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인성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

        조난심(Nansim Cho),차우규(Cha Woo Ky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3

        최근 우리 사회의 도덕적 위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학교 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문제 의식이 커지면서,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우리의 교육 개혁 방향은 교육개혁위원회(1995)에서 이미 천명한 바와 같이 인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으로 요약할 수 있다. 사실, 인성 교육은 교육개혁위원회에서 천명하기 이전부터 우리 학교에서 실시해야 할 중요한 교육 영역으로 부각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인성 교육은 학교 관계자들에게 실천해야 할 당면 과제가 되었으며, 교육연구자들에게는 연구해야 할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학교 평가 항목에 실천 위주의 인성 교육 실시 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인성 교육 우수 실천 사례를 공모하여 시상하는 등의 인성 교육 장려 정책을 펼친 이래로 모든 학교들이 인성 교육 활동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KCI등재

        도덕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시대나 사회에 따라 각기 당대의 도덕적 상태를 개탄하며, 도덕 교육을 강조해 왔다. 그리고 각 시대나 사회는 나름대로의 도덕적 문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을 설명하는 나름대로의 인식 틀을 가지고 있었다. 맥킨타이어(A. MacIntyre, 1968)는 자신의 윤리사상사에서 이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렇듯 시대나 사회에 따라 도덕을 설명하는 틀이 달라져 왔고, 그에 따라 도덕 교육에 대한 접근도 변화해 왔다. 물론, 윤리학이나 도덕 교육 영역에서의 변화가 자연 과학이나 기술 분야처럼 기존의 지식과 기술의 축적 위에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탄생으로 나타나지 않고, 고전적 입장에 대한 재음미 등과 같이 오히려 예전의 입장이 부활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것이 예전의 것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는 점에서 꾸준히 변화를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의 도덕에 대한 생각을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도덕 교육 연구의 최근 변화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의 시사점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윤리과 교육의 방향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이 글에서는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고시한 시점에서 학교의 도덕․윤리과 교육을 좀더 거시적인 한국 교육의 변화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 사회의 전망으로 지식기반 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 세계화의 진전, 다문화 사회의 도래 및 학령인구의 급감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교육에서는 1) 미래사회에 필요한 기초 소양과 핵심능력 육성, 2) 학습자의 교육 내용 및 교육 활동 선택권 확대, 3) 학교교육의 질적 심화와 수월성 교육 강화, 4) 유비쿼터스 기술이 통합된 교수학습 체제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우리는 도덕․윤리과 교육을 이러한 학교교육 변화의 한 부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도덕․윤리과 교육 고유의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곧 변화하는 학교교육의 흐름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은 1) 보편윤리의 추구를 확대하여 좀더 폭넓은 인문교육을 도덕․윤리과 교육에 접목, 2)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서의 도덕성 부각, 3) 포스트모더니즘적 지향에 대응하여 도덕․윤리과 교육의 접근 방법 및 내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를 위한 연구와 실천 방안으로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강화와 도덕․윤리과 교육 연구 외연의 확장 및 고교 수준의 윤리과 교육의 전문성 심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social trends. Especially,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of 2007 the main content was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issues. Nowadays, the social trends like knowledge-based society, information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society and rapid decrease of school-age children in Korea has influenced to the schoo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social trends, school education is trying to change. Schools try to foster students' basic literacies and key competencies, to enlarge elective cours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excellency education, and to introduce the ubiquitous teaching-learning system. The Moral/Ethics Education is a part of this changing school. And we should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recommendable futur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are as below. 1) integrating liberal education to the Moral/Ethics Education through enlarging the universal ethics education, 2) focusing morality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3) chang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Lastly, the way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was suggested for change. Those were e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enlarging the scop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and deepening the depth of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교 인격교육의 재음미

        조난심 ( Nan Sim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2

        이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목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인격교육의 의미와 실태 그리고 활성화 방안과 관련된 쟁점들을 재음미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 학교의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인격 도야를 교육의 중요한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학교교육의 현실은, 학교 폭력 문제 등에서 노정되는 바와 같이, 인격교육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교과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교교육에서 인격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문제들이 검토되어야 하는지를 차분하게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먼저, 우리 교육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인성교육’ 개념의 애매성과 모호성을 지적하고, 인격교육 개념에 초점을 둘 것을 제안하였다. 학교 인격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교교육의 핵심 영역인 교과교육 외의 영역에 중점을 두는 교육 현실을 비판하고, 교과교육을 통한 인격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입시중심 교육, 도덕과 외의 교과들의 인격교육 회피, 교과 수업운영 관행의 문제점 그리고 교과교육 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학교 인격교육 활성화 관련 쟁점으로 교과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 핵심 역량과 인격교육 및 교사의 수업관과 인격교육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끝으로, 인격교육의 관점에서 본 교과교육의 의미를 논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 인격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교육이 학생의 인격 도야, 더 나아가서는 학습자 개인의 ‘좋은 삶’ 혹은 ‘행복한 삶’에 어떤 의미가 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meaning and reality of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Cultivating students` good character is the one of main aims in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schools should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through formal curriculum. But in realities, character education is not carried out efficiently in schools today. The increase of school violence and juvenile delinquencies is regarded as evidence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failure. So, the way of vitalization of schools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iscussed, especially character education through each subjec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First, I clarified the meaning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moral growth of each student.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used widely in Korean education nowadays has ambiguity and vagueness in its definition, so it tends to hinder clear communication between educationists. And I analysed the problems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s. Education policy makers usually focused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school charact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y ignore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which is the core area of school education. Also, there are problem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in schools, such as knowledge transmission centered classroom teaching, disregarding character education in other subjects` teaching except Moral Education class, and not evaluating the result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Recently, in order to vitalize school character education, many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and several improvement policies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ojects. These policy proposals related to the issues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hange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 education, the relation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character in classroom character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se school character education issues. In conclusion, in order to vitalize school character education, the meaning of subject educa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each student`s ``happiness`` and ``good life``.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이광우(Lee, Kwangwoo),조난심(Cho, Nansim),김현미(Kim, Hyun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의적 인재 교육을 위해 헌재 적절히 실천하고 있는 중등학교 교실수업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델파이 조사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적절히 실천되는 교실수업 요인들은 탐구실험학습, 다양한 발상을 자극하는 발문법의 강조, 다양한 확산적 사고 유도, 발표 및 토론학습, 문제에 대한 의건의 확산과 수렴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탐구실험학습과 발표 및 토론학습이 실천되고 있는 정도에 비해 나머지 요인들은 매우 낮은 실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문제집 혹은 저해 요인으로는 발표 및 토론학습의 여지 부족, 학생 개인차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교수법, 교육과정 시수의 과다로 학생의 역랑을 키우는 프로그램 부재, 창의성개념 증진 방법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 학생이 궁금해 하고 질문하도록 하는 발문 부족이 저해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이 모든 요인들이 심각한 수준으로 장의적 인재 교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개선방안으로는 토론식 수업, 주제 중심 프로젝트 학습, 문제 중심 학습, 교사 전문성 발달,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가 제 안되었다. 이 중 토론식 수업이 가장 높은 실천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모든 개선방안들이 매우 낮은 실천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to the good implementations of, the obstacles to, and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elphi Techniq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good implementations of instruction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which are inquiring and experimental learning, emphasis on questions that stimulates various ideas, leading to various divergent thinking, using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in classrooms, and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opinions on problems. Second, the obstacles to instruct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are no room for inquiring and experimental learning. teaching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or characteristics, absence of a program that develops students' ability because of excessive time allotted to curriculum,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a concept of creativity and ways to enhance it, and the lack of questions that causes students to wonder and ask questions. Finally,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are discussion and debating learning, theme-based project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ree learning atmosphere.

      • KCI등재후보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개선 방향 :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난심 한국교육과정학회 2004 교육과정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1997년에 개정 고시되어 현재 각급 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글에서는 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 대한 검토와 피드백이 필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인성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지적 접근에서 통합적 접근에로의 변화, 도덕과 교과목 편제의 재구조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도덕과 교육이 사회적 요구, 교과 자체 내의 요구 등을 감안하여 새 교육과정 구성에서 반영한 사항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적용상의 문제와 미해결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먼저, 제 7 차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도덕 교과목 편제로 인해서 발생하는 중등 도덕과 교육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서도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 논쟁, 한국 윤리 대 보편윤리간의 논쟁, 교육 내용 구성 원리인 생활영역 대 도덕적 주제간의 논쟁 등 도덕과 교육의 쟁점들이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 있음을 밝혔다. 끝으로, 이러한 점토를 바탕으로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덕과 교과목 편제를 가능한 범위에서 조정하도록 하고,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학적 개선을 위해 앞에서 제기된 미해결의 쟁점들에 대한 연구 검토와 아울러. 도덕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교사들의 도덕과 교수학적 지식을 수집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problems which we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it. Based on this analysis, I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and feedback of each subject matter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development of a subject matter education.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7th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adap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to moral education, changing focus of moral education from cognitive approach to integrate approach, and re-structuring th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hes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at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academic needs concerning on school moral education. Meanwhile,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implementing in the schools, several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there is short of time for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ecause just one school time period was alloted for moral education per week.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two elective courses of moral education in high school if a student wants to select moral education on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college entrance. Third, there still remains unsolved important moral education issues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ose are low effectiveness of school moral education, controversy between Korean ethic and universal ethic as the content of moral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moral themes as the major stream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stead of domains of moral life.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I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hange time allotment standards of moral education, to discuss about unsolved moral education issues, and to gather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of school moral education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