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파트 단지 내 외관색채에 대한 기초사례연구 - 군산, 전주지역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조재경,이지숙,Cho, Jae-Kyoung,Rhee, Ji-Sook 한국주거학회 2009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0 No.6

        The apartments of South Korea has developed enormously from 1960's to the present. Nevertheless, People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exterior colors used in the apartmen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 colors between each brands and areas based on the newly-built apartments in Jeonju and Gunsan, and this focuses on the colors used in the main buildings, public facilities, playgrounds, and the main entra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although six-cases all showed that YR was higher than any other color patterns, but there were differences from both the brands and the areas. Both the colors and the materials, as distinguished by the brands, were more diverse in the apartments by the small or medium businesses than in those by the big businesses. Moreover, when the identical brands were observed in Jeonju and Gunsa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reas was more recognizable tha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rands. Both the colors and the materials, as distinguished by the areas, had more varieties in Gunsan than in Jeonju. It was because Gunsan had many diversities in natural, historical or social backgrounds, as compared to Jeonju. Unlike other studies, this study researched public facilities as well as the main buildings so that it was possible to perceive the harmony of the colors in the apartment complex; however, the cases us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numerically.

      • KCI등재
      • KCI등재

        혼합배양계에서 활성오니를 이용한 생분해성플라스틱 생산 연구

        조재경(Jae-Kyoung Cho) 유기성자원학회 2001 유기물자원화 Vol.9 No.3

        혼합배양계에서 활성오니 를 이용하여 유기성폐수로부터 생분해성프라스틱 생산 공정이 연구 검토되었다. 공정은 크게 PHA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선택 분리하는 선택반응기와 분리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PHA를 축적 생산하는 축적반응기로 구성되었는데 선택반응기로는 연속회분식반응기 (SBR)가 이용되어 초기 접종된 활성오니 로부터 PHA 축적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부영양/빈영양 영역 을 반복 운전하였으며 PHA 축적미생물은 어떠한 성장 제한이 없는 SBR에서 잘 성장하였으나 PHA 축적률은 미미하였다. 미생물내 PHA 축적을 증대시키기위해서는 비탄소원의 영양원이 제한된 조건에서 배양이 필요하게되어 별도의 축적반응기를 이용 실험을 실시한결과 산소 제한은 효율적이지 못하였고 인과 질소 성분의 제한 조건에서 PHA 축적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질소 제한조건하의 유가식 기질 공급 실험에서 PHA가 건량기준으로 미생물내 60 %까지 축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PHA 축적속도는 미생물내 PHA 함량에 크게 의존하여 PHA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plasåcs from wastewater with an open microbial culture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he process consists of a selection r∞ctor to select baαeria in feast/famine regime and an accumulation reactor to produce PHA using sdected bacteria. Polyhydroxyalkanoate(PHAs) accumulating bacteria could be efficiencly grown in a sequencing baκh reactor(SBR) without any growth limitaåon. For the high producåon of PHA limitaåon such as oxygen and nutrients seemed to be needed. Accumulaå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level of accumulation of PHA. Limited aeration had no effect, but nutrients limitaåon showed high accumulaåon Bacteria which were selected the SBR could accumulate PHA till 60% of cellular dry weight in accumulation experiments under nitrogen limitaåon. PHA a.αumulaåon r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PHA content in the cells. Clearly, PHA accumulation rate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PHA content of the cells.

      • 朝鮮時代 가마터 作業場의 構造와 特徵

        趙載京(Cho Jae Kyo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09 중앙고고연구 Vol.0 No.5

        조선시대 가마터에서 확인된 작업장을 이해하고자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20 여기의 가마터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문헌기록에는 작업장을 ‘工作聽’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관리업무를 보던 官廳과 창고인 庫間, 임시건물인 假家 등 공관과 사가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작업장이 확인된 조선시대 가마터는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었고, 경상도와 강원도지역에서도 일부 확인되었다. 작업장은 기본적으로 장방형의 구조에 내부에는 온돌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수비공·연토장·제작공간·유약통 등이 있어 도자기를 만드는 전 공정이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양 대박리, 부여 나령리, 보령 늑전리 등 충청도 일부지역에서는 단순히 원형의 수비공 뿐만 아니라 원형의 수비공과 방형이나 다각형의 판석을 이용하여 곽을 짠 수비시설이 조합을 이루고 있는 충청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적인 특징도 나타난다. 가마와 작업장은 가마 1기와 1~2기의 작업장이 한 영역 안에서 조합을 이루는 경우(Ⅰ型)와 가마와는 별개로 작업장이 군집을 이루며 조성된 예(Ⅱ型)로 구분된다. Ⅰ型의 경우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조성되었고, Ⅱ型은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보이는 특징으로, 관요에서 보다는 주로 지방가마에서 많이 확인되는데, 청양 광대리의 경우 무려 51기에 달하는 작업장이 군집을 이루고 있었다. Ⅱ型의 작업장 중에는 여러 공정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확보하며 만들어진 작업장(1式) 외에 별도의 수비장과 시유장을 마련한 형태(2式)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작업장에서는 점토를 정제하던 수비공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나 분청사기를 만들었던 보은 적암리와 번천리 5호·9호 관요에서는 수비공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는 분청사기의 경우 2차 점토를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거나 관요의 경우 전국 각지에서 1차적으로 정제된 흙을 공급받는 등, 제작 공정의 차이로, 별도의 수비시설이 필요치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shops uncovered at kiln sites of Joseon period, about 20 kiln sites excavated are reviewed examined in detail. According to historical literature, a workshop is called ‘Gongjakcheong’(工作聽,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it included facilities such as an office taking charge of administration, warehouses, temporary buildings, and private residenences. Kiln sites with workshops have been reported mainly in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along with a few in Gyeongsang and Gangwon provinces. In general, workshops with rectangular floor plan with ondol(Korean floor heating system) consisted of Subigong pitrefining clay, Yeontojang(a space to store clay), a space for manufacturing, and Yuyaktong(a container for glaze) for allowing the whole processes of ceramic making in a space. Sometimes, a round-shaped Subigong is combined with a case made of square or polygonal slabs for refining clay rather than only a round-shaped Subigong, and it is considered as a regional characteristic of workshops in the western Chungcheong provinc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workshops as follows: 1) Type Ⅰworkshop:a kiln and one or two workshops within an area, 2) Type Ⅱ workshop:a group of workshops separated from a kiln. While type Ⅰ workshops had been constructed during the whole Joseon period, Type Ⅱ workshops appeared after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type Ⅱ workshops were mainly reported at local private kilns rather than kilns owned and manag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官窯, Gwanyo), and as many as 51 workshops forming a group were reported at a kiln site at Gwangdae-ri in Cheongyang. Type Ⅱ workshops are divided into two subtypes. While type Ⅱ-1 workshop was built in some size of area for allowing several working processes, type Ⅱ-2 workshops occasionally reported in Jeolla provinces had independent facilities for refining clay and glazing. Though Subigongs refining clay seem to have been prepared in most workshops, Subigongs were not found at Kiln No. 5 and No. 9 at Beoncheon-ri and a kiln at Jeokam-ri in Boeun, Gwanyos to produce grayish-blue-powdered celad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was manufactured without a process of reefing clay, or a Gwanyo did not have to prepare a separate refining facility because already refined clay was provided.

      • 지역도시 대학생의 전통 색채이미지에 대한 인식 조사

        조재경(Cho, Jae Kyoung),이지숙(Rhee, Ji So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7 No.-

        현대를 살아가면서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계획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전통디자인을 돌아보고, 우리나라만의 아이덴티티를 찾을 필요성이 있다. 고로 우리의 전통 문화 중 주생활과 관련된 색채에 관하여, 현대인들이 공감하는 전통색상 및 조합을 찾아내어 현대에 적용하거나 발전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전통공간에서 추출한 배색팔레트를 이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통색채인식과 감성 어휘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색상이라고 인식 하고 것은 Y-R계열이 가장 많았으며, 배색팔레트 또한 Y-R계열이 들어간 조합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전통색채에 관하여 제시된 감성 어휘는 주로 ‘은은한’ ‘고상한’ ‘점잖은’이었다. 본 연구는 현대를 살고 있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통색상과 배색팔레트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have to look around the traditional design and find out our nation"s own identity in design. Especially, the color among design components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sense of "traditional". So we would figure out the colors and its combinations by the moderners, specially young people, recognized as the traditional color. Using colors and color palettes which had extracted from the traditional residential enviromnents, the survey had been done for university students to find out the color and the palette which they would think of as a traditional color and the palette. The result showed that the Y-R type in colors and in color palettes were enlisted as a traditional color most of all. And the repondents described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palettes such as the emotional words of "delicate", "elegant", "quie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e way of showing colors and the palettes that young generation understands as traditional things.

      • KCI등재

        개방형 협업(open collaboration)방식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 분석 연구

        백경화 ( Baek Kyoung Hwa ),하은아 ( Ha Eun A ),조재경 ( Cho Jae K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공동 가치 창출을 위한 새로운 혁신 방식 중 하나인 개방형 협업의 의미와 다양한 유형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형 협업의 구조와 어떠한 요소들이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는 문헌과 선행연구, 글로벌 기업의 보고서를 참고하여 5가지 협업 유형 중 기업과 소비자의 참여 강도에 따라 오늘날 실질적 개방형 협업으로 볼 수 있는 3가지 협업 유형을 사례분석을 위한 연구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 선정은 구글 키워드 검색과 선행연구에서 빈번히 언급되거나, 성공 사례로 선정된 것을 참고하여 독창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해외 기업 7개를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유(협업) 방법과 결과물의 내용, 의사결정 방식, 참여자 유도방식 그리고 기업과 소비자 측면을 분석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3장에서 다루었다. 이를 통해 나타나는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리디자인(service redesign)은 소비자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경험을 재설계하고 있으며, 특히 협업의 장벽이 낮아 다양한 정보 교류와 소비자들 중심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뉴 프로덕트 코크리에이션(new product co-creation)은 제품 개발에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기업과 공동 작업하고 있으며, 제품 개발 전 과정에서 활발히 의견을 공유하고 있었다. 커뮤니티 프로덕트 디자인(community product design)은 소비자가 기업의 제품 개발 및 생산 활동 전반에 주체자로서 비즈니스를 주도하고 있었으며,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창작하는 참여형 소비자의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different types of aspects of open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new innovation system for creating shared value, and to investi gate which structure and elements of open collaboration make significant outcome. This study set 3 collaboration types that can be considered as the real open collaboration today for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participation of business and consumers among 5 types of collaboration types by referring to literature, precedent studies, and reports of global enterprises. For selection of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7 overseas companies with a creative business model who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on Google keyword search and precedent studies or selected as a successful case. A sharing(collaboration) method, contents of outcome, decision-making method, guidance system of participants, and enterprise and consumer aspects were set as the standard of analysis, and details are covered in Chapter 3.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Service redesign is redesigning products and experiences of consumers by actively collecting opinions and ideas of consumers, and specially, it was forming a variety of information exchange and consumer oriented social network because the barrier of collaboration was low. For new product co-creation, consumers participated actively in product development and collaborated with businesses, and were actively sharing opinions during the whol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Consumers were taking the lead in businesses as a main agent in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activity for community product design, and have been prosumer who create ideas into products.

      • KCI등재

        오픈소스 플랫폼에 등장한 새로운 창작물의 유형과 의미

        백경화 ( Baek Kyoung Hwa ),하은아 ( Ha Eun A ),조재경 ( Cho Jae K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창작과 제작환경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오픈소스 플랫폼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새롭게 등장한 오브제와 창작물의 유형분석을 통해 사용자(창작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가치와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의 선정은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 Google 사이트 등을 통해 찾고, Alexa를 이용해 방문자 수와 데이터 보유량 등을 기준으로 상위 랭크된 오픈소스 플랫폼 8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오픈소스 플랫폼을 통해 기존 대량생산제조방식으로는 만들어지지 않았던 새로운 오브제와 창작의 결과물들을 찾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유, 협업, 다운로드 수, 게시주기, 품질정도를 분석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분석의 내용은 3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이를 통해 나타나는 특징과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자들은 제품의 수명 주기가 매우 짧거나 빠르게 유행하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즉각적으로 만들어 기존 시장 시스템으로 만족할 수 없었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둘째, 혼자서는 만들기 어려운 물건을 공유와 협업을 통해 완성하고, 제품의 퀄리티가 높은 결과물로 만들어 냄으로써 창작물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높은 심리적 만족감으로 이어가고 있었다. 셋째, 개성을 잃어버린 현재의 기성제품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창작물에 반영하고 있었다. 넷째,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것을 넘어 자신에게 맞춰진 즉, 커스터마이징, 퍼스널라이징된 원 오프(one-off)의 창작물로 구현해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open source platforms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 for creation and production. By analyzing patterns we will know the real value and meaning that the users and the creators genuinely want for the newly made objet and the cre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informed by former studies, related documents, and websites such as Google. The 8-highly-ranked open sources were selected using Alexa, the criteria for selection was based on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holding amount of data. Through the selected open source platforms a new objet and creation, which were not made by existing large quantity production, were analysed. For the analysis, sharing, cooperating, the number of downloads, posting cycle, and the quality of information were selected as the basis, and the content of the analysis was handled on the 3rd pag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analyzed are as following. First, the users were actively dealing with the problems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in the existing market system by creating various short life-cycle or short fashioned products. Second, through sharing and cooperating, they completed a product which is difficult to be made by oneself, and by creating a high quality result, they were raising the value of the product and being highly satisfied at the same time. Third, they were reflecting their desire to express their identities on the creation added to the existing product which lost its identity. Fourth, beyond expressing their identity, they were implementing a one-off creation which is focused on themselves and is customized and personalized.

      • KCI등재
      • KCI등재

        하수슬러지 퇴비의 식물생육에 대한 적정 시비량 검토

        배재근(Chae-Gun Phae),정경철(Kyong-Chul, Joung),곽노혁(No-Hyuk Kwak),조재경(Jae-kyoung Cho) 유기성자원학회 1999 유기물자원화 Vol.7 No.2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 퇴비를 이용하여 4년간 5차에 걸쳐 다양한 토양 및 식물에 대한 식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하수슬러지 퇴비가 식물성장에 유용한 것으로 판명이 되었으며. 그 시비량은 토양종류. 하수슬러지내의 유기물함량, 식물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적정시비량은 비교적 유기물함량(46%) 이 높은 S하수처리장의 하수슬러지 퇴비를 이용한 사질토양인 빈영양토양에서는 0.2톤/아르(a) 였으며. 부영양토인 흑갈색 토양에서는 0 .1 2돈/아르 (a) . 빈영양토양인 흑갈색에서는 0.4톤/a가 적정한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또한 비교적 유기물의 함량이 낮은 N하수처리장의 하수퇴비와 빈영양토양에서의 5차실험 결과에서는 시비량이 0.6t/a로 상대적으로 많아도 된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유기불함량 및 토양의 종류에 따라 시블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1회 시비량은 0.2t/a로 계산되었으며, 연간 2회사비의 연작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다면 연간 약 O .4t/a가 시비제한 최적량으로 결콘내릴 수 있었다. 이러한 값은 유기물함량과 토양종류에 따른 영향을 상호보완한 값으로 식물에 대한 성장저해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effect of compost to force the cultivation using various soil and vegetation was investigated 5 times in the field for 4 years. Sewage sludge compost was validated to be useful fertilizer for the growth of a plant. and the optimal amendment amounts of compost to soil depended on the kinds of soil and vegetation. and the organic contents of compost. In the case of compost with high organic content. the optimal amended compost weight was O.12t/are in fertile-dark brown(eutrophic) soil. O.2t/are in sandy soiHtrophic) and O.4t/are in infertiledark brown(oligotrophic) soil. respectively. In the 떠se of compost with low organic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amentments of compost up to O.6t/are was allowable without negative effect on the applied vegetation. Consequently. it can be believed that the sewage sludge compost is useful fertilizer. if keep the optimal amendment amounts(O.4t/are.year) to improve soil on cultivation of veg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