은 텔레비전에 재미와 진실을 요구하기 시작했고, 기대치는 상승곡선을 타고 있었다. 당시 서울은 엄혹한 압제와 온갖 욕망이 탈출구를 찾지 못하는 모순의 도시였으며, 콤플렉스와 엘리트주의의 상반된 얼굴을 가진 TBC와는 전형적인 호몰로지의 관계였다. 생존의 절박성이 바탕에 있으면서 대중의 기호에 대해 민감한 ``시장-포퓰리즘``은 이런 TBC를 설명할 수 있는 전형적인 관점으로 볼 수 있다. The TBC is a unique entity that has received extreme evaluations in the history of Korean broadcasting. On the one hand, it showed several negative aspects as a Big Business-owned broadcasting company, a product of corporate concentration, that led the fierce competition for ratings in the 1970`s in Korea, On the other, it held positive records in terms of management and creativity as reflected in competitive superiority, innovative management, and introduction of unique formats. Inside the TBC in the 1970`s there had been conflict and compromise among the sectors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the politics (the Yu-shin regime), capital (Big Business Samsung), and audiences (citizens), The political section intensified the use of Television as a means for extending the coercive Yu-shin regime, The capital section, while insisting on general corporate objects such as profit maximization and reinvestment, wanted to play as mouthpieces for the mother company, Samsung. The audiences called for entertainment and truth to television and their expectations were growing rapidly. In the 1970`s, the city of Seoul, a contradictory space filled with fierce political oppression and exploding human desires, occupied a homologous location with the TBC, which had two opposite faces of political complex and corporate elitism. As a concept noting both desperate needs for market survival and sensitivity to audience tastes, market-populism can serve as a useful perspective for explaining the TBC.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민주주의의 양가성 : 이론적 탐색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4

        21세기 이후 지난 20여 년간 디지털화는 ‘해방과 지배’, ‘자유와 통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분산화와 독점’, ‘탈중앙화와 플랫폼(집중)화’ 등 극단적으로 상반되는 평가를 받아왔다. 초기에는 장밋빛 낙관론이, 지금은 무차별적 비판이 담론계를 주도하고 있다. 대체로 2010년의 아랍의 봄을 정점으로, 2016년 트럼프와 브렉시트를 분수령으로 희망과 기대가 절망과 비판으로 바뀌지 않았나 한다. 그러나 이는 모두 디지털화가 가진 양가성, 곧 경향과 적대 경향(벡에 따르면, 질서와 위험), 강점과 약점의 필연적 교차를 무시하고 있다. 디지털화는 강점과 약점을 동반하며 당시의 환경에 따라 서로 상쇄되기도 하고, 경쟁해서 어느 한 쪽을 우세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를 어포던스(기술과 사회가 맺는 조건적 가능성)로 정리해 기존의 조건들과 맺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대체로 디지털화는 공급의 확대•제작원의 다변화를 낳지만 수용은 제한•지체된다. 상대적으로 질은 떨어지고 새로운 집중 현상(플랫폼화)이 나타나며 소비를 불평등하게 해 디지털 디바이드를 심화시킨다. 정치적 차원에서는 관점을 다변화시키고 참여의 진작•방법의 다양화를 가져오나 정치적 지식이나 숙의의 질을 높이는 데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연계운동이 새롭게 사회운동을 활성화시키나 나름의 한계 또한 나타난다. 이런 강점과 약점이 맺는 관계는 개인과 사회, 제도(구조)와 행위로 나눈 2×2의 사분면(포괄적 공간)에 비추어 볼 때, 어느 한 분면에 치우치지 않고 전방위적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디지털화가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지는 “매우 조건적이고, 매우 어렵고, 매우 종속적인 것”인 것이 될 수밖에 없다. 대책 역시 강점과 약점을 모두 고려한 “다각적이면서 통합적”인 것이 되어야 새로운 기술의 의의를 살릴 수 있다. Since the 21st century, digitalization has remarkably received contradictory evaluations such as ‘liberation and domination,’ ‘freedom and control,’ ‘utopia and dystopia,’ ‘dispersion and monopoly,’ and ‘decentralization and centralization (platformization).’ Although rosy optimism about digitalization was circulated in the past, excessive criticisms are recently leading digital discourses. It is also noteworthy that ‘hopes’ and ‘expectations’ along with the 2010 Arab Spring have turned into ‘despair’ and ‘criticism’ with issues related to Donald Trump and Brexit in 2016. However, the pessimistic turn ignores the ambivalence of digitalization, namely trends and antagonistic tendencies (also known as order and risk based on Ulich Beck’s notions). We should know that digitalization embrace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t makes either side superior or close in compet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society based on contingent constellation and affordances. At first, this study stresses that digitalization creates the expansion of supply and diversification of producing sources, but it intensifies the digital divide while decreasing the quality of products along with centralization (or platformization) and consumption inequality. In terms of political dimensions, moreover, digitalization supports the diversification of participatory behaviors, but it decreases levels of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deliberation. In a similar sense, new forms of social movements include ambivalent effects in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gitalization can appear in all of the 2×2 matrices that are composed of ambivalent formats [individuals – society and systems (structures) – behaviors]. Therefore, we need to ponder that it is hard to conclude the extent to which digitalization can contribute to democracy because digitalization is “more contingent, more difficult, and more dependent.” We also need to think about “multifaceted and integrated digital policy”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git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