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희미한 정열』과 세가지 주제

        조제희 서강영문학회 1992 서강영문학 Vol.4 No.-

        『희미한 정열』(Pale Fire)은 주제와 그 구성에 있어서 보기 드문 소설이다. 1962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나보코프(Nabokov)의 다른소설, 『로리타』(Lolita)와 함께 아주 난해한 소설로 간주되고 있다. 구성상 나보코프는 각 부분의 작가로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 소설은 킨보트 교수가 창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Foreword"로 시작된다. 그 다음은 999줄의 시로 된 네 개의 칸도(Canto)가 이어지는데 이것은 존 쉐이드가 쓴 것으로 추정된다. 블라드미르 나보코프는 각 작품의 작가들의 신원을 정확히 밝히지 않아서 이들을 추정할 수 밖에 없다. 『희미한 정열』내에 어떤 주제가 내재해 있는가를 찾으려고 시도하면 필연적으로 세가지에 다다르게 된다. 소위 현실을 묘사할 수 있는 능력인 환상, 이 현실을 묘사하는데 도와 줄 수 있는 타고난 언어재능, 그리고 예술적 창조성과 광기 사이에 훌륭한 문장이 존재한다라는 인식이 그것이다. 이 세가지 주제는 소설 내용 속에 흐르면서 언뜻 언뜻 그대로 존재를 보여가며, 잘 짜여져 있다.

      • 스티븐 디덜루스와 『젊은 예술가의 초상』속의 여성들 : 창조성과 생식성

        조제희 서강영문학회 1991 서강영문학 Vol.3 No.-

        스티븐이 비록 자신을 문학의 창조자라고 생각하지만 그는 육체적인 편안함을 얻기위해 여전히 어머니에게 의존하고 있다. 어머니 메어리디덜루스는 그의 새로 산 중고 의류를 챙겨 주면서 그의 자발적인 추방을 준비해 준다. 그는 어머니의 보살핌없이 또 여성의 〈성욕〉이나 〈생식성〉없이는 예술가로 여겨질 수 없다. 이와같이 『젊은 예술가의 초상』속에서 스티븐은 끊임없이 여성 등장인물에게서 영향을 받아왔다. 심지어 그는 문학적 어머니로서 문학적 아이를 돌보기 위해 파리로 날아간다. 아마도 그의 어머니가 그에게 해주었던 것만큼 그가 그의 아이들을 돌보지는 못할 것이다. 스티븐의 미적 창조는 여성의〈생식성〉에서 왔고 예술가가 되는 그의 성장 과정은 여성이 아이를 잉태하여 낳는 과정을 따른다고 여겨진다. 여성 등장 인물들은 스티븐의 의식의 흐름 속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개방형 ‘탐구화학실험’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 조사

        조제희,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service science teache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about the inquiry-based chemistry experiment.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during the midpoint and final weeks of the semester, with 2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king the curriculum subject ‘inquiry-based chemistry laboratory’. In addition,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urvey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cience teacher satisfaction with the open inquiry was higher in the second survey, with scores of 3.6 points in the first survey and 4.2 points in the second survey. Secon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d positive views about the open inquiry, as it enabled them to have a sense of ownership, provided opportunities to share diverse ideas and communicate with members, and offered interesting and new experiences. Thir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dicated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as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open inquiry, were anxious as there was no fixed answer, and felt uncomfortable due to the long experimental time. However, as time went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ported positive effects, rather than difficulties, as they progressed with the open inquiry. Lastly, by experiencing the ‘inquiry-based chemistry laborator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e open inquiry as having positive effects. Hence, the open inquiry can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experience and predict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might face.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탐구실험을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개방형 탐구 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서 개설되는 ‘탐구화학실험’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과학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학기 중반과 후반에 ‘탐구화학실험’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설문 검사를 두 차례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의 만족도는 1차에서 3.6점, 2차에서는 4.2점으로 2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과학교사들은 개방형 탐구의 긍정적인 효과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고, 구성원과 다양한 생각을 공유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으며 개방형 탐구 활동을 흥미롭고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개방형 탐구에 대해 낯설고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이 따랐고, 정해진 답이 없어 불안해하고, 실험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하지만 개방형 탐구를 경험할수록 어려움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의 실제적인 개방형 ‘탐구화학실험’ 경험은 개방형 탐구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도록 하였고, 학생의 입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조제희,우애자,Cho, JeHee,Woo, Ae Ja 대한화학회 2017 대한화학회지 Vol.61 No.5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방형 탐구 경험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내 과학교육과에서 개설된 '탐구화학실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로 개방형 탐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방형 탐구 실험은 제시된 현상을 관찰한 후 조별로 탐구문제를 설정하여 가설을 세우고, 직접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차례에 걸친 검사지와 개인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 영역 중에서는 창의성, 초도덕성,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개인 면담을 통해서 과학 지식의 주관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학생들이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초반에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계속해서 경험할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d open inquiry. The study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of open inquiry-based chemistry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4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cruited from the experiment class. They received pre-test, mid-test, post-test on understanding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open inquiry activities. 2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mong them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scientific knowledge (p<.05).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sociality parts improved gradually.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had changed negatively until the middle of the semester, and then changed positively later. The post-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test score (p<.05).

      • 글쓰기 부정행위에 관한 처벌 규정과 사례-미국 대학들을 중심으로-

        조제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09 사고와표현 Vol.2 No.2

        This paper introduces how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runtheir rules and regulations on students’ plagiarism. Detecting studentplagiarism is an on-going battle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Some colleges and universities have ‘Honor Codes’ that studentsshould not violate without any surveillance from the school. Most ofthe schools firmly announce to the students that plagiarism is anacademic dishonesty, which will be severely punished in case theyhappen to commit it. The schools also delineate the types of plagiarism,procedure of hearing, and subsequent penalties in various ways, whichthe students can easily access to read. As penalties, the consequencesof plagiarism, are severe, professors continuously educate their studentsnot to commit plagiarism, when the students write, in the coursesyllabus, during class, and even in the writing assignments. However, once plagiarism is committed, investigation, hearing, andpenalties follow. And punishing plagiarism takes the similar procedureof a law court. If a suspicious student is caught for plagiarism inhis/her writing by his/her professor, its case will be first investigatedthoroughly usually by the Associate Dean of Students Affairs. Whens/he appeals against the professor’s report, a hearing for the case willbe open in front of the judicial affairs committee that consists of students,professors, and staffs. After the hearing, the committee have a closedmeeting in which they vote for their decision on the appropriatepenalty such as formal warning, probation, lowering the grade, disciplinarysanction, suspension, expulsion, and revocation of degree. The American academia knows that the best way for plagiarism isprevention not punishment, which initially depends on the professor’svolition of whether s/he willingly wants to be the guard of the academia. Prevention helps the students to be ‘a thinker’ eventually.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여러 소사회 혹은 다양한 학문 분야로 형성된 미국의 대학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미래에 자신의 꿈을 펼치려하는 학생들이 글쓰기 부정행위를 저지르지 않도록 계몽을 하고 있으며, 부정행위 발생 시에는 이를엄격히 다루고 있다. 미국 전역에 있는 수많은 대학과 대학교들이 제정해놓은 표절에 대한 처벌 조항들을 살핀 후 이들에 대해 일반화하여 설명하는 일은 쉽지않다. 각 학교가 나름대로 자신들의 교육관과 학교 운영 방침에 근거하여 스스로판단하여 표절의 정도에 맞게 처벌규칙을 정하여 이들 조항들은 다양성을 띠고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미국 대학생들은 중 고등학교 시절부터 표절(plagiarism)에 관해 학교와 선생들로부터 자주 교육을 받아 이 행위가 범법이라는 것과 이에 대한 처벌이엄중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발달은 학생들이 더쉽게 그리고 더 교묘하고 정도가 심한 표절을 양심의 가책이 없이 저지를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학생들의 글쓰기 표절에 관한한 교수는 공정한 심판의 역할을 해야 한다. 글쓰기의 부정행위를 밝혀내는 일은 정직하게 그리고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투자한 시간과 노력에 상응하는 점수를 주고, 공평하게 기회를 주는 정의로운 사회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첫 발걸음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