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거노인의 우울·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 미치는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조윤득,윤은경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analysis were 157 in total. The study had the findings as below. First, sense of community showed different outcome by the group according to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and hospitalization record. Second, social participation was high among women, religious persons, those with lower depression/anxiety and those with higher sense of community. Third, depression/anxiety had a negative relation with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participation, while sense of community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rect effect: the lower they had depression/anxiety, the higher they had social participation. While, when sense of community was pu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scale of the effect decreased relatively, showing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우울·불안감과 사회참여와의 관계에서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면서 노인복지관,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것은 총 157부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은 성별, 연령, 학력, 인지된 건강상태, 입원력 등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사회참여도는 여성이면서, 종교가 있고, 우울·불안감이 낮고,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우울·불안감은 지역사회공동체의식과 사회참여도에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은 사회참여도에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즉 우울·불안감이 낮을수록 사회참여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직접효과를 보였으며, 매개변수인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을 투입하였을 때 그 효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지역사회공동체의식의 부분매개효과가 파악되었다.

      • KCI등재후보

        보건복지계열 학과생의 공동실습 효과성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윤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understanding of effects of integrated field work for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welfare and establishing career identity. The data came from 120 students in 6 departments of health and welfare college in Busa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field work by health and welfare sites, this study implemented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understanding of effectiveness of integrated field work, 25 statements developed by students’ self-assessment and identified 5 factors by factor analysis and those were named as ‘strengthening communication(6 statements)’, ‘strengthening connectivity ability (5 statements)’, ‘strengthening perception of one’s own major (6 statements)’, ‘perception of difference from other major(5 statements )’ and ‘respecting other department (3 statements )’. Second, Effect of integrated field work influencing the career identity turned out to be ‘strengthening perception of one’s own major’. In other words, students’ perception of one’s major was able to be strengthened through integrated field work and it turned out to be influenc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career identity.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 연계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된 다수의 전공학과 학생들의 공동실습이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직업교육으로서의 공동실습의 효과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부산지역 K대학의 보건복지학부 6개 학과 학생으로서 보건복지현장 공동실습에 참여한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실습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 의해 개발된 25문항을 선정, 요인분석 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이 수렴되었고, 이를 ‘소통력 강화’(6항목), ‘연계력 강화(5항목)’, ‘자기전공인식강화(6항목)’, ‘타전공과의 차이인식(5항목)’, ‘타과 존중(3항목)’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진로정체감에 대한 공동실습의 효과는 실습 전(M=2.25. SD=.298)과 실습 후(M=2.50, SD=.507) 비교 결과 진로정체감이 전체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공동실습 효과성 요인은 ‘자기전공인식강화’로 나타났다. 즉, 공동실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전공에 대한 인식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이는 곧 진로정체감 강화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일상생활수행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조윤득,임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0 노인복지연구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ay the advance of late-life disability by grasping the bio-psychosocial variables that have affected the performance of daily lives for the aged. As for the survey,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questionnaire s an object of the 439 aged, over 65 years old, who resided in the area of Busa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isability of daily livings are the respondent‘s age, education levels, history of hospitalization in the last three months of this study, number of diseases. Second, the hospitalized experience, the number of diseases and the greater depressed was increased disability of daily living whereas vision, hearing ability,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ocial relationship was reduced disability of daily living. Third, these findings provide the potential for pychosocial intervention to prevent of dis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and suggestion according to these study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일상생활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리․심리 사회적 변인을 파악하여 장애의 진전을 지연시키고,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인 대책마련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설문조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4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 학력, 과거 3개월 이내의 입원경험, 질환 수 등의 개인특성에 따라 일상생활수행 장애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과 거주형태, 경제적 상태에 따른 장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원력이 있거나 현재 치료받고 있는 질환 수가 많거나, 우울의 증세가 심할수록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청력과 시력, 신체기능, 인지기능, 의사소통, 사회적 관계 등이 양호한 경우에는 일상생활수행 장애의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대상자들의 개인특성이나 신체적․인지적 기능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기보다는 의사소통, 우울, 사회적 관계 등과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일상생활상의 장애를 예방, 지연시키거나 악화를 최소화하는데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뒷받침해준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와 제언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