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프랑스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 담화유형학습을 중심으로

        조일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Comme toute autre science disciplinaire, l’apprentissage du FLE en Corée du Sud évolue au fil du temps. Divers éléments constituants de cet apprentissage tels le motif, le genre, le contenu, ou le type, sont également influencés par l’environnement diplomatique, commercial, social et économique de la Corée du Sud contemporaine. L’apprentissage de l’écrit dans les établissements scolaires sud-coréens est aussi affecté par ces évolutions. Ce constat nous a conduits au questionnement suivant : comment améliorer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à l’écrit ? Afin de répondre à cette question nous avons organisé un atelier d’écriture pour un groupe d’étudiants en spécialisation de littérature et langue française à l’Université ‘E’. Cet atelier s’est étalé sur sept séances et nous y avons présenté au groupe des sujets d’écriture de divers genres accompagnés d’exercices à réaliser dans un temps imparti. Nous avons également organisé quatre séances de traduction de coréen vers français dans le but d’analyser les erreurs des étudiants sous différentes perspectives. Avant chaque séance d’écriture et de traduction se tenait un brainstorming de 10 minutes permettant de vérifier les difficultés lexicales et de passer en revue les erreurs commises lors des précédentes séances. L’objectif était d’examiner les liens possibles entre le brainstorming et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à l’écrit. L’analyse des écrits de cet atelier nous a permis de dégager six facteurs d’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à l’écrit : 1. Le traitement de divers types d’écrits discursifs a une influence hautement positive, et ce même sur une période courte. Cette méthode d’apprentissage serait très probablement d’une grande efficacité sur le long terme. 2. Le brainstorming permet l’acquisition au préalable du vocabulaire manquant et la vérification des erreurs commises lors des séances précédentes. 3. L’apprentissage de la distribution du temps pour un écrit à réaliser dans un temps imparti est essentiel. Ceci est lié à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stratégique de l’écrit, qui a elle seule demanderait un autre travail d’apprentissage par les exercices. 4. La compétence socioculturelle aide à l’acquisition des bonnes références culturelles et ainsi aide à l’écriture d’une manière adéquate. Un apprenant ayant la compétence linguistique mais dépourvu de cette compétence rencontre des difficultés à écrire efficacement. 5. La compétence socioprofessionnelle est primordiale pour des apprenants visant une carrière professionnelle intégrant le français. Le développement de cette compétence aide les apprenants dans leur recherche ou à définir leur orientation scolaire. 6. Le respect des indications constitue un des points clés dans l’écriture en FLE. Une bonne compréhension des indications permet un apprentissage plus efficace. On peut tirer comme premier constat des points évoqués ci-avant que l’amélioration de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à l’écrit passe par la réalisation d’exercices d’écrits discursifs, et que le brainstorming permet de réaliser ce type d’exercice. Il est par ailleurs pertinent que les apprenants se dotent de connaissances référentielles sur la culture française, cette compétence pouvant compenser une insuffisance de la compétence linguistique. Enfin, si les apprenants en FLE sont amenés à pratiquer via des outils d’apprentissage créés sur les bases de l’analyse de notre étude, on peut raisonnablement envisager une amélioration nette de l’écrit tant sur la forme que sur le fond. 오늘날 한국에서 제2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FLE: Français langue étrangère) 학습은 다른 여러 학문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한국의 FLE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학습 형태, 학습자의 수, 학습 활동 내용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 요소들은 한국이 처한 외교적, 상업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와 맞물려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을 강조하는 오늘날의 한국 FLE 교육현장에서 글쓰기 학습도 예외는 아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의 향상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실험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프랑스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E 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프랑스어 작문 아뜰리에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작문주제를 매 차시 제시하고 제한된 시간 내에 작문연습을 실시하였다. 작문과 동시에 한국어→프랑스어 번역 연습도 4 차 시에 걸쳐 함께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오류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매 차시마다 작문 및 번역연습 전 10여 분간 Brain Storming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작문에 앞서 필요한 언어적 능력을 보완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전(前) 차시 작문 및 번역에서 나타난 오류를 확인하게 함으로서 브레인스토밍이 작문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작문연습 실험분석을 통해 글쓰기 능력의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담화유형을 작문 연습의 주제로 삼는 것은 글쓰기에서의 담화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7차시에 걸친 단기간에 이루어진 실험의 결과이나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결과를 통해 학습자들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작문에 필요한 표현이나 어휘 등을 사전에 학습하고 전(前) 차시 오류를 수정함을 확인하였다. 작문 및 번역을 하기 전에 실시하는 브레인스토밍은 이런 점에서 학습자들의 문법ㆍ언어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일반적으로 글쓰기란 제한된 시간 내에 실시해야 함을 고려할 때 시간분배의 훈련은 글쓰기의 전략적 능력의 계발 차원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이에 대한 연습과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프랑스어권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갖추고 있는 학습자는 글의 목적과 의도를 파악하여 맥락에 맞는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글쓰기에 있어 학습자의 사회ㆍ문화적 능력은 언어적 능력에 버금가는 중요한 요소로 사회ㆍ문화적 능력이 부족한 경우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이 어렵다는 점이다. 다섯째, 한국 FLE 교육현장에서 프랑스어를 사용하여 향후 직업활동을 하고자 희망하는 한국 FLE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유형의 글쓰기 활동을 계발하여 학습에 적용한다면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구직 활동뿐 아니라 향후 진로설정에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지시사항 준수는 FLE 글쓰기 학습의 중심 사항 중 하나로 정확한 지시사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작문에 접근할 때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FLE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적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유형의 글쓰기 연습이 필요하며 브레인스토밍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프랑스어에 대한 언어적인 능력뿐 아니라 프랑스어권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도 충분히 갖춘다면 작문에서 주어지는 지시사항에 대해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글쓰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일선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과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선행연구에서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른 창의성 발달과 요리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에 관한 창의성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 마산시에 소재한 A, B유치원의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 3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양 집단 모두 가족과 이웃, 계절(봄), 건강한 몸과 마음 3개의 주제에 대한 14차시에 걸쳐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을 대상으로 유아 창의성 검사와 그림 표현능력 검사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마다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 도구는 Torrance가 제작하고 김영채가 번안한 TTCT 중 도형 A형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그림 표현능력 검사 도구는 지성애가 개발한 ‘그림 표현능력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과 미술활동을 적용한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양적자료는 통계전용프로그램인 SAS를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이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20.96, p<.001)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유아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개방성, 창의적 강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요리를 통한 경험이 적고, 재료들을 다루는 시간이 충분치 않았으며 만든 음식을 접시나 그릇에 담아 표현함으로 인해 정교한 표현이 부족했다고 유추된다.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유아의 그림 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이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F=119.57, p<.001)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그림 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과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의 흥미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이 미술활동에 참가한 유아집단에 비해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15.69, p<.001)를 보였다. 이는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교사중심의 활동이 아닌 유아 스스로의 능동적인 학습을 권장했다는 것으로 유추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그림 표현능력을 돕는 활동임을 의미한다. 즉,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교사는 유아들의 창의성에 대하여 저절로 무엇인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와 구체적인 대안 없는 방임 상태를 대신해 유아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각, 개념들을 통하여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또한 미술활동이 단순 꾸미기와 작품의 완성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과 같은 유아의 흥미와 오감각을 통해 미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아들에게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하겠다.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이 통합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다른 영역과의 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요리를 통한 미술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앞으로는 언어, 신체, 사회성, 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An experiment was done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art activities through cooking and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cooking and art activities enhance young children`s creativity.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on art activities through cook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60 children (30 experiment group, 30 comparative group) in A, B kindergarten located in Masan city, Kyungnam, were selected to have the experiment group perform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and just art activity for the comparative group. Both groups had gone through 14 times of performance regarding family, neighbor, season (spring), and 3 themes of healthy body and mi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ests were held in both groups, and every time, interest test was held. The instrument for creativity test was figure A type, made by Torrance and the adapted by Kim, Young Chae, and for the drawing expression test ability, 'Drawing Expression Ability Estimation Standard' made by Ji, SUng Ae was used.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to review the effect after applying art activity were reviewed by t test and ANCOVA by using SAS, a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s creativity effected by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art activities through cook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20.96, p<.001) compared to the other. In detai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fluence, originality, abstract title, openness, merit of creativity which are in the lower group of infant creativit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The reason for no effect among the lower elements of creativity can be explained as, lack of cooking experience, lack of material handling time, and expressing food by containing it in dishes.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on drawing expression ability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119.57, p<.001) compared to the other. In detail,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combination of basic shapes and lines, diverse color, detailed expression, harmony in composition, various forms, representation regarding theme, creativity in theme, completion of drawing, and linkage of language among the lower group of infant creativity was shown. Analysis was also held regarding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and other, and as a resul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showed high interest than the other, and such dif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15.69, p<.001). This means art activities through cooking was held by active study of young children`s themselves rather than teacher center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shown that the art activity through cooking helps young children develop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In fact, early childhood teacher should not expect young children to automatically develop creativity and should not leave them as they are, but offer an opportunity to develop experience, perception, and concepts for creativity. In addition, art activity should not be simply focused on decoration and completion, but should be held with an environment providing interest and the five sen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rt activities through cooking on teaching science and literacy to kindergarten children and whether they enhance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 2010년대 이후 한국 여성 역사 팩션 소설 연구 : 식민지 시대 여성 소재 소설을 중심으로

        조일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고는 2010년대 이후 출판된 식민지시대 여성 소재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여성인물들의 새로운 재현 양상을 포착함으로써 현실의 여성문제에 대한 성찰을 도출하는 데 있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 여성들은 기존의 문학‧문화사의 남성중심적인 성격을 의식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삶을 구성하는 토대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문제제기를 시작하였다. 페미니즘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으로 페미니즘 도서가 대중적 인기를 이끌고 있는 가운데 여성의 삶과 경험들을 다루는 여성 서사의 활발한 출간은 출판계의 확고한 흐름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201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출판되어 온 식민지 시대 여성 소재 소설들은 공통적으로 ‘주체적인 여성상’을 내세우고 있다. 이들 소설은 페미니즘이 촉발시킨 다시 쓰기/읽기의 욕망의 실천물이라 볼 수 있는 동시에, 대중성의 문제로 인해 오히려 주체적인 여성상을 보여주는 데 미흡할 수도 있다. 한소진의 󰡔사의 찬미󰡕는 그동안 낭만적인 정사의 주인공으로 삼아온 윤심덕의 사랑과 죽음을 재해석함으로써 여성이자 한 개인으로서의 의지를 지키기 위해 가부장제와 대항하는 윤심덕을 소환하였다. 이로써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개인적 의지를 펼칠 수 없는 현실 문제가 더욱 뚜렷이 부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소설은 주인공 이외에도 정점효 등 실존했던 여성인물들은 모두 주체적인 여성으로 비중 있게 재조명함으로써, 이들 여성인물의 삶을 통해 지금까지 여전히 존재하는 남성중심적 잣대의 문제를 폭로하였다. 이윤경의 󰡔반도의 디바 왕수복󰡕의 주인공 왕수복은 봉건적인 계층인식이 강한 사회와 갈등해왔으며, 기생 출신으로 인한 차별을 주체적으로 극복해나갔다. 그러나 소설 중반부부터 주인공의 여성상은 전형적인 로맨스의 여주인공에 가까워지고, 때문에 그녀의 주체적인 여성상이 변모되었다. 결국 작중 왕수복의 상은 남성적 판타지를 내면화한 여성상이 되어버렸으며, 그녀가 가졌던 여성주체성이 오히려 약화되었다. 또한 여성의 개인적 의지를 민족감정으로 대체함으로써 내세운 왕수복의 여성주체성은 현실 속의 여성주체들에게 새로운 잣대, 즉 애국주의적인 기준에 의한 여성의 개인적 의지의 평판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박서련의 󰡔체공녀 강주룡󰡕은 '여성 강주룡'의 시각으로 본 그녀의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의 경험을 재현하였다.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세부적으로 재현된 강주룡의 독립군 생활은 젠더 차별이 사회 곳곳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폭로하며, 독자로 하여금 그동안 여성 독립군의 이야기가 매우 드물었던 것에 대한 재사유를 유도한다. 작중 강주룡의 노동운동의 경험은 여성노동자의 특수성, 즉 사회에서 차별받는 노동자 중에서도 젠더차별을 겪고 있는 여성으로서의 투쟁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강주룡의 재현은 과거에 드물었던 여성영웅상을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의 ‘국가-여성’, ‘사회-노동자’에 관한 문제에 대한 반성을 호소하고 있다. This thesis explores female subjectivity in Korean factions published after 2010 that focuses on the fem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rough the reinvention of historical female figures, draw out relevant reflections on women’s issues in the present society. After the Korean ‘feminism reboot’, women became aware of the fact that established literary and cultural histories were male-centric and began to question all aspects of this. With the burgeoning interest in feminism, feminist books gained a great deal of popularity. In this context, feminist narratives in terms of women’s lives and experiences were published in large numbers and became a regular fixture in the publishing industry.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the faction based on colonial women published after 2010 is the promotion of a ‘subjective feminine portraits’. These factions can be described as a practice in feminist-inspired desire to ‘re-write/re-read’.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is a loss of subjectivity in female characters portrayed in some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pandering to the masses. In Hymn of Death, Han So-jin reinterprets the death of Yum Sim-deok. Whereas Yum has often been presented as the protagonist of romantic martyrdom stories, this novel shows her life as a woman who fought against the patriarchal system with the belief that she wanted to be an equal human being. By re-depicting her suicide, the faction exposes the reality of a society where women are unable to fulfill their wishes as equals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a certain proportion of the faction is devoted to historical female characters such as Jung Chum-hyo. Through the lives of these women, the faction denounces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lingering ‘male-centric standard’. In Lee Yun-gyong’s faction Diva of Peninsula,Wang Su-bok, the protagonist Wang Su-bok struggles to overcome the discrimination she faces because of her prostitute background in a social environment that is heavily feudal and class-conscious. However, from the middle of the faction onwards, the portrayal of Wang gradually turns towards that of the romantic heroine. Eventually she becomes a female figure who presents male fantasies, weakening the original figure of subjectivity. Her personal ambitions are replaced by patriotic feelings. This is likely to constrain females in reality, for instance, their personal desires and will are possibly judged by the standard of patriotism. Park Seo-ryeon’s Kang Ju-ryong the Airborne Fighter presents Kang Ju-ryong’s experience of joining the first-ever voiced protest fighting for the laborers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The depiction of Kang’s army life exposes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exists in all realms of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leads the reader to reflect on why there have been so few stories of women defending their country. Her struggle for the laborers also reveals the particularity of female laborers that they are not only discriminated against as laborers, but they are discriminated against again for being female ones among the laborers. Kang’s characterization has not only complemented the scarce female heroes of the past, but also called for a reflection on issues related to the ‘nation-female’ and ‘society-laborer’ of today.

      • 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 of ODA : The Analysis of Korea’s ODA Policy

        조일선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 (PCD)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olicy in preparation for joining the OECD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in 2010. PCD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in which a country can upgrade its ODA level to global standard and a critical evaluation factor of the Peer Review by OECD DAC members. Monterrey Consensus and Paris Declarations have also stressed aid effectiveness and PCD has been noticed in earnest. The core idea of PCD is that incoherent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undermine th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policy toward ODA partners. Successful PCD requires preconditions such as initiatives of political leadership, proper political infrastructure and capacity of policymaking. PCD is well elaborated in the Sweden’s Policy for Global Development. In order to apply PCD to Korea’s ODA system, Korea needs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ts ODA and change the inefficient dichotomous implementation system. A recent Japanese structural reform of ODA implementation can be a valuable lesson for Korea. Some discussions could be proposed for Korea’s ODA. First, Korea needs legislation that combines KOICA Act and EDCF Act under one framework. Second, implementing actors should be integrated and centered. Lastly, PCD is not a panacea that fits anywhere. Korea should devise a Korean style of PCD implementation using its special experience of shifting from a recipient country to a donor country within a shor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