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여성 캐릭터의 재현 방식 변화 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조영원,권상정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애니메이션은 주로 비판적 수용 능력이 낮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고, 반복적으로 감상하는경우가 많아 표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콘텐츠다.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정형성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1995년 처음 공개된 후 2019년 4편까지 공개된 작품 <토이 스토리>를 젠더 고정관념과 여성주의 정체성 모형에 근거해 분석했다. <토이 스토리>는 작품성과 대중성이 뛰어난 작품이면서 25년이라는 세월 동안 하나의 세계관 아래 캐릭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뿐아니라 장난감의 세계라는 설정으로 인해 하나의 작품 안에서 성 역할에 대한 다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본 여성 캐릭터는 제시에서 바비, 보를 거치면서 외형적으로는 활동적이지만 결정적인순간 남성 캐릭터의 도움을 기다리는 수동 캐릭터에서 외형적으로는 전형적인 여성이지만, 독립적이면서 자기주도적인 인물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람이 가지고 놀 때 1편과 2편에서는 수동적이고 도움을기다리는 여성과 자신의 감정 표현에 적극적인 여성으로 그 괴리감이 컸지만, 4편에서는 놀이를 할 때나 캐릭터자신일 때의 모습이 크게 다르지 않아 그 괴리감이 거의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토이 스토리>의 다층구조 속에서는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적절한 성 역할이 있고 그에 맞는 사회적 역할 수행을 강요하는 젠더 고정관념이잘 드러나고 있으며, 1편에서 4편까지 시리즈의 확장 과정에서는 남성 중심 문화 속에서의 여성이 그러한 현실을 깨닫고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해나가는 여성주의 정체성 모형이론이 잘 투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Animation is a content genre that often targets children with limited critical receptivity and tends to be repeatedly consumed, requiring careful attention to its expressions.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 consistent stream of studies analyzing the stereotypical portrayal of animated character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oy Story>, a work that was first released in 1995 and released until 4 installments in 2019, based on gender stereotypes and feminist identity models. <Toy Story> is a work that is recognized for both its artistic quality and popularity, and you can see the character's change over the course of 25 years under one worldview. Also, due to the setting of the world of toys, it is a work that can confirm the multilayered nature of gender roles within one work.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series, from Jessie to Barbie to Bo, demonstrate the transformation of female characters. They evolve from passive characters waiting for assistance from male characters despite appearing active on the surface, to more independent and proactive individuals while still outwardly presenting as typical females. Furthermore,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gender representation between how people perceive and impose gender stereotypes on the characters during playtime and how the characters genuinely express themselves. In the first and second install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woman who was passive and waiting for help and a woman who was active in expressing her emotions. In the fourth installment, this gap appeared to narrow as the characters' true selves aligned more closely with how people interacted with them during play. In the play process of <Toy Story>, there are appropriate gender roles for men and women, and gender stereotypes that force people to perform appropriate social roles are clearly revealed.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of the series from Part 1 to Part 4 well reflects the feminist identity model theory, in which women realize such reality and redefine their own identity in a male-centered culture.

      • KCI등재

        South Korea and the Pitfalls of East Asian Monetary Regionalism: Do Neighbors Mean Neighborly Behavior?

        조영원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4 Pacific Focus Vol.29 No.1

        In the aftermath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monetary regionalism has been widely advocated as a means to shelter East Asia from not only the volatility of global financial markets but also from the US-dominated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hile the primary obstacle to deepening regional monetary cooperation centered around the Chiang Mai Initiative (CMI) is cogently identified as being political, the existing literature focuses mostly on the rivalry between the likely lenders, China and Japan, and neglects the likely borrowers. Using the case of South Korea, this paper provides a cautionary tale of the CMI from a borrower’s perspective. Any workable liquiditysupport arrangement, regional or otherwise, requires a robust surveillance mechanism to address the problem of moral hazard inherent to such a lending facility. In turn, an effective surveillance mechanism inevitably implies a significant political leverage for the lenders and vulnerability for the borrowers, an outcome that cannot be assumed to be avoidable by the CMI just by the virtue of its regional scope. There is little basis to expect that being neighbors necessarily means neighborly behavior; mere geographic proximity does not make China and Japan any less self-interested than the United States, nor does it make Korea’s potential political costs more tolerable.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사회적 모둠 구성이 집단응집력과 또래집단에 미치는 효과

        조영원,정구인,박종률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1 학교체육연구소지 Vol.18 No.1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stablish the positive effects placed on peer groups and improvements of group cohesion by composing social groups in phy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By determining the possib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co

      • KCI우수등재

        행복 회상과 시간지각: 행복한 시간은 빨리 지나간 것으로 기억된다

        조영원,나진경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3

        우리는 행복한 시간이 천천히 흘러가기를 바라지만 그 시간이 지나고 나면 늘 그 짧음에 아쉬워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를 행복했던 경험으로 의미 지어 회상하는 행위가 과거의 시간 흐름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회상적 시간 판단(retrospective time estimation) 역시 인지 및 정서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기억의 일종임을 고려하면, 과거를 행복했던 경험으로 떠올리는 것이 회상되는 사건의 유형에 영향을 주어, 주로 몰입했던 일화를 떠올리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과거의 시간 전체가 빠르게 흘러간 것으로 느끼게 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연구 1에서는 일일 보고 방식을 통하여 행복감과 속도감의 정적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참여자에게 행복한 날과 불행한 날을 회상하게 하고 그날의 속도감과 몰입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행복 회상 조건에서 하루가 더 빨리 지나간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회상 조건과 속도감의 관계가 하루의 몰입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정서유발 영상을 통해 회상 시 행복감을 조작하여 실제 경험과는 독립적으로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경험과 관계없이 조작된 행복감은 몰입감을 통하여 빠른 속도감 회상으로 이어졌다. 즉, 사람들이 과거의 특정 기간을 행복하다고 회상하게 되면 그 기간을 더 몰입한 것으로 기억하게 되어 빠르게 흘러간 것으로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People say time flies during happy moments. We examined whether this truism would reflect reality using a retrospective paradigm.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once people think that they were happy within a certain time window, they would believe that time flew by so fast during the period. We further predicted that perceived flow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this process. In support of these hypotheses, Study 1 showed the predicted positive 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retrospective time perception such tha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happier days passed more quickly during 14 days. In Study 2, participants recalling a happy day reported that time passed more quickly than those recalling an unhappy day. Moreover, perceived flow mediated the effect. Finally, Study 3 showed that manipulated happiness led participants to believe that time passed more quickly in their memory, independent of their actual experience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flow was repl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