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유형 및 주제 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조윤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어능력시험(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은 1997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10년 현재까지 총 18회가 실시되었다. 한국어능력시험은 김하수(1997)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한국어 학습자의 일반적인 언어사용능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는 언어숙달도 평가이다. 따라서 학습자에게는 자신의 학습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학습 방향을 제공한다. 또한 각 한국어 교육 기관에게는 한국어 교육 교과과정과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지침이 되고 교재 편찬에 있어서 기준이 된다. 이렇듯이 한국어 평가와 교수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평가의 분석은 한국어 교육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교수의 형태 및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능력시험은 타당도 검증이나 문항 분석에 대한 연구가 영역별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해 영역에 대한 연구는 표현 영역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 영역 중 읽기 영역의 문항을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보고 그 평가 목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승혜 외(2006)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는 어휘와 구조의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의 스키마와 배경 지식을 통해서 전체적인 글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읽기에서는 학습자의 어휘와 문법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스키마와 배경 지식이 필요하다. 스키마와 배경 지식은 학습자가 스스로의 학습에 의하여 습득하기도 하며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학습자에게 주어진 글에 대한 스키마와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보다 쉽게 의미를 해석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내용을 효과적으로 습득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고우리(2004)에서 제3회에서 6회까지의 이해 영역 문항의 소재를 분석한 것 이외에는 이해 영역의 주제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의 이해 영역 중 읽기 영역의 주제를 분석하여 보고 문항의 유형에 따라 주제를 재분류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읽기 영역 문항에 출제된 주제와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주제와의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읽기 영역에 출제된 주제의 빈도 및 종류의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한국어능력시험 출제 시 주제 선택에 대한 기준이 될 것이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는 어휘와 문장 구조의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의 스키마와 배경 지식을 통해 전체적인 글의 의미를 구성하는 의사소통 기술이다. 따라서 읽기 평가는 텍스트가 전달하고자 하는 담화에 대한 이해 능력을 측정해야 한다. 특히 초급 읽기 평가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주제나 기능을 다룬 간단한 글을 읽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표가 있다. 따라서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소재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주제를 다루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의 초급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을 분석해 보았으며 한국어능력시험에서 평가하려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어휘 의미 파악하기, 주제 찾기, 문장 내 적절한 어휘 찾기 등 총 14가지 유형의 문제들이 출제되었으며 텍스트의 전체적인 내용 및 문맥을 파악하여 문제가 요구하는 답을 추론하는 형식의 문제들이 대부분을 출제되었다. 4장에서는 문항의 유형별로 어떠한 주제들을 다루고 있는지 주제의 종류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공생활, 개인 생활, 사회적 생활의 주제가 대부분의 문항 유형에 출제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유물, 분실, 문화, 유학, 감정 등의 다양한 주제들 또한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기본적인 소재 및 주제뿐만 아니라 초급에서 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접하도록 다양한 텍스트와 주제를 수업 시간에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5장 결론에서는 다양한 주제를 제공할 수 있고 주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스키마와 배경지식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수업 지도 방안을 기술하였다. 먼저 읽기 전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배경 지식과 선행 지식을 활성화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선행 지식을 이용한 스키마를 작동시키고 본격적인 내용 이해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소집단 활동을 한다. 소집단 활동을 통하여 서로의 스키마와 배경 지식을 교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읽기에서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의 텍스트를 제공한다. 실용적인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면서 그에 따른 읽기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는 나누어 소집단별로 부분적인 내용을 파악하게 되고 다시 원 집단별로 모여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 주도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읽기 후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파악한 내용을 교사가 정리해 주고 읽기 활동을 통하여 얻은 지식을 확장할 수 있도록 다른 영역과의 연계적인 활동도 추가 될 것이다.

      • 傳統 木構造 내민部材의 構造的 補强 特性에 관한 연구

        조윤희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a test of reinforcement and joint reinforcement using a steel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deflection and transformation by structural behavior and damage by wood decay in the cantilever members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s. 1. Test of cantilever members 1) In the reinforcement test of cantilever members, yield load increased by 44~135%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 compared to the standard test sample, and, specifically, yield load, initial stiffness, and maximum load were augmented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 of a double-T form steel plate as well as of a T form steel plate. Therefore, the effect of deflection control is expected through such reinforcement. 2) The coefficient of ductility increased by 7~46%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 of a – form steel plate compared to the standard test sample, and other reinforcement test samples were discovered to have deteriorated ductility, overall. 3) Concerning stiffness, initial stiffness was found to increase by 8~40%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s of T form and double-T form steel plates. Given the fact that the initial stiffness was much higher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s than in the standard test samples, the effect of deflection control in the behavior of cantilever members in the elastic region is expected. 4)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antilever members, when any damage is caused by the stress concentra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upper part of a corner pillar, yield load was shown to increase more in the reinforcement test sample of which some part was replaced with new members than in the standard test sample. As above, when summarizing the test results of the cantilever members of traditional wood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s for their beauty and structural safety in wooden cultural heritages, cantilever members(Hip Rafter) the reinforcement with the - form steel plate, T form steel plate, and double-T form steel plate is expected to increase yield load, maximum load, and initial stiffness and to control deflection compared to the reinforcement method. Furthermore, if a member is replaced with a new one that is of appropriate thickness according to the depth of damage of the member and if it is reinforced with bolts and nails of T form and double-T form steel plates, it will show structural behavior and reinforcement effect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standard test sample.

      •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조직 문화와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기관 유형의 조절 효과 연구

        조윤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248 daycare center teachers and 241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 type on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teachers.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a measurement tool of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ed by Kimberly and Quinn(1984), Quinn and Magrath(1985), and Denison and Spreitzer(1991) and used by Cho, In Sook(2005), and a measurement too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developed by Allen & Meyer(1991), adapted by Lee, Yeon Yong(2007), and modified and used by Koo, Hye Young and Kim, Mi Ye(2010).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person, through mail, and via e-mail to the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aft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age, academic background, size of organization, establishment period, and number of teachers except for working period and work experienc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re were more married daycare center teachers than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y were older and had lower academic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ore single kindergarten teachers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hey were younger and had higher academic background. For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the scale was smaller, establishment period was shorter, and the number of teachers was lower for daycare center than kindergarten. On the other hand, the scale of kindergarten was larger, establishment period was longer, and had higher number of teachers than daycare center. For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perceived by teachers, teachers of both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perceived relational culture highest followed by hierarchical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developmental culture. Also,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both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perceived normative commitment highest followed by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a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oadage of factors through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t was being described appropriately by measurement variables of rel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rational culture, continuance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for a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perceived by teachers, it was verified that the relation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perceived by both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s hav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 type on a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perceived by teac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sity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akes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between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and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type has been verified. Relation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the cultural type that make strong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for daycare center than kindergarten, and developmental culture was the cultural type that makes stro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s than daycare center. To conclude, this study suggested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type by identifying that organizational cul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perceived by teachers make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d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appropria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조직 문화와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기관 유형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248명, 유치원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Kimberly 와 Quinn(1984), Quinn과 Magrath(1985), Denison과 Spreitzer(1991)가 개발하고, 조인숙(2005)이 사용한 조직 문화 측정 도구와 Allen & Meyer(1991)가 개발하고 이연용(2007)이 번안하고 구혜영과 김미예(2010)가 수정하여 사용한 조직 몰입 측정 도구이다. 설문지는 예비 조사를 거쳐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에게 직접 전달, 우편발송, e-mail을 통해 배부하고 수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와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교차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확증적 요인 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 개인 특성과 기관 특성에 따른 집단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재직기간, 경력을 제외한 교사의 결혼여부, 연령, 학력, 기관 규모, 개원 기간, 교사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개인 특성을 살펴보면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 보다 기혼이 많았으며 연령이 높았고 학력이 낮았다. 반면 유치원 교사는 어린이집 교사보다 미혼이 많았고 연령이 낮았으며 학력이 높았다. 기관 특성을 살펴보면 어린이집이 유치원보다 기관 규모가 작았으며, 개원 기간이 짧고, 교사 수가 적었다. 반면 유치원은 어린이집보다 기관 규모가 컸으며 개원 기간이 길고 교사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조직 문화의 경우, 어린이집과 유치원 두 기관의 교사 모두 관계 문화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위계 문화, 합리 문화, 개발 문화의 순으로 인식 하였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 몰입의 경우, 어린이집과 유치원 두 기관 모두 규범적 몰입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서적 몰입, 유지적 몰입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조직 문화, 조직 몰입 요인 간의 상/ 하위 변수들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확증적 요인 분석을 통해 요인 적재량을 살펴본 결과 관계 문화, 개발 문화, 위계 문화, 합리 문화, 유지적 몰입,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측정 변수들에 의해 적절히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문화와 조직 몰입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관계 문화와 합리 문화는 조직 몰입에 모두 양(+)의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조직 문화와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기관 유형의 조절 효과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교사의 조직 몰입에 영향력을 미치는 조직 문화 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며 기관 유형에 따른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어린이집은 유치원보다 관계 문화와 합리 문화가 교사의 조직 몰입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문화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은 어린이집보다 개발 문화가 교사의 조직 몰입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문화 유형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조직 문화가 조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보여줌으로써 기관 유형에 따른 바람직한 조직 문화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조직 문화의 특성을 입증하였다.

      • 놀이에 기반한 초등 도덕과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조윤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놀이에는 상이한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는 점과 이러한 의미가 도덕과 교육에 시사 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놀이에 근거한 초등 도덕과 수업을 제안하는데 있다. 수많은 교육자들이 놀이를 통해 교육을 해야 한다는 입장에 동의한다. 하지만 그 주장 안에는 놀이에 대한 상이한 견해가 내재되어 있다. 놀이에 대해 주장하는 견해 중 하나는 놀이를 유목적적 활동으로 보는 견해로, 이들은 놀이의 기능에 주목하여 놀이가 목적을 달성하는데 유용하게 작용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본다. 교육에 있어서 그 목적이 곧 교육 목표라 할 때 놀이는 교육 방법상 일종의 수단적 활동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와 다르게 놀이를 해방으로 보는 견해는, 놀이의 무사무욕(無私無慾)이라는 특징에 주목하여 놀이를 하는 동안 일상생활의 유용성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놀이를 수단-목적 관계로부터의 해방으로 본다. 이들이 견지한 놀이는 수단적 활동이 아닌 그 자체의 목적을 위해 자발적으로 정해진 공간과 시간에서 이루어지는 규칙을 따르는 행위 혹은 허구적인 표현 행위이다. 따라서 이들에게 있어 무관심적으로 체험되는 교육은 놀이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놀이에 관한 상이한 관점은 도덕교육과 긴밀하게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덕성의 표상과 관련하여 도덕과 수업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도덕과 교육은 도덕성이라는 특수한 개념을 다루는 교과이다. 추상적 개념인 도덕성은 수업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고 구체적으로 전달․수용된다. 일반적으로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성은 ‘의무’로 표현된다. 의무로 표현되는 도덕성은 ‘해야 한다.’는 강압적 힘으로 상징된다. 힘으로 상징되는 도덕성을 다루는 도덕과 수업에서 학습자는 흔히 재미없음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때, 놀이의 활용은 이러한 도덕과의 난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한편, 도덕성은 ‘해야 한다.’ 라는 규칙으로도 나타나지만, 그저 마음속에 느껴지는 것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소위 아름다움으로 체험되는 미적 도덕성이다. 아름다움은 유용성이나 자기 이익을 의식하기도 전에 직관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이러한 직관적 체험 안에서는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유희충동을 경험한다. 이는 놀이의 특징인 무관심성과 관련된다. 따라서 도덕과 수업에 무관심성을 본질로 하는 놀이의 형식이 반영된다면 이는 미적 도덕성의 체험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놀이의 상이한 두 의미를 반영한 초등 도덕과 수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놀이의 기능적 측면이 수업에 반영되기 위하여 초등 도덕과의 지식 이해 중심 과정․절차를 토대로 놀이 활동과 수업안을 예시한다. 다음으로는 유희충동의 개념을 수업에 반영하기 위하여 놀이의 특성을 형식으로 구성하는 수업 구성 관점과 수업안을 예시한다. 물론 이러한 수업 예시는 비판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덕과 수업에서 의무로서의 도덕뿐만 아니라 미로 체험되는 도덕까지 고려한다면 놀이에 기반한 도덕과 수업은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지속적으로 교육 현장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t meanings contained in play and what these meanings suggest in moral education, as well as to propose play-based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on this basis by comprehensively shedding light on the meaning of play. Although many educators agree with the pos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rough play, different views on play are contained in it. One view regards play as meaningful behavior focused on functions and as a part of activities that work toward achieving goals, drawing attention to the functions of play. Provide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re in line with the purpose in education, play has meaning as a kind of activities of means in instructional method. Another view regards play as emancipation, i.e., something that leads the mind of the emancipation from utility because gives players a break from the utility of daily life when playing, with a focus on the disinterested characteristics of play. In this case play is not the instrumental activity, but rather a behavior for following rules or fictional expression created in a voluntarily determined space and time for its own purpose. Therefore, education that is experienced disinterestedly could be regarded as part of play according to this view. Various perspectives on play can be closely related to moral education. They highly implies meanings in the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specifically regard to moral represent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a subject dealing with a particular concept, morality. Morality, an abstract concept, is specifically delivered and accepted through the instructional process. In general, morality is described as a 'duty' in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Morality described as a duty is symbolized by suppression force, 'must do'. In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dealing with morality symbolized by suppression force, learners often experience a sense of monotony and inconvenience. In such cases, the use of play can be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is thorny problem in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while morality often emerges as a 'must-do' rule, it can also emerge in the form of a feeling in the mind, that is, it is aesthetic morality experienced as beauty. Beauty is intuitively felt before one becomes aware of utility or profitability. In such an intuitional experience, spieltrieb, which harmonizes reason and emotion, is experienced, and this i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lay, disinterestedness. Therefore, if a type of play which makes disinterestedness essential is reflected in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this can be connected to an experience of aesthetic mora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reflecting two different meanings of play. First, this study illustrates play activities and instruction plans based on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such that the functional aspects of play can be reflected in instruction. Next, this study illustrates instruction plans and the structural perspective of instructions 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play in order to reflect the concept of spieltrieb in instruction. As a matter of course, these illustrations can be critically reconstructed. However, if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considers not only morality as a duty but also morality experienced as beauty, elementary moral instruction based on play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and refle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 문맥 추론 및 어휘 연상 전략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조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도한 텍스트를 활용한 문맥 추론 학습 및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연상 학습이 어휘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 학습자 수준의 사전 어휘 능력이 어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그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 성취수준에 따른 맞춤 어휘지도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험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수업 전 사전 어휘 성취능력을 측정하였고, 실험 수업 직후 사전 검사와 동형의 검사 문항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각 집단에게 지난 차시에 배운 어휘 다섯 개 항목에 대해 중간 어휘평가인 미니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능력 신장에 있어 어휘 교수법을 달리한 두 실험집단 간 검사 결과 문맥 추론 집단의 평균이 어휘 연상 집단의 평균보다 약간 높았으나 근소한 차이로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각 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향상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위집단의 사후 어휘 평가 평균 점수가 두 집단 모두 향상되었으며 하위집단 역시 점수가 향상되었다. 셋째, 성취수준이 서로 다른 학습자에게 맞춤 어휘 학습법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상·하위 집단의 향상도를 분석 해 본 결과 두 실험집단 모두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향상 되었고, 큰 차이는 아니지만 어휘 연상 학습이 문맥 추론 학습보다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상·하위 학습자들을 구분하여 전·후 학습의 반응 결과를 보면 문맥 추론 집단과 어휘 연상 집단 모두 상위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이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문맥 추론 집단의 하위 학습자들은 어휘 추론 방법을 잘 이해하지 못했으며, 모르는 어휘가 많아 어려움을 호소했다. 반면,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연상 집단의 하위 학습자는 그림으로 기억할 수 있어서 좋았고, 주제 중심으로 기억을 하니까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각 집단의 상·하위 실험집단 모두 어휘력이 향상된 점을 고려할 때 학습자 성취수준에 따른 맞춤 어휘학습 방법 지도가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어휘능력도 적절한 학습전략을 통해 끊임없이 계발 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그 가능성을 높이는 데 앞장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텍스트를 활용한 문맥 추론 및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연상 어휘학습이 실험 집단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휘지도 방법을 구체화 하고 학습자 수준에 따른 맞춤 어휘학습 전략을 꾸준히 계발하고 지도한다면 어휘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서울시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조윤희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시 구청 25개의 자치구 중 11개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사례를 비교 대상 분류는 지방자치제 실시 이전에 건립된 1996년 구청의 민원업무공간과 2000년 이후 환경개선사업이 실시된 민원업무공간 그리고 2000년 이후 새로 신축된 민원업무공간, 사례 규모는 연면적 기준으로 A사례 15,000㎡이하, B사례 20,000㎡이하, C사례 20,000㎡이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면Layout에 대한 공간유형 형태와 특성을 파악, 분석 민원업무공간에 있어 조사항목을 선정하고, 민원인과 밀접하면서 빈도수가 높은 항목을 선정하여 도면과 현장 조사 자료를 근거로 가구배치, 마감재 등의 변화를 분류 비교·분석 하였다. 최근 구청은 지역자치구사회의 중심시설로 권위적이고 위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을 위한 행정서비스 기관이라는 사고방식으로 변했으며 업무기능은 물론 정보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구청업무가 전산화·자동화되어 내부공간의 변화, 업무의 능률화로 과거의 전통적인 업무·행정 외에도 지역주민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변신을 꾀하고 있다. ‘원스톱 서비스(One-Stop Service)’로 고객만족경영 서비스를 내세우며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에게 친숙한·편리한 공간을 제공하며 주민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듯 행정서비스 환경의 변화는 구청민원업무 공간의 실내공간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행정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실내 공간구성이 어떻게 변화하였지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각 공간구성과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간의 계획적 측면에서 참고자료와 사회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구청 민원업무공간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변화의 흐름을 추출하였다. 사회적·시대적 흐름에 따라 구청사의 대지 면적이 조금씩 넓어지고 행정 조직의 개편과 인구의 증가로 구청 본관, 별관, 보건소, 등 3개 동이 신축·증축 되었다. 민원업무공간의 유형은 업무증대와 서비스의 향상으로 민원인이 자주 찾는 부서를 이관, 통합민원실로 여러 가지 업무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구청의 어느 한 층에 주 기능이 집약되어 있고 각 업무가 단위별로 분산되면서 연계된 업무를 서로 연결하는 집약형 유형으로 바뀌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공간 구획은 투명한 행정을 부각하면서 OPEN, 투명유리를 사용 개방성과 친밀감을 주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기능별 진입공간은 민원인의 편의, 동선의 효율성, 민원업무공간의 층별 변화 등으로 OPEN, 자동문,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등을 설치하고 주 출입구와 부출입구를 구획하여 동선을 자유롭게 유도하였다. 로비공간은 자치구만의 특성화된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삽입,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업무공간업무의 분리로 공간이 세분화된 실의 배치가 이루어졌고, OPEN 낮은 파티션으로 시선을 차단하여 직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효율적인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대기공간은 민원상담, 취업정보, 정보검색, 건강 체크 등의 공간 형성,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이 제공되고 있다. 민원업무공간의 서비스는 퀵서비스 공간은 카운터의 개수도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카운터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민원의자를 배치하여 민원인과 직원의 눈높이가 같아지고, 민원인에게 편리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다. 슬로우 서비스 공간이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1인당 점유면적이 늘어나고 파티션으로 구획,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며 질적 서비스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파악된다. 퀵서비스공간은 24시간 개방하여 언제든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민원업무공간의 카운터는 형식은 열린 행정, 주민참여 등의 사회흐름이 변화에 발맞춰 곡선이 가미된 카운터의 형태, 곡선과 직선이 연결하여 공간에 변화로 편안하고 부드러운 공간으로 보여줬다. 민원업무공간의 마감재 천정은 ZONE별 마감재를 분리, 대기공간은 LEVER차를 두어 공간감을 주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 조명은 ZONE별 분리 LED조명과 형광등을 이용하여 효율이며 경제적으로 이용, 벽체는 부분을 유리로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개방성을 확보, 바닥은 ZONE별 마감재를 분리 업무공간은 실용적인 마감재와 대기공간은 고급스러운 마감재를 사용하고 패턴과 색채에 변화를 주어 영역을 구분함과 동시에 동선을 유도하였다. 관공서라는 획일적이고 딱딱한 재료의 사용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구의 상징물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세련된 공간으로 민원인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방향에 대한 예측과 더불어 공간 요소의 활용과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구성의 변화는 시민의 참여가 중요시되는 기능보다 업무의 증가량 업무의 변화에 대한 행정업무중심으로 계획되었다. 민원업무공간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하기보다는 형식적인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주민의 참여가 미흡했다. 그리하여 사회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나아가야할 구청 민원업무공간의 업무공간은 업무의 분리로 공간이 세분화, 오픈된 공간에서 낮은 파티션으로 시선을 차단, 직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 하였으나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공간 주변에 상담실, 회의실 등을 배치, 근무자의 쾌적한 환경을 위해 직원휴게시설의 설치가 요구된다. 현재의 민원업무기능은 재택, 전자민원이나 FAX를 통해 신청하고 가까운 행정기관에서 찾아가는 형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동·주민센터나 구청을 방문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출퇴근 시간 등 편리한 시간을 이용하여 발급받을 수 있도록 전철역 등에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 전자민원G4C로 국민 누구나 행정기관 방문 없이 집·사무실 등 어디서든, 24시간 365일 인터넷으로 필요한 민원을 안내받고, 신청하고, 발급·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통해 청사의 방문 횟수가 줄어들 것이다. 구청 민원업무공간은 더욱더 다양한 시민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률이 높은 기능의 시설이 설치되어야 할뿐 아니라 전시홍보 및 지역 특산품 판매시설, 교육시설, 휴게실 라운드, 문화공간 등 민원업무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하여 주민 참여 중심의 민원업무공간의 기능이 더욱더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민원업무공간은 과거에도 그러하였듯이 사회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상호가 요구하는 가치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 물질적인 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 외적인 것을 모두 포함하여 욕구를 충족, 구현하기 위해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은행아카이브즈 구축을 위한 방안 연구 : 영국사례를 중심으로

        조윤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Bank archive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enable us to review the history of domestic society and economy as well as the bank's developments. Moreove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customer information and management-related archives is helpful in heightening the credibility from customers and thus promoting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need of study on schemes for bank archives management on a larger perspective of governance and, ultimately, the introduction of 'Bank Archives'. This study analyze the case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domestic situation, on which the directions for archives management are sought to serve to a bank's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Bank archives in the UK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relating to a bank's internal affairs, the second covering the activities of its customers and the third relating to the involvement and interests of its directors or proprietors outside the bank. Their main archives are Corporate Records, Customer Records, Staff Records, Premises Records, Bank and Branch Administration Records. The specific sources of the cases are Rothschild Archives, Royal Bank of Scotland(RBS) Group Archives and HSBC Group Archives. First, Rothschild Archives, established in 1978 and called as ‘Textbook of Bank Archives’, have made its great contribution to society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research center. Especially, ‘Research Forum’ is an on-line web-page constructed for maximizing the availability as an international academic research center, and is operated with membership system. Second, RBS was originally established under the royal sanction of the King of Scotland, and now is a global bank with 350-year history. On the web-page, ‘RBS Heritage Online’ linked to RBS Homepage, RBS provides general knowledge about financing history in the Scotland region as well as the history of RBS. In addition, the pages are comprised of the various sections for the main users, through which the users can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ir concerns and conveniently proceed with their use in detail. Lastly, HSBC Group Archives is seen to be a case applicable, as a form of a holding company of financial institutions, directly to the domestic situation. HSBC's Asia Pacific Region Archives adopts the archives management system diversified into each regional base, and, in this respect, it shows a desirable direction how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ffiliate firms' archives management. As such, the bank archives in the UK have distinctive features, but each has the evident purpose as to whether it is concerned with internal relations or external relations, and publish it actively and widely through its homepage and other means. On the other hand, the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is carried out through a form of museum or the office of historical materials. The typical examples are Woori Bank's Museum of Banking History and Hana Bank's Office of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former is an active example of outside use and the latter is an example of internal use, which pioneers in introducing the systematic process through an approach of archival science. Lastly, this study presented the basic condi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bank archives suitable for the domestic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s in the UK. The first condition is promoting the various utilization of the archives. The second is bringing up the experts of archives of banks and corporations. The third is introducing the operation of regional archives center in accordance with the bank's globalization and gigantism. The last condition is the recognition-changing efforts of corpora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operation of the expert training programs for corporations' archives management.

      • 성경적 상담 기법으로서의 독서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조윤희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성경적 상담은, 일반 상담으로는 문제의 분석과 진단은 가능해도 치료는 어려운 많은 문제에 대하여 소망을 제시하며 현장에서도 풍성한 열매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방법에 있어서 피상담자들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효과적으로 성경의 진리와 복음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혜로운 방법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그러한 방법을 제시함에 있어, 성경의 진리가 담긴 이야기들을 텍스트로 하여 상담의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성경적 상담의 방법론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오늘날 그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상담 현장에서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는 독서치료는 자료개발의 과제가 시급한데 성경이 바로 독서치료의 효과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입증하였다. 제2장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다루었다. 독서치료의 정의와 유형을 통해 독서치료의 개념 정립을 한 후에, 그 원리를 이론별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독서치료의 목적과 가치를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였고 성경적 독서치료에 독서치료 과정을 접목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독서치료의 인식론적 과정과 상담절차를 살펴보았다. 또한 성경이 독서치료 자료로서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독서치료 자료가 가지는 특성을 선정 요건과 장르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3장은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성경적 독서치료를 다루고 있다. 먼저 독서치료 자료로서의 성경이 가지는 가치를 성경의 문학성과 치료적 가치를 통해 입증하였고, 성경을 독서치료 자료로 텍스트화하기 위한 장르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감정을 다루는 것이 매우 중요한 상담에서 시편이 더욱 그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성경적 독서치료의 모델을 성경적 상담 절차와 독서치료의 원리를 접목하여 제시하였다. 제4장은 사례 연구로서, 앞서 제시한 성경적 독서치료를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성경적 독서치료의 진행절차를 제시하고 성경이 효과적인 독서치료의 텍스트로 사용된 실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성경적 상담에서도 성경을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고 성경이 일반 상담에서도 효과적인 자료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독서치료의 상담적 시도가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초기 단계에 있고 이론의 연구도 미비한 상태에서, 독서치료의 기능적 장점을 살려 상담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와 함께 독서 자료의 개발과 분류, 창작이 필요하다. 독서치료가 치료를 필요로 하는 정서적, 발달적 문제를 겪는 사람들 뿐 아니라 일반 아동이나 청소년, 또는 성인에게도 예방과 교육의 효과가 있음을 볼 때에, 실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단계별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은 더욱 필요한 일이다. 교회 내의 독서 모임이나 치료 프로그램에서도 성경을 사용하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유용하고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성경의 각 텍스트를 인물과 상황별로 분류하여 모든 문제와 상황에 따른 독서치료 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성경적 독서치료의 실제적인 활용을 위하여 필요한 작업임을 제언하면서 연구를 마친다.

      • 주택임대차 존속보호와 차임규제에 관한 고찰

        조윤희 동아대학교 법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임대차 존속보호와 차임규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Continued Existence of the Right of Housing Lease and Rent Regulation 부동산법학전공 조 윤 희 지 도 교 수 장 병 일 특정 제도는 특정 사회의 역사적·사회적·문화적산물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주택임차인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그것은 존속보호와 차임·보증금의 규제에 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현행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주택임차권의 존속기간이 2년으로 보장되어 있지만 계약갱신요구권이 없으므로 임대인과의 계약조건이 맞지 않으면 2년마다 주거를 옮겨야만 하는 실정이다. 재계약 권리 즉 계약갱신요구권이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금융시장에서 은행금리는 물가수준을 감안할 때 거의 제로에 가까운데, 그러한 이유로 부동산임대차시장에서 보증금은 점점 고액화 되고, 전세 보증금은 월세로 전환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리고 임대차계약 갱신시 월차임의 규제가 없기 때문에, 주거안정을 위해 계속 거주하고 싶지만 월가처분소득이 크게 줄어드는 것을 감당하지 못하는 임차인들은 자주 이사할 수밖에 없는 것이 부동산임대차시장의 현실이다. 본 연구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주요내용을 검토하면서, 특히 임대차 존속기간의 보호와 차임규제에 관한 문제점을 집중분석하여 국민의 주거복지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를 현행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대차 존속기간의 보호(법 제4조)와 차임 등의 규제(법 제7조)를 중심으로 정하였으며 외국의 입법례와 함께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검토하였는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일·영국·미국 등 선진국에는 우리나라와 같은 전세제도가 없고 매월 지불하는 월세제도가 보편화되어 있다. 19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산업화·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농촌인구가 대거 도시와 공업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주택이 부족해졌는데, 이러한 주택부족 현상은 노동력 공급에 큰 장애요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임대주택 보급에 힘쓰는 한편, 민간임대주택의 경우 임대료 규제와 함께 가격분쟁 이외 다른 사유로 임차인을 내보낼 수 없도록 하여 주거 안정과 임차인 보호를 위한 계약갱신요구권 부여 등을 통해 임차인을 보호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1915년 임대료규제, 1965년 공정임대료제도, 1972년 임대료보조제도 등의 도입으로 임차인 주거안정 확보는 물론 임대료 부담을 덜어주려고 노력하고 있다. 프랑스도 3년 또는 6년의 최소 계약기간을 두고 계약갱신권을 보장하는 등 임차인 보호를 위해 강력한 규제와 임대료보조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독일은 주택임대차관계 종료에 있어서 임대인에게 정당이익이 있는 경우에만 그 해지를 할 수 있으며, 임대인에게 주택임대차관계의 종료에 대한 정당이익이 있어서 그 해지가 유효라고 평가되더라도 그 해지에 의한 임대차관계의 종료가 임차인 또는 그 가족에게 ‘정당화될 수 없는 가혹’을 의미하는 때에는 임차인은 그 해지에 이의하고 임대차관계의 계속을 청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일본은 일단 성립한 건물임대차를 임대인이 종료시키려면 그에게 정당사유가 존재하여야 비로소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국회에 발의된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보면 임차인에게 ‘계약갱신요구권’을 1회에 한해 보장하여 결과적으로 4년간 임대차계약이 존속되도록 하는 주택임차권 존속보호 내용과 계약 갱신시 연5% 이내에서 차임을 인상하도록 하며, 임대인이 인상률 상한제를 위반할 경우 임차인이 차액 반환을 청구할 수 있게 하는 내용 등, 일정주기로 반복되는 전월세 급등과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여야 국회의원들이 법을 개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 결실을 맺지는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계약갱신요구권과 차임규제에 대하여 다양한 사회적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와 위헌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소수 의견으로 생각되며 외국의 많은 입법례가 있으므로 여야가 뜻을 모은다면 충분히 법이 통과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부동산정책의 입법화 과정에서 계약갱신요구권과 차임규제를 중심으로 하는 주택임대차보호법이 빠른 시일 내에 개정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주택임대차보호법, 존속보호, 계약갱신요구권, 차임규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