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ong-term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non-saponin fraction rescues the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nd strength associated with aging in mice

        조다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red red ginseng (RG) has been known to relieve fatigue and weakness, and enhance the physical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elderly. Anti-sarcopenic effect of non-saponin fraction of RG (NS) was evaluated in the aged mouse model. Laboratory chow diet containing 0.08% NS (800mg/kg-chow) was manufactured and offered to 22-month-old C57BL/6 mice daily for another 4 months. Muscle strength and loss were assessed by behavioral analysis such as grip strength test and hanging wire test, and the measurements of hindlimb skeletal muscle weights and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ir muscle fibers, respectively. While the long-term NS feeding did not affect the patterns of body weight change and food consumption status for 4 months, it slightly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as indicated by grip strength and hanging wire tests. Four-month-weight loss of hindlimb skeletal muscles such as tibials anterior (TA), extensor digitorum longus (EDL), gastrocnemius (GN) and soleus (SOL) in the aged mice were significantly alleviated by daily feeding of NS-chow diet. The hindlimb muscle weights in 26-month-old mice that have been treated with NS for the last 4 months were almost close to those of 22-month-old mice, fed a standard chow diet without NS. The inhibitory effect of NS on aging-associated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was more pronounced in the cross-sectional area (CSA) measurements of soleus muscle fibers. Soleus muscle fiber CSAs, decreased by 40 % in non-treated aged mice raised from 22 to 26 months, were significantly mitigated to 12.5% in NStreated group. A significant shift of fast- to slow-twitch muscle type, observed in SOL muscle for the same 4-month raising period, was also retarded by 4-month administration of NS-chow diet. To elicit a senescence phenotype in C2C12 myoblasts, proliferating C2C12 cells at low passage was treated with C2-ceramide (50 μM) for 8 hrs and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S 1hr earlier. NS significantly inhibited C2-ceramide-induced senescence phenotypes such as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creased amount of β-galactosidase protein from lysosome, and reduced cell proliferative capacity. At molecular levels,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1 and p57, muscle-specific E3 ubiquitin ligases such as Muscle RING-finger protein1(MuRF1) and atrogen-1, and a satellite cell self-renewal factor, Pax7 were analyzed in C2C12 myoblasts treated with NS and C2-ceramide using RT-PCR. NS restored C2-ceramide-stimulated expression of p21, p57, MuRF1 and atrogen-1, and C2-ceramide-induced suppression of Pax-7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NS significantly prevented the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and strength associated with aging in mice,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retarding the cell cycle exit and aging-dependent dysregulation of ubiquitin–proteasome system. NS thus might be in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medicines to rescue sarcopenia and its accompanying muscle dysfunction. 홍삼은 피로와 약함을 완화하고 특히 노인의 신체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된 마우스 모델에서 홍삼의 비사포닌분획(NS)의 노인성 근위축(sarcopenia)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0.08% NS (800 mg/kg-식이)를 함유한 사료는 4개월 동안 매일 22개월령의 C57BL/6 mice에 제공되었다. 근력과 근손실은 grip strength와 hanging wire 행동실험으로 평가하였으며, 하지근육의 무게와 근섬유의 단면적을 측정하였다. 4개월 동안의 NS 섭취는 체중 변화 및 식이 섭취 양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grip strength와 hanging wire test에서 나타낸 봐와 같이 약간의 기능 개선이 보였다. 26개월의 노화 쥐에서 전경골근, 장지신근, 비복근, 비장근과 같은 하지근육 질량의 감소는 4개월동안 NS를 함유한 사료를 제공함으로써 유의하게 완화되었으며 22개월령 쥐의 근육 질량에 거의 근접하였다. 골격근 질량의 노화 관련 손실에 대한 NS의 억제 효과는 비장근육 섬유의 단면적 측정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NS를 함유하지 않은 사료를 제공한 26개월령의 노화 쥐는 22개월령 쥐의 비장근육 섬유의 단면적이 40% 감소되었는데, 이를 NS를 함유한 사료를 제공한 쥐에서 12.5%로 크게 완화되었다. 또한 fast-to-slow shift muscle type의 많은 변화도 NS를 함유한 사료 제공에 의해 많이 지연되었다. C2C12 근아세포에서 노화 표현형을 유도하기 위하여 C2-ceramide (50 μM)를 8시간 처리하고 1시간 정에 상이한 농도의 NS를 처리하였다. NS는 세포내 지질 축적, β-galactosidase 단백질 양의 증가 및 세포 증식 능력 감소와 같은 세포 노화 표현형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분자수준에서, NS의 처리는 C2-ceramide로 유도된 p21, p57과 같은 세포 주기 조절제, MuRF-1과 atrogin-1과 같은 muscle specific E3 ubiquitin ligase와 satellite cell self-renew의 mRNA 발현 인자인 PAX7과 같은 인자의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NS가 노화와 관련된 골격근 질량 및 강도의 손실을 유의하게 예방하였음을 시사하며, 이는 세포 주기 종료를 지연시키고, upbiquitin-proteasome system의 분해 조절에 기인 할 수 있다. 따라서, NS는 근육 감소증 및 그에 수반되는 근육 기능 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가족역기능과 외적통제성 및 우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조다은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dysfunctio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family systems theory, and ultimately intended to provide various suggestions which can be applied for adolescents' education program and adolescent counsel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drawn from 2 junior high school and 1 senior high school in Cheong-ju city and Dea-jeon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s, t-test, ANOVA with Tukey post-hoc test,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WIN 12.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AMOS 5.0 package using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differences in family dysfunction, external locus of control,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y means of sex, grade, family's economic standards, family's form. More specifically, boy showed higher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in family, higher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girls showed higher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dysfunction communication,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and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in family. For adolescents in Family's poorly economic standards, they showed higher insufficiency of family intimacy,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and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in family, higher external locus of control, higher depression, higher suicidal ideation. For adolescents in single parent, they showed higher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and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more in family, higher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higher suicidal ideation. Second, for male adolescent, the subordinate factor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re appeared dysfunction communication, insufficiency of family intimacy,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in family dysfunct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depression are appeared insufficiency of family intimacy,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in family dysfunction, 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subordinate factor of suicidal ideation are appeared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in family dysfunction and depression. Third, for female adolescent, the subordinate factor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re appeared dysfunction communication, insufficiency of family intimacy and insufficiency of respect for autonomy in family dysfunct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depression are appeared insufficiency of family intimacy,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and insufficiency of time spent together in family dysfunct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suicidal ideation are appeared insufficiency of emotional support in family dysfunction and depression. Forth,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Family dysfunction had an indirect a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rough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family dysfunctio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epression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depression is effected suicidal ideation that girls more effect than boys.

      •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요구분석 및 대시보드 설계

        조다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탐색하고,요구수준을 밝히며, 이를 반영한 대시보드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학습자, 교수자, 관리자의 기능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기능에 대한 학습자, 교수자, 관리자의 요구수준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셋째,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최적의 대시보드의 데이터 설계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의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대시보드를 실제적으로 구현한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분석은 부산시 소재 D대학교 학생 484명, 교수자 137명, 행정직 106명이 참여하였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 대상은 2명이었으며,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지표는 크게 학습자 중심 기능, 교수자 중심 기능, 관리자 중심 기능으로 나뉘었다. 학습자 중심 기능에는 학습활동 지원, 개별화·적응적 지원, 협력 및 의사소통 지원, 비교과 지원, 진로·취업 지원, 학교생활적응 지원이 있다. 교수자 중심 기능에는 교수(instruction)지원, 콘텐츠·자료 관리 지원, 의사소통 지원이 있으며, 관리자 기능에는 모니터링 기능 지원, 메뉴 관리 기능 지원, 학생 관리 기능, 교수자 관리 기능이 도출되었다. 둘째, 학습자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기능은 ‘교과/비교과/졸업요건/어학시험/자격증 등 졸업과 관련된 정보를 요약해서 알려주는 기능’이었다. 교수자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기능은 ‘LMS와 출결정보시스템 실시간 연동 기능’이었다. 관리자의 우선순위가 높은 기능은 ‘원격수업으로 운영되는 교과 중, 영상 콘텐츠를 장기 미업로드 하는 교과 현황을 제공하는 기능’이었다. 셋째, 데이터 설계는 표준화 기반 LRS 학습과정 데이터 저장소 설계, 플랫폼 1차 고도화 설계, 2차 고도화 설계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 결과, LRS 구축 및 고도화를 위해서는 LRS 데이터 구축을 위해 학내 시스템과의 연동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학습자·교수자·관리자 기능을 강화 및 챗봇을 통한 플랫폼 고도화가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대학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사용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의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대시보드 메뉴를 한글로 표시하는 기능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분석 데이터 기반 맞춤형 학생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능 탐색, 사용자의 요구수준, 학습의 데이터 설계, 대시보드 프로토타입 설계 및 사용성 평가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사용을 위한 통합적 방법론을 제시한 부분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based on university learning analysis data, identify the level of demand, and design a dashboard reflecting First of all, what are the specific functions of learners, instructors, and managers required to build a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based on university learning analysis data? Second, what pattern does the level of demand of learners, instructors, and managers for the function of a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based on the university's learning analysis data? Third, what about the data design of the optimal dashboard for building a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based on university learning analysis data? Fourth, what are the results of usability evaluation for prototypes that actually implement dashboards for building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s based on university learning analysis dat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12 experts. 484 students, 137 instructors, and 106 administrative positions from D University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demand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expert interview were two,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nctional indicators were largely divided into learner-centered functions, instructor-centered functions, and manager-centered functions. Learner-centered functions include support for learning activities, individualized and adaptive support,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support, non-subject support,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and school life adaptation support. Instructor-centered functions include instruction support, content and material management support, and communication support, and administrator functions include monitoring functions, menu management functions, student management functions, and instructor management functions. Second, the function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learners was "a function that summarizes and informs information related to graduation, such as curriculum/non-curricular/graduation requirements/language tests/ certifications." The function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instructors was the 'real-time linkage function between LMS and attendance information system'. The function with the highest priority of managers was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current status of subjects that do not upload video content for a long time among subjects operated as remote classes." Third, data design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standardization-based LRS learning process data storage design, platform 1st advancement design, and 2nd advancement design. Expert interview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working programs with LRS data construction and enhance platform through AI technology. Fourth, functions that allow learners to customize their functions and display dashboard menus in Korean through the results of the dashboard prototype usability evaluation for building a data-based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at universitie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present an integrated methodology for practical use by exploring functions for building a customized student support platform based on learning analysis data, designing data for learning, designing data for dashboard prototypes, and evaluating usability.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조다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examining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ts indirect effect via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early school-age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 total of 201 early school-aged children’s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1.0 and AMOS 2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econd, maternal parenting stress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rital conflict.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conflict, but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rd,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Lastly, maternal parenting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rough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n sum, mothers who perceived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more marital conflict. Thi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of marital relations can be transferr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s, causing mothers to show les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their children, and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less compassionate and rational parenting may have difficulty developing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properly according to social context. In conclusion, although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bility, the indirect effect through parenting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resul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Further, at a time when family stress and family conflict increase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ssential data needed to develop individual and social intervention measures to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that affect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령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PSI-SF(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Abidin, 1995)를 토대로 김기현과 강희경(1997)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은 Grych, Seid와 Fincham(1992)이 개발한 아동이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번안하여 한국판 부부갈등 척도(K-CPIC)로 수정하였고, 이를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과 김재희(2011)가 어머니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개발한 학령초기 자녀를 둔 부모용 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그 중 긍정적 양육행동 측면인 ‘온정’과 ‘논리적 설명’ 요인만 채택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7)가 개발한 The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박서정(200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을 매개로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부부갈등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통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온정과 논리적 설명과 같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수준이 낮았으며, 이는 학령초기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 수준의 감소 및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 수준의 증가로 이어졌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부갈등과 양육행동을 매개하여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학령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부담감 및 어려움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배우자와의 원활한 관계를 저해하여 더 빈번하고 심한 강도의 부부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부부관계의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은 어머니가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덜 보이게 하며, 어머니에게 온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을 덜 경험한 아동은 자신의 정서를 사회적 맥락에 따라 유연하고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이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이 각각 정서조절능력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양육행동을 통한 간접적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학령초기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능력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또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관련하여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부부관계 및 양육행동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봄으로써 학령초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개인의 심리적 특성, 부모관계 및 부모-자녀관계에 속한 요인들 간 관계성을 살펴보는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족 스트레스 및 가족 간 갈등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 및 사회적 차원의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박경훈 작곡 <40인 주자에 의한 국악관현악 ‘타령’ 주제에 의한 9변주곡> 분석

        조다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박경훈 작곡 <40인 주자에 의한 국악관현악 ‘타령’주제에 의한 9변주곡〉을 분석 연구한 논문이다. 국악관현악 <40인 주자에 의한 국악관현악 ‘타령’주제에 의한 9변주곡〉은 2017년 8월 2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연주된 자연음향을 위한 국악관현악 렉처콘서트 2회에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연주와 김성국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40인 주자에 의한 국악관현악 ‘타령’주제에 의한 9변주곡〉은 평조회상의 타령을 주제로 선율과 리듬을 변주하여 각기 다른 형식의 9개의 변주로 구성되었다.

      • 패러디를 통한 감상과 표현 영역의 통합 지도 방안 : 중등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조다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s for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art works, and to suggest its efficient guidance methods by the use of parody. Fine art education should take its role to cultivate an esthetic sense in order that young students can understand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culture for fine arts properly in the diversified society because esthetic sense can be developed efficiently whe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art works is accomplished in integration. However, some teachers separate the appreciation of art works from their expressions in their classes. But appreciation activities take place during the expressive activities frequently, so that the process of appreciation could be happened through the external stimulus and informations which are collected with the students eyes, before the expression occurs. Based on the assumption, if we could teach fine arts to the students with integratio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rather than the separated them, then we could get more effective result. Parody is an important technique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work, which gives new meaning to the artist's own, and recreates a new art work through creativity and visual sight. In addition, parody has a different critical view from the art work as an object of imitation, and it also makes the creativity of the artist and the contemporary intention of the work toward clear. To use parody in this study is to elevate the student's interesting of fine arts, and to create expression as a method to remove the student's difficulty of factual description, their fears, and the senses of fine arts.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by parody can not only attract the student's interesting and active participation, but also guide the appreciation and efficient guidance of expression. Furthermore, it could let the students understand and enjoy the fine arts and culture. Thus, I classify the types of parody which can be used in the classes as follows: 1) expression by reproducing description 2) expression by photo montage 3) expression by the transfiguration of genre and materials 4) expression by computer graphic. The plan for the study direction should have the contents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can analyze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 works by appreciation. Second, they can reinterpret the works by creative thinking, not just intelligent understanding. Third, we let the students represent their works based on the reinterpreted works, and understand the works deeply. The aim of the classes is to read the works and to give them critical thought of the art works by the parody expression, not to imitate their works by unreasonable difference in order to elevate the educational effects. However, the remain point is that this work does not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and validity because it is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also it is not applied to the classes directly. Therefore, the shortness of the field study is expected to be supplemented afterwards.

      •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방안 연구

        조다은 동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언어 교육은 1970년대 이후부터 의사소통 수단으로써의 특성을 중시하여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목적을 두었다. 즉, 문법적으로 완벽한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 언어를 얼마나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가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꾸준히 연구되고 있지만 외국인 학습자가 보다 효과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문화와 가치관 등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 방안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에서 한국의 문화와 가치관을 쉽게 접하고 학습할 수 있는 것은 속담이라 할 수 있다. 속담은 조상들의 지혜가 담겨 오랜 세월동안 쓰여 온 의사전달 방법 중 하나로 한국의 문화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속담 교육이 문화 교육에만 안주되어 있어 앞으로는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속담 교육과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계하여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가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통해 실제로 의사소통을 할 때 속담을 적재적소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다. 제 1장에서는 속담을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방안 연구가 왜 필요한 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와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로 나누어 선행연구를 한 후 본 연구의 방법을 정하고자한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에 앞서 속담의 일반적 개념과 특성을 살피고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속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왜 필요한 지를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학교 중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경희대, 서강대를 선정해 각 대학교에서 출판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초·중·고급의 교재별로 제시된 속담과 속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교재에서 속담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속담을 활용하여 속담 교육이나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정리해보았다. 이를 토대로 속담 교육 현황의 문제점을 정리하고 효과적인 속담 교육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교재가 개선되면 좋을지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제 3장에서 다뤘던 속담의 특징을 토대로 교육용 속담 선정 기준을 정하여 초·중·고급 학습자의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속담을 토대로 초·중·고급으로 나눠 속담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도입-제시-연습-활용-정리’의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이 진행 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초급에서는 학습자의 속담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 내는 데에 초점을 두었고,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의 경우에는 실제 상황에서 속담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속담의 대부분 문어보다는 구어로 자주 사용하는 만큼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말하기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 교육에만 그쳐있던 속담을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방안과 연계하여 속담 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 상황에서도 속담을 활용하여 의사소통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서 활용해 보지 못해 이 연구에 제시된 지도안이 한국어 학습자의 속담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확인해 보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연구를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 영어동요를 활용한 만4세 수업모형개발 : 누리과정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조다은 광주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영어는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언어로 서로 다른 문화를 갖고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로벌 시대의 물결 속에서 영어를 구사하는 능력은 한 사회에서 개인적 역량을 발휘하며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언어는 인간이 삶을 사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생존수단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교육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모든 행위를 배우고 가르치는 과정을 말하며,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은 증가하고 있으나 아동 발달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영어교사로 인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하고 있는 영어교육 및 특기 교육이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아이들에게 영어를 교육하는 교사들 중에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드물고, 대그룹 수업을 진행하기 어려워 영어교육이 담임교사와의 수업협의 없이 개별화된 교과로 운영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치원 정교사 즉 담임교사들이 유치원 생활주제를 기반으로 EFL환경에서 영어를 재미있는 노래를 통해 학습 시킬 수 있도록 수업에 필요한 수업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영어동요를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현 유아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누리과정 지도서에 나온 동요들을 분석하여 만 4세의 동요 기준과 난이도 등을 파악한 후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기반하여 조건에 맞는 영어동요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주제를 기반으로 한 영어동요 수업모형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수업모형은 3월 생활주제가 유치원과 친구이므로 동요 What’s your name?을 선정하여 학기 초 재미있게 노래를 불러보며 친구들의 이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활동 목표는 첫 번째, 즐거운 마음으로 노래 부르기 두 번째, 노래를 통해 유치원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기를 목표로 삼고 있다. 활동은 도입-전개-마무리로 진행되며, 도입에서는 유치원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에 대해 이야기 나누며 친구들의 이름을 물어볼 때는 어떻게 질문해야하는지 알아본다. 전개에서는 노랫말을 알아보고 노래를 불러보기 전에 한 가지 소리를 넣어 음을 익힌 후에 노래를 다양한 방법으로 불러보며 진행된다. 마무리에서는 활동에 평가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발문하고 수립하여 다음번 활동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유치원 생활주제에 따라 주차별 영어동요를 선정하였다. 3월의 동요 중 ‘Hello’는 생활주제 ‘유치원과 친구’ 속에서 친구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동요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 동요 선정 기준인 동요 노랫말 속 어휘 수 기준 제 2, 3 난이도에 해당하는 6~15개 중 단어 11개이며, 동요 노랫말 절 구성 기준 1~3절 중 3절을 구성하고 있어 이에 적합하여 영어동요 ‘Hello’를 선정하였다. 나머지 생활주제에 따른 영어동요는 부록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부에서 만 4세 유아에 대한 동요 기준이 자세하게 제공되고 향후 더 많은 영어 교사들과 유치원 담임교사들의 연구가 더해진다면 유치원 정규수업 중 담임교사의 영어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 Effects of writing motivation and feedback experience on EFL Learners’ perception of usefulness of teacher written corrective feedback in writing

        조다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usefulness of five types of teacher corrective feedback, and the effects of writing motivation and feedback experience on their percep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2 college students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level from one college in Korea. They completed a questionnaire which comprised of four instruments: (1) Background Questionnaire, (2) Writing Motivation Scale (3) Student Perceptions of Usefulness of Teacher WCF (4) Feedback Experience of Teacher WCF.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ceived direct teacher WCF to be the most useful type.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perceived indirect B teacher WCF to be the least useful type. Second, students who had high intrinsic writing motivation perceived indirect B teacher WCF to be useful compared to students with lower intrinsic writing motivation. However, intrinsic writing motivation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s of other types of teacher WCF. In addition, extrinsic writing motivation did not influence students’ perceptions. Third, students who had previously experienced the feedback showed the tendency to believe indirect and metalinguistic A WCF was more useful. However, feedback experience did not influence participants’ perceptions when the feedback in question was direct or metalinguistic B WCF. The results have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nglish writing classes. First, the result that students perceive direct WCF to be most useful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communicate with the students to build positive perceptions of indirect or metalinguistic methods, which promote learner autonomy. Second, considering the result that students who have previously experienced the feedback have the tendency to believe that feedback is more useful, students should be introduced to a variety of WCF types in the classroom.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students with ample opportunities to get accustomed to other WCF types. 본 연구의 목적은 WCF 유형에 따른 한국 대학생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에 대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영어 글쓰기 동기와 과거 피드백 경험이 유용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한 대학교의 대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서는 네 가지 도구로 구성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도구는 다음과 같다: (1) 배경 설문지, (2) 영어 글쓰기 동기 척도 (3) 교사 WCF유형의 유용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4) 교사 WCF에 대한 피드백 경험. 설문 결과에 따라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되는 WCF 유형을 기술 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영어 글쓰기 동기부여 정도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WCF 유용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결과에 따라 피드백 경험의 정도에 따른 상위, 중위 하위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WCF 유용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은 교사의 명시적인 WCF를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교사의 암시적인 WCF 중 indirect B를 가장 유용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높은 내재적 글쓰기 동기를 가진 한국 대학생들은 교사의 암시적인 WCF 중 indirect B를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내재적 글쓰기 동기는 다른 유형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외재적 글쓰기 동기는 교사의 WCF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암시적 WCF 중 indirect 과 metalinguistic A를 경험한 한국 대학생들은 해당 유형의 WCF를 유용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metalinguistic A에 대한 경험은 해당 유형의 유용성의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대학생들이 교사의 명시적 WCF를 가장 유용하다고 인식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는 학생의 이러한 선호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동시에, 교사는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능력을 신장시켜주는 암시적인 방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한국 대학생들은 미리 경험한 피드백 유형에 대해서 더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한국 대학생들은 명시적 피드백과 비교했을 때 다른 유형의 피드백을 받아 본 경험이 거의 없거나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어 글쓰기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다른 유형의 피드백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 주어서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이 소개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