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 자료를 통해 본 조선의 원예 문화

        조창록 ( Chang Roc Jo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6

        화훼는 오랜 옛날부터 제수용 과실, 건물의 조경 등 실용적 필요성과 함께 문학의 소재로 애호를 받아왔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매화, 국화, 난초, 소나무, 대나무 등을 소재로 다수의 시문(詩文)과 서화(書畵)를 남겼고, 때로는 개인적 취향에 따라 전문적인 화훼서(花卉書)를 저술하거나 화원기(花園記) 등을 쓰기도 하였다. 특히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에는 문인지식층 사이에서 원예취미가 확산되면서 화원을 가꾸는 풍속이 성행하였는데, 유행이라고 할 만큼 많은 인물들이 화훼를 애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는 왕실의 원림(園林)을 관리하던 장원서(掌苑署) 기록들과 조선 시대를 통틀어 민간에서 쓰여진 전문 화훼서를 일별해서 살펴봄으로써, 궁중의 화초에 대한 인식과 민간의 원예 지식이 어떻게 변모해 나가는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료(史料)에 나오는 장원서 관련 내용들을 보면, 조선의 궁실에서는 일찍부터 온실을 운영하였으며,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등의 재배 기술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군주가 화초를 애호하는 일은 자칫 완물상지에 빠질 수 있다는 점, 또 백성들을 수고롭게 한다는 점, 꽃을 빨리 피게 하는 것은 천지의 조화를 거스르는 것이라는 점에서 꺼려야할 일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민간 화훼서의 경우, 박흥생의 『촬요신서』에 나오는 13종의 화목에서 장지연의 『위원화원지』까지 꽃의 품종은 지속적으로 늘어나서 약 160종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화목은 초·목을 구분하거나 꽃이 피느냐 안 피느냐를 구분하지 않고, 花卉라는 이름으로 함께 애호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선의 화훼 문화는 본래적으로 관물성신(觀物省身), 지지의성(知至意誠)의 차원에서 자연의 조화를 깨닫고 인간의 덕성을 돌이키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꽃은 물론 괴석이나 화분의 배치 등도 원예 문화에 포함된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오면 점차 이러한 인식이 옅어지고, 최화법(催花法)과 환화법(幻花法) 등 인공이 하늘의 조화를 빼앗거나 변환시키는 재배 기술이 긍정적으로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loriculture had been loved as the material of literature for a long time. Intellectuals of Joseon had made many poetry and paintings about apricot, chrysanthemum, orchid, pine, bamboo and so on. Sometimes, they wrote professional floriculture books or flower garden accounts. Especially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many literary persons enjoyed gardening as a hobby, so floriculture had been almost in vogue. This article examined professional floriculture books which were read among people and records about Jangweonseo (掌苑署) that managed the gardens and forests of royal family to understand how the court`s recognition on flower and the floriculture knowledge of people had changed.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contents discussed in this article. From the historical material about Jangweonseo, it was found that Joseon`s court early had operated greenhouses and knew how to control the bloom time but the court took floriculture as something to avoid because loving flower too much could make rulers pay little attention to their own tasks and make people painful and making flower bloom early went against the harmony of nature. Civil floriculture books stretched their contents from thirteen kinds of flowers from 『Chwalyosinseo』 (撮要新書) to the species of 『Wiwonhwaweonji』 (韋庵花園志), amounting to 160 or more species. Those species were called just ``hwahwe``, not divided into plants and trees, or bloomimg or non-blooming. The floriculture of Joseon originally was subject to realizing the harmony of nature and returning to human virtue, so bizarre stones and flowerpot arrangement were also the part of floriculture. However, in the late Joseon, such understanding had thinned and artificial culturing techniques, which could change the blooming time and flowers` color intentionally, had developed by personal tastes and industrial needs.

      • KCI등재
      • KCI등재

        기획주제: 여행의 역사 -여행과 한문학1 : 徐命膺(서명응)과 趙嚴(조엄), 두 실학자의 백두산기행 - 「遊白頭山記(유백두산기)」

        조창록 ( Chang Roc Jo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9

        서명응과 조엄은 1766년 6월에 조선의 북쪽 변방, 현재 중국과의 국경선이 되는 백두산에 함께 올랐다. 그리고 이 산행의 동기와 일정, 행적과 감회를 적어 「유백두산기」라는 기행문을 남겼다. 또 서명응은 이 글과는 별도로 한시를 남겨 백두산 기행의 감동을 전하고 있다. 본고는 그 내용과 관련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두 사람의 백두산 기행과 「유백두산기」의 의의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두 사람은 같은 사안으로 인해 북쪽 변방으로 유배를 갔고, 이 과정에서 의기투합하여 함께 백두산을 오르기로 하였다. 그리고 백두산의 정상에 올라서 그곳에 세워져 있던 백두산정계비(1712년 청과 조선의 국경선을 확정하여 기록한 비석)를 살펴보았다. 이 대목에서는 백두산에 국경선이 그어지게 된 경위를 자세히 기록하고, 그 과정에서 조선이 잃어버린 땅에 대한 아쉬움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또 두 사람은 백두산을 등반하는 도중에 3군데 지점에서 북극고도(위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조선의 자연지리적 환경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상을 보면, 「유백두산기」는 당시 조선인들의 영토 인식과 자연 지식을 잘 보여주는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북극고도 측정이라는 과제는 이후 서명응의 아들과 손자, 일부 학자들에게 계승되어 지속적으로 시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두 사람의 백두산 기행은 단순히 자국의 영토를 미적 대상으로 탐색하는데 그치지 않고, 국토의 자연지리적 환경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그 지식을 국가 경영과 농업 현장에 반영하려는 행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June of 1766, Seo Myeong-eung (徐命膺) and Jo Eom (趙嚴) climbed together Bakdu Mt. in northern Joseon, present Korea-Sino border. They wrote travel essasy 「Yubakdusangi (遊白頭山記)」 recording the motives, schedules, activities and emotions of the climbing. Seo left the impression of that travel also in his other poem. This paper examined 「Yubakdusangi」 and related material to find out the meaning of two scholars`` Bakdu Mt. travel and the essay. Two men were banished to the northen frontier by same issue and decided to climb Bakdu Mt. from mutual understanding. On the top of the mountain, they considered border-fixing monument that was set in 1712 to fix the Joseon-Qing border. In that passage, they recorded how the border was fixed and expressed deep frustration for the land Joseon lost in the border fixing. Also, they measured latitudes at three points during the climbing to understand the physiographic environment of Joseon by regional groups. 「Yubakdusangi」 can be the record that shows well the territorial perception and natural knowledge of Joseon peoples in those day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latitude were measured consistently in the later generations by Seo‘s son and grandson and other scholars. In that point, two men``s mountain travel was not a simple aesthetic search on domestic territory, but was an activity to understand the physiographic environment of nation``s territory and reflect such knowledge in national management.

      • KCI등재

        朝鮮朝 漢詩 敎育의 實際와『百聯抄解』

        조창록(Jo Chang-Roc)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1 No.-

        『BakRyun ChoHae』is a collected book consisted of 99 poems with verses of mutual opposites, which was a typical text for making Chinese poems best used in Joson period. Reading through this book one could learn how to write the modern style of poems called GeonChae form of the different tones, opposite rhymes, and the general rhymes through seven characters in each poem. Especially by this book the elementary students could easily recite the way of making poems. From this point『BakRyun ChoHae』must be evidently considered as a practically educational text to understand the style how Chinese poems were learned in the Joson period. In this article I will study through the text how the Chinese poems were learned and wha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xt was at that time.『BakRyun ChoHae』, which was annotated and edited in a form of Pilamsewon version by Haseo Kim Inhoo(1510~1560), is surely an outstanding book, because the educational way to learn the poems is very easy and simple through the short form of verses written since Song dynasty in China. I also confirmed that the real merit of this book is still available for us to learn the Chinese poems in the present time. 『百聯抄解』는 對를 맞춘 詩句 99聯을 모아놓은 것으로, 조선조에 가장 많이 통용되었던 대표적인 한시 교재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특징은 7언으로 된 聯句을 통해 平仄ㆍ對偶ㆍ押韻과 같은 근체시의 창작 방법을 익히도록 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初學 아동들이 여기에 실린 련구들을 익숙히 암송함으로써 작시 기법들을 익혀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백련초해』는 조선조 한시 교육의 실제와 作詩의 주요 기법들을 이해하는데, 요긴한 교재라고 생각된다. 본고는 河西 金麟厚(1510~1560) 언해로 알려진 '筆巖書院本'『백련초해』를 대상으로, 련구 학습을 통한 작시 교육의 실제와 平仄ㆍ對偶ㆍ押韻등의 학습 문제에 대해 고찰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백련초해』가 지니는 한시 교재로서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일견 복잡해 보이는 근체시 창작의 기법들이 련구라는 짧으면서도 전통적인 작시 방식을 통해 요령있게 학습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백련초해』가 지니는 이러한 장점은 단순히 작시 기법을 익히는데 머무를 뿐 아니라, 오늘날 한시를 이해하고 교육하는데도 일정한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김려의 『우해이어보』 와 『자산어보』 ・「전어지」의 비교 연구

        조창록(Jo Chang roc)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7 No.-

        본고는 19세기 전반에 연이어 나온 3종 어보인 우해이어보 , 자산어보 , 「전어지」를 대상으로 그 친연성 혹은 계승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왕의 연구에서는 특히 3종 어보의 수록 어종에 대한 비교와 자산어보 와 「전어지」의 계승 관계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우선 2장에서는 쥐노래미와 청어에 대한 3종 어보 의 서술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우해이어보 는 자산어보 나 「전어지」에 비해 어종의 신기함에 주목한 흥미위주의 서술로 특히 어렵 현장을 묘사하는 데는 뛰어나지만 어종의 활용 가치에 대한 인식, 문헌 고증이나 이용 후생의 방면에서는 뒤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3장에서는 홍어와 고래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자산어보 와 「전어지」 사이의 계승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나타난 어종의 정체 파악, 표기 방식, 배열 순서, 서술 내용, 인용 서적 등의 차이를 종합해볼 때, 우해이어보 에서 자산어보 로, 혹은 우해이어보 에서 「전어지」로 이어지는 3종 어보 간의 친연성이나 계승 관계를 말할 만한 것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자산어보 에서는 쥐노래미와 상어를 ‘鱗類’로 분류하고 가오리와 홍어를 구분하지 못하는 등 「전어지」에 비해 오류가 많이 보인다. 이러한 점은 특히 임원경제지 의 「관휴지」 ‘靑角菜’ 항목에서 자산어보 를 인용하고 있는 사실을 감안해 보면, 상당히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or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fferent atlas of fish, Uhaeieobo 牛海異魚譜, Jasanobo 玆山魚譜 and 「Jeoneoji」 佃漁志, written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this regard, prior research especially lacked the study of the comparison among the same kinds of fis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asanobo and 「Jeoneoji」. In this respect, chapter two compares the description of Greenling and Herring by three kinds of atlas. As a result, Uhaeieobo excelled in describing scenes of fishing for the sake of arousing the interest, compared with Jasanobo and 「Jeoneoji」. However, it turned out to be behind in the aspect of the valuation of fish and historical research of literature. Next, chapter three discussed the succession between Jasanobo and 「Jeoneoji」,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whales and skates. To sum up all the differences mentioned,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of fish species, the transcriptional method, order of arrangement, contents of description, and reference books, there seems to be no meaningful similarities or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fferent atlas of fish, Uhaeieobo , Jasanobo and 「Jeoneoji」, which are connected from Uhaeieobo to Jasanobo , or from Uhaeieobo to 「Jeoneoji」.

      • KCI등재

        전식(全湜)의 「차행록(차行錄)」과 해로 사행의 체험시

        조창록 ( Chang Roc Jo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6

        全湜은 1563년에 태어나 1642년에 생을 마친 인물로, 1625년 조선에서 명으로 사신을 다녀왔다. 이 사행의 견문과 사건들을 기록한 것이 「차行錄」이며, 이것은 현재 그의 문집인 『沙西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또 이와는 별도로 이 사행의 체험을 읊은 시들이 『沙西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기의 사행은 요동 지역을 장악한 淸을 피해 해로를 통해 명의 수도인 북경을 다녀오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사행원이 익사하거나 사행선이 침몰하는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하곤 하였다. 전식의 일행 역시 가는 길에 일행 중 한 명이 급사하였으며, 돌아오는 길에는 사행선 4척 중 1척이 침몰하여 배에 타고 있던 40명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를 겪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후대의 육로 사행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체험들로, 당시로서는 거의 미지의 세계였던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 사행록은 배가 침몰한 기록으로는 예가 드문 것이다. 본고는 이런 점에 주목하여, 해로에서 있었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차行錄」의 기록과 『沙西集』의 시를 연관지어 살펴본 것이다. Jeon Sik(全湜) was born in 1563 and died in 1642. He had been to Ming as Joseon`s envoy in 1625. 「Sa·haeng·rok(차行錄)」, contained in his work collection 『Sa·seo·jip(沙西集)』 vol. 5, is the record of incidents and experiences in that envoy trip. In addition, experiential poems on the envoy trip are included in the volume 1 of 『Sa·seo·jip』. The envoy trips of that time were the seaway trips to Beijing, the capital of Ming Dynasty, escaping Qing who seized East Liao(遼東) region. In those trips, several incidents had happened. Staffs drowned and envoy ships sunk in the incidents. The party of Jeon Sik also died suddenly on the way to Beijing and they could narrowly anchored the envoy ship without being sunk by storm. On the return trip, unfortunately, one ship from four envoy ships sunk and all of forty men on board died. These incidents were the experiences which could barely be found in the later overland envoy trip. To that extent, seaway trip were such a strange and dangerous experience at that time. This article, giving attention to that point, examined the record of 「Sa·haeng·rok(차行錄)」 in line with the poems of 『Sa·seo·jip(沙西集)』 centering on the incidents on the sea route.

      • KCI등재

        <기획논문>: 조선시대 사행(使行)과 사행 문화 : 1632년의 해로사행과 홍호(洪鎬)의 「조천일기(朝天日記)」

        조창록 ( Chang Roc Jo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본고는 1632년 홍호가 바다를 경유하여 조선에서 명나라를 다녀온 기록인 .조천일기.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우선 Ⅱ장에서는 홍호의 행적과 해로사행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천일기.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홍호는 평소 해양 방위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 사행에서는 특히 영원에서 북경에 이르는 성벽과 방어 체계를 유심히 살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조천일기.의 일부 일정이 결락되어 있는 이유는 명과 청이 교전 중인 상황에서 북경 방어의 주요 정보가 되는 기록들을 고의로 삭제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보았다. 다음 Ⅲ장에서는 발해만 도서 연안에 관한 기록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발해만의 여러 섬들에 대한 지리, 생태적 정보들을 자세히 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록들은 17세기 해로 사행의 기록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것이며, 이 지역 도서와 연안에 관한 문헌 기록이 별로 없는 상황에서 상당히 가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어지는 Ⅳ장에서는 해양 체험의 기록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조천일기.의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여기서는 홍호가 석다산에서 출발하여 각화도에 정박하기까지 약 50일간의 다양한 항해 체험을 살펴보았는데, 구사일생의 다양한 체험들, 여러 군상들의 활약상, 다른 사행선들의 동태 등이 여실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홍호의 .조천일기.는 육로 연행록의 상투적 국면을 벗어난 해로 사행록의 가치, 그리고 사상사적 의미와는 다른 차원에서 여행이 주는 흥미와 감동을 전해주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features and values of the 『Jocheonilgi』, an envoy trip record by HongHo who visited Ming(明) from Joseon(朝鮮) in 1632 via the sea route.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Jocheonilgi』 may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it provides plentiful information about the islands of the Gulf of Pohai, which is especially worthy of notice amongst seaway envoy trips in the 17th century, in definite shortage of literature data in the area. Secondly, the 50-day sailing experience from Sukdasan(石多山) of Joseon to Jiaohua island(覺 華島) of Ming was treated with considerable detail. It is appreciated that it delivers a particular value on the Yeonhaengnok(燕行錄) by the sea route in contrast to the usual land route, and give a personal interest and excitement to the envoy trip in other aspects than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

        1636년의 해로 사행과 이만영(李晩榮)의 『숭정병자조천록(崇禎丙子朝天錄)』

        조창록 ( Chang Roc Jo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7

        1636년은 조선이 淸의 침공을 받아 항복한, 이른바 병자호란이 일어났던 해이다. 또 중국에서는 산해관 인근에서 明ㆍ淸 간의 交戰이 있었다. 李晩映은 1636년에서 1637년 사이 이 역사적 사건들을 사행길에서 경험하였다. 그때의 기록이 『숭정병자조천록』이다. 이 사행의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청이 요동 지역을 장악한 상태에서 해로를 통해 북경을 다녀온 것이며, 둘째 조선이 청에게 항복함으로써 명나라에 보낸 마지막 사행이 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이 사행의 기록으로 金堉이 쓴 『朝京日錄』과 『朝天錄』이 있다. 본고는 이 점을 감안하면서 『숭정병자조천록』에 보이는 몇 가지 의미있는 기록들을 고찰해본 것이다. 그 내용은 첫째, 해로 사행에 대한 당대인의 인식과 관련된 것이다. 당시 이 해로에는 사행선이 침몰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였고 대다수의 관리들이 사행에 선발되는 것을 기피하였다. 그 반면 해로 무역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상인 자본을 밑천으로 사신에게 뇌물을 제공하여 사행에 참여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경일록』을 비롯한 다른 자료와는 별도로 각종 정보와 역사적 사건들을 전해주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明·淸 간의 교전 상황과 병자호란을 전후한 외교활동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들인데, 본고는 특히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였다. 1636 was the year of Byeongㆍjaㆍhoㆍran(丙子胡亂) by which Qing invaded Joseon and Joseon surrendered to Qing. Battle between Ming and Qing occurred near Shanㆍhaiㆍguan(山海關) also in 1636. Lee Man Yeong(李晩榮) had experienced these historical events during his envoy trip from 1636 to 1637. The record of that envoy trip is 『Sungㆍjeongㆍbyeongㆍjaㆍjoㆍcheonㆍrok(崇禎丙子朝天錄)』.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envoy trip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 seaway envoy trip to Beijing under Qing`s control of East Liao(遼東) region. Second, it became the last envoy trip to Ming due to Joseon`s surrender to Qing. Now, there are two records of this envoy trip; 『Joㆍgyeongㆍilㆍrok(朝京日錄)』 and 『Joㆍcheonㆍrok(朝天錄)』 written by Kim Yuk(金堉). Considering these, this article examined some significant contents contained in 『Sungㆍjeongㆍbyeongㆍjaㆍjoㆍcheonㆍrok』. First, this article examined the selection of delegation and its trip route. It was found that envoy ships had often sunk in the route and most officials evaded being selected for the envoy while some people tried to participate in the envoy, even giving some bribe, to get profit from the seaway trade. Second, 『Sungㆍjeongㆍbyeongㆍjaㆍjoㆍcheonㆍrok』 contains rare information and historic facts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materials, such as the situations of Ming vs. Qing battle and diplomatic activities around Byeongㆍjaㆍhoㆍran. This article paid attention especially to these points. chief researcher of Daedong Institude in Sungkyunkwan University/

      • KCI등재

        『자산어보』 원편(原編)과 이청의 재편집에 대한 고찰

        조창록 ( Jo Chang-roc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자산어보』는 원래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에 저술한 것으로, 총 226종의 해양 생물이 수록되어 있다. 한편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이 책은 정약전이 원편(原編)을 저술하고 여기에 이청이 증보 혹은 재편집을 하여 완성된 공동저술로 파악되고 있다. 그 실제를 보면, 이청은 정약전이 기술한 『자산어보』에 자신의 안(案)을 추가하거나 새로운 어종 혹은 해양생물을 추가하여 보입(補入)하는 방식으로 『자산어보』를 재편집하였다. 본고는 이 점에 유의하여 『자산어보』의 내용과 기술방식을 살펴보고, 어디까지가 정약전이 저술한 원편이며 또 어느 부분을 이청이 증보 혹은 재편집하였는가 하는 점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견문한 내용, 『자산어보』의 저술 동기, 편찬 과정, 의의와 가치 등을 논하는데 있어서 먼저 확인해야 할 사안이며, 향후 『자산어보』와 정약전, 그리고 이청 등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도 기초가 되는 작업이라고 여겨진다. 그 결과를 보면, 이청은 정약전의 원편 중에서 인어(人魚) 등 총 70항목에 안을 추가하였고 경어(鯨魚) 등 16종을 새로 보입하였는데, 특히 인어는 『자산어보』전체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항목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案)과 보(補)의 기술내용은 대부분 국내외 문헌을 통한 고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정약전이 저술한 원편에는 따로 안이나 보를 단 것이 없었으며, 문헌 고증이 전혀 없이 본인의 기억에 장덕순의 자문과 현지 견문을 통해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Jasaneobo is written by Jeongrakjjeon, during the years of exile in Heuksando, which contains 226 species of marine life. According to a recent study, however, the book is considered to be co-written by Jeongrakjjeon and Yi-cheong; the former wrote the original version and the latter newly edited the book. This paper, keeping this point in mind, carefully examined the content and the method of description of Jasaneobo, and distinguised which parts are originally written by Jeongrakjjeon and which parts are newly edited by Yi-cheong. As a result, Yi-cheong added explanations to 70 categories on the original version by Jeongrakjjeon, which often exceeded the original version in quantity. Yi-cheong also added 16 species of marine life. Among them, mermaid make up the largest part of the whole book. The contents are mainly explanations by references from both home and abroad. On the contrary, the original version has no explanation by references, relying on his memory, knowledge and personal experi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