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闢衛新編 評語〉를 통해 본 ?齋 朴珪壽의 천주교 인식과 대응론

        조지형(Cho Jihyoung)(趙志衡) 인천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1 누리와 말씀 Vol.- No.29

        윤종의(尹宗儀)의 『벽위신편(闢衛新編)』은 ‘척사론(斥邪論)’과 ‘해방론(海防論)’의 두 축을 근간으로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서양 세력의 침입을 막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의 반영물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편찬물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당시 서양 세력의 침입과 천주교의 확산이라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중국과 조선 지식인들의 지적 고민이 망라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박규수(朴珪壽)의 〈벽위신편 평어(闢衛新編評語)〉는 『벽위신편』에 대한 평어(評語)이자 발문(跋文)의 성격을 지닌 글이며, 해방론 쪽으로 치우친 『벽위신편』에 자신의 척사론을 덧붙여 척사론과 해방론의 두 축을 균형감 있게 보완하려는 성격의 글이다. 아울러 천주교에 대한 억압과 탄압만으로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는 데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점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이에 자신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 논설이기도 하다. 본고는 〈벽위신편 평어〉가 이렇듯 본래 천주교에 관한 척사론의 입장을 담고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기왕의 선행 연구에서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의 측면에 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선행 연구 성과를 충실하게 수용하는 가운데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박규수의 천주교에 대한 인식과 대응 방식에 논하였다. 〈벽위신편 평어〉에 나타난 천주교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은 크게 5가지로 나타난다. ① ‘천(天)’ · ‘천주(天主)’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② ‘서학중국원류설(西學中國源流說)’의 긍정과 동도(東道)에 대한 우월의식, ③ ‘천주강생설(天主降生說)’에 대한 비판, ④ 교파(敎派) 분열의 실상 고발, ⑤ 천주교의 침략성과 포교(布敎) 의도 대한 비판. 이 가운데 ④와 ⑤는 기독교의 교파 분열 상황과 서양의 역사적인 사실을 들어 천주교를 비판한 방식으로 다른 척사론자들에게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박규수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고 천주교도들을 회유하기 위해 천주교 관련 서적에 대한 연구를 통한 비판 방법을 제기하였다. 박규수의 이러한 천주교 대응 방식은 유학(儒學)의 우월성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억압과 탄압 방식으로는 천주교 확산을 저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명확하게 깨닫고 있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식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던 것이라 하겠다. 尹宗?的《??新?》以“斥邪?”?“海防?”?理?核心,?述了在“西???”的情?下“如何阻止西方的入侵”?一??。?不能??地定性??人作品,可以??反映了??中朝知?分子?共同面?“西方?家的入侵及天主?的?散”?一危机而?生的普遍疑?。 朴珪?的〈??新???〉?是?《??新?》的??,又是具有跋文性?的文章。同?,??在偏重于海防?的《??新?》中附加自己的斥邪?,意在平衡“斥邪?”?“海防?”???理?核心的比重。而且,著者提出“?依?抑制和打?天主?的措施,?根本上阻止天主?的?散是有局限性的”?一??,??此?述了自己??行之有效的??方案。 在〈??新???〉中,?管包含了?天主?的“斥邪?”的立?,而在以往的硏究中未能?著者“?天主?的?????方案”的角度上?行深度硏究。基于?一点,?者在充分收容先行硏究成果的前提下,探?了在〈??新???〉中出?的朴珪??天主?的?????方式。 〈??新???〉中出?的?天主?的批判,主要分以下五点:①、?天主?使用“天”、“天主”等??的批判;②、?“西?中?源流?”的肯定??方儒?的?越意?;③、?“天主降生?”的批判;④、揭露?派分裂?情;⑤、?天主?的侵略性???企?的批判。其中,④、⑤是通?例?基督?的?派分裂情??西方的?史事??天主??行批判的,?是在其他“斥邪?”?者的??中?不到的一??新的方式。最后,朴珪?以阻止天主?的?散、??天主?徒?目的,提出了通?硏究天主?相??籍而?行批判的方法。朴珪?的?一?天主?的??源自著者他本人??方儒??越性的自信。而且,他??楚地??到用?迫???的方式在阻止天主??散方面具有局限性?一点,?而探索了上文所述的解?方案。

      • KCI등재

        특집(特輯)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아프리카; 비교사적 검토

        조지형 ( Ji Hyung Cho ) 이화사학연구소 2012 梨花史學硏究 Vol.0 No.45

        It is to study Africa in the Kangnido by comparing it with the other world maps in Afro-Eurasia. It examines the circumnavigability of Africa in Herodotus`` Histories, Ptolemy``s reconstructed world map, al-Biruni``s geographical writings, Niccolo de Conti``s travels, and Gavin Menzies`` 1421. And it argues that the big lake in Africa in the Kangnido seems to be related the trade of gold held by Islamic traders. Al-Idrisi and Islamic geographers paid attention to "Wangara" in his world map because Wangara is the Niger delta where gold trade took place. This paper argues that "桑骨八" inscribed in the left side of the lake in Kangnido refers to the black people``s region rather than Zanzibar. It also says that the mountains of the moon can refer to different places although it looks similar in various world maps in that the mountains of the moon depicts the origins of the Nile. The Nile in the Kangnido goes to the Red Sea rather than the Mediterranean Sea. The course of the Nile refers to Wadi Hammamat rather than the Canal of the Pharaohs, since the canal was closed in mid-eighth century but Wadi Hammamat was prosperous even in the fourteenth centu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麗末 鮮初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과 그 의미

        조지형 ( Cho Ji-hyoung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본고는 여말 선초 귀화인들의 시조 창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말 선초는 시조의 형성기로서 역사 전환기의 주체였던 신흥사대부들이 그 담당층이었다. 이 같은 국면에서 귀화인들 역시 시조를 창작하여 자신들의 정치적인 입장 및 지향을 시조를 통해 드러내었다. 우리말에 서툴 수밖에 없던 귀화인들이 우리 고유의 노래 형식인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것은 매우 특기할 만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심양 출신으로 공민왕을 호종하며 귀화한 변안열은 역성혁명의 기로에서 <불굴가>를 지어 무장으로서의 굳건한 충절을 드러내었다. 위구르 출신으로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로 귀화한 설장수는 대명외교를 전담하는 사신으로 활약하며 정치적 부침 속에서 <신언가>를 지어 언행 처신에 조심할 것을 경계하였다. 여진 출신으로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왕족의 반열에까지 오른 이지란은 조선 건국 후 왕자의 난이 지속되는 국면에서 왕위의 향방과 조선의 운명에 대한 염려 섞인 걱정을 <축록가>를 통해 드러내었다. 이처럼 여말 선초에 귀화인을 포함하여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의 인물들이 한시와 더불어 시조를 창작하였다는 점은 여말 선초 사대부들의 문학장 안에서 시조가 중요한 문학적 행위의 일환으로 인식되었으며 작가로서 일종의 긍지를 가질 만한 성격의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시조 창작의 개방성은 이미 형성기부터 마련되어 있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reation of Sijo by naturalized poe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the formation of Sijo, where Shinheung-Sadaebu was the main creative class of Sijo. In this phase, naturalized poets also created Sijo, revealing their political position and world awareness.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who had no choice but to speak poor Korean, created Sijo, a unique Korean song format, is very special in itself. General Byeon An-yeol from Shenyang, wrote the lyrics of < Bulgulga不屈歌 > during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dynasty, expressing his strong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Seol Jang-su, a native of Uighur who was in charge of diplomacy to Ming China, wrote the lyrics of < Shineonga愼言歌 > and warned against caution in his speech and conduct. Lee Ji-ran, who was born in Jurchen and rose to the rank of the Joseon royal family, wrote the lyrics of < Chukrokga逐鹿歌 >, expressing concern about the fate of Joseon. The fact that naturalized poets and high-ranking politicians created Sijo with Chinese poetr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indicates that Sijo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literary act in the literary field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Sijo's creation has a personality that deserves pride as a writer. In addition, the openness of the creation of the sijo was already in place from the formation perio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자암(自菴) 금구(金絿)의 유배 생활과 "우중유락(憂中有樂)"의 면모

        조지형 ( Ji Hyoung Cho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6

        본고는 16세기 초반에 활동했던 자암(自菴) 김구(金絿, 1488~1534)의 한시 작품들을 통해 그의 南海유배 기간 중 내면 의식과 생활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김구의 남해 유배기 한시 작품들의 주제적 경향은 크게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는데, ①유배 생활의 괴로움과 병리적 고통, ②인간적 情懷와 가족에 대한 그리움, ③남해 생활에 대한 적응과 交遊, ④산수 유람과 음악적 풍류, ⑤탈속에 대한 지향과 仙的풍류가 바로 그것이다. 김구는 13년간의 유배 생활이 지속되면서 차츰 남해 생활에 적응해 나갔고, 심리적으로도 일상을 회복한 측면이 엿보이고, 무엇보다도 주변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교유를 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구는 이들과 어울리면서 유배 기간에도 여러 모임을 함께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와 술과 음악이 늘 빠지지 않았다. 한편 김구는 이들의 도움과 비호로 남해 일대의 승경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결국 이러한 측면들이 유배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호방한 풍류의 모습이 가득한 「화전별곡」이라는 작품의 창작을 가능케 한 기반이 아닌가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inner side of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life during Kim Gu`s banishment to the Nan-hae(南海) through Chinese poem works written during from 1488 to 1534 by Ja-am(自 菴) Kim Gu(金絿), who was active during the early 16th century. The Kim Gu`s theme tendency of Chinese poem works can be mainly organized into five types of ①agony and allergic pain of banished life, ② humane mind and longing for family, ③application and interaction upon live in the Nam-hae, ④landscape sightseeing and musical appreciation, and of ⑤aim to escape the world as well as truthful appreciation. As Kim Gu`s banished life continued on for 13 years, he began to gradually adapt to the life in the Nam-hae while showing the aspects of mentally restoring the daily life and actively interacting with people near. Accordingly, Kim Gu spent his period of banished life participating in various meetings along with these people and such courses of meetings were always accompanied by the poem, alcohol, and music. On the other hand, Kim Gu, under protection and help of these people, was able to travel to places around southern sea with beautiful scenery. As a result, such aspects are assessed being the base allowing Kim Gu to write 「Hwajeonbyulgok(花田別曲)」full of magnanimous appreciation for the arts despite the fact that it was written during his period of banishment.

      • KCI등재

        논문(論文)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의 제작시기 -류코쿠본을 중심으로-

        조지형 ( Ji Hyung Cho ) 이화사학연구소 2011 梨花史學硏究 Vol.0 No.42

        The Korean map of the Afro-Eurasia world, entitled Honil kangi yoktae kukto chito (Map of Integrated Lands and Regions of Historical Countries and Capitals), was created in 1402. The map is quite significant in that it was made long before the "discovery" of the Cape of Good Hope by Bartolomeu Dias in 1488 and it is the oldest extant Afro-Eurasia map showing the furthest southern tip of Africa. But the original map is lost, but four versions of the map can be found in Japan. These versions are not just straightforward copies of the original map but its revised editions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 Its oldest version is now held at Omiya Library, Ryukoku University, Japan. This article proposes a revised dating of the oldest version between early 1481 and early 1486 (late 1485, according to the oriental lunar calender) on the basis of a detailed re-examination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place-names in the Ryukoku Kangnido. It does not mean that all the place-names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were completely revised according to Korea between 1481 and 1486. Some old anachronistic place-names are seen even in Korea, and some administrative place-names are not written on the map. Despite its imperfection, the Ryukoku Kangnido indicates that the Kangnido was often revised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after 1402 when the original map was made.

      • KCI등재

        『관북시선(關北詩選)』의 작품 수록 양상과 지역 문학적 특성

        조지형 ( Cho Ji Hyoung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1 No.-

        본고는 『관북시선(關北詩選)』의 구성 체계 및 작품 수록 양상을 살피고, 작품들의 주제적 경향을 탐색하였다. 『관북시선』은 16~17세기에 활동한 관북 지역 출신 문인 62명의 시문을 가려뽑아 편찬한 책으로서, 함경도 지역 문학의 양상을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관북시선』은 현재 두 종류의 이본(異本)이 존재하는데, 동양문고본이 초간본, 규장 각본이 중간본으로 판단된다. 『관북시선』의 구성 체계에서 독특한 부분은 표제에서 ‘시선(詩選)’을 표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시와 산문 작품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선집임에도 한시와 산문을 함께 수록해 놓은 이유는, 한시 작품만으로는 책 1권 분량을 채우기에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관북시선』에는 한시 작품이 282제 303수, 산문 작품이 22편이 수록되어 있다. 한시는 절구·율시에 집중되어 있고, 산문은 10종의 문체만 수록되어 있어 선집 체제가 다소 불균형적이라 할 수 있다. 작가별 작품 수록 양상도 불균형적인데, 『관북시선』에 포함된 작가는 모두 62명에 이르지만, 박정(朴靖), 한기백(韓紀百), 주정(朱椗) 등 일부 작가들은 많은 작품이 수록된 반면, 대부분의 작가들은 1~2수의 작품만이 수록되어 있다. 『관북시선』의 주제적 경향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관북 지역 안에 위치한 명소(名所)에 대한 작품화. 둘째, 함경도 지역으로 파견된 중앙의 인사들의 교유. 셋째, 지역 동료 문인들과의 애정과 유대감. 넷째, 학문과 환로(宦路)에서 오는 회한의 정서가 그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함경도에 위치한 조선 왕실 발상 관련 유적지를 작품화하며 풍패적자(豊沛赤子)라는 지역적 자긍심을 표출하고, 함경도 지역으로의 학술 문화 전파에 대한 갈망을 드러내며, 낮은 벼슬살이에서 오는 자괴감을 나타낸 부분들은 함경도 지역이 지닌 역사적 특수성과 결합된 지역 문학 고유의 특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a composition system and aspect of works in 『Gwanbuksiseon(關北詩選)』 and investigated thematic tendencies of the works. 『Gwanbuksiseon』 is a book compiled by choosing poetry and prose of 62 writers from the Gwanbuk district who were activ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t can be the core materials to grasp aspects of literature in Hamgyeong-do. There two kinds of different versions in 『Gwanbuksiseon』. It is judged that the Collection of Dongyangmungo(東洋文庫本) is the first edition and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本) is the second edition. The unique part in the composition system of 『Gwanbuksiseon』 is the point that there are classical Chinese poetry with prose writings in it despite the title claimed to stand for an anthology of poetry. It is judged that it's because Chinese poems were not enough to fill a book. There are 282 je and 303 su of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works and 22 pieces of prose writings in 『Gwanbuksiseon』. As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concentrates on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and prose just includes 10 kinds of writing styles, the system of the collection can be a bit of an imbalance. An aspect of the works by writer is also an imbalance. All the writers included in 『Gwanbuksiseon』 are the 62 persons. There are a lot of works by partial writers such as Park, Jeeong(朴靖), Han, Gi-baek(韓紀百), Ju, Jeong(朱椗) in it, while for most writers, one or two works are included in it. Thematic tendencies of 『Gwanbuksiseon』 can largely be divided into 4 types. First, it had attractions located in the Gwanbuk district works of art. Second, the writers associated with central figures sent to Hamgyeongdo. Third, the regional writers loved and had close links with one another. Fourth, it's penitent emotions from study and the way into the government service. Especially in this process, the parts that they had th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royal birth of the Joseon Dynasty located in Hamgyeong-do works of art, expressed regional pride, revealed their longing for spreading academic culture to the Hamgyeongdo region, and showed senses of shame from their life as low-ranking government officials can b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literature which is combined with the historical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Hamgyeongdo region.

      • KCI등재

        『서경시화(西京詩話)』의 편찬 과정과 인용 서목(書目) 연구

        조지형 ( 43)cho¸ Ji-hyoung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본고는 18세기 평양 출신 문인 김점(金漸)이 『서경시화(西京詩話)』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활용한 여러 서목(書目) 및 문헌 자료들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김점은 『서경시화』를 편찬하면서 고대 시기부터 18세기 초반에 이르는 기나긴 시간축과 평안도지역이라는 공간축을 결합하여 이와 관계된 모든 문학적 유산들을 총괄하고자 하였다. 또한 10여 년간의 긴 편찬 기간이 소요되었던 만큼, 많은 문헌 자료들을 참고하고 섭렵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탐색 결과 김점은 『서경시화』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① 지리지 및 관찬서류 6종, ② 평안도지역 문인들의 문집 및 저술 18종, ③ 역사서류 8종, ④ 시화(詩話) 및 잡록류 10종, ⑤ 개인 문집류 10종, ⑥ 중국 시문관계 자료 6종 내외 등, 총 58종 내외의 국내외 문헌들을 폭넓게 참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결국 이 같은 참고 인용 서목의 범위는 편찬자 김점의 문학적 역량과 수준을 보여주는 동시에, 『서경시화』를 편찬하는 데 기울인 노력의 면모를 확인케 한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ore various lists of books and literature materials used by Kim Jeom, a writer from Pyongyang in the 18th century,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Seogyeongsihwa』.In compiling 『Seogyeongsihwa』, Kim Jeom tried to combine the long time axis of time from ancient times to the early 18th century with the spatial axis of the Pyeongan-do area to oversee all the literary heritages related it. In addition, it can be assumed that he referred and ranged over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as it took more than a decade to compile,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Kim Jeom extensively referred to a total of 58 kind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uch as ① 6 kinds of geography and official document, ② 18 kinds of literary works and writings by writers in the Pyeongan-do area, ③ 8 kinds of historical documents, ④ 10 kinds of poetry and miscellanea, ⑤ 10 kinds of personal anthology, and ⑥ 6 kinds of materials related to Chinese poetry and prose, in the process of compiling 『Seogyeongsihwa』After all, the scope of the bibliography showed the literary competence and level of the compiler, Kim Jeom,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confirmed his efforts to compile 『Seogyeongsihwa』.

      • KCI등재

        Wilson씨 병으로 간이식을 시행한 환자의 성공적인 만삭 분만

        조지형 ( Ji Hyung Cho ),권용순 ( Yong Soon Kwon ),정상인 ( Sang In Chung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이승규 ( Seung Kyoo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1

        Liver transplantation has become a successful treatment modality for serious hepatic disease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re are successful pregnanie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Previous reports regarding pregnancy after liver transplantation have 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