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문화 논의와 문학교육의 방향

        조세형 ( Cho Se-hyo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3 고전문학과 교육 Vol.5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a meaning of 'literary culture' and to search a desirabl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Literary culture is not a term which has a specified boundary of concept. This term is effective because of 'strategic flexibleness'. With it, the perspective viewing the life and literature can deal with and be connected with the life or the literature. The concept of 'life culture’ has the matter of practice, and can't free itself from the matter of axiology. Also, the axiological practice needs a concern of literary history. A comprehension of life and literature can be complete by a histor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o a static one. Literary Education can be finished more completely by axiological and historic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of humanities.

      • KCI등재

        <관동별곡>에 나타난 중세적 표현방식과 그 현대적 의미

        조세형 ( Cho Se-hyo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본고는 <관동별곡>을 둘러싼 비교문학적 논의를 통하여 동아시아 중세 문학 안에서 발견되는 수신자의 능동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적 글쓰기의 특성을 중세 지식인의 문화적 행위라는 맥락으로 재고해 보았다. <관동별곡>은 노장사상의 표백인 <적벽부>보다는 유교 경전 『맹자』에 더 크게 영향을 입었다. <관동별곡> 곳곳에서 발견되는 ‘대결의식’은, 16세기 조선의 사대부였던 송강이 11세기 북송의 지식인 동파와 그의 문학에 대해 가졌던 ‘비평적 거리’에 그대로 대응된다. 송강은 동아시아문명권 중간부의 지식인으로서 중심부의 문학적 영향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거부하고자 했다. 동아시아 중간부/주변부 지식인들은 문명의 중심부로부터 도래한 지배적 이념체계를 자기화하고 내면화하는 지적 작업을 행하였는데, 송강은 그 단적인 예이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ddressee's activeness in the medieval East Asian literature with an comparative literary approach to GwandongByeolgok, and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eval writing as a cultural act of a medieval intellectual. GwandongByeolgok is more influenced by Mengzi(孟子) which is Confucian scripture, rather than by Chìbìfù(赤壁賦) which is an expression of Taoistic idea. A 'confrontation consciousness' founded in various parts of GwandongByeolgok is counteracted intactly to a 'critical distance' which Songgang(松江) had about Dongpo(東坡) and his work. Songgang tried to accept the literary influence of the central part of the East Asian civilization or to reject it as an intellectual of the middle part. The intellectuals of the middle/marginal part of East Asia internalized and possessed exclusively the dominant ideological system come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civilization. And Songgang could be exactly the example.

      • 사설시조의 중층성과 욕망의 언어

        조세형(Cho Se h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7

        본고는 사설시조 시학과 담당층 인식론 사이의 관련양상을 바탕으로 성 소재 사설시조의 의미를 추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로의 이행기가 보여주는 인식소를 탐색하고, 그것이 사설시조를 배태하고 성장시킨 도정과 도달점에 대해 시학적 고찰을 하였다. 사설시조에서 보이는 열거 내지 반복의 표현방식은, 그를 통하여 의도적으로 유사성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필요해졌다는 인식론적 지평의 변화를 반영한다. 또한 반전의 구조로써 이제까지 진행되어 온 담론과 앞으로 진행될 담론 사이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결국 언어와 사물 사이의 유사성을 부정하며 차이를 드러내고자 하면서도 여전히 유사성을 담보하는 중층성을 보인 것이 사설시조였다. 둘째, 사설시조의 중층성을 바탕으로 성 소재 사설시조의 해석방향을 재점검하였다. 유사성의 시대에 이어 재현의 시대가 마지막 경계를 향해 나아갈 때 발견되는 현상들을 살피고 그 의미를 찾았다. 근대의 출발은 재현이 욕망으로 대치되는 지점에서부터이며, 그 문지방에 놓인 것이 사드의 작품들이었다. 성 소재 사설시조들은 마치 사드의 작품들이 그러한 것처럼 재현과 욕망의 경계에 서 있었다. 사드적인 욕망이 근대의 출발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 여성적 연민과 배려는 탈근대와 관련될 것이다. 사설시조는 재현의 시학을 지향한 경우, 재현과 욕망의 경계에 선 경우, 가부장적 욕망을 드러낸 경우, 욕망을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경우 등 다양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ason the meaning of sex-mattered Saseol-Sijo with a grounding in relations between Saseol-Sijo's Poetics and charge group's epistem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inquire the épistémè of Ihaenggi(이행기, the shift stage) to Modern Age, and poetic-study the process and arrival where it has born and nursed Saseol-Sijo. An expression of enumeration or repetition seen in Saseoi-Sijo reflexes the change of cognitional horizon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some efforts to secure the resemblance intentionally. Also, it trie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a prior discourse and a next discourse with the structure of reversal. Saseol-Sijo shows the complexity that denies a resemblance in one hand and keeps it up as before in the other hand. Second, I reappraise the sex-mattered Saseol-Sijo's interpretation-direction with a grounding in its complexity. When the Representation Stage arrives at its border line, a representation is replaced with a desire. It is Sade's works that is laid on the threshold. Sex-mattered Saseol-Sijo lays on the border line between representation and desire as Sade's work. Sadistic desire is connected with the start of Modern Age, on the other side, feminine compassion and consideration with free-from-Modernity. Saseol-Sijo shows various aspects; a case that orients the poetics of representation, a case that lays on the border line between a representation and a desire, a case that reveals patriarchy systemic desire, a case that compass the other human via a desi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사를 통해 본 여성적 글쓰기, 그 반성과 전망

        조세형(Cho Se h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2

        본고는 가사를 대상으로 '여성적 글쓰기'의 몇 국면을 점검함으로써 바람직한 향방의 일단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적 글쓰기란 남성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는 여성이 스스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언어로, 남성지배담론과는 다른 여성 본연의 말하기와 글쓰기를 가리킨다. 가사에 나타나는 여성적 글쓰기의 몇 국면을 살폈다. (1) 작가가 여성인 가사를 지칭하는 여성가사의 경우이다. 여성의 자전적 글쓰기가 속하며 자탄적 술회의 방식이 대표적 표현방식이다. <명월>은 상층문화와 하층문화 사이의 문화접변 현상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 작품은 후기가사의 생존 및 양산의 조건이었던 상하 양층의 교섭적 지향을 독특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다. (2) 시장경제, 교환활동영역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물질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경우이다. 여성성과 일상성의 문제가 대두된다. <계녀가>는 일상에 대한 관심, 섬세한 관찰 따위가 없이는 불가능한 감각적 표현들을 쓰고 있다. <초당문답가>는 중세적 이념과 근대적 의식의 양면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3) 여성화자를 여성의 목소리뿐 아니라 여성의 몸뚱이를 지닌 존재로 보며 남성을 포함한 인간 모두의 의식 가운데 일부를 드러내는 경우이다. <사미인곡>과 <속미인곡> 등이 있다. 둘째, 여성주의와 여성적 글쓰기가 나갈 바를 점검하였다. 탈민족 논의는 민족주의의 전부부정이 아니라 그 모순의 제거를 통하여 완성되리라 전망한다. 민족과 여성, 또는 그와 같은 층위의 하위주체들이 결합한 형태를 모색하는 일이 요구된다. <덴동어미화전가>는 개가/수절의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고 논란을 벌임으로써 수절 논리의 무조건적 옹호에서 벗어나며 근대전환기의 한 지점을 잘 드러낸다. 개가란 여성 개인의 욕망을 승인하는 것일뿐더러 사회구성원의 공급이라는 민족의 욕망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 작품은 덴동어미의 몰락과정이 반복되는 혼인과 맞물려 있으며, 덴동어미는 재생산하고 성행위하는 여성의 몸을 부정하지만 '거룩한 어머니'의 상 또한 받아들이지 않는다. 여기서는 민족/국가의 불임성과 그에 따른 여성의 몸의 불임성, 그리고 그를 뛰어넘는 여성의 언어 등에 연관되어 있다. 가사는 조선후기에 폭발적으로 생산되었는데, 주요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일상성에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desirable direction of feminine writing with inspecting some aspects of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inquire some aspects of the feminine writing in Gasa. (1) A case that Yeoseong Gasa(여성가사), the writer is female. <MyeongWeol(명월)> shows the culture-mix between the upper classes and the lower classes. This work represents the negotiating orientation of both the upper and the lower, which is a condition of Late Gasa's existence and mass-production. (2) A case that material life is reflected. A femininity and a dailiness are mattered. <GyeNyeoGa(계녀가)> uses sensible expressions which are impossible without an interest about daily life or a delicate observation. <ChoDangMunDabGa(초당문답가)> is a work that embodies both the traditional orientation and the modern orientation simultaneously. (3) A case that a female speaker possesses not only female voice but also female body, and reveals a portion of the consciousness of all human including male. <SaMiInGok(사미인곡)> and <SokMiInGok (속미인곡)> are those. Second, I inspect the direction that feminism and feminine writing will go to. A discussion about post-nationalism will be able to complete by removing the contradiction of nationalism. It is required that some studies search frame combined by nation and female, or same level's subalterns. In <DenDongEoMiHwaJeonGa(덴동어미화전가)>, DenDongEoMi (덴동어미)'s ruined process gears with her repeated weddings. DenDongEoMi denies female body who reproduces and sexes, and doesn't accept an image of 'holly mother' neither. Nation/state's sterility, female's sterility acted by that, and female's language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 KCI등재

        한국 애정시가의 전통과 시공간적 상상력

        조세형(Cho Se-Hyoung) 국어국문학회 2007 국어국문학 Vol.- No.147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how a spatiotemporal imagination has interposed itself in the literary tradition of Korean love poem(especially in farewell song). The results are as follow. As for "Don't Across That River"(公無河歌) or "Song in the Western Capitaj"(西京別曲). some troubles are occurred by 'Nim(the beloved)' who is departing from this side to that side of the 'river', a visible border. The speaker of 'Would you go?"(歸乎曲) premises a border of 'here/there' by representing the action of 'go/come'. Hwang Jin Yi(黃眞伊) has a positive understanding of 'here' that the parting lover must come back to, as well as 'now' that means the earthly life. She considers the action of 'so' as the secession from 'now' of a valuable time and 'here' of a harmonic space. Thus, she desires the action of 'come again' to recover from the lack. A result of that is a Sijo(時調) work "A Long Long Night of Winter Solstice." In the Song of Longing for the Absolute Object(yeon gun, 戀君) such as "Song of Jeong Gwa Jeong(鄭瓜亭) and "Longing for the Beauty"(思美人曲), the beloved appears as an absolute being who is not to change or move. It is a contrast to love poem, which treats the beloved as moving always and unbelievable man. Two aspect originated from parting situations have varied into the motif of love or the motif of yeon gun with the speaker's spatiotemporal imagination. Some contrastive mental activities such as 'dailiness/transcendency' or 'eros/thanatos' may be possible. though the place we live is same.

      • KCI등재

        조선후기 문학의 표현특성과 그 문학사적 의미

        조세형 ( Cho Se-hyo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7 No.-

        이 연구는 사설시조, 후기가사, 판소리 등 조선후기 국문문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표현특성의 양상과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설시조는 서정적인 통어 안에서 반복적 표현, 수식어의 나열, 구조의 반전을 통하여 장형화하였다. 후기가사는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시행을 통해 인접한 사물들을 나열함으로써 ‘개별성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재현의 인식체계를 텍스트화하였다. 판소리도 사물이나 행위를 나열하는데, 이는 ‘사물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무의식적인 기초’인 인식소를 작용시킨 결과이다. 사설시조에서는 인접한 사물의 열거를 반복하여 시적 상황에 따른 정서의 부피가 점차 커진다. 가사에서는 사물이나 행위를 나열하여 그 개체성을 부각시키기도 한다. 판소리는 열거와 나열의 표현 특성을 공유하여 부분의 독자성을 구현하고 상황적 정서를 표현한다. 이 장르들은 화자/서술자의 내면정서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강하게 드러낸다. 가사와 판소리에 함께 드러나는 시점의 상호침투 현상은 리얼리즘적 재현보다는 당대 현실에 대한 문학적 관심과 화자/서술자의 내면을 드러내기에 적합하였다. 유사와 재현 사이에서 당대들이 겪었던 고민과 탐색은 사설 시조를 넘어 조선후기 국문문학에서 널리 발견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aspects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Korean literary genres in Late Choseon such as Saseol-Sijo(사설시조), Late Gasa(후기가사), Pansori(판소리). The results are as follow. Saseol-Sijo used repetitive expressions, modifier enumerations, structural reversals, so was lengthened within in syntactic construction of lyric. Late Gasa showed interest in an individuality and a textualization of cognition system of representation, with enumerating contiguous things in the almost unlimited lines. Pansori also enumerated things or actions, it was the result of episteme of its stage. These genres strongly revealed the intention to express speaker/narrator's inner emotion with the enumeration of things or actions; bulking the volume of emotions in Saseol-Sijo, empathizing the individuality in Late Gasa, or performing identity of part and situational emotion in Pansori. The phenomenon of a cross penetration of viewpoint was commensurate with expressing both the literary concentration for realities of the days and the inner side of speaker/narrator. The people's agony and exploration between resemblance and representation is widely found in Korean literature in Late Choseon.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논문 : <시골여자 슬픈사연>과 <녀자의 설음>에 나타난 근대전환기 구여성의 위기와 목소리

        조세형 ( Se Hyoung Cho ),정인숙 ( In Sook 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0 국어교육 Vol.0 No.133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crisis and the voice of old fashioned woman during modernizing period in <Sad story of rural woman> and <Woman`s sorrow>. In <Sad story of rural woman>, the voice of woman`s parents-in-law has been introduced. In this text, an old fashioned woman has suffered from married life in the home of the husband`s parents and an reasonable claim for divorce from husband. Nevertheless, she keeps her position and has a dream of meeting her husband again. On the other hand, the voice of woman`s husband has been introduced in <Woman`s sorrow>. Crashing into voices of husband and wife as the contracting parties in a marriage, trouble between husband and wife reaches the climax. It is important to illuminate existence of old fashioned woman as an excluded person during modernizing period, comparing with the man of modern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