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퍼지 PI 제어기를 이용한 모바일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노출보정 시스템 개선

        조선호 경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AE(auto exposure) system for mobile digital camera. The AE system is most important part in digital camera to get high quality image. Recently, thanks to the enhancement of image sensor and minimized camera module, it is possible to get necessary image usefully from more smaller and more lighter mobile device. Even though this enhancement makes it possible to get useful image even from minimized digital camera, there is still limitation only with the improvement of physical technique to get high quality of image as same as digital camera because of several restrictions. Therefore, improved image control technique is required to compensate this limitation. There are AE, AWB(Auto White Balance) and AF(Auto Focus) algorithm for the image control of digital camera. These three kinds of techniques are called as 3A. The quality of output image of digital camera is largely affected by the performance of those 3A. AE system is auto exposure system in order to maintain optimized brightness regardless of the intensity illumination of light. AWB system is technology to control the balance of blue and red similar to natural light status to remove the distortion of image color on line of temperature. And AF system is technology to control a focus to acquire best image in consideration of movements of subject and environment. But there is limitation for mobile devices to get high quality image with the conventional AE algorithm, because of organizational restriction of system. In this dissertation, suggested new AE algorithm which is applied fuzzy PI control to get useful results under the environment of mobile digital camera. The conventional research has been studied only for electronic shutter and AGC on the AE algorithm. But suggested AE system is applied improved algorithm which includes target setting, frame delay, Gamma Correction as well as electronic shutter and AGC to get optimal ES and AGC value. In digital camera, AE system controls ES and AGC for which the value of intensity of luminance can be converged to the target value. But when the target value is established as value of 18% grey chart of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phenomenon to occur same brightness in specific area for Gamma compensation. In this dissertation, the target value is established as the average value of gamma chart's brightness to compensate this point. And this dissertation established two control bands based on the target value to improve control stability and convergence speed for target value. These two control bands improve phenomenon of oscillation in case the target value is only one point. Different from film camera, Digital camera outputs the previous image information which is a few frame before instead of current image information. This phenomenon is occurred because the control value for ES and AGC is treated with value of two frames before for operation time of ISP. In digital camera, this kind of problem occurs oscillation and reduce of control speed. In this dissertation, to solve this problem, frame delay is compensated by the method that current image information is estimated with referring to previous image information Conventional AE algorithm in digital camera executes AE system only with a view of signal processing for ES and AGC and has applied this method to mobile camera in the same way. But there is limitation to get high quality image with this method because of organizational restriction of mobile camera. In this dissertation, improved AE system which has considered target setting, gamma correction and frame delay additionally is suggested to get satisfied image in minimized module. In this dissertation, ability of luminance expression, ability of expression per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AE control speed AE are tested for the assessment of the availability of suggested system. Suggested AE system is converged to target value more flexible and faster without hunting than existing method and is enhanced by 20% in ability of luminance expression. And also suggested system shows superiority at ability of expression per intensity by comparison conventional AE system. 최근에 개발된 고기능 이미지센서(image sensor)와 초소형 카메라 모듈(module)기술은 더 작고 더 가벼운 모바일 기기에서도 필요한 영상을 유용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그러나 소형화된 카메라 모듈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렌즈가 가진 광학적 기술의 한계로 인해 화상의 왜곡현상이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화질 제어 방식을 모바일 카메라에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양질의 영상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제어를 위한 기술로는 3A라 불리는 자동 노출보정(auto exposure, AE), 자동 백색균형보정(auto white balance, AWB), 자동 초점보정(auto focus, AF) 등이 있다. AE는 출력되는 영상의 적절한 밝기를 맞추기 위해 자동적으로 노출을 조절해 주는 기능이며, AWB는 영상 색조의 왜곡현상을 없애기 위해 청색과 적색의 균형을 자연광 상태와 유사하게 조절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AF는 피사체의 움직임과 주위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정초점 위치를 찾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화된 디지털 카메라 모듈의 밝기 제어 속도와 제어 안정성 그리고 획득 이미지의 개선을 위하여, 이미지센서 모듈의 노출 조절에 대해서 퍼지 PI(fuzzy proportional integral) 제어를 적용한 개선된 AE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개선된 AE를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값 설정, 제어 안정도, 프레임 지연 보정, 감마 보정 등을 전자셔터(electrical shutter, ES)값과 아날로그 이득 조절(analog gain control, AGC)값의 결정을 위한 제어항목에 추가로 적용하였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AE 시스템은 ES와 AGC를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에 입력되는 광량의 값이 설정된 목표값에 수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설정되는 목표값은 사람이 인식하는 밝기의 중간값으로 지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이 사용하고 있는 18% 그레이 차트(grey chart)를 기준으로 목표값을 설정하는 경우, 감마 (gamma) 보정시 특정 밝기 이상에서는 모두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는 현상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감마 차트의 밝기 평균값으로 목표값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제어 안정도와 목표값에 대한 수렴 속도 개선을 위하여 목표값을 기준으로 하여 두 개의 제어영역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두 개의 제어영역 설정으로, 목표값이 하나인 경우에 제어가 완료되지 못하고 계속 발진이 일어나는 현상을 개선하였다. 기존의 AE 알고리즘은 ES와 AGC를 조절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AE 수행 중에 헌팅(hunting) 현상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ISP 내의 메모리 사용량과 전력의 소모량을 크게 하므로 소형화된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메모리의 용량도 커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퍼지 PI 제어를 이용하여 ES와 AGC 값을 결정하였다.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 카메라와 달리 현재의 영상정보가 아닌 몇 프레임 이전의 영상정보를 출력시킨다. 이는 ES와 AGC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값이 ISP의 연산시간 때문에 직전 프레임의 밝기값이 아니라 두 프레임 이전의 값으로 처리됨으로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러한 문제는 발진과 제어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을 위해 직전의 영상정보를 참고하여 현재의 영상정보를 예상하는 방법으로 프레임 딜레이를 보정하였다. 기존의 AE 알고리즘은 ES, AGC만을 제어 대상으로 하여 신호처리의 관점에서만 AE 시스템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모바일 카메라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여러 가지 제약이 존재 하는 소형화된 모듈에서 원하는 수준의 영상을 얻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화된 모듈에서도 만족할 만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AE 수행을 위한 제어요소에 목표값 설정, 감마 보정, 프레임 지연 보정 등이 추가적으로 고려된 퍼지 PI를 적용한 AE 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AE의 평가를 위해 감마 차트 표현 능력, 조도 및 광원별 표현 능력, AE 제어 속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안된 AE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헌팅 현상 없이 유연하고 빠르게 목표값에 수렴하였으며, 밝기 표현 능력에서는 20% 이상의 개선이 있었다. 그리고 조도별 밝기 표현에서도 제안된 AE 알고리즘은 각각의 조도에서 기존의 AE에 비하여 우수한 밝기 표현능력을 보여주었다.

      • 朴正熙 大統領의 새마을 運動에 대한 統治理念 및 아이디어 分析 : 새마을 運動 關聯 演說文을 中心으로

        조선호 順川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970년대 새마을 운동 전개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통치이념 및 아이디어 변화를 새마을 운동의 점화기인 기반조성가, 새마을 운 동의 정착기인 자조발전기, 새마을 운동의 확산가인 자립완성기와 군정시 기, 제3공화국시기, 유신체제기 등을 토 대로 초기, 중기,말기로 구분하여 연설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 다. 박정희 대통령이 18년 5개월의 집권가간 동안 1,541회의 연설 가운데 새마을 운동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연설문만을 염선하여 시기별 로 통치 이념 및 아이디어가 어떻게 변화되고 강조되었으며, 통치전략이나 국정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갔는지를 각종 문헌을 통해 추출된 주요 요인들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시기별 로 박정희 대통령의 통치 이념 및 아이디어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새마을 운동의 정의 및 개념은 초기에는 새마을 가꾸기 운동으로출발했지만 ,새마을 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중기에는 “잘살기 운동” 이라 고 정의를 내렸으며, 말기에는 “정신혁명운동” 이라고 집중적으로 강조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새마을 운동의 주요 정신 및 이념은 “근면정신” 의 출현빈도가 24회로 가장 많았고 자조정신, 잘 살아보자, 협동정선이 그 뒤를 이었다. 말기에는 정신혁명 분야를 집중적으로 강조하면서 주민운동, 사회운동, 국 민운동 측면으로 접목사켜 “범국민운동”, “범국가운동”으로 끌고나가 “잘 사는 사회를 후손에게 물려주자” 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셋째, 새마을 운동의 주요 핵심 목표는 농업분야를 중점적인 핵심 목표 로 저l사하여 농업의 기계화, 농업의 기업화를 시도했으며,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4대강 유역 개발이 펼수적인 핵섬 목표였음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새마을 운동의 정치·경제적 목적은 초기의 출발은 경제적 목적에 주안점을 두였으나 10월 유신을 전후해서 정치적 목표를 제시하였고, 경 제적 목적의 정책과저l는 국정상황 인식에 따라 정치적 과제의 해결을 위 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는 장기집권의 합 리화를 위해서 정치적 목적의 비중이 더 많이 주장되고 강조되었음을 시 사하고 였다. 다섯째, 새마을 운동의 추진주체로서 중앙집권적 동원성과 주민자치차 원의 자율성 참여는 통치상황이 중앙집권적이고 다분히 위압적인 분위기 로 중앙집권적이라고 할 수 있었지만 주민들의 의식이 성숙되어감에 따 라 마을단위의 추진단계에서는 주민자치로 자율참여토록 유도되었던 것으 로 분석되고 있다. 여섯째, 새마을 운동의 정신적 원형을 유교적 전통과 서구적 합리성으 로 볼 때, 전통적 미풍, 민족의 열, 전통과 충효정선 등을 강조하고 있는 유교적 가치들과 새마을 운동이라는 현대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가치가 혼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성 노인의 노후준비도가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호 백석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65-year or older Korean males on how they had prepared for retirement. It further examines how these preparations fared once their retirements had begun. Based on observations, the study will suggest sound and practical retirement preparations and social policies for elderly. This research surveyed 314 Korean males over 65 years old and live in greater Seoul and Inchon. Collected data went through a thorough preliminary examinations and then were entered into the SPSS (Windows version 17.0) for coding work and further manipulation. The following are the preliminary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First, the degree of personal preparedness in the order of mental health, religious activities, and physical health before retirem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Second, after examining the degree of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it was evident that economic activities and financial situations in respective order had influenc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Economic activities were deem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ir financial situation. Third, in the matter of how family and friends affect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it was discovered that the encouragement of friends and the encouragement of family in respective order had influenc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Fourth, while investigating how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before the retirement affec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it was discovered that only the degree of awareness for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before retirements had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However, satisfaction level on social services before retirement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ife after retirement. Based up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an age where the life-expectancy is ever increasing, we must be aware that while the issue of physical health should not be considered lightly, the issues of mental health such as loneness, isolation and depression exert greater influences on the elderly. Therefore, various support programs and services designed to promote social status of the elderly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since economic activities exert more influence than the financial situation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government or local municipality programs designed to stir financial activities among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designed for reemployment should be implemented. Third, family and friends are discove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fter retirements. Thus, events and programs designed for interactions among the elderly and their families and friends should be encouraged. Fourth, while it is not always realistic due to overwhelming workloads and demanding situations; nevertheless, social services agencies and workers must work harder in cooperation with local authorities to provide practical and quality programs to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 노인들을 대상으로 어떤 요인이 노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다 실효성 있는 노후준비와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성 노인 31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사전 분류작업과 검토를 거쳐서 SPSS/Win ver.17.0을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건강 준비도가 노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신체건강은 노후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인들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정신적 준비도가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조사대상자 전체 및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정신건강과 기독교유무 변인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정신건강, 기독교 유무의 순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인들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종교생활 변인은 정신건강과 신앙생활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신건강, 신앙활동의 순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준비도가 노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조사 대상자 전체로는 경제상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경제활동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경제상태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경제활동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가 노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기독교인을 포함한 조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친구지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변인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친구지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가족지지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복지서비스가 노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에서 기독교인을 포함한 조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노인복지 만족도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변인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노인복지 만족도만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변인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의 상대적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위계적 동시투입 방식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독교인을 포함한 조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정신건강, 경제상태, 노인복지만족도, 친구지지, 기독교유무, 전근무시간의 순으로 높을수록 노후생활만족도의 수준이 높았다.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정신건강, 경제활동, 신앙활동의 순으로 높을수록 노후생활만족도의 수준이 높았다. 즉, 연구 결과 기독교인을 포함한 연구대상자 전체와 기독교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공히 정신건강이 노후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와 관련해서는 기독교가 타 종교에 비해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독교인들이 상대적으로 영적요소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노후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함으로써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에 기여하고자 한다. 첫째,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신체적 건강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고독감이나 소외감, 우울감 등 정신건강의 영역이 노년기 건강에 더 중요한 요소이므로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 또는 지원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노년기에 경제 상태와 경제활동은 유의미하므로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경제활동 프로그램을 정부나 지역사회와 연계해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직접 재교육 등의 활동 등을 통해 재취업의 기회를 확대시키는 작업도 필요하다. 셋째, 종교유무에 따른 노후생활만족도와 종교 활동에 따른 노후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하므로 가능하면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 노후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사회적 지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가족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및 노인 회원들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사회복지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회복지 현장에서는 서비스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과 건물에너지 소비량

        조선호 경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about 25% of the global energy consumption in Korea. Especially, approximately 53% of the energy used in the building has been consumed for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HVAC). In the case of commercial and public buildings, every year that cooling energy consumption gets higher and higher. Historically, buildings are one of the means for human to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humans created comfortable environment that by adapted for thermal environment and taking action. In addition, cooling and heating operating time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increasing occupancy time and global warming, which is directly linked with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us, the understanding for indoor comfort condition are indispensible for building energy analysis because of the energy used in HVAC system oper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thermal comfort. It is also significant to ensure the thermal comfort along with the reduction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n indoor environment, not only the reduction of building energy but also the thermal comfor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health of building occupants. For evaluating thermal comfort, precise thermal comfort model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PMV model has an error that is different between PMV and the occupant’s actual thermal sensations. That could become key drivers for the profligate consumption of energy. On the other hand, Adaptive comfort theory that thermal comfort zone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adaptive action and thermal adaptation is mainly based on field study on the occupant's actual living conditions. Thu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ur, thermal comfort and building energy that will help to prediction of energy demand and the energy efficiency of HVAC system. This study aims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thermal comfort of building occupants by develop the Adaptive Comfort Model considering adaptive behaviours of building occupants. A field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s of adaptive behaviours on thermal comfort, and then develop and verify the Adaptive Comfort Model. A field measurement was conducted for eight room in seven types of buildings to analyze the adaptive behaviours by occupants, and constructs a indoor thermal condition, thermal comfort, and adaptive behaviours database. Moreover,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hysical factor, behavioural adapt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comprehensive factor. Adaptive Comfort Model was developed and verified using existing field measurement data. Finally, existing and new measured field data was combined to develop the modified Adaptive Comfort Model to improvement in the prediction performance and to reflect a variety of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building simulation tool, EnergyPlus, was used to estimate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daptive Comfort Model was compared with existing model(ASHRAE) to evaluate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mfort temperature differ depending on multiple relationship on environmental factors.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neutral temperature and actual thermal sensation of occupants. Also, the behavioura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fluence on thermal sensation and thermal comfort. The Adaptive Comfort Model was developed from rigorous statistical analysis of exponentially weight mean outdoor temperature and neutral temperature. Adaptive Comfort Model's comfort range was fixed for ±2K. Prediction performance results showd that the proportion that is included in the comfort temperature range, 61.6% from KyungHee university, and 50.0% from S office building. So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variety of building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ment prediction performance. Existing and new measured field data was combined to develop the modified Adaptive Comfort Model. It was obtained from regression analysis using exponentially weight mean outdoor temperature and neutral temperature and separated by heating and cooling models. (Cooling model: Tc=0.210*Trm+20.833, Heating model: Tc=0.053*Trm+24.151)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e cooling energy consumption with 'comfort mode' was higher, followed by 'ASHRAE condition', 'standard mode', 'energy-saving mode', and heating energy consumption with 'comfort mode' was higher, followed by standard mode', 'energy-saving mode', 'ASHRAE condition'. When 'energy-saving mode' and 'standard mode' of Adaptive Comfort Model were applied,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ould be reduced compare to the 'ASHRAE condition' in cooling perio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annual building energy consumption, 'energy-saving mode' of Adaptive Comfort Model was most energy efficiency. 우리나라의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건물부문이 차지하는 에너지 소비는 약 25% 수준이다. 특히, 냉ㆍ난방에너지는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업 및 공공용 건물의 경우 냉방 에너지소비가 매년 크게 증가는 추세이다. 역사적으로 건축물은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는 수단의 하나였으며, 인간은 실내온열환경에 대해 적응하며, 행동을 취해 자신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 왔다. 또한 사람들의 실내에서의 거주 및 업무 생활시간 증가 및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가속화 되면서 건물 냉⋅난방 가동시간 또한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건물에너지 소비에 직결된다. 이처럼 냉⋅난방 시스템 가동에 의한 건물의 에너지는 재실자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모되기 때문에 실내의 쾌적조건(쾌적온도)에 대한 이해는 건물 부문에서의 에너지 분석을 위해 필수적이다. 건물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재실자의 열쾌적성을 확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재실자의 건강 및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온열쾌적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온열쾌적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열쾌적모델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Fanger의 열쾌적 모델(PMV 모델)로 예측되는 쾌적온도가 실제보다 다소 과장 되어 있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과소비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적응쾌적이론은 적응행동(Adaptive action)과 열적적응(Thermal adaptation)의 과정을 통해 재실자의 쾌적대(Comfort zone)가 증가한다는 현장실측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과 열쾌적성 변화 및 건물에너지 소비에 대한 상호 작용을 이해한다면, 에너지 사용을 예측하거나 공조시스템의 에너지 절약적인 운영을 제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을 고려한 적응쾌적모델을 개발하여 재실자의 열쾌적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건물에너지 소비를 저감시키고자 한다. 이에 현장실측 및 주관적 설문평가를 기반으로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이 열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경적응행동을 고려한 적응쾌적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적응쾌적모델과 기존 모델을 비교하여 열쾌적성의 질적 개선 및 건물에너지 절감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총 7개의 건물 내 8개 공간을 대상으로 현장 실측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실측 자료와 함께 실내외 열환경, 재실자의 열쾌적도 및 환경적응행동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환경적응행동에 따른 열쾌적성 평가에서 실내⋅외 온열환경 특성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물리적 요소, 행동적 적응, 심리적 적응, 종합적 요소와 열쾌적성의 관계를 평가하여 환경적응행동에 따른 열쾌적조건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기존 실측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분석 과정을 통해 환경적응행동을 고려한 적응쾌적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실측데이터 및 새롭게 실측 된 경희대학교 열환경 및 열쾌적도 데이터를 통합하여 예측성능을 높이고, 다양한 건물특성을 반영할 수 적응쾌적모델을 최종 수정 및 완성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적응쾌적모델 적용 시 건물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EenrgyPlus 8.0을 사용하여 건물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였다. 기존 모델(ASHRAE 기준)과 비교하여, 재실자의 환경적응행동을 고려한 적응쾌적모델의 에너지 저감량을 평가하였다. 재실자가 실제 쾌적감을 느끼는 쾌적온도는 다양한 환경변수의 복합적인 상호관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실측 결과 중성점온도(쾌적온도)가 재실자의 실제 온열감 반응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재실자의 행동적, 심리적 적응행동은 재실자의 온열감 및 쾌적감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환경적응행동을 고려한 적응쾌적모델을 개발을 통해 쾌적성을 제고하고, 건물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실외 지수가중치 평균온도(Trm)와 중성점온도(쾌적온도)와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적응쾌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통계적 유효성을 충족시켰다. 개발된 적응쾌적모델의 쾌적 범위(±2K)를 결정하고, 모델의 예측성능을 검증하였다. 적응쾌적모델의 예측성능 분석 결과, 쾌적온도 범위 내에 포함되는 비율이 경희대학교의 경우, 전체 기간 동안 61.6%, S사무소의 경우, 50.0%의 예측성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적응쾌적모델의 예측성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건물특성에 따른 현장상황을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실측데이터를 모두 통합하여 적응쾌적모델을 최종 수정 및 완성하였다. 도출된 수정 적응쾌적모델은 Trm(실외 지수가중치 평균온도)과 중성점온도(쾌적온도)와의 관계에 대한 회귀식이 그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냉방기간(Tc=0.210*Trm+20.833)과 난방기간(Tc=0.053*Trm+24.151)에 대한 수정 적응쾌적모델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수정 적응쾌적모델은 다양한 건물특성에 따른 현장 상황에 대응할 수 있고, 에너지 절약 성능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냉방기간의 경우 쾌적모드, ASHRAE 기준, 표준모드, 에너지절약모드 순으로 냉방에너지 소비량이 높게 나타났다. 난방기간의 경우 쾌적모드, 표준모드, 에너지절약모드, ASHRAE 기준 순으로 난방에너지 소비량이 높게 나타났다. 냉방기간의 경우 적응쾌적모델의 에너지 절약모드 및 표준모드 적용시 건물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난방기간에는 건물에너지 저감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간 건물에너지 소비량 결과를 보면, 적응쾌적모델의 에너지 절약모드가 가장 에너지 절감적인 방안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실자의 쾌적성을 높이는 동시에 건물에너지 소비 절감을 고려한다면, 적응쾌적모델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콜버그와 하버마스이론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 비교

        조선호 昌原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between Kohlberg and Habermas. As you know, there may be the important points of moral education in a democratic and culturally diverse society. You may agree with me in that these are such as the autonomy in moral judgments, the rationality of moral reasoning and the sympathetic understanding through communication, etc.. These ideas in moral education may not have come from both Kohlberg and Habermas, but must have been accepted as important ones owing to these two men.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Kohlberg's and Habermas' theories in order to draw some relevant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n a democratic and postmodern society. This study tackles on this issue. The moral education theory of Kohlberg rests on hi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His moral development theory is generally defined as a cognitive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However the essential issue lies in not "what kind of moral judgment" but "what kind of moral reasoning in a certain judgment" when being faced with some kind of moral dilemmas. According to Kohlberg, moral reasoning develops from the pre-conventional level through the conventional level to the post-conventional level. And each level is divided into two distinct stages. Thus ideally speaking, the moral development would proceed from stage 1 to stage 6. The moral education of Kohlberg may be simply described as the efforts and strategies of lifting up the students' moral reasoning level from the previous lower stage to the one higher stage. Habermas'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may be derived from his communication theory. According to Harbermas, there are four kinds of human action, that is the teleological, the norm-regulative, the expressive, the communicative. The communicative action means that two subjects transact with their words and deeds each other in some both-sided interaction modes. The persons wh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or dialogue actively can catch the irrational social norms, structure, etc. and sympathize the erection of the rational and universal norms. In an ideal speech-situation, the participants in communication or dialogue can explore the presuppositions of their speech critically and accept the genuine agreements. Therefore the Harbermas'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may be characterized as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speech-situation and encouragement of an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or dialogue. The formal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from Kohlberg and Habermas may be such as the role-play, the discussion of moral dilemmas, esp.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se may be insignificant in that these ideas are not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oral education methods which have been proposed as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methods. But there may be som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y may be that the former permits the students to more autonomy of moral decisions and encourages them to more critical review of social norms, etc. than the latter. These ideals cannot be too emphasized in moral education but how is it possible to achieve these ideals in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mmature and naive in moral development?

      • 음성인식을 위한 분할 비터비 알고리즘

        조선호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성인식은 마이크로폰으로 소리신호를 입력 받아 그 소리신호가 어떤 음소, 단어, 문장인지 인식하는 기술이며 인간-컴퓨터간 음성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음성인식에서 입력은 마이크로폰으로 받은 음성신호를 컴퓨터로 처리 가능한 특징벡터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그 특징벡터는 인간의 청각신경과 비슷하도록 만든 mel-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모델을 주로 이용한다. 음향모델은 기계학습 방법 중 하나인 hidden Markov model (HMM) 을 이용하여 학습과 인식에 주로 사용되고 최종 결과를 출력하는 디코딩에는 Viterbi algorithm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음성인식기는 충분히 병렬처리 되지 못하고 있으나 멀티코어를 가진 컴퓨터의 증가로 병렬처리가 가능한 음성인식 알고리즘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성인식 병렬처리에 활용될 수 있는 디코딩 알고리즘인 segmented Viterbi를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일반적인 Viterbi는 전체 음성구간에 대해 각각의 확률과 그 확률을 가지게 하는 바로 전의 state를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backtracking과정을 통해 가장 확률이 높았던 path를 찾아 결과로 출력하는 음성인식 디코딩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이 과정이 한번에 처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병렬화 되기 어렵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segmented Viterbi algorithm은 기존과는 다르게 전체 음성구간을 한번에 디코딩 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구간을 적당한 크기로 나누어 각각 디코딩하는 방법이다. Segmented Viterbi는 입력 받은 음성신호를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고 각각 Viterbi 디코딩을 하여 음소형태로 결과를 출력한 다음 그 결과들을 취합하여 최종 인식 결과를 만든다. 이 segmented Viterbi algorithm의 성능 향상을 위해 고려될 문제로는 음성 분할 방법과 Viterbi 디코딩 후 결과 취합 방법, 그리고 정확도를 올리기 위한 추가적인 오류 보정 방법이 있다. 본 논문은 segmented Viterbi algorithm의 정확도 상승을 위해 여러 세부 특성을 가진 방법을 제안한다. 에너지가 큰 peak를 모음 중간으로 보고 그곳을 찾아 분할하는 방법, 위에서 찾은 모음 음소의 peak에서 가까운 valley를 찾아 음소의 경계로 보고 분할하는 방법, 분할하는 구간은 오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분할 구간에서 path backtracking시 나오는 첫 음소를 버리고 그 시간을 다음 구간에 반영하는 방법,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법, 가능한 비슷한 구간을 만들지만 지역적인 valley에서 분할하는 방법, 가능한 비슷한 구간을 만들지만 지역적인 peak에서 분할하는 방법을 세부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monophone과 왼쪽만 이용한 cross-word biphone, cross-word triphone에서 실험을 수행 하였다. 추가적으로 path backtracking시 나오는 첫 음소를 버리고 그 시간을 다음 구간에 반영하는 오류 보정 방법에 대해 첫 음소뿐 아니라 여러 개의 음소를 버릴 때의 효과와, 제안한 방법들에 대한 monophone bigram에서의 영향도 실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