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목월 시의 문체론적 고찰 - 《경상도의 가랑잎》을 중심으로

        조춘희(Jo Chun-Hee)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7 No.-

          This study investigates special quality the stylistics who appear to Park mok-wol"s 《Dead leaves of Kyongsang Province》. First, is forming rhythm through repeat of poetic language, verse, and deepen meaning. Park mok-wol through these literary style poetry thematic emphasize. And can know that is intending behavior which is the autosuggestion by repeatability of aphoristic uniformity words.<BR>  Second, it is example that utilize dialect intentionally in poetic language selection. That this is particular Park mok-wol thematic it a expressing way be. When sing about hometown or poverty, dear people, and life and vigilance of death, is used intentionally. Giving reality of poetic circumstance through practical use of these dialect, is maximizing fidelity the circumstance enemy. In this way, dialect in Park mok-wol poetry has been filling self-consciousness for border of yearning life for origin, and limitedness self-satisfaction solitude that feel in old age.<BR>  Third, it is various the ending termination of a word"s variation. 《Dead leaves of Kyongsang Province》 expresses change branch of Book of Songs direction because there is Park mok-wol"s poetry. A noun style the ending termination of a word who speak for primitive compendiousness and resection beauty diminishes, and the ending termination of a word of Gusuljeok description style is used frequently relatively. This means change of accent soon. That is, that Pyeongseohyeong the ending termination of a word and the ending connection of a word etc. intends poet thematic according to variously appear,<BR>  Stylistics effect of this Park mok-wol"s poetry is borrowed by technique to materialize image, and that get old of usual life and self-examination and solitude that come from realization about death effectively finally. That is, Park mok-wol"s poetry spiritual Etimon soon, thematic there in daily life that is turned round at age of the name of most base and self-examination which come that get old and assent about blind solitude be.<BR>  In this way, investigating Park mok-wol"s 《Dead leaves of Kyongsang Province》, I wished to clear that investigation is enough meaning stylistics in poetry however is insufficient. Nothing but naming that is stylistics is unaccustomed, investigation is already discussed in side that is technique study of poetry the stylistics. That is, according to meaning net of poetic language that study through language does not mean philological technique completely in poetry enough thematic by go forward can. The these stylistics writer"s personality through investigation as is so thematic illuminate can.

      • KCI등재

        『디마프』에 나타난 여성 노인의 정체성 연구

        조춘희 ( Jo Chun-hee ) 배달말학회 2016 배달말 Vol.59 No.-

        고령화는 이미 전지구적 테제로 부상했다. 우리 사회가 추구해온 발전적 프레임과 길항하는 기형적 인구분포는 각종 문제들을 쏟아내고 있다. `낯선 재앙`에 직면한 우리가 할 일은 새롭게 노년 세대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그 연대의 가능성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노희경의 『디어 마이 프렌즈1,2』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 여성 노인으로 살아내기 위한 분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대 드라마는 담론을 생산하는 가장 대중적인 매체이다. 이를 통해 여성노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건으로 첫째 노화와 질병, 둘째 죽음과 고독, 셋째 가족부양과 노부부로 살아내기 마지막으로 사랑과 새로운 공동체의 지향을 꼽았다. 곧 본고는 이들 여성 시니어들의 삶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건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고령사회에 응전하는 한 모색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lready aging has emerged as a global thesis. Abnormal population distribution antagonistic to our society and pursue a progressive frame has pours a wide variety of issues. What can we do, faced with a strange plague has in defining the identity of the old age, and raise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This paper is Noh Hee-kyung 『Dear My Friends』 as the center for the study and to strive for our society to bet live on elderly women. The period drama is the most popular medium to produce discourse. This allows a requirement that constitute the identity of the first elderly woman, living in aging and disease, second death and loneliness, third family support and life of the old couple, chose the last of love and community-oriented. By considering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lives of these women and seniors expected to be seeking to be a response to the aging society.

      • KCI등재

        산업화 시기 대리 노동 양상 연구 ― 박현덕 노동시조를 중심으로

        조춘희(Jo, Chun-hee)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6 No.-

        본 연구는 노동(자)의 문제에 주목한 박현덕의 시조 작품을 중심으로 산업화 시기 대리 노동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오늘의 좌표에서 노동문학을 탐사하는 것은 노동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과 노동이 구성한 주체의 삶을 재조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 예고하는 노동구조의 변화와 이에 따른 인간 정체성에 대한 물음 등에 적실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본체제와 제국 질서의 방조로 추진되었던 이전 시기 산업화의 실상을 성찰해야 한다. 즉 인간의 존엄성을 차등화하고 이를 위계의 잣대로 적용해온 자본 본위의 근현대체제와, 이러한 논리에서 배태한 취약계층의 대리 노동의 문제를 탐색함으로써 인간-노동의 관계를 재사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때 이진경이 논의한 서비스 이코노미로서의 대리 노동 개념을 차용해 문학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현대시조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노동이 갖는 제 의미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2장에서는 근대체제 이후 노동하는 존재로서 조형된 인간 정체성에 대해 탐사하였다. 그리고 3장에서는 박현덕의 시조에 형상된 대리 노동의 실태를 산업 노동자와 성 노동자, 이주 노동자 등의 양상으로 고찰하고, 결론에서는 소략하나마 포스트-노동을 위한 성찰을 전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spects of proxy labor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with a focus on Park Hyeon-deok"s modern sijo works on the problem of labor. Exploring labor literature in today"s circumstances means examining essential questions about labor and the life of the subject constituted by labor. In particular, in order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labor structure predicted und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questions they raise about human identity,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reality of industrialization in the previous period, which was promoted as an aid to the capital system and imperial order.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human-labor relationship can be reconsidered by exploring the problemof the capital-based modern system, which has differentiated human dignity and applied it as a standard of hierarchy, and the problem of proxy labor for the vulnerable class conceived in this logic. Thus, I applied the concept of proxy labor as a service economy as discussed by Jin-Kyung Lee to analyze works of modern sijo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literary studies. To this end, in the introduction, previous research on the meaning of labor is considered, and in Chapter 2, the human identity formed as a working being after the modern systembegan is explored. In Chapter 3, the actual conditions of proxy labor as manifested in Park Hyeon-deok"s ancestors are examined in terms of industrial workers, sex workers, and migrant workers. Finally, in the conclusion, although briefly, reflections on post-labor are developed.

      • KCI등재

        현대시조에 나타난 ‘할머니’ 양상 연구-『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을 중심으로

        조춘희 ( Jo Chun-he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79 No.-

        고령 사회의 도래는 노년 주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담론 마련을 추동 하였다. 이에 본고는 현대시조 장르에 형상화된 노년 주체, 특히 ‘할머니’로 호명되는 여성 주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시조의 장르적 변방성 및 양반 사대부의 문학양식이라는 혐의 등은 할머니 표상을 고착한 원인이기도 하다. 더불어 현대시조 창작자의 한계 역시 이러한 고착을 강화했다고 볼 수 있다. 그간 할머니는 기존 질서를 답습하는 고리타분한 존재일 뿐 아니라 젊은 여성의 적으로까지 간주되어 왔다. 그들은 가족구조 내에서의 남성 권력을 보다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으며, 죽는 순간까지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그 대체재로 기능했다. 이 때문에 스스로의 노화과정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사회로부터 인간으로서의 권리가 박탈당한 유령 같은 존재로 부유하게 되었다. 본고는 1900년대 창작·발간된 시조집 중에서 작가별 선집 형태로 묶인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을 텍스트로, 할머니를 소재나 주제로 다룬 80편을 추출하였다. 다시 이들 작품이 구성하고 있는 할머니 양상을 첫째 개인이 소거된 역사적 희생양으로서의 면모, 둘째 노화와 유한자적 감수성으로서의 면모, 셋째 가부장제 가족 구조에서의 역할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서 할머니는 노년기 남성과 달리 주체적인 현존으로 독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취할 수 있었다. 남성 중심의 시조문학 창작자들을 통해서 대신 말해지고 발견되는 할머니 양상의 한계는 우리 사회에서 그들이 점유한 불공정하고 불평등한 좌표를 시사한다. 자신의 늙음조차 목도할 수 없는, 즉 목소리를 박탈당한 할머니들의 위상에 대해 재고해야 할 때이다. The advent of an aged society has promoted social awareness and discourses on topics of aging.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grandmother that takes shape in the modern-sijo genre. 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modern sijo as the literary style of grandfathers; this is a reason for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grandmother'.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modern fictional creators have also strengthened these beliefs. Meanwhile, grandmothers have been regarded as enemies of young women, in addition to being orderly followers. They have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male power within the family structure. Further, as a mother until her death, the grandmother act as a mother and a substitute, and she becomes passive in her own aging process, becoming ghost-like and being deprived of her human rights i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text of "100 modern sijos in our era", which was bound in the form of an anthology by the author; among the works are poems created and published in the 1900s. We extracted 80 pieces from the anthology that use the image of a grandmother as their material and subject. We then classified the patterns surrounding the grandmothers that were created by these works. First, the grandmother is classified as a historical scapegoat; second, she represents; aging and finite sensibility; and third, her role in the family structure of the patriarchy is highlighted. In this way, we assert that the grandmother can-not understand that she is not read as a subjective existence. The limitations of the grandmother figure that are articulated and discovered when focusing on her rather than looking through the male-centered Sijo literary creators are disturbing. These interpretations suggest that there are unfair and unequal coordinates that grandmothers occupied in our society. It is time to reconsider the status of grandmothers who are so deprived of their voices that they can-not even confront their old age.

      • KCI등재

        조지훈 초기시의 혼재 양상 연구

        조춘희 ( Chun Hee J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본고는 1930∼40년대 조지훈의 시적 성취에 함의된 다양한 스펙트럼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지훈은 민족주의적 전통론자로서, 서정적 감수성을 표현하는 시적 순수와 지식인으로서의 염결성을 추구하였다. 그의 시는 전통서정시에 부합하는 시편들이 주조를 이루지만, 알려진 것처럼 전후에는 사회성 짙은 묵직한 주제를 담은 시편들을 발표하였다. 우선 문학사에서 배제되어 왔던 서구적 감수성이 표출된 습작기 시편을 통해서 급변하는 근대기를 적극적으로 수용했음을 포착할 수 있다. 더불어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갈등과 분열의 자의식이 형상화된 작품군 역시 조지훈 시의 자장을 확장하는데 일조한다. 다음으로 고전적 미의식과 한국적 자연미학이 극대화된 등단기의 작품들이다. 조지훈은 지식인이자 시인으로서의 사회적 책무에 스스로를 엄격하게 담금질했던 인물이다. 때문에 당대 시 경향의 급변은 식민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분투이자, 시인 내면의 시적 표현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열망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시인은 변화하는 삶의 자장과 환경 속에서 분투하는 존재이기에, 그 시적 정체성의 규정은 다양한 층위를 두루 고찰함으로써 심도 있게 진행해야 한다. Jo Ji-hun, who was an ethnic traditionist, sought after the poetic innocence representing lyric sentiments and the intellectual’s modesty. His poetic achievements, however, imply a significant variety of aspects in addition to this spectrum during the 1930’s and the 1940’s. Above all, it can be captured that he positively accepted the rapid changes in modern times, writing the draft verses representing westernized emotions which had been ex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esides, his works that were inspired by the conflicts and split self-awareness as a colonial intellectual led to the wider spectrum of his poetry. Next, classic sense of beauty and korean aesthetics of nature have dramatically been depicted in the early works since his literary debut. He was a man strictly hardening himself for a social duty as an intellectual and poet. As the result, the speedily changing trend of poetry at that time could be the outcome of struggling to get out of the colonial situation actively. Likewise, as a poet is a human being making efforts in the altering lives and circumstances, the decision of a poetic identity should profoundly be made through the studies at the various levels.

      • KCI등재

        전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 연구 - 이호우,이영도를 중심으로 -

        조춘희 ( Chun Hee Jo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전후 현실은 전쟁의 잠정적 종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시`` 논의되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국가담론과 문학의 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전후 시조문학의 현실인식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이호우와 이영도의 시조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전후를 사유하는 시조의 정신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들 시조의 특성을 전체 시조로 환원할 수는 없지만, 현대시조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 한다. 먼저 이호우의 경우, 전통적 서정의 감각을 형상화하는 작품을 통해서 시인의 자의식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강한 저항의 언어로 표출되는 비판의식의 시편을 통해서 전후 상황을 조망하고 부조리를 타개하려는 지사적인 면모를 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영도의 작품은 가족담론을 체화한 그리움의 정서를 표출한다. 이상적 가족을 그리워하는 행위는 국가를 재건하려는 열망으로 이어진다. 또 전후적 현실감각과 역사의식이 형상화된 시편을 통해서 강한 비판적 어조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들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는 시적 자율성과 시의 사회적 책무를 두루 갖추었다는 데 있다. 그렇기에 이들의 작품을 고찰한 본 논의를 통해서 전후 현대시조의 역할과 그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war the reality is that despite the potential end of the war, still have to be discussed again in the war/armistice situation. In this study, recognizes the reality of sijo literature aspects purpose to consider. In terms of the national discourse and literature, should you wish to explore the sijo-literature of the post-war. In particular, Lee ho-woo and Lee yeong-do as the poet of the brother and sister, sijo-literary world is a unique position in points. By analyzing the work of the spirit of sijo, the reason for per, you will be able to catch a glimpse. First in the case of Lee ho-woo, traditionally lyricism defined of the sense, through the work of the poet``s consciousness can navigate. And the strong criticism expressed in the language of resistance consciousness through the sijo of the post-war situation, trying to break out of the absurdity, and vista, private side. Next, Lee yeong-do``s work is a longing for family discourse embodied every emotion of it all. Ideal for families who want to rebuild a nation eager to miss act. The masculine tone and also the expression of critical history again. Lee ho-woo and Lee yeong-do``s sijo of Arts of the enemy is a poetic autonomy and social responsibility. That``s why their work is responsible for overseeing the post-war sijo: by looking at the possibility that there will be tangible.

      • KCI등재

        탈북난민과 증언으로서의 서정 - 탈북시인 백이무 시를 중심으로 -

        조춘희 ( Jo Chun-hee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인류의 역사는 이주사이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만 놓고 보더라도 식민지 국권피탈로 인해 추방·박탈된 무국적자를 양산했으며, 한국전쟁기에는 피난민의 형상으로, 60년대 이후에는 노동이주의 양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인류 공동의 의제로 부상한 난민문제는 이주사에 대한 재고찰을 요청한다. 특히 탈북민은 한국형 난민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영토로부터 스스로를 추방한 탈북난민들의 월경은 폭력을 일상화한 독재 정권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의 발로라기보다 생존을 위해 촉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대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이방인으로서의 탈북난민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증언의 형식으로 발화되는 탈북시의 주제 양상을 탈북시인 백이무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가 백이무 시인에 주목하는 이유는, 첫째 작가가 처한 지정학에 있다. 그는 탈북했지만, 제3국에서 이름을 숨긴 채 살아가는 자기-은폐의 양상을 띤다. 둘째, 그의 문학 활동은 국적성 문학의 좌표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의 시쓰기는 북한의 비참한 실상을 고발하고 그 실태를 전세계에 알리는 데 목적이 있다. 이때 국적성 문학의 외부를 부유·점유하는 그의 시쓰기는 되레 국적성 문학을 해체함으로써 그 저변을 확장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된다. 셋째, 서정장르에 대한 의문으로, 증언의 양식으로 재현될 수밖에 없는 불가피성에 대한 논의이다. 백이무 시인은 두 권의 시집을 통해서, 즉 첫 번째 시집에서는 꽃제비들의 핍진한 생활을 묘파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기아실태를 폭로하며, 두 번째 시집에서는 수용소의 반인권적인 폭력상황 등을 고발한다. 그의 시의 주제 양상은 인간성 상실과 인간 존엄의 해체, 생존자의 죄책감과 삶에의 좌절·절망감 등으로 집약된다. 이러한 시적 발화 및 형상화는 북한의 실정을 예리하게 적시하고 있다. 끝으로 백이무 시의 남은 과제는 첫째, 경험에 토대를 둔 주제의 유형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이다. 둘째, 시적 구성 원리나 미학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셋째, 시 창작의 지속성 및 발표지면의 확장이 필요하다. 넷째, 도식화된 남한 예찬이나 북한 체제에 대한 고발을 넘어서 무국적자로서의 또 다른 경험세계에 대한 확장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이방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시적 형상 역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The history of human beings is immigrant. The refugee issue, which emerged on the agenda of the common humanity,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f migrants. Especially, the refugees are Korean refugees. Self-deprivation through defection has been driven by the uneventful circumstances for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fugee refugees as Gentiles and the thematic aspect of the defection of North Korea, focusing on the works of Baek i-mu. However, in the third country, the name of the concealment of hiding the name is hidden. Second, his literary activities question the coordinates of nationality literature. His poetry is aimed at accusing North Korea of the miserable facts and informing the world of the situation. Third, it is a question about the genre. It is a discussion of the inevitability that must be reproduced in the form of testimony. The main theme of Baek i-mu is to depict the lonely life of the beggar. Secondly, they are accusing the abusive violence of the camps. This poetic utterance and shaping sharpens the reality of North Korea. Finally, the remaining tasks of Baek i-mu’ poem are: First, how to overcome the typ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subject. Second, reflection on poetic composition or aesthetics is required. Third, the continuity of the creation of the city and the expansion of the presentation space are necessary. Fourth, there is a need for expansion of another world of experience as a stateless person. Especially, it should be able to form a sensitivity as a woman-a stra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