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음나무의 Kalosaponins 함량과 이에 영향하는 몇 가지 생장요인

        이철호,조동광,이갑연,권기원,최명석,Lee, Cheol-Ho,Jo, Dong-Kwang,Lee, Kap-Yeon,Kwon, Ki-Won,Choi, Myung-Su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3

        국내에 분포하는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자생군락에서 7집단 197본을 선정하여 생리활성물질인 kalosaponins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kalosaponins 고함유 개체를 대상으로 이들 개체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여 단순상관, 편상관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kalosaponins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생장요인을 추정하였다. 자생집단별 내피의 총kalosaponins 함량은 발왕산집단 (30.37 mg/g dry weight)으로 가장 높았고, 가리왕산 집단, 한라산 II집단, 전남 망운집단, 경기 팔탄집단, 한라산 I집단 순이었다. Kalosaponins 함량과 생장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kalosaponin P 함량에 가장 높게 영향하는 인자는 내피두께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O 함량은 내피무게와 수령으로 나타났으며, kalosaponin B 함량은 내피중량과 평균흉고직경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음나무 내피의 특성이 kalosaponins 생산에 밀접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our kinds of kalosaponins from inner bark of Kalopanax pictus Nakai as a medicinal and edible timber tree species growing in Korea was analyzed by HPLC. A considerable range of variation in the contents was observed among population. The kalosaponins contents in inner bark from each population were the highest in the Mt. Barwang (30.37 mg/g on the dry weight basis) followed by Mt. Gariwang, Hanra II, Mangun, Paltan, and Hanra II population. Growth factors that might have influenced the contents of the kalosaponins were also examined. As both analysis results of partial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weight of inner bark and tree age were influenced the kalosaponin O contents. The kalosaponin B contents was influenced by both the weight of inner layer bark and annual mean DBH increment. The contents of kalosaponins appear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inner bark characteristics.

      • KCI등재

        개맨드라미 종자 수확 후 저장 기간 및 $GA_3$처리가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김형광,조동광,송천영,이정호,Kim Hyung-Kwang,Jo Dong Gwang,Song Cheon Young,Lee Jeong Ho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8 No.3

        개맨드라미의 종자 발아는 수확직후에는 $GA_3$ 200 ppm 까지는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GA_3$처리 6시간에서 24시간까지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GA_3$ 200 ppm 24시간처리에서 $52\%$ 발아율로 가장 높았다. 개맨드라미의 수확직후 종자의 발아는 파종 후 3일부터 시작되어 6일이면 거의 발아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맨드라미의 종자를 수확 후에 바로 발아시킨 것은 $12\%$의 발아율을 나타낸 반면 $22{\pm}2^{\circ}C$에 2주 저장은 $43\%$를 보였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증가하여 12주 저장의 발아율은 $84\%$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5^{\circ}C$의 저장에서는 2주 저장이 $18\%$의 발아율을 보였고, 12주 저장에서는 $26\%$의 발아율을 나타냈고, $0^{\circ}C$와 $70^{\circ}C$의 저장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12주 저장에서 는 $8-9\%$로 낮아졌다. 종자를 16주간, $22{\pm}2^{\circ}C$에 저장한 후에 발아율은 $82-84\%$로 높게 나타났고, 여기에 $GA_3$ 50 ppm에서 $GA_3$ 400 ppm 및 6시간에서 24시간 농도와 처리시간에 크게 관계없이 $94-99\%$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저장 후의 개맨드라미 종자의 발아는 파종 후 2일이면 대부분되고 4일이면 발아가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 treated duration of storage and $GA_3$ in Celosia argentea. With the seed directly after harvest, a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A_3$, ranged from 50ppm to 200ppm, and dipping hour, ranged from 6 to 24 hour, the rate of germination was also increased. The germination of seed dipping in 200ppm $GA_3$ for 24 hours was the highest with $52\%$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12\%$. As increasing storage duration in $22{\pm}2^{\circ}C$, ranged from 2 weeks to 12 weeks, the rate of germination was also increased showing $84\%$ at 12 week. However, the rate of germination was not increased with the storage of $5^{\circ}C,\;0^{\circ}C,\;and\;-70^{\circ}C$. With the seed storage 16 weeks in $22{\pm}2^{\circ}C$ after harvest, the rate of germination was $84\%$. The rate of germination was increased $94\%\;to\;99\%$ by the $GA_3$ concentration, ranged from 50ppm to 400ppm, and dipping hour, ranged from 6 to 24 hour. The germination was finished 4 days after sowing.

      • 울릉도 섬초롱꽃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안영희 ( Young Hee Ahn ),조동광 ( Dong Kwang Jo ),김규식 ( Kyu Sick Kim ),이정호 ( Jeong Ho Lee ),신창호 ( Chang Ho Shin ),이성제 ( Sung Je Lee ),강기호 ( Ki Ho Kang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5 녹지환경학회지 Vol.1 No.2

        Campanula takesimana Nakai, called `Sum-cho-rong` is the perennial plant of Campanulaceae. It`s the one of widest-spread natural plant cultivated as the decorative plant that the demand rate has been growing high. But, it, cultivated C. takesimana, is exposed to the problem as the extinction of species by that the various genetic characters become simple by self seed production repeatedly nowadays. The problem like this is possible to be solved by induction of various genetic characters from C. takesimana growing in original native habitat. Investigation fo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for C. takesimana was carried out in Ulleung-do Island. C. takesimana has a tendency to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the habitat(Mountain & seaside). in case of the Mountain habitat, C. takesimana community was developed on the well-ventilation rate and half-sunny or sunny as south or south-west facing conditions. C. takesimana community growing around seaside was developed on the half-sunny or sunny as south-east, north-east and north facing conditions. C. takesimana community growing in monutain was emerged on the sandy-gravel and grew with Dystaenia takeshimana(Nakai) Kitag., Miscanthus sinensis Anderss., Hedera rhombea Bean. C. takesimana community growing around seaside was emerged on the coarse gravel and grew with Lilium lancifolium Thunb., Stellaria aquatica Scop., Oxalis corniculata L., Aralia cordata Thunb.

      • KCI등재

        자생 취앙네(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분포와 생태적 특성

        안영희(Young Hee Ahn),송종석(Jong Suk Song),조동광(Dong Kwang Jo),이철호(Chul Ho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5 No.2

        자생 배나무속 유실수 식물유전자원으로 가치가 높은 취앙네의 대덕산 자생지 일대 5 지점을 조사하였다. 취앙네는 해발 1246-1310m의 햇볕이 잘 드는 산 정상 혹은 능선부의 남서사면에서 주로 조사되었다. 자생지 식생에서 총40과 79속 83종 12변종 1품종의 식물들이 조사되었으며 호광성 식물인 국화과의 각시취, 수리취 등을 비롯하여 장미과의 양지꽃 등이 널리 분포하였다. 자생지에서 취앙네는 신갈나무와 거의 비슷한 세력으로 혼재하여 출현하였다. 터주형 생태전략 식물의 차지하는 비율이 54.17%로 나타났다. 취앙네의 자생지는 산불을 비롯한 교란행위에 의해 다양한 식물 종군의 2차 천이가 활발하게 진행중인 지역으로 Shannon-Weiner의 종다양도 지수는 4.592-5.270의 범위로 나타났다. 대덕산 일대에 자생하는 취앙네의 29%는 정상적인 생육을 유지하고 있으나 57%는 생육이 불량하거나 보통인 상태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취앙네의 생육에 방해를 줄수 있는 덩굴성 식물 및 교목류들의 정기적인 제거작업에 의해 수관부의 수광량 확보와 종간의 경쟁을 피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Five major naturally populated habitats around the Mt. Daeduk, Gangwon province for wild Chuiangne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are mostly located on the southeast side of the mountains at 1,216-1,306m in altitude at sea level and are in very good sunney areas. The total of 96 taxa dividing into 40 families, 79 genera 84 species and 12 varieties have in these areas. Most of these plants are heliophytes, which love sunshine, Compositaes such as Artemisia stolonifera, Synurus deltoides, or Rosaceaes like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are also shown. These areas have been unknown destroyed, so it is possibly thought the second transition has been progressed.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of plant groups in these areas is 4.715-5.270 based on the Shannon-Wiener s method. The wild Chuiangne with 34.15%, which are 5-10㎝ DBH, have been found in habitats. The vegetation around the habitats must be managed by the man in order to keep sound growth of the wild Chuiang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