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을 활용한 대학 정규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유형별 학습 패턴 분석

        조문흠,변문경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4

        As increasing number of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integrate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into their course materials, understanding college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patterns in a MOOC becomes an important element in designing effective teaching and teaching strategies. Us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sought to examine college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patterns in a MOOC. By using a case study approach, 25 college students’ motivation was explained with two types of distinctive motivation: introjected regulation and identifi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ors tended to participate in a MOOC because of external rewards, such as a certificate or a good grade in a college class, and wanted the course instructor’s structured support in a regular college classroom. By contrast identified regulators exhibited a sense of curiosity about a new experience with a MOOC and reported further use of MOOCs for personal development. Discussion and suggestions are included for college instructors who intend to integrate a MOOC into their regular college classroom.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을 학습 자료의 하나로 사용하는 고등교육의 교수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효과적 교수전략 설계를 위해 MOOC에서의 대학생들의 동기와 학습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을 근간으로, MOOC 수강 시 대학생들의 동기와 학습패턴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MOOC 강의에 참여한 총 25명의 학생들을 내사된 조절 유형과 동일시된 조절 유형의 두 가지 동기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내사된 조절 유형은 외부적 원인인 수료증(Certificate)과 정규수업에서의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MOOC을 수강하는 경향이 있었고, 교수자에게 정규수업 내에서의 구조화된 도움을 기대하였다. 반면, 동일시된 조절 유형은 MOOC 수강을 새로움과 배움의 기회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으며, 개인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MOOC을 수강 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동기와 학습패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규수업에 MOOC을 활용하려는 교수자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4차 산업혁명시대 K-12 메이커(Maker)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변문경,조문흠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창작자, 공감자의 시대로, 메이커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정책적인 메이커 운동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6년 10월 이후 전국적인 메이커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람들이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 만들고 싶은 것을 만들고 그 결과물로 창업하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시스템적 지원을 하고 있다. 전국에 설치된 메이커스페이스도 이러한 메이커 운동의 확산을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한 메이커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메이커(Maker) 교육은 성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확대되고 있지만, 4차 혁명 시대를 살아가게 될 K-12를 대상으로 한 메이커(Maker)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7년 3월부터 진행된 K-12 대상으로 진행한 메이커(Maker) 교육의 사례 연구를 토대로 향후 K-12대상 메이커(Maker) 교육의 확대를 위한 방향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공대 학생들의 프로젝트 주제 선정을 위한 초기 교수학습 지원방안 탐구

        변문경,조문흠 한국공학교육학회 2016 공학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engineering students’ concerns and problems while they were choosing a project topic i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ort them in an early stage of collaboration phas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ed a case study with engineering participants in GCTI 2015, an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ve and creative group project. Multiple data source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s, online survey and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were used to triangulate research findings. We found four main concerns of engineering students. These concerns include (1) lack of self-efficacy, (2) limited resources, (3) lack of shared, meaningful, and common goals, and (4) lack of content knowledge. Based on these concerns we proposed four supports in an early stage of the collaborative project. These supports includes (1) implementing an orientation program, (2)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s, (3) providing expert feedback, and (4) providing consultation for team building.

      • 융합 교육에서 학습자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탐색

        장수빈,조문흠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4차 산업혁명시대는 과거와 달리 어떤 한 가지의 지식을 함양한 능동적인 주체의식을 가진 인재양성보다 복합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현재 시대는 다차원적이고 어느 한 분과의 지식으로는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은 지식과 실생활의 문제를 분리하여 가르치는 교육이 다수로 진행되고 있으며, 학습자는 교실에서 배운 지식이 실생활에서 어떤 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 속에서 해결해야하는 것들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고자 우리나라의 고등교육기관에서 융합적인 교과과정을 실시하고자 하는 노력으로써 진행되는 융합적인 교육은 병렬적 교육과정 편성방식(연계전공, 복수전공, 부전공, 협동과정 등)인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의 요구에 따라 융합인재, 융합교육이 대두되면서 간 학문적 또는 다학문적 융합교육의 방식으로서 캡스톤디자인 설계, STEAM 교육 등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라고 제기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하고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체득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 방법이 대두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융합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능력에 대한 초점 역시 뚜렷이 제기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은 다학제간 융합교육의 사례를 통하여 융합교육, 간 학문적 교육 또는 다학문적 융합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을 탐색하고, 학습자의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 Unknown voices: Undergraduates`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김세희,조은원,조문흠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Purpose of the study: Although wikis have been widely adopted to support collaborative writing in undergraduate classrooms, educators remain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tudent participation. Often educators reported that undergraduates were relucta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s. However, very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why undergraduates are reluctant to collaborate with others in writing on wikis. In this exploratory study, we examined undergraduates’ perception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 posed were as follows: Y What are undergraduates’ expectations about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Y What are undergraduates’ perceptions about giv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Y How do students evaluate their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Participants: A total of 27 undergraduates who were taking an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tion in the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was a required class activity in the course and continued for five weeks. Students worked with group members and each group was composed of two to four students. Each group decided a research writing topic with the instructor and the topic should be relevant to issues in K-12.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pen-ended question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 The specific questions will be presented at the KSET conference. For data analysis metho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o researchers developed coding schemes and coded students’ written comments on each question. Initial consistency between two coders was 93% and discrepancy between two coders were solve through discussions. - Results: More specific research findings will be presented in KSET conference. Below is a list of findings through content analysis. Undergraduates had mixed expectations about collaborative writings on wiki. Some had high expectations including confidence about working with others, excitement about wikis, and positive expectation about group members. Some had concerns about collaboration on wiki. These concerns were over reliance to others and reluctance to collaborate with others. Undergraduates reported that they were comfortable to see other group members revise their writing on wikis. Many students appreciated constructive criticism from other members, correction of errors, and team collaboration. Few concerned that revision might change the intention of their contributions and felt uncomfortable about others’ revision on their writing if there was no discussions. In addition, undergraduates reported that they felt comfortable to edit other group members’ writing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group projects. They were also comfortable to edit minor errors such as grammar and spellings. However, some students mentioned that they didn’t want to upset or offend other group members and they believed each person had a different writing style and developed a different way to describe what they wanted to say. Discussions: We will discuss lessons we learned from the study. One of the lessons and suggestions we will make is that instructors provide an orientation about collaborative writing on wikis. The orientation focus on the nature of collaboration and research findings from the study that many students are comfortable to see others revise their writings. Revising and correcting errors are natural writing processes. In addition, we suggest that the instructor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during class time. Students concerned that they may offend or upset others if they revise others’ writing on wiki. Lack of communication in face-to-face can cause misunderstanding about others’ intentions in collaborative writings. Regular face-to-face meetings can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ch one’s writing styles and progress which will result in active collaboration among group members.

      • KCI등재

        STEAM 프로젝트 기반학습(PBL)의 학교현장 적용 경험 분석

        변문경(Byun, Moonkyoung),조문흠(Cho, Moon-H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최근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의 주도로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젝트 기반학습(Project-Based Learning)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은 실제 프로젝트를 학교에서 진행할 때 여러 가지 어려움 겪고 있어, 학교현장에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미국의 학교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기반학습 사례인 Odyssey of the Mind(OM) 및 Destination Imagination(DI) 프로그램에 참여한국내외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인터뷰와 온라인 주관식 설문을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일반 학교에서 NASA PBL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a) 학교 관계자의 NASA PBL적용에 대한 인식, (b) NASA PBL 방식의 수행 평가 점수산출 방법, (c) 시간 소비에 대한 학부모의 부정적 인식, (d) 신념을 가진열정적인 지도교사의 부재, (e) 우리나라 학교에 적용할 때의 어려움 등의 중심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창의 융합 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학교 현장 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의 방향성과 적용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Recently more and more teachers apply project-based learning (PBL) in their class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However, many teachers reported unsuccessful experiences of implementing PBL in their clas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challenges when applying PBL in a class. We conducted interviews and administered an online survey to teachers who employed a NASA PBL approach and participated in Odyssey of the Mind and Destination Imagination programs.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ology we found teachers encountered five challenges implementing PBL in school. These challenges include (a) lack of school administrators’ understanding about NASA PBL, (b) lack of agreement on evaluation method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c) parents’ negative perceptions on students’ time spending for PBL, (d) lack of skillful and passionate teachers for PBL, and (e) lack of school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PBL.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suggested ways to implement PBL in school more effectivel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무한상상실 이용자의 경험분석과 과학교육을 위한 제언

        변문경 ( Moon Kyoung Byun ),조문흠 ( Moon Heum Ch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무한상상실은 국민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과학기술과 결합하여 창업과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로 연결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국민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화시킬 수 있는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현재까지 58개소가 설치 운영중이며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3D 프린터와 레이저 커터기 등 다양한 첨단기기들이 비치되어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기 위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 조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무한상상실에서 이용자의 경험을 조사했다. 그 후, 우리는 무한상상실에서 이용자들이 아이디어를 생성하기 위한 동기 부여, 흥미에 대해 무한상상실을 사용하여 관련 기술뿐만 아니라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결과를 기반으로 무한상상실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세 가지 제언을 할 수 있었다. 첫째, 무한상상실을 이용자들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무한상상실교수자를 위한 별도의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춘 편의를 제공하는 창의적인 서비스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Makerspace was constructed to assist the public in creating new business, industry and market opportunities by combining their creative ideas with technology. So far, in Korea, a total of 58 makerspaces have been constructed and are running currently. Makerspace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high-tech devices such as 3D printing technology and a laser cutter as means for transforming ideas into their prototypes. In this study, we examined users’ experiences in makerspaces using online questionnaires and face-to-face interviews. We then presented motivations for using makerspace, interest in using it, concerns about using technologies, and other issues related to using makerspac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three suggestions to improve users’ experiences in makerspaces. These suggestions include: (1)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makerspaces, (2)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for instructors in makerspaces, and (3) promoting innovative services that accommodate diverse users’ needs.

      • KCI등재

        K-MOOC 수강 완료자의 초기 수강 동기와 수강 지속 동기 분석

        변문경(Byun, MoonKyoung),조문흠(Cho, Moon-H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enrolled in 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s (K-MOOCs) has been increased, identifying K-MOOC learners’ motivation is significant to support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K-MOOC learners’ initial motivation for enrollment and continuing motivation for completion.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wo K-MOOCs developed and operated by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 total of 115 K-MOOC completer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K-MOOC learners’ initial motivation for enrollment and continuing motivation for completion were explained with three themes, such as motivation, class, and content. K-MOOC learners’ initial motivation for enrollment were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needs. In addition, K-MOOC leaners tended to continue to complete the course perceiving that they learned high quality content and they restructured or expanded their existing knowledge. Furthermore, K-MOOC completers tended to keep their initial motivation for enrollment until they finish the cours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support K-MOOC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K-MOOC이 점차 대중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효과적 수업 지원을 위해 수강자들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수업을 등록하고, 완료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 다.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수강자들의 수강 동기와 지속 동기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S대학교에서 개설하여 운영된 두 개의 K-MOOC 강좌의 수강 완료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완료자 115명의 데이터를 유형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동기(Motivation), 수업(class), 콘텐츠(content) 세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K-MOOC 수강자들의 초기 수강 동기와 지속 및 완료 동기에 대한 의미론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K-MOOC 초기 수강동기는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강 과정에서 K-MOOC이 특화된 고급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인식이 지속되고,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거나 수정 및 확장하는 경험을 하게 될 때 수강자들은 강좌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며 수강을 완료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수강자 완료자들은 K-MOOC 수강을 선택하였던 초기 동기가 수업을 마칠 때까지 계속해서 지속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끝으로, K-MOOC 수강자의 동기를 지원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 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