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행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유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M. A. Thes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Happiness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Yuri Cho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onjoo Lee, Ph.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ollege students' happiness and the processes and efforts involved to be happy. Of qualitative methods, the research chos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even research subjects participated in one-on-one intense interviews for the entire month of March in 2011. Depending on the participant, in-person interviews were conducted one or two times and additional or compliment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nes, email, cell phone messaging, and the internet messenger. Phenomenological method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s well; this research uses Giorgi's four steps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irty-three semantic units, I grouped the similar ones into fifteen subcateg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college students felt happy they felt positive feelings such as "the joy of pursuing one's dreams,” “love between like-minded people,” “sense of fulfillment after hard work,” “getting a self-esteem boost from support and recognition by others.” When they are not happy these were the negative feeling they felt; “fear of getting hurt,” “feeling guilty about doing something that goes against one's principles,” “feeling guilty about acting out of control,” “anger and frustration about things not working out as planned,” “anxiety about competition,” “depression from suffering alone.” For efforts towards happiness, the college students listed “doing one’s best in the present moment,” “doing activities that are enjoyable,” “consciously be in control of your own feelings,” “looking after people around me,” “hiding oneself.” Here are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data analyzed in this research. First, college students felt happy when they set a clear goal in life and worked towards attaining it, when they shared their feelings and affections with family or people they cared about, when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fter they've worked hard for a goal, and when they felt a boost in self-esteem by being recognized and appreciated by people around them.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not happy when they were afraid of being hurt, when they did things that went against their own principles, when they felt guilty about acting out of control, when they felt anger about things not working out the way they had planned, when they felt threatened by competition, and when they felt depressed because they were suffering alone. Third, college students cherished past positive emotions and recognized them as experiences that will lead to future happiness. Fourth, college students were happy when they were focused on the present and doing their best in the present, when they were doing activities that they liked, when they were consciously in control of their own emotional states, when they looked after the people around them, and when they avoided problems. Fifth, college students turned negative emotions into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ir own ways of being happy. Sixth, students that were more active in exploring oneself and felt more positive emotions were happier and had a more positive outlook on the future than students who were shy or hesitant about self-exploration. 대학생 행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 유 리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지도교수 이 윤 주 요 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복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와 행복해지기 위한 노력들을 알아보고자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에 속하는 연구 참여자는 총 7명이며, 2011년 3월 한 달 동안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따라 인터뷰 횟수는 1~2회 가졌으며 추가, 보충할 내용에 대해서는 전화, 이메일, 휴대폰 문자 서비스, 인터넷 메신저를 이용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Giorgi의 4단계 분석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 결과로 의미단위 33개중 의미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내용들을 묶어 15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생이 행복 할 때 느끼는 긍정 정서로는 ‘꿈을 향해 달려가는 즐거움’, ‘마음을 나누는 사람들과의 애정’, ‘노력 후에 얻어지는 성취감’, ‘지지와 인정받음을 통한 고양감’이며, 대학생이 행복하지 않을 때 느끼는 부정 정서로는 ‘상처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신념에 어긋난 행동에 대한 죄책감’, ‘통제 밖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 ‘뜻대로 되지 않을 때의 분노감’, ‘경쟁에 대한 불안감’, ‘홀로 참고 견딜 때의 우울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실천하는 행복해지기 위한 노력으로는 ‘현재의 과정에 빠져들어 최선을 다하다’, ‘좋아하는 활동을 즐기다’, ‘의식적으로 정서를 조절하다’, ‘주변 사람들을 챙기고 돌보다’, ‘나를 숨기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내용들에 근거하여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삶의 목표를 세우고 그 꿈을 향해 나아가는 즐거움을 느낄 때, 가족과 그 외 대인관계 속에서 사람들을 챙기고 돌보며 마음을 나눌 때,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그 후에 얻어지는 성취감을 느낄 때, 주변 인물들로부터의 지지와 인정받음을 통한 고양감을 느낄 때 행복했다. 둘째, 대학생들은 상처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낄 때, 신념에 어긋난 행동과 통제 밖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낄 때, 뜻대로 되지 않아 분노감을 느낄 때, 경쟁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때, 홀로 참고 견디며 우울감을 느낄 때 행복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들은 긍정 정서를 느낀 과거 경험을 향후 더 행복해지기 위한 소중한 경험으로 인지했다. 넷째, 대학생들은 현재 과정에 집중하고 최선을 다하기, 좋아하는 활동을 즐기기, 자기 정서를 조절하기, 주변 사람들을 챙기고 돌보기, 회피하기를 통해 행복해했다. 다섯째, 대학생들은 행복해지기 위한 자신만의 방법을 통해 부정 정서를 긍정 정서로 전환시켰다. 여섯째, 자기 탐색에 적극적이며 긍정 정서를 많이 느낀 대학생들은 자기 탐색에 소극적이거나 탐색이 부재한 학생보다 더 행복하며 미래 행복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 페미니즘에서의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연구

        조유리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젠더(gender)와 관련된 가치들은 현재 우리의 삶의 맥락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많은 사회적 이슈들과 함께 젠더 감수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이에 따라 젠더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청소년기에 젠더와 관련된 고정관념과 태도는 전반적인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양성평등 의식 형성을 위한 적절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고 다양한 삶의 형태와 가치관들이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범람하는 많은 지식과 정보들은 남성중심적 시각에 의해 균형 잃은 시소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페미니즘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은 내용과 방법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페미니즘은 삶에 있어서 주체성을 여성에게 부여함으로써 양성 관계의 균형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단순한 이념이나 사상을 넘어서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이 인간의 존엄성과 주체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는 실천적 행위 인 것이다. 따라서 페미니즘 미술은 여성들이 사회적 맥락 속에 지니고 있는 여러 현실 관계들의 본질을 인간성 회복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여성들 삶의 전반을 예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미술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표현한 대상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영역이다. 개인의 생각과 감정을 담은 조형물일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정신과 사회상을 반영한 하나의 역사 그 자체로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이다. 그러므로 페미니즘 미술을 감상하고 비평한다는 것은 우리의 역사에 배재되어 온 여성의 삶을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스스로의 주체성을 확립하여 우리의 문화를 더 나은 방향으로 계승시키고 발전하기 위해서도 학생들의 민감하고 수준 높은 감상 및 비평 정신은 필수이다. 페미니즘을 기반으로 한 미술 교육은 앞으로 미술 감상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표현 중심 위주의 교육 방법을 넘어 민주적 상호작용을 통한 감상은 폭 넓은 비평능력을 수반하게 될 것이다. 풍부한 젠더 감수성을 통한 양성평등 의식의 함양이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감상자로서 역할하게 하며, 이는 폭 넓은 미술 교육의 확장을 가져올 것이라 기대한다.

      • 국가자격제도의 법적 기반과 운영에 대한 검토

        조유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Until now, the method of granting qualifications has been by evaluating applicants by taking tests at a certain level and area. There are various evaluation methods, but most of them were typical in the way they sat at their desks and unfolded their memorized knowledge. Recently, however, a new type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such as "course-based qualification"(Article 10-2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ACT) and "work-study combination certification"(ACT ON WORK-STUDY COMBINATION AT INDUSTRIAL SITES). This is evaluated as a new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to overcome the gap between education and qualification, which qualifies a curriculum with specific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the evalu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said that tests or tests are not the only way to evaluate and recognize that they have qualifications or job performance skills. "The legislator must grant qualifications to all those who are actually recognized to have sufficient ability and knowledge to perform the job smoothly."(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July 15, 2021, case no. 2018 heonma 279). The state-led qualification system is easy to manage and supervise, but it is easy to operate without excluding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who are prisoners due to administrative expediency. This will not be a problem only for any administrative agency. Until now, there has been a recognition of the content aspect, that is, the ability to be included in the test method, test subjects, and application qualifications, and detailed processing procedures, focusing on the individual qual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legal discussions on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and due to the tendency to be discussed by individual qualification ministries and individual groups, there was a lack of a unified and consistent dire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system.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s a form of individual subjective public authority guaranteed by other basic rights, including freedom of occupation, and a component of objective legal order to be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Currently, most of the operational form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re carried out by delegation and entrust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lement the rule of law administration so tha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who are the offender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re not violated by the arbitrary operation of the system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delegation and entrust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laws with such risks (see Chapter 2 discussion), and secondly, to reorganize procedures accordingly (see Chapter 3 discussion). The issue of reorganization of the law is first about a full investigation and reorganization between the Basic Act on Qualifications, which has a status as a basic law, and individual qualification laws that do not match the system. In Japan, a large-scale full-scale survey was conducted around 2000's to promote the overall qualification system. Therefore,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f Japan's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results of the total survey to refer to the current status of our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n particular, laws and regulations in which the basis for conducting the test is frustrated in sub-laws without delegation of the parent law limit the opportunity to take the test itself, so it should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ystem. If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continue the qualification, the procedure for change or aboli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erms of procedural reorganization, it refers to the reorganization of parts where the principles of individual qualification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conflic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the citizens who are prisoners shall be guaranteed their legitimate rights and be rescued through legitimate administrative procedures. When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imposes restrictions on rights or obligations on an individual, the basis thereof must be in the law, and important matters must be delegated after being stipulated in the law. The national qualification manager should operate a credibl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y recognizing and reorganizing the legal problems of the qualification system in the current fragmented individual qualification laws. To this end, integrat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system can also be considered. The scope of studies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system is diverse and the scope is wide, so it is understood that microscopic solutions are coming out. Efforts to improve the individual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will be supported through the rule of law administration to operate as an effective system.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ystematic design and oper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i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by supporting the system through such procedural maintenance. 그간 통상적으로 자격을 부여하는 방법은 일정한 수준과 영역의 시험을 치르게 하여 응시자를 평가하는 방식에 의하였다. 평가방법은 다양하나 대부분은 책상에 앉아 암기한 지식을 펼쳐내는 방식이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럽의 도제 방식을 차용한 과정평가형 자격(「국가기술자격법」제10조의2), 일학습병행 자격(「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 등 새로운 형태의 국가자격제도가 도입되어 운영 중에 있다. 이는 특정한 조건을 갖춘 교육과정을 평가와 연계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교육과 자격의 괴리 현상을 극복하려는 새로운 국가자격제도로 평가된다. 헌법재판소에서도 시험 또는 검정만이 자격 또는 직업수행의 능력을 구비하였음을 평가․인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입법자는 해당 업무에 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교육만 받으면 실제 업무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당해 직업의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지식 등을 갖춘 것으로 인정되는 사람이면 모두에게 자격을 부여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판시하고 있다(헌재 2021. 7. 15. 2018헌마279등). 국가 주도의 자격제도는 관리감독이 용이한 대신 행정편의주의를 이유로 수범자인 국민의 기본권을 배제한 채 운영되기 쉽다. 이는 어느 한 행정청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그동안에는 개별 자격제를 중심으로 내용적 측면, 즉 어떤 사람에게 자격을 부여할 것인지에 대하여 시험방식이나 시험과목, 응시자격 등에 포함되어야 할 능력과 그 세부 처리절차에 대한 문제인식이 있어왔다. 이에 비하여 국가자격제도의 운영에 관한 법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였고, 개별 자격 소관부처 및 개별 집단별로 논의되는 경향으로 인하여 제도의 운영방향에 대한 통일되고 일관된 방향은 다소 부족하였다. 국가자격제도는 직업의 자유를 포함한 여타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되는 개인의 주관적 공권의 한 형태이자 헌법상 보장되어야 할 객관적 법질서의 구성요소이다. 현재 대다수의 국가자격제도의 운영형태는 대부분 위임 및 위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위임과 위탁에 따른 운영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자의적인 제도의 운영으로 인하여 국가자격제도의 수범자인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법치행정주의를 관철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첫째로는 그러한 위험이 있는 법률의 개편이고(제2장 논의 참조), 둘째로는 이에 따른 절차상의 재정비(제3장 논의 참조)가 필요하다. 법률의 개편 문제는 먼저 기본법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는 자격기본법과 체계가 맞지 않는 개별 자격법령간의 전수조사와 이의 정비에 관한 것이다. 일본에서도 2000년경 대대적인 전수조사를 진행하여 자격제도 전반에 관하여 정비를 추진한 바 있다. 이에 일본의 자격제도 현황과 전수조사 결과를 소개하여 우리의 국가자격제도 현황 파악에 참고하고자 한다. 특히 시험실시의 근거가 모법의 위임없이 하위법령에서 좌절되는 법령은 응시기회 자체를 제한하는 것이므로 법체계에 맞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만약 더 이상 해당 자격을 지속할 필요가 없어졌다면 변경 또는 폐지 절차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절차상의 재정비 측면에서는 개별 자격법제와「행정절차법」상 원칙이 상충하는 부분의 정비를 말한다.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적법한 행정절차를 거쳐 수범자인 국민이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고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개인에게 권리제한 또는 의무를 부과하는 행정처분을 할 경우 그 근거는 반드시 법률에 두어야 하고, 중요사항은 법률에 규정한 뒤 위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국가자격관리자는 현재의 파편화 되어있는 개별 자격법령에서의 자격제도의 법적 문제점을 인식하여 재정비함으로써 공신력 있는 국가자격제도를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격제도와 관련한 학문간 통합연구 등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격제도와 연관되어 있는 학문의 범위는 다양하고 영역도 광범위하여 오히려 미시적인 해결책이 나오고 있는 실정으로 파악된다. 개별 국가자격제도 개선 노력은 법치행정을 통하여 뒷받침되어야 실효성 있는 제도로 운영될 것이다. 국가자격제도의 체계적인 설계와 운영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러한 절차적 정비를 통한 제도의 뒷받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와 성격강점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조유리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이성관계 만족도와 성격강점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성격강점이 이성관계 만족도와 스트레스 반응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및 부산에 소재하는 6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680명을 대상으로 이성관계 만족도 및 스트레스 반응, 성격 강점에 대해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44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t-test,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이성관계 만족도에서 문제해결의사소통이, 스트레스 반응에서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이 성격강점에서 지혜와 지식, 용기, 정의감, 절제력, 초월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이성관계 만족도와 성격강점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성관계 만족도 중 공유시간이, 성격강점의 하위요인 중 초월성이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공유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서 초월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초월성은 공유시간과 스트레스 반응간의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bel test를 통해 이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이성관계 만족도와 스트레스 반응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같은 상황에서도 성격강점을 활용한다면 이성관계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반응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어 : 이성관계 만족도, 성격강점, 스트레스 반응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character strengths on stress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determine if character strengths have an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stress responses.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about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tress responses, and character strengths was conducted in 680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at six universities in Daegu,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then, 44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processed by using an SPSS 20.0 program to perform t-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gender in a single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in such sub-factors of stress responses as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and in such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s as wisdom&knowledge, courage, a sense of justice, temperance, and transcendence. Seco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character strengths affected stress responses; the sub-factor of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hared time, and that of character strengths, transcendence, exerted the greatest impact.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ranscend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shared time and stress responses were shown and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Sobel tes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is clos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using character strengths can improve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reduce stress responses even in the same situation. Key words: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Character Strengths, stress response

      • 마사지 유형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를 중심으로

        조유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초 록 마사지 유형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연구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를 중심으로- 조 유 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뷰티예술경영전공 지도교수 : 심재숙 현대사회는 개인의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웰빙과 웰루킹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자기관리와 테라피를 넘어 심신의 힐링을 지향하는 것을 의미하며, 인간의 궁극적인 미와 건강을 동시에 추구한다. 단순히 외적으로 보여지는 변화 외에 내적으로 나타나는 스트레스 극복차원에서도 심신의 힐링인 피부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사지 유형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다룬 효과에 대해 고객들이 실제로 인식하고 있는지, 경험 후 만족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여러 요법 중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경락·림프·근육)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지역의 아유르베다 전문 관리실 4곳을 이용하는 아유르베다 및 일반 마사지의 경험이 있는 20대~50대의 여성 350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설문조사하였고, SPS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에 대한 인식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했다.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가에 대해 측정한 결과 아유르베다 마사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88.8%, 일반 마사지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96.7%로, 아유르베다 마사지에 대한 인식과 일반 마사지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유르베다 마사지의 주 목적으로 노화예방 및 지연, 문제성 질환개선을 목적이란 응답이 많았던 반면, 일반 마사지는 피로회복, 외적미용(얼굴·바디라인) 개선을 목적이란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유르베다 마사지의 발전가능성에 대해 97.6%가 일반 마사지는 65.5%가 보완대체요법으로써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아유르베다 마사지와 일반 마사지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했다. 관리 후 만족도에 대해 아유르베다 마사지는 94.5%, 일반 마사지는 56.9%로, 관리사의 전문 지식과 차별화된 기술, 다양한 서비스 제공,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여 최상의 만족도를 느낄 수 있도록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유르베다 마사지 후 어떤 효과를 기대하는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문제성 질환 개선이 가장 많았으며, 일반 마사지는 통증 완화 및 개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이용의도에 대해 아유르베다 마사지는 80.9%, 일반 마사지는 30.6%로 큰 차이를 보였고, 전문성 및 신뢰성 등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아유르베다 마사지 및 일반 마사지의 관리실 선택에 있어 관리사의 전문성 및 시술능력이 전체 5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면서 관리사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스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결과를 함축적으로 검토하면, 건강한 사회의 안녕을 위해 건강개선과 질병 예방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건강한 몸을 위해 몸 상태를 바로 알고 그에 따라 행동양식들을 달리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고객 입장에서 필요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아주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아유르베다 마사지는 통합의학으로써 삶의 지침서와 같은 학문으로, 여유 없는 삶과 스트레스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적절한 관리일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아유르베다, 경락, 림프, 근육, 마사지 ABSTRACT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Massage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Jo, yu-ri Advised by Professor Shim, jae sook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Gachon University As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modern society tends to prefer well-being and well-looking. This means that you aim to improve your body and mind beyond self-management and therapy, Human ultimate beauty and health at the same time pursue. In addition to the outward visible changes, In order to overcome stress, the necessity of skin care, which is the body and mind healing,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customer is actually aware of the effects covered by the preceding study based on the type of massage. To explore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s after experiencing experiences, she studied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meridian, lymph, and muscl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50 women in 20s ~ 50s who have experience of Ayurveda and general massage using 4 Ayurveda professional management rooms in Daejeon area, SPSS Ver.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18.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wareness of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are as follows. A measurement of how well you know about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88.8% answered that they knew Ayurveda massage, and 96.7%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general massag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general massage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fatigue and improve external beauty (face and body lines). 97.6% of the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yurveda massage, the general massage 65.5%, As a complementary therapy was positively assessed. Secondly, th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atisfaction of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About satisfaction after management Ayurveda massage is 94.5%, regular massage is 35.4%, The expertise of the manager and Differentiated technology, Various service offerings, Continuous effort will be needed to grasp the various needs of the customers and to feel the best satisfaction. After Ayurveda massage, As a result of looking at what effect to expect, the most problematic disease improvement was the most, the general massage showed the most pain relief and improvement. Regarding the intention of reuse, Ayurveda massages were 80.9% and general massages were 30.6%, Satisfaction with service, such as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affects re-use intention. Employees'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capacity account for more than 50% of Ayurveda massage and general massage,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ystem of the manager was preferred.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for the well-being of a healthy society, For a healthy bod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hysical condition right away and to manage it constantly by changing the behavior patterns accordingly. Also, with technical development, i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to pinpoint the requirements and find improvements in the customer's position. Ayurveda Massage is an integrated medicine, a study of life, I expect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for modern people who live in the midst of hectic living and stress. Key words: Ayurveda, meridian, lymph, muscles, massage

      •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조유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갈등과 갈등대처행동 및 결혼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사회인구학적인 변인과 심리적 변인, 의사소통 변인에 따라서 부부갈등과 갈등대처행동 및 결혼만족도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며, 이러한 변인들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광주시내에 거주하면서 이혼, 별거, 사별하지 않고 결혼상태에 있는 부부 350쌍을 조사하여 그 중 219쌍(438명)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서 사용되었다. 그리고 조사도구로는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PC program을 활용하여 Cronbach의 □계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aired t-test, one-way ANOVA, Duncan의 다중 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평균점수가 남편의 경우 32.02, 부인의 경우 33.16으로 부부갈등정도가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갈등영역과 공동생활 갈등영역에서 부인이 남편보다 갈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대처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해서 살펴보면, 평균 점수가 남편의 경우 55.44, 부인의 경우 56.57로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성적 대처와 외부도움 요청을 부인이 남편보다 더 많이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평균 점수가 남편의 경우 36.38, 부인의 경우 36.01로 부인보다 남편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련 변인에 따른 부부갈등, 갈등대처행동 및 결혼만족도는 다음과 같다. 관련변인에 따른 부부갈등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개인적 갈등영역에서는 소득수준,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부관계적 갈등영역에서는 소득수준, 결혼기간, 종교유무,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생활 갈등영역에서는 직업, 소득수준, 자녀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제삼자 갈등영역에서는 직업, 소득수준, 자녀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개인적 갈등영역에서 취업유무, 소득수준, 의사소통 효율성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부관계적 갈등영역에서는 소득수준, 가족유형,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동생활 갈등영역에서는 소득수준,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제삼자 갈등영역에서는 취업유무, 의사소통 효율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련변인에 따른 갈등대처행동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 이성적 대처는 연령, 학력, 소득수준, 결혼기간, 결혼유형, 결혼전 교제기간,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외부도움 요청은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피는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은 연령, 학력, 직업, 소득수준,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 이성적 대처는 소득수준, 결혼유형,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부도움 요청은 연령, 종교유무,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제삼자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회피는 학력, 가족형태,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감정 행동 표출은 소득수준, 의사소통 효율성, 모든 갈등영역에서의 갈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련변인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살펴보면, 남편은 학력, 결혼기간,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인의 경우는 취업유무,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효율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살펴보면, 우선 부부갈등에 따른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는 모든 갈등영역에서 남편과 부인 모두 갈등이 적은 집단이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대처행동에 따른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이성적 대처를 많이 하는 집단, 회피와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을 적게 하는 집단이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결혼만족도는 이성적 대처를 많이 하는 집단, 회피를 중간 이하로 하는 집단, 부정적 감정 행동 표출을 적게 하는 집단이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남편의 경우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을수록, 개인적 갈등영역과 제삼자 갈등영역에서 갈등을 적게 느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남편의 결혼만족도를 70% 설명해 주고 있다. 부인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을수록, 부부관계적 갈등영역과 공동생활 갈등영역, 그리고 제삼자 갈등영역에서 갈등을 적게 느낄수록, 부정적 감정·행동 표출을 적게 할수록 결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부인의 결혼만족도를 61% 설명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marital conflicts,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to examine the difference among marital conflict,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 variables and communication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9 couples living in Kwang-ju.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test marital conflict, conflict coping behavior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Cronbach's □,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aired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r,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 package of SAS is used to perform these analys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 1. The general tendency of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s were median. The general tendency of the degree marital conflicts showed that wives' is higher than husbands'. 2. The general tendency of level of conflict coping behavior showed that wives' is higher than husbands'. It showed that wives prefers reasoning and outsider's help. The general tendency of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median.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wed that husbands' is higher than wives. 3. Husbands' conflict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income level, marriage period, marriage type, association period, self-esteem, sex-role attitud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ll area of marital conflict. Wives' conflict cop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family type, marriage type, religion, self-esteem, sex-role attitud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ll area of marital conflict. 4.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marriage period, self-esteem,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ll area of marital conflict, reasoning, avoidance, emotion and violence expressi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mployment yes or no, self-esteem,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ll area of marital conflict, reasoning, avoidance, emotion and violence expression. 5.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education level, efficiency of communication, individual area of conflict, a third party area of conflict and were explained about 70% by these variables.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self-esteem, efficiency of communication, marital relation area of conflict, cooperation living area of conflict, a third party area of conflict, emotion and violence expression and were explained about 61% by these variables. In conclusion, to improve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efficiency of communication must be increased and marital conflict must be diminished by problem solving-focused coping behavior.

      • 프뢰벨과 듀이의 놀이 이론에 대한 비교 연구

        조유리 경인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Frӧbel’s and Dewey’s theses regarding ‘play as a way of education’ and discuss concepts and principles of educational play on the basis of their theories.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ose theories to school classes and preparing a theoretical basis for letting the meaning of educational play be realized in practice. Three issues are dealt with to reach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of all, the comparisons of Frӧbel’s and Dewey’s educational ideas and their concepts and principles of play based on their theories are shown. Then we examine concepts of educational play through comparison of their theories based on educational play. Finally, we offer ways for teachers to practice those educational plays discussed earlier in the classroom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Frӧbel and Dewey have different concepts of educational play due to their different ideas of childhood education, while their methods are both child-centered in that they respect children’s instincts and interests. When it comes to principles of plays, Frӧbel structured plays based on the ‘principle of symbolism’ while Dewey criticized his principles as he thought they could hinder the growth of children in the real sense. Through the discussi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Frӧbel and Dewey's theses, we can conclude as follows: the concept of educational play needs to be reciprocal so that the play methods can help children to be curious and to continue their development. If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s of educational play discussed in this study and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play could be possible, which can promote real meaning for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이 연구는 ‘교육방법으로서의 놀이’에 대한 프뢰벨과 듀이의 놀이교육사상을 탐구하는 가운데 교육적 놀이의 개념과 원리에 대하여 논의해보고 이를 실제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놀이의 교육적 의미를 교육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 가지 차원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는데, 먼저 프뢰벨과 듀이의 교육사상과 이를 토대로 한 놀이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비교 논의를 하였고, 다음으로 그들의 놀이에 대한 이론의 비교를 통해 교육적 놀이의 개념과 원리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논의된 교육적 놀이를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실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프뢰벨과 듀이의 놀이의 개념은 그들의 아동관과 교육사상의 차이로 인하여 차이점을 보였지만 아동의 충동과 흥미를 존중하는 아동 중심 교육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였다. 놀이의 원리에 있어서 프뢰벨은 놀이를 ‘상징성의 원리’에 바탕을 두어 구조화하여 제시하였지만, 듀이는 이러한 원리가 아동의 진정한 의미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생각하여 프뢰벨의 놀이 원리를 비판하였다. 프뢰벨과 듀이의 놀이에 대한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는 가운데 교육적 놀이의 개념은 아동의 성장을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과 교육적 놀이의 원리는 아동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아동이 계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도록 자유로운 상호활동의 방식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논의된 교육적 놀이의 개념과 원리를 교사들이 이해하고 교육활동에 임한다면 교육적 놀이의 실현은 가능하게 되어, 아동의 진정한 발달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서 놀이의 의미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 콜레스테롤 공인시험법 개선 연구

        조유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식품공전 내 콜레스테롤 분석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한 효율성 및 안전성 높은 시험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콜레스테롤 분석 기기로 GC-FID를 이용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해 콜레스테롤의 회수율 시험과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정밀도와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회수율은 95.1~104.6%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직선성 0.99999, 검출한계 0.85 mg/L, 정량한계 2.71 mg/L로 나타났다. 또한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0 mg/L의 농도의 콜레스테롤 표준물질을 제조하여 3일간 3회 반복(intra day, inter day)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 1,0%, 2.3%로 국제적 수준의 상대표준편차 값인 15% 이하를 보여 매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질에서 콜레스테롤을 유리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검화과정이 필요하다. 콜레스테롤은 검화시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온도가 높을 경우 파괴되어 산화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콜레스테롤 분석을 위해 검화시간과 온도에 대한 조건 설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85℃와 90℃에서 60 min과 90 min의 조건으로 분석하여 확인한 결과 90℃에서 60 min의 조건에서 콜레스테롤 및 내부표준물질인 5α-cholestane의 함량 감소가 일어나지 않아 본 연구의 최종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본 분석법으로 시료를 분석한 결과 식용유지류인 치즈 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44.70~45.87 mg/100g, 초콜릿류는 2.43~3.08 mg/100g, 두유는 검출되지 않았고,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인 단백질파우더는 1.76~2.05 mg/100g 검출되었다. 콜레스테롤은 다량 섭취 시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이러한 질환과 관련하여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정확하고 신속한 콜레스테롤 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화학적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k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an official analytical method for cholesterol by identifying problems regarding cholesterol analysis based on the Korean Food Standard Codex. GC-FID was employed to analyze cholesterol. For the validation process, recovery, linearity, limits of detection, limits of quantitation, precision and accuracy were evaluated. The improved method presented that the recovery was 95.1~104.6%, with the linearity value of 0.9999.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tation were 0.85 mg/L and 2.71 mg/L respectively. The precision and accuracy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intra-day and inter-day evaluation. Cholesterol standard in the concentration of 1,000 mg/L was analyzed three times a day(1.0%)and for three days(2.3%). The developed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analysis of cholesterol as the results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RSD: 15%) according to FDA guidelines. A saponification was employed to extract cholesterol from lipid. During the saponification process, there could be a degradation of choresterol. Therefore, saponification time and temperature should be optimized to prevent cholesterol degradation. The saponification,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60 to 90 minutes with 85 to 90℃ as there was no reduction of the internal standard(5a-cholestane). The results found that cheese contained 44.70 to 45.87 mg/100g of cholesterol, and 2.43 to 3.08 mg/100g of cholesterol was detected in chocolate, and protein powder for weight-loss had 1.76 to 2.05 mg/100g of cholesterol while soybean milk had no cholesterol. Cholesterol causes vascular diseases such as arteriosclerosis when large amounts of cholesterol were ingested. To prevent the diseases, the amount of cholesterol ingeste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be controlled. Therefore, it requires an accurate and precise analysis of cholesterol in food product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chemical analysis of cholesterol studies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develop a rapid and accurate cholesterol analysis method in food products. Key words: cholesterol, GC-FID, recovery factor rates, linearity, detection limit, quantization limit, precision and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