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된 이후 번식쌍을 형성한 따오기의 행동권에 따른 서식환경 특성

        조봉교 ( Soo-dong Lee ),이수동 ( Bong-gyo Cho ),오충현 ( Chung-hyeon Oh ),진민화 ( Min-hwa Jin ),한영섭 ( Young-sub Han ),김성진 ( Seong-ji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섭금류인 따오기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red data book)에 등재되어 있으며(BirdLife International 2000), 국내에서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Ⅱ 및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되어 있다. 19세기 중반까지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널리 분포하였으나(Li and Li, 1998; Ding, 2004), 1930년대 이후 수렵과 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 서식지 파괴 등으로 한반도와 일본의 야생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밝혀졌다(한 2007; 강 등 2008). 중국에서도 멸종 직전이었으나 1981년 야생에 남아 있던 7개체를 토대로 인공증식과 서식지 복원을 통하여 2,000여 개체까지 증가하였다(Liu et al., 2014). 일본과 한국의 경우에도 야생에서 멸종한 후 중국에서 기증받아 재도입 개체군을 확립하여 위기에 처한 종을 보존하는 성공적인 모델로 간주되고 있다(Liu 2014).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판문점에서 1개체가 관찰된 이후 발견되지 않았으나, 2008년도에 따오기 한 쌍을 중국에서 들여온 후 2019년 5월에 1차, 2020년 5월에 2차 야생 방사를 실시하였다(우포따 오기과 2020). 이와 같이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 복원은 전지구적인 과제인데 중국, 일본, 국내에서 따오기 증식 기술, 서식 환경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데 방사한 개체의 번식과 관련해서도 행동권, 서식처 이용 패턴 등에 대해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1차(2019.5.22.), 2차(2020.5.28.)에 걸쳐 야생에 방사된 따오기 중 번식쌍을 이룬 개체의 생육환경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2번의 방사 개체 중 1차 때 방사한 개체가 번식쌍을 형성하여 2회의 둥지를 조성하였으나 유조를 키워내는 것은 실패하였다. 각각의 개체는 위성추적장치를 부착하여 9회/1일의 좌표를 수신하였고 QGIS를 활용하여 행동권, 이동현황, 이용 지역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번식 따오기는 1차 둥지(2020. 4. 3.~2020. 5. 1.)를 활용하여 산란하였으나 실패한 후 2차 둥지(2020. 5. 21.~ 2020. 6. 21.)를 시도한 것이 확인되었다. 1차 및 2차 둥지 조성 지역의 지형을 살펴보면, 해발고는 25~50m와 50~75m, 향은 남향과 북서향이었다. 쌍을 이뤄 번식하는 따오기는 산림 주연부에 둥지를 짓고 전면에 입지한 논, 밭, 경작지 또는 복원센터에서 먹이를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따오기는 둥지의 입지를 먹이터와 안정적인 휴식터가 접하는 장소에 선정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번식 개체의 이동은 쌍을 이루기 전에는 복원센터를 중심으로 주변을 돌아다녔으나 이후에는 둥지를 중심으로 또는 먹이를 구하기 위해 복원센터를 왕복하는 패턴이었다.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1차 둥지 시기에는 소나무림을 휴식처로, 마을 전면에 조성한 논, 밭, 묘지 등을 주요 먹이터로 활용하였다. 특이한 점은 약 2.5㎞ 떨어진 복원센터를 핵심적인 먹이터로 활용하였다. 2차 둥지는 1차 둥지 맞은편에 지었는데, 주변 산림을 휴식처로, 논, 밭, 묘지 등을 주요 먹이터로, 복원센터를 핵심적인 먹이터로 활용한 것은 1차 둥지 시기와 유사한 패턴이었다. 먹이가 부족하거나 휴식이 필요할 때는 여전히 최초 방사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1차 둥지 때와는 달리 2차 둥지 시기에는 둥지 주변에 지속적으로 머물었으며, 복원센터를 방문한 횟수도 줄어들었다. 2번의 둥지는 모두 소나무에 조성하였는데, 1차는 가지 끝에, 2차에서는 주간에 조성하여 후자의 안정성이 더 높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둥지의 재료는 가까운 곳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였는데 소나무 가지와 솔잎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외에는 대추나무, 헛개나무 등 전정된 가지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이수동,조봉교,이광규,염정헌,오충현,Lee, Soo-Dong,Cho, Bong-Gyo,Lee, Gyounggyu,Yeum, Jung-Hun,Oh, Chung-Hyeon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sup>++</sup>, Ca<sup>++</sup>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distributed on the western slope and ridge connecting Mt. Noja to Mt. Gara. This basic research was executed not only to restore and manage forest vegetation, but also to monitor the trend of change in the long term.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mmunitise in 86 survey quadrats, the Pinus thunbergii-Platycarya strobilacea comm. and P. thunbergii-P. densiflora comm. were distributed around the lowlands. The Carpinus tschonoskii-Deciduous broad-leaved comm., Styrax japonicus-Deciduous broad-leaved comm., Acer pictum subsp. Mono-Deciduous broad-leaved comm., Deciduous broad-leaved comm., and Zelkova serrata comm. appeared in the valley and all stone areas. Quercus serrata comm., Q. serrata-S. japonicus comm., S. japonicus-Carpinus cordata comm., Euonymus oxyphyllus comm. were classified as being distributed on steep slopes with relatively high altitude. According to the succession trend of the forest, evergreen conifers will be transitio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owever,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forests, such as Carpinus tschonoskii, zelkova serrata, and Acer pictum subsp. Mono, were considered to maintain their current succession stage because not only the stratified structure was developed over about 50 years tree age, but also ecologically stabilized. As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altitude, pH, content of clay and silt, Mg<sup>++</sup>, Ca<sup>++</sup>, etc.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 KCI등재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Forest in Yesong-ri, Wando-gun (Natural Monument No. 40)

        이수동,조봉교,박경식,배순형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native to the islands of the southwest coast have been adaptedto a range of climatic or geographical environmental factors. Although they are of high importance as cultural and ecologicallandscape resources, they have been damaged by tourism and climate change, and thus measures to protect and managethem are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plan of the evergreen forest in Yesong-ri, Natural Monument No. 40. Methods: Twenty-three quadrats were established in the vegetation communities where broad-leaved evergreens dominateor appear in the canopy, understory, and shrub layers, and the area where the vegetation was restored after the buildingswas demolished. Based on survey data on the vegetation,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fter classifying the communitiesusing TWINSPAN and DCA ordination techniques. Results: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5 dominant groups: Castanopsis sieboldii-Camellia japonica,C. sieboldii, Celtis sinensis, Neolitsea sericea, Camellia japonica, and Machilus thunbergii-Quercus glauca. The study sitewas a windbreak forest that has been protected and managed by the villagers for a long time. As time passes, broad-leavedevergreens including N. sericea, Q. acuta, and C. sieboldii have flowed into and spread to the surrounding area. It seemsthat a similar but unique ecosystem was formed.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distribu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lope, clay, and Na+ ha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onclusion: The width of the windbreak forest was narrow, and the continuity was interrupted by the indiscriminateactivities of tourists, installation of facilities, expansion and construction of warehouses and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destruction of peripheral and understory vegetation was in progres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the forest, it is necessaryto purchase and demolish buildings and facilities belonging to the interior after establishing boundaries and spheres ofinfluence, and to restore it to a goo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using a reference model for areas with damagedvegetation and manage it.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ed in Mt. Chilbosan, Gyeonggi-do

        이수동,오충현,조봉교,박경식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6

        Background and objective: Urban forests fulfill a range of functions, including promoting leisure activities and improvingurban landscapes, but are different in structure from natural forests. In the case of forests near the Seoul metropolitanregion, forests dominated by native tree species must be formed, but vegetation management that involves in minimalintervention is essential due to external disturbances, artificially planted species, and invasive species. This study wasconducted to preferentially survey the vegetation status of Mt. Chilbosan, Gyeonggi-do with the goal of contributing to thesound use and management of the mountain. Methods: Eighty quadrats were established, and the species names and characteristics for each stratum were surveyedby dividing them into canopy, understory, and shrub layer. Based on the surveyed vegetation data, communities wereclassified through TWINSPAN or DCA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were examined. Results: The plan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7 dominant groups: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Pinus rigida, Pinus rigida-Pinus densiflora, Pinus rigida-Quercus spp., Castanea crenata-Quercus acutissima, Robiniapseudoacacia,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ie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nd Pinus rigida had similar speciesand vegetation structures. Communities dominated by artificially planted tree species such as Castanea crenata, Robiniapseudoacacia, and Pinus koraiensis are distributed around the forest edges or frequently used hiking trails and are damagedby various disturbances. Overall, not only is it difficult for succession to proceed due to external influences and soilacidification, but because species with high adaptability to acidity are also expected to emerge, making long-termmonitoring necessary. Conclusion: Mt. Chilbosan had a good environment, but it was disturbed by a low elevation, a drop in the groundwater leveldue to surrounding development, and an increase in visitors.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it is necessary to induce andmanage the transition to native forests adapted to the urban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vegetation structure'scharacteristics and changes.

      • KCI등재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이수동 ( Soo-dong Lee ),조봉교 ( Bong-gyo Cho ),이광규 ( Gyounggyu Lee ),염정헌 ( Jung-hun Yeum ),오충현 ( Chu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ㆍ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sup>++</sup>, Ca<sup>++</sup>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distributed on the western slope and ridge connecting Mt. Noja to Mt. Gara. This basic research was executed not only to restore and manage forest vegetation, but also to monitor the trend of change in the long term.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mmunitise in 86 survey quadrats, the Pinus thunbergii-Platycarya strobilacea comm. and P. thunbergii-P. densiflora comm. were distributed around the lowlands. The Carpinus tschonoskii-Deciduous broad-leaved comm., Styrax japonicus-Deciduous broad-leaved comm., Acer pictum subsp. Mono-Deciduous broad-leaved comm., Deciduous broad-leaved comm., and Zelkova serrata comm. appeared in the valley and all stone areas. Quercus serrata comm., Q. serrata-S. japonicus comm., S. japonicus-Carpinus cordata comm., Euonymus oxyphyllus comm. were classified as being distributed on steep slopes with relatively high altitude. According to the succession trend of the forest, evergreen conifers will be transition to deciduous broad-leaved trees. However, deciduous broad-leaved arboreous forests, such as Carpinus tschonoskii, zelkova serrata, and Acer pictum subsp. Mono, were considered to maintain their current succession stage because not only the stratified structure was developed over about 50 years tree age, but also ecologically stabilized. As environmental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altitude, pH, content of clay and silt, Mg<sup>++</sup>, Ca<sup>++</sup>, etc.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 KCI등재

        거제도 천장산 일대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이광규,이수동,김지석,조봉교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6

        본 연구는 거제도에 분포하는 난대림대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거나 분포하는 천장산 북동사면을 대상으로 조사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는 능선, 계곡, 경사지 등 천장산을 대표할 수 있는 식생군락과 입지환경의 변화가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31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참식나무-굴피나무, 참식나무-때죽나무, 참식나무-참회나무, 곰솔-참식나무, 참식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굴피나무 6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난대림의 천이경향에 의하면, 곰솔, 낙엽활엽수를 거쳐 상록활엽수로진행된다라는 연구결과를 반영한다면, 곰솔군락 뿐만 아니라 졸참나무, 굴피나무, 굴참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우점하거나경쟁하는 지역도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다. 환경요인과 식생분포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경사도, Na+, K+, 전기전도도, 물리적 특성 중 점토(clay) 등이 식생분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warm-temperate forest in Geoje Island. Survey sites were set up on ridges, valleys, and slopes wher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predominated or distributed in canopy, sub-canopy, or shrub layers at Chunjangsan(Mt.). Thirty-one sites were located in the areas, such as vegetation community, ridges, valleys, and slopes, to observe vegetation structure and location change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with TWINSPAN identified six groups: Neolitsea sericea-Platycarya strobilacea, N. sericea-Styrax japonicus, N. sericea-Euonymus oxyphyllus, Pinus thunbergii-N. sericea, N. sericea-Quercus serrata, and Q. variabilis-P. strobilacea. Consider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that the successional pattern of the warm temperate forests progressed from deciduous to evergreen forests, the regions predominated by deciduous communities such as P. thunbergii, Q. serrata, P. strobilacea, Zelkova serrata, and Q. variabilis, is likely to transform into the evergreen forest predominated by N. seric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vegetation distribution showed that slope, Na +, K +,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lay among physical properties had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vegetation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