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주시의 상대적 저성장에 대한 원인 고찰: 광주 및 대전 광역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1900년대 이후 전주시가 근접에 위치하는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성장을 하게 된 원인을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전주시의 상대적 저성장의 원인은, 첫째, 1896년 13도제의 실시로 배후 지역이 전라도에서 전라북도로 축소되었던 점, 둘째, 1935년 부군 분리 시에 인구밀도에 비해서 전주부의 행정구역이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되었던 점, 셋째, 부군 분리 이후 행정구역의 확대 과정에서 확장 시기와 속도가 늦었던 점, 넷째, 1960년대 이후 배후지역의 인구흡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점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research the cause of the relatively low growth of Jeonju city compared to Gwangju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since 1900s.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eonju city has been shrunk the hinterland from Jeolla-do Province to Jeollabuk-do Province by 13 regional district institution in 1896. Second, setting a relatively narrow administrative area compared to the population density in 1935 which was Bu and Gun separation period. Third,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not proper in time and pace. Fourth, relatively low absorbed in population from the hinterland since 1960s.

      • KCI등재

        조선시대 수리시설에서 ‘설보(雪洑)’의 지리적 의미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수리시설 축조 과정에서 나타나는 ‘설보(雪洑)’ 전설의 지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설에서 눈과 서리가 등장하게 된 원인은 보(洑) 보다는 수로 문제에 관련이 깊다. 둘째, 보와 수로는 보에서 관개지까지 자연유하가 가능한 경사, 평탄한 관개지의 존재, 관개지 내에서의 경사 등 지형 문제와 관련이 있다. 셋째, 수로 축조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누수문제였다. 관개지는 과거 하천이었던 하안단구 또는 하천의 일부이었기 때문에 물 빠짐이 좋아서 수로를 축조해도 누수가 발생하였다. 전설에서 나타나는 눈이나 서리가 녹지 않은 부분은 산지 쇄설물이 덮여 물 빠짐이 적은 점토질의 토양으로 추정된다. 결국 ‘설보’ 전설은 17세기부터 18세기에 이루어진 이앙법의 확대에 따라,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수로 축조 과정에서 나타난 누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전설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Snow reservoir’ legend in the irrigation facility on Joseon Dynasty peri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ppearance of snow and frost in the legend is more related to the irrigation canal problem than the reservoir. Secondly, it is related to the topography problem such as the difference of slope can fall down from reservoir to the irrigation area naturally, existence of flat irrigation area, inclination in the irrigation area in itself. Third, the most difficult problem is water leakage in constructing the irrigation canal. The water leakage occurred because the irrigation area was a part of the river in the past or fluvial river terrace. The areas covered with snow and frost in the legend are assumed to be clay-soils that are mountainous clods and have less water loss. The legend is presumed to the anxiety to solve the leakage problem in the irrigation canal construction process, to secure the water for new agricultural method in the 17th to 18th century.

      • KCI등재후보

        쓰시마에서 중심지 이동과 그 원인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쓰시마(對馬島)에 중앙의 관리가 파견되기 시작한 667년부터 번주가 폐지된 1869년까지 쓰시마에서 나타난 중심지 이동을 3기(1기 : 667년~1408년, 2기 : 1408년~1468년, 3기 : 1468년~1869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기 중 667년부터 1245년까지 쓰시마의 중심지는 게치(鷄知)와 이즈하라(嚴原)로 추정된다. 1245년 소(宗)씨가 지배세력이 된 이후 쓰시마의 중심지는 이즈하라(嚴原, 1245~1349), 니이(仁位, 1349~1398), 시타카(志多賀, 1398~1408)로 이동했다. 둘째, 2기인 사카(佐賀) 시기(1408-1468)에는 1419년 이종무의 정벌이 있기도 했지만, 사카는 이즈하라 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어서 상대적으로 조선과의 교류가 편리한 지점이었다. 셋째, 3기인 이즈하라(嚴原) 시기(1468-1869)에는 주군이었던 쇼니(小貳)와의 관계가 청산되었고(1477), 1588년에는 막부의 번주로 편입되었으며, 임진왜란에 참여했다. 이즈하라(嚴原) 내부에서는 701년부터 857년 사이에는 도분사(島分寺)지역이 중심지였으나, 1468년 이즈하라로 재이동한 이후 나카무라(中村) → 이케노지(池の地) → 가네이시(金石) → 사지키하라(棧原)로 이즈하라 시내에서의 중심지 이동이 있었다. 쓰시마에서 중심지 역할을 했던 주요 지역은 게치, 니이, 사카, 이즈하라였는데, 이 중 이즈하라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쓰시마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중심지 이동의 원인은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의 집무소 위치, 쓰시마 내부의 지배세력 변화, 일본 본토의 정권 교체, 규슈의 주군과의 관계에 있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movement of central place in Tsushima by dividing into three periods, since dispatching the central managers in 667.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chi (鷄知) and Izuhara (嚴原) were estimated as the central place from 667 to 1245. So (宗) family had been the dominant force since 1245, there was the movement of central place which is Izuhara (嚴原, 1245~1349), NiI (仁位, 1349~1398), Shitaka (志多賀, 1398~1408). Second, Saka (佐賀) period (1408~1468), there were the conquest by Lee Jongmu (Chosun) in 1419, but Saka was more convenient region for exchanges with Chosun because it was located in the northern than Izuhara. Third, Izuhara (嚴原) period (1468~1869), So (宗) family had been broken relationship with Shoni (小貳) (1477) and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 Feudal lord (1588) and took part in Japanese invasion war to Chosun. There was the movement of the central place in Izuhara inner region. Dobunsha (島分寺) was central place from 701 to 857, and after being relocated in 1468, there was movement of the central place from Naga-mura (中村), via Ikeno-chi (池の地), and Kane-ishi (金石), and finally into Sajiki-hara (棧原). The major regions as central place in Tsushima were Gechi, Nii, Shitaka, Saka, and Izuhara. Especially, Izuhara is the central place in Tsushima during the longest period. The causes of central place movement were the location of administration office on central dispatch, internal dominant force changes in Tsushima, the regime changes of mainland Japan, and relationship with lord of Kyushu.

      • KCI등재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조성욱 ( Sungwook Cho ),권세경 ( Sekyung K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유아미술 감상교육을 계획하고 적용하는데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수 있는 영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 및 서울 지역 어린이집 영유아 교사286명이며본 연구의 도구는 유아미술감상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김정·이수경·이주연,1996;이영자·이정욱·유혜숙, 1998)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미술 감상교육의목적 및 내용에 대해 인지하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의 목표로 ‘창의적 표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을 적용하는 것이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은 주로 영유아의 일상생활, 주변환경 및 계절적 특성과 관련된 일반적인 주제로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감상교육 관련 연수의 기회는 매우 적었으며 교사들은 교수학습개발 및 교수매체 활용, 연수의 기회에 대해 비교적 높게 요구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give basic data to develop early children``s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ir teacher``s recognition, reality and demand of early children``s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research objects from 286 teachers of Day-Care center in Gang-won and Seoul. And questionaire which was based on Jung Kim, Suk-young Lee, Ju-yeon Lee(1996) and Young-ja Lee, Jong-wook Lee, Hye-suk Yoo(1998)``s questionaire was used for survey of their study after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t appears that low rate of the subjects knew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ey regarded creative expression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But They had difficulty in real situation . Also, as the main subjects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ctivities, the elements of experiences were most based on children``s everyday lives o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it appears low that teachers used teaching aids. Teachers demanded of new teaching methodology, aids and retraining for education for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 KCI등재

        중등 지리교과서 학습용어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 -"해안지형"과 "공업활동" 내용을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에 출간된 중학교 사회(6종), 한국지리(5종) 그리고 세계지리(3종) 교과서의 지리교육내용 중에서 자연지리와 인문지리 영역을 각각 선정하여, 학습용어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학습용어 수의 비교결과, 영역별로는 인문지리 보다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용어가 더 많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학습용어 수가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세계지리, 그리고 중학교 사회 과목의 순이다. 둘째,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의 비교결과, 인문지리 영역의 교과서별 차이가 많고, 자연지리 영역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경우 영역별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 사회와 세계지리는 특히 인문지리 영역에서 교과서별 차이가 많다. 셋째, 교과서 간 공통학습 용어의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영역별로는 자연지리 영역이 인문지리 영역에 비해서 교과서 간 차이가 적게 나타난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 과목은 교과서 간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사회 과목은 교과서 간 차이가 많다. 넷째, 학습용어의 과목별 계열성을 비교해 본 결과,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용어는 중학교와 한국지리 과목에서 학습이 대부분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학교급별로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즉, 자연지리 영역은 계열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약하게 나타난다. 다섯째, 관련 과목과의 계열성 분석 결과, 표면적으로는 중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관점과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어서 계열성을 비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내용이 지리과목에 계속 설정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look at the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ntents focus on studying term, selected the each one part of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domain in Middle School(Social Studies),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textbook. In summary is as follows; First,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the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is more than human geography, and Korea Geography subject is the most and Social Studies is the least in it. Second, comparison of the average number of studying term that human geography domain has more difference than physical geography domain, and has more difference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especially in human geography domain. Third, compare the ratio of common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less difference than human geography, and the difference is more in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Four, compare the sequence of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concentrated learning in Social Studies and Korea Geography, but human geography domain i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other words, the physical geography domain appears clearly but the human geography domain is weak in content`s sequence. Fifth, analysis of the sequence with related subjects that seems to be overlap in the surface but difficult to compare the sequence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approach about the same phenomena.

      • KCI등재

        물류수송을 위한 이종 협업 무인 시스템 개발

        조성욱(Sungwook Cho),이다솔(Dasol Lee),정연득(Yeondeuk Jung),이웅희(Unghui Lee),심현철(David Hyunchul Sh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 No.12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oncept foran unmanned delivery service using a cooperative heterogeneous unmanned system consisting of a self-driving car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he proposed concept is suitable to deliver parcels in high-density and high-rise urban or residential areas. In order to achieve the proposed concept, we will develop acooperative heterogeneous unmanned system. Customers can order goods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 order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customer and the order time, and the package is transported automatically by the unmanned systems. The system assigns the tasks suitable for each unmanned vehicle by analyzing it based on map information. Performance is validated by experiments consisting of autonomous driving and flight tests in a real environment. For more evaluation, the landing position error analysis is performed using circular error probability (CEP).

      • KCI등재

        지역지리교육의 개념 논의와 방향 모색

        조성욱(Cho, Sungw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지역지리교육에서의 논의 점을 살펴보고, 교육목표 설정과 교육내용 구성 방법을 중심으로 대안을 모색했다.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지역지리’와 ‘지역지리교육’은 연구와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구분되어 사용될 필요가 있다. ‘향토교육’은 향토애라는 정의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었고, ‘지역학습’은 지역을 학습의 수단으로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역학습’과 ‘지역지리교육’은 학습대상의 지역 규모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지리학에서의 지역 개념 변화과정을 학습을 고려한 지역 개념으로 재구조화하여 조직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지역 규모의 개념은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 시각적이며 단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지역지리교육의 교육목표는 3개 영역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즉, 1영역은 학습 내용(지식, 이해)은 무엇인가?, 2영역은 학습 과정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기능과 역량은 무엇인가?, 3영역은 학습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태도 및 가치관은 무엇인가? 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선정에서는 지역의 개념 인식, 지역성과 변화, 상호작용 등의 지역이해와 이러한 지식 학습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태도, 가치관, 활용으로 구분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교육내용 조직 방법은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지역성 이해에 중점을 두는 지역 중심 방법, 중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변화와 지역 간의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는 주제 중심 방법, 고등학교 단계에서는 지역의 쟁점을 중심으로 조직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oints of discussion in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nd sought alternatives on educational goals and 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The summary of discussion, First,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 to be used in terms of research and education separately. And ‘local education’ focus on the emotional aspect of localism, ‘local learning’ regards the region as a means of learning. And ‘local learning’ and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are have a difference in regional scale.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cess of change of regional concept in geography as organizational concept by restructuring in geography education. Third, regional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as concretely and visually and step by step as possible. The educational goals of regional geography education needs to be presented in three domains. Domain 1 is what is the learning contents(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2 is what are the functions and competencies you want to foster in the learning process?, Domain 3 is what are the attitudes and values? I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vided into regional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recognition, locality and regional change, interaction among regions and attitude, value, utiliz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learning process. In the organization method is that regional-centered method focusing on regional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elementaryschool level, the subject-centered method which enables deeper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issues-centered method focusing on the regional issues at present in the high school level.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동남아시아 지역 이해를 위한 핵심주제 추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4

        In this study, as an efficient World Geography learning method, a core themes extracted based on the region rather than a systematic topic was proposed.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st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enabling comparative learning with other regions. As an example, three areas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subject-specific inquiry, and relationship with Korea) and seven core themes extraction methods are presented understand Southeast Asia. First area, as two core themes for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natural conditions,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11 Southeast Asian countries. In the second area of subject-specific inquiry,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forming countries were extracted, a melting pot area of culture in that various cultures have been introduced by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 terms of geopolitics, the entry of Chinese, Indian, Islamic, European forces, recentl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in conflict region. In terms of economy, the Maluku Islands were the focus of Western forces and are now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complementary region of China. Third area, in terms of understanding relations with Korea, it is historically related to Gaya and Buddhism, it forms a homogeneity by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ourists and the need to jointly respond to China’s political and economic penetration.

      • KCI등재

        전주 덕진연못(德津池)의 용도 및 축조시기와 장소성 변화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21 한국지리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전주 덕진연못의 용도와 축조시기 그리고 장소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첫째, ‘덕진’의 지명은 ‘덕진(德津)’이 원래 사용되었던 한자이고, 나중에 상징성을 부여해서 ‘덕진(德眞)’으로도 기록했다. 둘째, 덕진연못으로 유입되는 물줄기는 2개이며, 제방은 건지산의 산줄기(46m)와 가련산(72m)를 연결하는 약 400m이고 해발고도는 약 28m이다. 셋째, 덕진연못은 농업용 저수지가 아니라 풍수지리에 의해서 전주 지역의 서북쪽의 허함을 보강하기 위해 조성한 비보풍수용 시설물이다. 넷째, 덕진연못은 상징적인 행사(단오제, 용왕제), 풍수지리설의 도입 시기(후백제 시대), 건지산 중심의 전주성 축성 (고려시대), 전주의 공간 범위 변화(후백제와 전주성 시기), 고려시대 이규보의 기록(1200년경) 등을 고려할 때, 9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덕진연못은 풍수지리 사상에 의해 조성되었기 때문에 조성 초기부터 상징적인 장소로 인식되었으며, 용왕제와 단오행사가 이루어졌다. 1929년 덕진역의 개설과 함께 공립공원과 종합경기장으로의 역할을 추가하였고, 장소의 공간적 범위도 연못뿐 아니라 주변의 운동장까지로 확장되었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urpose of use,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laceness on Deokjin Pond in JeonJu.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name of ‘Deokjin’ was Chinese characters originally used by Deokjin (德津), and later it was recorded as Deokjin (德眞) by giving symbolism. Second, there are two streams of water flowing into Deokjin Pond, and the embankment is about 400m connecting Geonji Mountain (46m) and Garyeon Mountain (72m) and the altitude is about 28m above sea level. Third, Deokjin Pond is not for the agricultural reservoir, but a facility to remedy topographical defects by Feng Shui Ideology to reinforce the weakness of the northwestern part of JeonJu. Fourth, the period of Deokjin Pond can be estimate to have been built between 900 and 1,200 years, by considering the symbolic events (Dano and Dragon King festival),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Feng Shui Ideology, the construction of JeonJu Fortress as the center of Mt. Geonji, change of spatial range of JeonJu, records of Lee Gyu-bo (1200 years). Fifth, Deokjin Pond was recognized as a symbolic place from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because it was constructed by Feng Shui Ideology, and the Dragon King and Dano Festival were held. With the opening of Deokjin railroad station in 1929, the role of public parks and general stadiums was added, and the range of the place was extended not only to pond area but also to nearby playground region.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7개 스탄 국가 학습을 통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이해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7개 스탄 국가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을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리와 역사적 측면에서 동질성을 지니면서, 국가명에 ‘스탄’이라는 접미어가 공통적으로 붙은 7개 국가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3단계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다양한 지역 분류 방법(위치, 정치, 기후, 지형, 면적, 인구규모, 민족과 언어, 종교적 측면 등)을 통한 지역의 기본 틀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위치 특성에 의해서 이 지역에 진출한 다양한 세력(메소포타미아 문명, 황허 문명, 인더스 문명)의 이해를 통한 지역 형성 과정을 역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이 지역의 지역문제들(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러시아와 영국의 충돌과 같이 지정학 관련 지역 문제, 수자원과 아랄 해, 카스피 해의 자원, 페르가나 계곡을 둘러싼 분쟁 등의 자연지리 관련 지역 문제, 러시아인의 이주, 캐시미르 분쟁, 고려인 문제 등의 인문지리 관련 지역 문제)을 지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특히 이 지역 국가들의 국가명에 공통적으로 ‘스탄’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는 점과 우리 민족인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다는 측면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요인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centering on seven Stan countries. The Central Asian region is homogeneous in terms of geography and history, and consists of seven countries with the suffix “Stan” commonly attached to their national names. A three-step approach was proposed as a way to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First, it is a step to understand using various regional classification methods (location, politics, climate, topography, area, population size, ethnic and language, religious aspects, etc.) and to understand the basic framework of region through them. The second is the historical stag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gional form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forces (Mesopotamian, Yellow river, Indus civilization) that have entered this reg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third is to understand regional issues in this area (related to geopolitics such as conflicts between Russia and Britain over Afghanistan, natural geography issues such as water resources, Aral Sea resources, Caspian Sea resources, conflicts over Fergana valleys, and human geography issues such as Russian migration, Kashmir dispute, and Goryeo people’s issue) in terms of geograph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national names of countries in this region are commonly labeled “Stan” and that Goryeo people reside in is a good factor that can attract students’ at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