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SNS 활용의 학습실태, 학습경험 및 이용목적

        조규락,김선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4

        Objectives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positive effects of SNS, the potential role of SNS in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learning experienc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major issues such as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s, improvements of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purpose of use in SNS. Th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llege students’s use of SNS in learning situations, differences i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on SN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purpose of SNS use. Methods Thu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of 431 undergraduate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OVA, IPA, and network analysis. Results First, a large number of students used various SNS such as Instagram, YouTube, and Facebook for various periods of time and more in the evening. Second,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s on SNS are well showed in the background variable of personality, with extroverted personality having a greater effect than introverted personality. In the meantime,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howed, and major showed very limited differences. Third, among the learning experiences, behavioral rules, resolving questions, and experiencing new fields were identified as areas that need to be urgently improved. Fourth, the related purposes of use vary depending on each learning experiences, but connection and expansion, acquisition of learning information/advice were related to all purposes of use, and centrality indicators of network analysis supported this.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related discussions were proposed and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outlined.

      • KCI등재

        사례기반 추론을 통한 지식 공유 및 문제 해결

        조규락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4

        사례기반 추론은 새로운 문제를 해석하고 해결하는데 과거의 경험 사례를 이용하는 인간의 지적 능력이다. 즉, 자신의 과거 경험 속에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유사한 사례가 있고 그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방안을 기억하고 있다면 인간은 그 사례를 현재의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본 글의 목적은 사례기반 추론을 이해함으로써 어떻게 여러 사람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경험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서 본 논문은 사례기반 추론 시스템의 이용 및 설계를 제안한다. 사례기반 추론 시스템은 사례기반 추론을 컴퓨터에 구현한 프로그램으로서 지금까지 인공지능 분야의 학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사례기반 추론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으로서 논리학의 유추 및 역동적 기억이론을 다루었으며, 사례기반 추론 시스템 개발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사례기반 추론의 중요한 구성요소와 모델을 논의하였다. 특히 사례 기반 추론 시스템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어온 인간의 지적 추론능력을 모델링할 뿐만 아니라 현재 e-Learning에서 부각되는 전자수행지원시스템으로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밝힌다. Case-based reasoning (CBR) is one kind of intellectual abilities of human being in that we use our past experiences to interpret and solve new problems encountered. This implies that we, human beings, try to solve problems by remembering, retrieving, and applying old cases stored as successful problem solving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by understanding CBR, is an attempt to seek a scheme that many people can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s with each other, and beginners can make use of experts'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solve problems. For the purpose, the article propose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BR system, a program for knowledge sharing and problem solving, which is composed of case libraries that store past cases, reasoning engines that retrieve information and cases using several reasoning methods, and input-output interface that communicates between user and the system. The article also provides a model with the description of its key issues to help learners to design and develop it. Analogy and the theory of dynamic memory as theoretical bases of CBR are described as well. The article offers two ways of how to use CBR systems. Included are to use previously developed CBR systems and to develop a CBR system of learner's own hands. Especially, the article indicates in the discussion part that CBR has been being studied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 method to model human reasoning and thinking, and a method to build an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 KCI등재

        수업 중에 나타나는 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감정·정서 인식

        조규락,이정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수업 중에 학생들이 하고 있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를 교사가 경험하고 있는지, 이를 어떤 감정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감정상태의 정도 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고, 비언어적 행동의 보편적인 4가 지 유형인 신체언어, 공간적 행위, 유사언어, 가공적 행위로 나누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이 수업 중에 행하는 긍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과 부정 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총 22개를 확인하였는데, 교사들은 1개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서 이러한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 의 긍정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교사들이 인식하는 감정상태는 기쁨이 압도적으로 많았 으며, 부정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는 화남, 불쾌함, 놀람 등의 감정상태를 느끼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교사들이 느끼는 감정상태의 정도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으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수업목표 달성에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수업을 위한 정서와 감정에 대한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 class, to reveal teachers’ experiences on the identified student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ir emotions and feelings when experiencing the nonverbal behaviors,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which were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conducted depending upon the four types of nonverbal behaviors, including kinesics, paralanguage, proxemics, and artifac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wenty-two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ones identified students act in class and almost all the teachers experienced these behaviors. Second, teachers overwhelmingly felt joy on the students’ positive nonverbal behaviors. In contrast, they felt anger, disgust, and surprise on the students’ negative ones. Finally, the study showed that the degrees of their feel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their varied background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at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achieve instructional goal an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emotion and feeling for an instruction.

      • KCI등재

        대학의 취업준비생과 기업의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구직역량 차이 비교분석

        조규락,구준영 한국기업교육학회 2014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kin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job applicants need mor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in employment competencies between job applicants and recruiting managers, and to offer a right direction toward the development of the employment competencies by apprehending the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corpora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statistical analyses, and IPA, in which one hundred fifty job applicants and sixty recruiting manag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job applicants’ awareness of the level of current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level of the importance in all employment competencies, including all the sub-competencies. This result revealed that they regarded all employment competencies as important elements for getting a job but their current level was lower. IPA indicated further that they need the development of sub-competencies in the area of employment skill. Second, recruiting managers’ awareness of the job applicants’ current level of competencies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corporation in most of employment competencies, except for a few competencies. This result showed that job applicants lack the preparation of competencies required by corporation. IPA indicated further that they need the development of sub-competencies in the areas of employment attitude group and job adjustment group. Third, the study found the awareness difference between job applicants’ level of importance of employment competencies and recruiting managers’ level of employment needs of employment competencies. IPA indicated that the two parties’ gap of awareness made a large difference in employment knowledge group and job adjustment group. Three IPAs results showed that sub-employment competencies seem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before and after the employ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이 인식하고 있는 구직역량과 채용담당자들이 요구하는 역량을 비교·분석하고 취업준비생들에게 어느 구직역량이 더 필요한지를 밝히며, 기업의 취업요구수준을 파악하여 취업준비생들의 구직역량계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적 검정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로서 150명의 취업준비생과 60명의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현재 역량수준이 모든 구직 하위역량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요도 인식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구직역량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구직역량의 수준은 그 보다 낮다고 평가한 것이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기술군의 2개의 하위영역에서 집중해서 역량계발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둘째, 채용담당자가 인식하는 취업지원자의 현재 역량수준은 소수의 하위영역을 제외하고 다수의 영역에서 채용요구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취업지원자들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대해 준비가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태도군과 직무적응군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집중적으로 역량계발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셋째, 역량군별로 하위영역에서 취업준비생과 채용담당자의 중요한 구직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IPA 분석결과는 구직지식군과 직무적응군에서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3개의 IPA 분석결과의 차이점도 존재하는데, 이는 구직역량의 하위영역들이 갖고 있는 성격이 취업 전과 후에 따라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Goal-based Scenarios (GBS) 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의 설계 및 개발 연구

        조규락,조영환,김미경,성봉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5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IT기술을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강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웹기반 교육의 정착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재 웹기반 교육이 전통적 교실수업과 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웹기반 교육에 적합한 설계모형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들은 구성주의 학습관에 기반한 GBS 설계모형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에 관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개발함으로써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거나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와 교육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개발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3개월 간 요구분석, 학습내용분석, 학습자 및 학습환경분석을 통해서 GBS모형을 적용한 웹기반 교육용 컨텐츠를 설계하고 GBS의 7가지 구성요소들에 충실하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학교와 기업에서 새로운 형태의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는 실천가들에게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공해줄 것이다. In spite of the strong request that Internet, a new IT technique, should be extensively used in classroom settings, WBI is not still wide spread. One possible reason is that most WBIs developed so far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lassroom ones and various design models for WBI are unknown. Developing a WBI program according to Goal-based Scenarios (GBS), a constructivis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is study offers a useful case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WBI to educators and implementers. The program developed embodied seven important components of the GBS model. The development process also included needs assessment, task analysis, and learner and environment analysis,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domain of instructional design. The GBS development case in this article will provide concrete guidelines to educational practitioners who have an intention to create a new type of WBI in schools as well as in corporate.

      • KCI등재

        대규모 조직내에서의 변화 : 기업내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과 그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

        조규락 한국기업교육학회 200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4 No.1

        펜실바니아 주립 대학교는 오래된 종이 중심의 회계 시스템을,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 중심의 새로운 회계 시스템으로 대체하였다. 통합 비지니스 정보 시스템(Integrated Business Information System: IBIS)이라 불리는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은 대학교의 회계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라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강제적(mandatory) 이고 필수적인 프로그램이었다. 즉 IBIS를 통하지 않고는 모든 회계관련 사무는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IBIS를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은 대학교의 회계관련 업무에서 핵심적인 내용이 된 것이다. 본 사례연구의 관심은 IBIS와 같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정에서 훈련 프로그램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강제적인 변화의 과정에 있다.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과의 인터뷰의 내용과 관련 문서를 분석하여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정에서 나타나는 3가지의 주요 변화가 확인되었는데, 그것은 첫째, 사람들의 태도의 변화, 둘째, 회계 오피스의 재구조화, 세째, 개인 과업 요구조건의 변화이다. 또한, 본 연구는 2가지 훈련 프로그램을 위한 교훈을 제시하였는바, 그것은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훈련 프로그램 실시할 때 그 시기의 적절성 및 기간에 대한 것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전에 수행된 연구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변화의 과정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법관의 역할과 역량 분석

        조규락,김선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judge’s roles and competenci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and relative priority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delphi method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Expert panels participated in the delphi and IPA were 19 incumbent judges who worked for the judicature.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By the delphi method, (1) there were six important roles identified including judgment, dispute settlement, norm interpretation,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proceedings progress, and writing court records; (2) there were twenty-nine sub-competencies identified regarding judge’s varied roles that were included in the four main competency domains(knowledge, skill, value & attitude, & self-management) from the Spencer & Spencer(1993) model of competency. By the IPA, (3) the different roles and sub-competencies identified in the delphi method belonged to one of the four IPA coordinates(keep up good work, possible overkill, low priority, and concentrate here).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ncumbent judges recognize their varied roles and the roles require many different sub-competenci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better education-training for newly appointed judges and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현직 법관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역할과 역량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역할과 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 및 상대적인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9명의 현직 법관이 참여하는 델파이 조사 방법과 델파이 자료를 이용한 IPA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는 첫째, 판단자, 분쟁해결자, 규범해석자, 사회정의실현자, 절차진행자, 재판서작성자라는 6개 중요 역할이 도출되었다. 둘째, Spencer와 Spencer(1993)의 역량모형에 따른 지식, 기술, 가치와 태도, 자기관리의 4개 주요 역량영역에서 총 29개의 하위역량들이 확인되었다. 셋째, 델파이 조사에서 확인된 서로 상이한 역할과 역량은 IPA의 4개 좌표(계속유지, 과잉, 저순위, 집중영역)에 속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직 법관들이 자신의 여러 역할을 인식하고 있다는 점, 그 역할은 각각 상이한 하위역량들을 요구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임법관의 교육훈련에 대한 시사점 및 관련 후속연구가 제안되었다.

      • KCI등재

        사이버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화 및 적용

        조규락,김선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사이버교사를 대상으로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사이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사이버가정학습을 담당하고 있는 사이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이버교사의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 측정도구의 타당화 작업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1개의 문항을 통한 시스템, 수업지도, 콘텐츠, 시도교육청지원의 4개 하위영역이 추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여러 지수들의 값을 통해 적합한 모형임이 밝혀졌으며, 측정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설정된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사이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사이버가정학습 만족도는 배경변인(학교급, 성별, 지도경력, 사이버학급유형, 사이버가 정학습에서의 담당역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과 학교급에 따른 중·고교학생들의 이모티콘 사용실태 및 인식조사

        조규락 ( Kyoo Lak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중고등학생들의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실태와 인식도를 성과 학교급에 따라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통계분석은 χ² 검정과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모티콘 사용실태에서 성과 학교급은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전체적으로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의사소통할 때 이모티콘을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이모티콘 인식에 대해서는 성의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여학생들이 거의 모든 항목에서 남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이모티콘을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 가지 예외는 대화 상황이었는데, 공적인 대화상황에서는 남학생의 인식이 높았다. 반면에 이모티콘 인식에 대한 학교급에 대한 차이는 그 결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대화의 상황과 대화의 상대에 따라 이모티콘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이해하여 교수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moticon us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depending upon gender and school level (middle vs. high school). Survey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nd t-test and χ² test were conduct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and school leve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emoticon use, which indicates that they use emoticons naturally without any difficulties when communicating among students. Another result is that gender greatly affects the awareness on emoticon use; fe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male ones in almost all aspects. One exception was communication situation; in a formal situation, male students are more positive than female ones. In contrast, as research result was not consistent, the effect of school level on emoticon awareness was not sure. Overall, it is note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awareness of emotic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communication partners.

      • KCI등재

        교육정보미디어연구(2002-2021)의 저자 현황 및 공저 네트워크분석

        조규락 ( Kyoo Lak Cho ),김찬희 ( Chan Hui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 중의 하나인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저자의 현황 및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저자 관계의 구조적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 8권 1호부터 2021년 27권 3까지 수록된 논문 총 655편에 등장하는 저자와 공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704명의 저자가 등장했으며 해가 갈수록 단독저술 보다는 공동저술이 증가하고 있었다. 공동저술은 2인 공저가 제일 많았고, 3인 공저가 뒤를 이었다. 저자수와 논문수의 관계는 적은 수의 논문을 게재한 저자가 매우 많고, 많은 논문을 게재한 저자가 적어지는 멱함수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단독 저자를 제외한 662명의 공저자(노드)가 형성하는 공저 네트워크는 총 1138개의 링크로 구성되었다.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전체 공저 네트워크는 군집분석(cluster)을 통해 총 66개의 군집으로 분리할 수 있었다. 다수의 군집(37개)이 2-4인의 연구자로 구성되어 연구자의 공저 관계 대부분은 소규모라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10명이 넘는 연구자가 모여있는 군집도 20개가 넘어 대규모 공저 관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공저 네트워크에서 공저 빈도의 변화에 따른 중앙성(또는 중심성) 수치의 변화를 파악하여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 저자가 누구이며 이들이 공저 빈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ructural features of author relationship by conducting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authors and coauthor relationships i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For doing this, the study analyzed authors and coauthor relationships appearing in the total 655 articles from 2002 to 2021. The total 704 researcher wrote articles as single author or coauthor and the number of coauthorship has increased rather than single authorship as year passed. In coauthorship, two authorship are the most and followed by three author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authors and the number of articles showed the power law distribution in that while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 few articles is many,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 lot of articles is few. Coauthor network, which is formed by 662 coauthors (nodes), is composed of the total 1138 links. The whole coauthor network looking very complex aspect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otal 66 clusters by the cluster analysis. Whereas most of coauthorship was small scale as many of clusters (37 clusters) consisted of 2 through 4 researcher, large scale of coauthorship also emerged as some of clusters consisted of more than 10 researcher. The study identified as well who key authors are affecting network and how these key authors change as coauthorship frequency changes, by figuring out the change of centrality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authorship frequenc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following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